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1. 머리말
2. 몸말:금산농악의 마치굿
3. 맺는말
금산농악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진안증평농악 마치굿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용식*
19)
[국문초록]
금산은 비록 행정적으로는 충청남도에 속하지만 금산의 농악은 전통적으로 호남좌도 농악권에 속했다. 이는 금산농악의 복색, 연행절차, 진법 등에서 드러난다. 이 글에서는 금산농악의 음악적 특징을 통하여 좌도농악의 한 갈래로서의 금산농악의 편모를 살펴보 고자 한다.
이 글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금산농악 가락은 마치굿이다. 마치굿의 ‘마치’는 채굿 의 ‘채’와 마찬가지로 징점을 의미한다. 즉, 외마치, 두마치, 세마치 등등의 마치굿은 징 의 점수가 1점, 2점, 3점이 쳐지는 것에 따라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 호남좌도농악의 여 러 각편 중에서 마치굿이 존재하는 농악은 금산농악을 비롯하여 진안증평농악 등이 있 다. 금산농악이 1980년대에 진안증평농악의 영향으로 재구성되었기에 둘을 비교하는 것 은 문화변형을 탐구하는 작업일 수도 있다.
금산농악의 여덟마치나 갖은열두마치는 진안증평농악의 여덟마치와 갖은열두마치에 비해 고형(古形)의 가락이다. 진안증평농악의 가락을 토대로 형성된 금산농악의 가락이 오히려 고형적 특징을 갖춘 것은 금산농악의 전승과정에서 ‘이론적’ 완성을 위해 변화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금산농악의 갖은열두마치가 3소박 균등리듬 가락으로 김봉열에 의 해 지도되었지만, 이후에 갖은열두마치의 고형적 형태인 혼소박 불균등리듬 가락으로 변
* 전남대학교 국악과
화한 것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 문화변형의 방향은 늘 새로운 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은 아 니다. 금산농악에서는 오히려 고형으로의 변형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주제어】 농악, 호남좌도농악, 금산농악, 진안농악, 마치굿, 채굿, 문화변형
1. 머리말
금산군은 현재는 충청남도에 속하지만,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도, 군,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법률 제 1172호)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충청남도 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전라북도에 속했다. 그리고 금산의 농악은 전통적으로 전라 북도의 농악, 특히 좌도농악 권에 속했다. 이는 금산농악의 복색, 연행절차, 진법 등 에서 드러난다. 이글에서는 금산 농악 의 음악적 특징을 통하여 좌도농악의 한 갈래 로서의 금산농악의 편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글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금산농악 가락은 마치굿이다. 마치굿의 ‘마치’는 채굿의 ‘채’와 마찬가지로 징점을 의미한다. 즉, 외마치, 두마치, 세마치 등등의 마치 굿은 징의 점수가 1점, 2점, 3점이 쳐지는 것에 따라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1) 호남 좌도농악의 여러 각편 중에서 마치굿이 존재하는 농악은 금산농악을 비롯하여 진안 농악 등이 있다. 금산농악은 1970년대의 쇠퇴기를 겪다가 1980년대 초반에 진안증 평농악의 상쇠였던 김봉열과 한국민속촌 농악단장인 정인삼 등의 지도를 받아 금산 농악을 재구성한다. 특히 김봉열이 지도한 금산농업고등학교 농악부는 진안증평농 악의 가락을 바탕으로 호남좌도농악 판제를 재구성하게 된다.2) 그렇기 때문에 호남 좌도농악 중에서도 마치굿이 온전히 전승되는 농악은 금산농악과 진안증평농악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금산농악과 진안증평농악의 마치굿을 비교하여 호남좌도농 악의 마치굿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3)
1) 이보형, 「농악의 채에 대한 음악적 고찰」, 한국민속학 제2집(한국민속학회,1970), 69~89쪽.
2) 길석근, 「전라좌도농악의 판굿가락 분석-김봉열 판굿 가락을 중심으로」(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1쪽; 전인근, 「금산농악 판굿 연구-진법을 중심으로」(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15쪽.
3) 이 글에서 논의하는 금산농악과 진안증평농악 가락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금산농악은 주로
쇠 갱 갱 갱 갱
징 징 징 징 징
<보례 1> 외마치의 고형(古形)
쇠 갠 갠 개개 개개 갠 갠 갠 개개 갠 갠 갠 갠
징 징
<보례 2> 외마치질굿의 고형(古形)
쇠 갠 지 갠 갠 지 갠 갠 지 갠 갠 지 갠
징 징
쇠 갠 지 갠 갠 지 갠 갠 지 갠 갠 지 갠
징 징
<보례 3> 금산농악 외마치
2. 몸말 : 금산농악의 마치굿
1) 외마치
금산농악의 외마치 가락은 3소박 4박 가락이다. 징은 한 장단에 1점을 치기 때문 에 외마치 가락이다. 진안증평농악의 외마치 가락은 3소박 4박으로 되었지만, 징을 매 박마다 2박에 한 점씩 친다. 전사종(全四鍾)4) 등의 옛 명인에 의하면 외마치 가 락은 3소박 4박 가락의 매 1박에 징 1점을 쳤다고 한다. 그리고 외마치질굿은 외마 지 가락과 다른데, 이는 3소박 4박 한 장단에 징을 1점을 쳤다.5) 금산농악의 외마치 는 3소박 4박 한 장단에 징을 1점 치는 외마치질굿 가락과 징점이 같다. 진안증평농 악은 매 1박에 징 1점을 치는 가락이 고형을 간직한 것이고, 매 2박에 징 1점을 치 는 식으로 변화되었다.
전인근, 앞의 글 외에 민병상, 「금산농악의 현장연구」(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주성숙, 「금 산농악의 가락과 소고춤에 관한 연구」(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등을 참고하였다. 진안증평 농악은 길석근 앞의 글 외에 김현숙, 「호남좌도농악에 관한 연구-임실과 진안 판굿을 중심으로」(서 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등을 참고하였다.
4) 전사종은 전라북도 정읍 출신의 농악 명인이었다.
5) 이보형, 앞의 글, 73~74쪽.
쇠 갠 지 갠 갠 지 갠 갠 지 갠 갠 지 갠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갠 지 갠 지 갠
징 징 징
쇠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징 징 징 징 징
쇠 개 개 개 개 개 개 갠 지 갠 갠 지 갠
징 징 징 징 징
쇠 개 갠 갠 지 개 갠 갱
징 징 징
<보례 5> 진안증평농악 외마치
쇠 개 갠 갠 지 갠 지 갠 갠 지
징 징
쇠 갱 개 갠 개갠 지 갠 갠 지
징 징
쇠 갠 갠 갠 갠 개개 갠 개 갠
징 징
쇠 개 개 개 개개 개 개 갠 개개 갠 개개 갠 갠
징 징
<보례 4> 금산농악 외마치질굿
2) 두마치
금산농악의 두마치 가락은 3소박 4박 가락이다.6) 징은 한 장단에 1점을 치지만 두마치란 이름을 갖는다. 진안증평농악의 두마치 가락은 매우 빠른 3소박 4박 가락 이고 한 장단에 1점을 치는 점에서 금산농악 두마치와 징점이 같다. 진안증평농악의 두마치 가락은 3소박 가락이지만 3소박 2박을 2+2+2의 완자걸이(hemiola) 식으로 치는 것이 두드러진다.
6) 전인근은 금산농악 두마치 가락을 4/4로 표기했는데(전인근, 앞의글, 63쪽), 이를 ♩♪의 셋잇단음표 로 기보했다. 나는 이를 3소박 가락으로 해석한다.
쇠 갠 지 갠 지 갠 지 갠 지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지 갠 지
징 징
<보례 6> 금산농악 두마치
쇠 개 갠 갠 지 갠 지 갠 지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지 갠 지
징 징
쇠 개 갠 갠 지 갠 갠 갠
징 징
쇠 갠 지 갠 갠 갠 갠 지
징 징
쇠 갠 갠 갠 갠 지 갠 지
징 징
쇠 갠 갠 지 갠 지 갠 지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지 갱
징 징
<보례 7> 진안증평농악 두마치
3) 세마치
금산농악의 세마치 가락은 3소박 4박 가락이고, 매 2박에 징 1점을 친다. 3~4박 은 2+2+2의 완자걸이 식으로 친다. 진안증평농악 세마치 가락은 3소박 4박 가락이 고, 제1, 2, 3박에 징 1점을 쳤지만, 최근에는 첫 박에만 징 1점을 치기도 한다. 세마 치 가락은 본래 3소박 4박 가락의 제1, 2, 3박에 징 1점씩 3점을 치기 때문에 세마치 란 이름을 갖는다.7) 그러므로 진안증평농악의 세마치가 고형을 간직한 것이고, 금 산농악의 세마치는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진안증평농악의 세마치 가락을 살펴
7) 이보형, 앞의 글, 75쪽.
쇠 개 갠 갠 지 갠 갠 갠
징 징 징
<보례 8> 금산농악 세마치
쇠 개 갱 개 갱
징 징
쇠 개 갠 갠 지 갠 갠 갠
징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갠 갠
징 징 징 징
쇠 개 갠 갠 지 갠 갠 갠
징 징 징 징
<보례 9> 진안증평농악 세마치
보면 제1~2박은 3소박 가락이기에 각 박에 징 1점을 치지만, 제3~4박은 2+2+2의 완 자걸이식 가락이기에 각 박에 징 1점을 치지 못하고 제3박에 징 1점을 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세마치 가락이 고형인 것을 알 수 있다.
4) 네마치, 다섯마치, 여섯마치
금산농악의 네마치, 다섯마치, 여섯마치 가락은 기본적으로 세마치 가락과 같은 것이고, 세마치에 붙여서 연주한다. 이는 3소박 4박 가락이고, 매 2박에 징 1점을 친다. 진안증평농악의 네마치, 다섯마치, 여섯마치 가락도 세마치 가락과 같고, 3소 박 4박 가락에 제1, 2, 3박에 징 1점씩 3점을 친다. 이보형은 농악의 네마치는 징가 락이 아니라 북가락에서 온 것으로서 북을 네 번 치기에 네마치라는 이름을 갖는다 고 한다.8) 그러나 금산농악이나 진안증평농악의 네마치는 북을 네 번 치지 않는다.
8) 이보형, 앞의 글, 77쪽.
쇠 갱 갱 갱 갱 갱 갱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갱 갱 갱
징 징 징
쇠 개 갠 갠 지 △ 개 갱
징 징
<보례 10> 금산농악 일곱마치
쇠 갱 갱 갱 갱 갱 갱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갱 갱
징 징 징 징
쇠 개 갠 갠 지 △ 개 갱
징 징 징
<보례 11> 진안증평농악 일곱마치
5) 일곱마치
금산농악의 일곱마치는 3소박 4박 가락 셋이 모여 한 집을 이룬다. 그러나 첫 장 단처럼 완자걸이의 쓰임이 많다. 징은 5점을 치는데도 일곱마치라는 이름을 갖는다.
진안증평농악의 일곱마치는 3소박 4박 가락 셋이 모여 한 집을 이룬다. 그리고 징이 7점을 치기 때문에 일곱마치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제2~3장단에서 징을 첫 박에 1 점씩 치기 때문에 징 7점을 못 맞추기도 한다.
6) 여덟마치
금산농악의 여덟마치는 3소박 4박 가락 셋이 모여 한 집을 이룬다. 그러나 첫 장 단처럼 완자걸이의 쓰임이 많다. 징을 8점치기 때문에 여덟마치이다. 진안증평농악 의 여덟마치의 가락 구성은 금산농악의 여덟마치와 같지만, 징은 8점이 아니라 일곱 마치처럼 7점을 친다. 결국 금산농악은 징 8점이기 때문에 여덟마치인 것이고, 진안
쇠 갱 갱 갱 갱 갱 갱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갱 갱 갱
징 징 징 징
쇠 개 갠 갠 지 개 갠 갱
징 징 징 징
<보례 12> 금산농악 여덟마치
쇠 갱 갱 갱 갱 갱 갱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갱 갱
징 징 징 징
쇠 개 갠 갠 지 △ 개 갱
징 징 징
<보례 13> 진안증평농악 여덟마치
쇠 갱 갱 갱 갱 갱 갱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지 갠 지
징 징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갱 갱 갱
징 징 징 징
<보례 14> 금산농악 아홉마치
증평농악은 여덟마치이지만 징은 7점이다.
7) 아홉마치
금산농악의 아홉마치는 3소박 4박 가락 셋이 모여 한 집을 이룬다. 그러나 첫 장 단처럼 완자걸이의 쓰임이 많다. 징을 9점치기 때문에 아홉마치이다. 진안증평농악 의 아홉마치도 금산농악의 아홉마치와 같다.
쇠 갱 갠 지 갱 갠 지
징 징 징
쇠 갱 갠 지 갠 갱 갠 지
징 징 징
쇠 갱 갠 지 갠 갠 지 갠 갱
징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갠 지 갠 △
징 징 징
쇠 개 갠 갱 개 개개 개 갱
징 징
쇠 개 갠 갱 개 개개 개 갱
징 징
쇠 갱 지 갠 갱 갱
징 징 징
<보례 15> 금산농악 갖은열두마치
쇠 갱 갠 지 갱 갠 지
징 징 징
쇠 갱 갠 지 갠 갱 갠 지
징 징
쇠 갱 갠 지 갠 갠 지 갠 갱
징 징
쇠 갠 지 갠 지 갠 갠 지 갠 △
징 징 징
쇠 개 갠 갱 개 개개 개 갱
<보례 16> 진안증평농악 갖은열두마치
8) 갖은열두마치
금산농악의 갖은열두마치는 2소박과 3소박이 2+3+2+3 또는 3+2+3+2 등으로 혼 합된 혼소박 4박 가락 일곱이 모여 한 집을 이룬다. 징을 12점치기 때문에 열두마치 이다. 진안증평농악의 갖은열두마치도 금산농악의 갖은열두마치와 가락 구성은 갖 지만 징은 12점을 맞추지 못하고 9~10점을 치는 경우가 많다.
징 징
쇠 개 갠 갱 개 개개 개 갱
징 징
쇠 갱 지 갠 갱 갱
징 징 징
쇠 개 갠 지 개 갠 지
징 징
쇠 개 갠 지지 개 갠 지
징 징
쇠 개 갠 지지 갠 지지 지
징 징
쇠 개갠 개갠 지 갠 지지 지
징 징
쇠 개갠 지 개 지지 지
징 징
쇠 개갠 지 개 지지 지
징 징
쇠 갠 지지 개 갠
징 징
<보례 17> 길석근 채보의 금산농악 갖은열두마치
한편, 김봉열이 진안증평농악을 금 산에서 가르칠 때 혼소박 가락인 갖은 열두마치가 “발걸음과 가락이 맞지 않 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금산 좌도 판굿 가락에서는 3․3 리듬으로 된 8/6박자 로” 바꾸어 연주했다고 길석근은 주장 한다.9) 그리고 징도 매 장단의 첫 박에 1점을 쳤다(<보례 17>).10) 이렇게 3소 박 균등리듬으로 연주했던 금산농악의 갖은열두마치가 언제부터인가 원형의 가락 형태인 혼소박 가락으로 변화되 어 연주되는 것이다.11)
9) 길석근, 앞의 글, 18쪽.
10) 민병상의 갖은열두마치 악보도 8/6박자의 균등리듬으로 되어있다(민병상, 앞의 글, 50쪽).
11) 길석근은 혼소박 가락인 호호굿도 금산농악에서는 8/6박자의 균등리듬으로 바꾸었다고 한다(길석근, 앞의 글, 26쪽). 그러나 전인근은 호호굿은 구령부의 3소박 4박(8/6박자)과 가락부분의 혼소박 4박 (10/8박자)이 혼합된 가락으로 분석한다(전인근, 앞의 글, 36쪽).
<보례 18> 금산농악의 호호굿
쇠 갠 갱 호 호
쇠 갠 갱 호 허
쇠 갠 갠 지 갠 갠 지 갱
쇠 갠 지 갠 지 갠 갠 지 갱
쇠 개갠 지 갠 갠 갱
3. 맺는말
금산농악은 호남좌도농악권에 속하는 농악이다. 호남좌도농악에는 채굿이 많이 있지만, 마치굿이 있는 농악은 금산농악과 진안증평농악이 대표적이다. 금산농악이 1980년대의 부흥기에 진안증평농악의 상쇠였던 김봉열의 지도를 받았던 것을 고려 하면 금산농악 가락은 진안증평농악 가락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금산농악과 진안증평농악의 마치굿 가락을 분석하면 기본적으로 둘의 음악적 구조 가 거의 같기 때문에 둘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금산농악의 여덟마치나 갖은열두마치는 진안증평농악의 여덟마치와 갖은 열두마치에 비해 고형(古形)의 가락이다. 금산농악의 여덟마치는 징 8점이고 갖은열 두마치는 징 12점으로 마치굿의 고형적 특징을 갖추었지만 진안증평농악의 여덟마 치와 갖은열두마치의 징점은 각각 8점과 12점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진안증평 농악의 가락을 토대로 형성된 금산농악의 가락이 오히려 고형적 특징을 갖춘 것은 금산농악의 전승과정에서 ‘이론적’ 완성을 위해 변화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금산 농악의 갖은열두마치가 3소박 균등리듬 가락으로 김봉열에 의해 지도되었지만, 이 후에 갖은열두마치의 고형적 형태인 혼소박 불균등리듬 가락으로 변화한 것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
문화는 원형(原型) 또는 고형의 형태를 지속할 수 없다. 문화는 사회구성원의 요 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변형의 방향은 늘 새로운 방향으로 만 흐르는 것은 아니다. 금산농악에서는 오히려 고형으로의 변형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 논문
이보형, 「농악의 채에 대한 음악적 고찰」, 한국민속학 제2집, 한국민속학회, 1970.
2. 학위논문
길석근, 「전라좌도농악의 판굿가락 분석-김봉열 판굿 가락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김현숙, 「호남좌도농악에 관한 연구-임실과 진안 판굿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민병상, 「금산농악의 현장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전인근, 「금산농악 판굿 연구-진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주성숙, 「금산농악의 가락과 소고춤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Musical Characteristics of Farmers’ Band Music in Geumsan
-Comparisons with the Music in Jinan-
Lee, Yong-Shik*
12)
Although Geumsan District belongs to Chungcheong-do today, the farmers’
band music, or nong’ak, in this regions has been to be regarded as one of Jwado (lest region) music in Honam. The outfit, performance procedure, performance practice, and so on, show the traits of the Jwando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Jwado traits of Geumsan band music through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music.
I focus on machi-gut of Geumsan music in this paper. The term ‘march’
denotes the strokes of the large gong, or jing, in the music. Among the versions of Jwado music in Honam, Geumsan and Jianan are the two examples that have machi-gut in their music. It is known that Geumsan music has influenced by Jinan music that the comparison of the two will exhibit the cultural variation in the region.
The machi-gut in Geumsan shows the earlier musical traits than that in Jinan.
The former has modified its music in order to fit “theoretical principle” of the musical structure to match the stoke of the large gong to the name of the rhythm.
Since the teacher from Jinan taught different rhythms in Geumsan in the 1980, the musicians in Geumsan has tried to modify the rhythm to fit the gong strokes.
In other words, the society tries to modify its culture to imitate the older form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strength its “tradition.”
Key Words :Nong’ak, Farmer’s band music, Honam music, Cultural modification,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