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 2013
CODE BOOK
자료번호 A1-2013-0023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3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4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3.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 2013 . 연구수행기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4 년 . 자료번호 : A1-2013-0023.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4.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2013 CODE BOOK .
pp. 1-8.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1-2013-0023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2013
q1 은퇴 후의 노후생활로 예상되는 기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년 정도 1 50 4.5 4.5
20년 정도 2 494 44.5 44.5
30년 정도 3 435 39.2 39.2
40년 정도 4 89 8.0 8.0
40년 이상 5 41 3.7 3.7
1,109
100.0 100.0
q2_1 노후생활자금 확보계획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동산, 예금 등 자산소득 1 593 53.5 53.5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 연금 2 357 32.2 32.2 개인연금 등 사적 연금 3 80 7.2 7.2 은퇴 후 재취업을 통한 근로소득 4 54 4.9 4.9 자녀나 부모 등의 지원 5 25 2.3 2.3
1,109
100.0 100.0
q2_2 노후생활자금 확보계획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 연금 2 246 22.2 22.2
개인연금 등 사적 연금 3 303 27.3 27.3
은퇴 후 재취업을 통한 근로소득 4 279 25.2 25.2 자녀나 부모 등의 지원 5 87 7.8 7.8
계획이 없다 6 194 17.5 17.5
1,109
100.0 100.0
문1. 은퇴 후의 노후 생활이 몇 년 정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까?
문2. 노후 생활 자금은 주로 어떻게 마련할 계획입니까? (2가지를 골라주세요) : 첫 번째
문2. 노후 생활 자금은 주로 어떻게 마련할 계획입니까? (2가지를 골라주세요) : 두 번째
1
q3_1 노후생활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동산 투자 1 158 14.2 14.2
은행 예금/적금 2 486 43.8 43.8
주식/채권/펀드 3 47 4.2 4.2
개인연금 4 110 9.9 9.9
국민연금 5 136 12.3 12.3
없다 6 171 15.4 15.4
무응답 9 1 0.1 0.1
1,109
100.0 100.0
q3_2 노후생활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은행 예금/적금 2 86 7.8 7.8
주식/채권/펀드 3 96 8.7 8.7
개인연금 4 181 16.3 16.3
국민연금 5 273 24.6 24.6
없다 6 46 4.1 4.1
무응답 9 427 38.5 38.5
1,109
100.0 100.0
q3_3 노후생활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주식/채권/펀드 3 15 1.4 1.4
개인연금 4 60 5.4 5.4
국민연금 5 130 11.7 11.7
없다 6 5 0.5 0.5
무응답 9 899 81.1 81.1
1,109
100.0 100.0
문3. 노후 생활 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은 무엇입니까?
: 첫 번째
문3. 노후 생활 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은 무엇입니까?
: 두 번째
문3. 노후 생활 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은 무엇입니까?
: 세 번째
A1-2013-0023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2013
q3_4 노후생활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개인연금 4 9 0.8 0.8
국민연금 5 48 4.3 4.3
무응답 9 1,052 94.9 94.9
1,109
100.0 100.0
q3_5 노후생활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민연금 5 8 0.7 0.7
무응답 9 1,101 99.3 99.3
1,109
100.0 100.0
q4 현재 노후생활자금 준비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 1 26 2.3 2.3
어느 정도 준비하고 있다 2 297 26.8 26.8
별로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 3 527 47.5 47.5 전혀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 4 258 23.3 23.3
무응답 9 1 0.1 0.1
1,109
100.0 100.0
q5 현재 국민연금 납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현재 국민연금을 내고 있다 1 501 45.2 45.2 과거에 국민연금을 낸 적이 있고 지금은 내지 않
는다 2 378 34.1 34.1
국민연금을 낸 적이 없다 3 229 20.6 20.6
무응답 9 1 0.1 0.1
1,109
100.0 100.0
문3. 노후 생활 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은 무엇입니까?
: 네 번째
문3. 노후 생활 자금으로 현재 준비 중인 것은 무엇입니까?
: 다섯 번째
문4. 현재 노후 생활 자금이 얼마나 준비하고 있습니까?
문5. 귀하는 국민연금을 내고 있습니까?
3
q6 국민연금 제도의 인지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세히 알고 있다 1 99 8.9 8.9
어느 정도 알고 있다 2 676 61.0 61.0
별로 모르고 있다 3 307 27.7 27.7
전혀 모르고 있다 4 25 2.3 2.3
무응답 9 2 0.2 0.2
1,109
100.0 100.0
q7 국민연금이 노후보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큰 도움이 된다 1 111 10.0 10.0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2 552 49.8 49.8
별로 도움이 안 된다 3 368 33.2 33.2
전혀 도움이 안 된다 4 76 6.9 6.9
무응답 9 2 0.2 0.2
1,109
100.0 100.0
q8 국민연금 신뢰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신뢰한다 1 93 8.4 8.4
어느 정도 신뢰한다 2 429 38.7 38.7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3 461 41.6 41.6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4 124 11.2 11.2
무응답 9 2 0.2 0.2
1,109
100.0 100.0
문8. 국민연금을 얼마나 신뢰하십니까?
문6. 국민연금 제도를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문7. 국민연금이 노후 보장에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1-2013-0023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2013
q9 은퇴 후 현재 지급되는 수준에 비해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의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금 수준으로 받을 수 있다 1 191 17.2 17.2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다 2 790 71.2 71.2
전혀 받지 못할 것이다 3 126 11.4 11.4
무응답 9 2 0.2 0.2
1,109
100.0 100.0
q10 국민연금의 가장 큰 문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향후 기금 고갈 1 531 47.9 47.9
세대 간 부담 차이 2 124 11.2 11.2
기금 운용상 문제 3 239 21.6 21.6
낮은 노후 연금액 4 206 18.6 18.6
문제없다 5 6 0.5 0.5
무응답 9 3 0.3 0.3
1,109
100.0 100.0
dq1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530 47.8 47.8
여 2 579 52.2 52.2
1,109
100.0 100.0
dq2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5-19세 3 2 0.2 0.2
20대 4 136 12.3 12.3
30대 5 255 23.0 23.0
40대 6 249 22.5 22.5
50대 7 233 21.0 21.0
60대 이상 8 234 21.1 21.1
1,109
100.0 100.0
문9. 자신이 은퇴한 뒤에는 국민연금을 지금 현재 지급되는 수준에 비해 어느 정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0. 국민연금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5
dq3 응답자 거주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302 27.2 27.2
부산 2 89 8.0 8.0
인천 3 48 4.3 4.3
대구 4 75 6.8 6.8
광주 5 32 2.9 2.9
대전 6 32 2.9 2.9
울산 7 18 1.6 1.6
경기 8 244 22.0 22.0
강원 9 27 2.4 2.4
충북 10 38 3.4 3.4
충남 11 29 2.6 2.6
전북 12 34 3.1 3.1
전남 13 39 3.5 3.5
경북 14 40 3.6 3.6
경남 15 52 4.7 4.7
제주 16 4 0.4 0.4
기타(해외) 17 6 0.5 0.5
1,109
100.0 100.0
dq4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등학교재학 1 2 0.2 0.2
초등학교 졸업 2 32 2.9 2.9
중학교 재학 3 3 0.3 0.3
중학교 졸업 4 75 6.8 6.8
고등학교 재학 5 7 0.6 0.6
고등학교 졸업 6 411 37.1 37.1
대학(전문대) 재학 7 9 0.8 0.8
대학(전문대) 졸업 8 85 7.7 7.7
대학(4년제) 재학 9 73 6.6 6.6
대학(4년제) 졸업 10 326 29.4 29.4
대학원 석사 재학 11 6 0.5 0.5
대학원 석사 졸업 12 48 4.3 4.3
A1-2013-0023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조사, 2013
대학원 박사 재학 13 6 0.5 0.5
대학원 박사 졸업 14 17 1.5 1.5
기타 15 9 0.8 0.8
1,109
100.0 100.0
dq5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원 1 229 20.6 20.6
자영업 2 117 10.6 10.6
대학생 6 69 6.2 6.2
대학원생 7 5 0.5 0.5
전업주부 8 229 20.6 20.6
공무원 9 16 1.4 1.4
교직자 10 27 2.4 2.4
전문직 11 47 4.2 4.2
의료인 12 10 0.9 0.9
법조인 13 1 0.1 0.1
종교인 14 9 0.8 0.8
언론인 15 1 0.1 0.1
농/축/수산/임업 16 28 2.5 2.5
금융/증권/보험 17 17 1.5 1.5
유통 18 8 0.7 0.7
정보통신 19 13 1.2 1.2
건설 20 10 0.9 0.9
제조 21 23 2.1 2.1
서비스 22 50 4.5 4.5
스포츠 23 1 0.1 0.1
방송인 25 2 0.2 0.2
예술가 26 8 0.7 0.7
부동산 27 4 0.4 0.4
운송 28 8 0.7 0.7
일용직 29 26 2.3 2.3
무직 30 70 6.3 6.3
기타 31 81 7.3 7.3
1,109
100.0 100.0
7
dq6 혼인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혼 1 382 34.4 34.4
기혼(재혼 포함) 2 657 59.2 59.2
사별 3 27 2.4 2.4
이혼 4 43 3.9 3.9
1,109
100.0 100.0
dq7 월평균 개인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102 9.2 9.2
0~100만원 미만 1 310 28.0 28.0
100~200만원 미만 2 296 26.7 26.7
200~300만원 미만 3 203 18.3 18.3
300~400만원 미만 4 101 9.1 9.1 400~500만원 미만 5 58 5.2 5.2 500~600만원 미만 6 17 1.5 1.5 600~700만원 미만 7 8 0.7 0.7 700~800만원 미만 8 2 0.2 0.2
800만원 이상 9 12 1.1 1.1
1,109
100.0 100.0
dq8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39 12.5 12.5
100-150만원 미만 100 124 11.2 11.2 150-200만원 미만 150 160 14.4 14.4 200-300만원 미만 200 248 22.4 22.4 300-500만원 미만 300 284 25.6 25.6 500-800만원 미만 500 116 10.5 10.5 800-1000만원 미만 800 20 1.8 1.8 1000만원 이상 1000 18 1.6 1.6
1,109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