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 CODE BOO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 CODE BOOK"

Copied!
7
0
0

Teks penuh

(1)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CODE BOOK

자료번호 A1-2010-0063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0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2 년

(2)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0. 「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 . 연구수행기관: KBS 방 송문화연구소.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년. 자 료번호: A1-2010-0063.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2. 「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A1-2010-0063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q1 효과적인 금연정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담배 가격 인상 1 5,111 42.2 42.2

금연운동 캠페인 2 927 7.7 7.7

금연구역 추가 확대 3 2,545 21.0 21.0

청소년 흡연 예방 4 1,322 10.9 10.9

담배 광고 전면 금지 5 483 4.0 4.0

경고문구 강화 6 386 3.2 3.2

금연치료 지원 센터 7 1,347 11.1 11.1

12,121

100.0 100.0

q2 금연정책으로 담뱃값 인상에 대한 찬반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한다 1 5,500 45.4 45.4

대체로 찬성한다 2 3,515 29.0 29.0

대체로 반대한다 3 1,608 13.3 13.3

매우 반대한다 4 1,497 12.4 12.4

12,121

100.0 100.0

q3 담배의 세금인상에 대한 찬반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한다 1 3,917 32.3 32.3

대체로 찬성한다 2 4,552 37.6 37.6

대체로 반대한다 3 2,250 18.6 18.6

매우 반대한다 4 1,402 11.6 11.6

12,121

100.0 100.0

문1. 금연정책으로 어떤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십니까?

문2. 담배에는 각종 세금이 많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금연정책으로 담뱃값을 인상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3. 현재 담배에 붙은 세금은 소비량에 따라 종량세율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즉, 담배 소비량 이 많을수록 세금이 더 많이 걷히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기존 세율 대신 담배의 세금을 매년 물가 상승률(2.8%∼3.0%)과 연동해 인상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4)

q4 흡연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원래 안 피운다 1 7,330 60.5 60.5

끊었다 2 2,443 20.2 20.2

흡연을 한다 3 2,348 19.4 19.4

12,121

100.0 100.0

q5 흡연자들이 금연하게 될 담배가격 예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000원 정도 1 161 1.3 1.7

4,000원 정도 2 399 3.3 4.1

5,000원 정도 3 1,568 12.9 16.0

6,000원 정도 4 434 3.6 4.4

7,000원 정도 5 508 4.2 5.2

8,000원 정도 6 761 6.3 7.8

9,000원 정도 7 122 1.0 1.2

10,000원 정도 8 3,232 26.7 33.1

아무리 담뱃값을 올려도 금연하지 않을 것이다 9 2,587 21.3 26.5

시스템 결측값 2,348 19.4

12,121

100.0 100.0

q6 하루 평균 흡연 개비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개비 이하 1 314 2.6 13.4

6개비에서 10개비 정도 2 536 4.4 22.8

11개비에서 1갑 미만 3 1,015 8.4 43.2

1갑 이상 4 483 4.0 20.6

시스템 결측값 9,773 80.6

문4. 귀하께서는 흡연을 하십니까?

문5. 현재 2,500원 정도인 담배 가격이 얼마 정도로 인상되면 흡연자들이 금연을 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문6. 귀하께서는 하루에 담배를 몇 개비나 피우나요?

(5)

A1-2010-0063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q7 흡연기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년 미만 1 85 .7 3.6

1~2년 정도 2 53 .4 2.3

3~5년 정도 3 134 1.1 5.7

6~10년 정도 4 511 4.2 21.8

11년~20년 정도 5 1,013 8.4 43.2

21년~30년 정도 6 409 3.4 17.4

31년 이상 7 142 1.2 6.1

시스템 결측값 9,773 80.6

12,121

100.0 100.0

q8 담배가격이 인상되면 금연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000원 정도 1 225 1.9 9.6

4,000원 정도 2 157 1.3 6.7

5,000원 정도 3 553 4.6 23.6

6,000원 정도 4 79 .6 3.3

7,000원 정도 5 55 .5 2.4

8,000원 정도 6 91 .8 3.9

9,000원 정도 7 6 .1 .3

10,000원 정도 8 509 4.2 21.7

아무리 담뱃값을 올려도 금연하지 않을 것이다 9 672 5.5 28.6

시스템 결측값 9,773 80.6

12,121

100.0 100.0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성 1 6,123 50.5 50.5

여성 2 5,998 49.5 49.5

12,121

100.0 100.0

문8. 귀하께서는 현재 2,500원 정도인 담배 가격이 얼마 정도로 인상되면 금연할 의향이 있으 십니까?

문7. 귀하께서는 담배를 피운 기간은 얼마나 되십니까?

3

(6)

ag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1 3,097 25.6 25.6

30대 2 3,467 28.6 28.6

40대 3 3,389 28.0 28.0

50대 이상 4 2,168 17.9 17.9

12,121

100.0 100.0

job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화이트칼라 1 4,560 37.6 37.6

블루칼라 2 791 6.5 6.5

자영업 3 1,049 8.7 8.7

전업주부 4 1,137 9.4 9.4

학생 5 1,960 16.2 16.2

무직 6 542 4.5 4.5

기타 7 2,082 17.2 17.2

12,121

100.0 100.0

ico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039 8.6 8.6

100-200만원 미만 2 2,620 21.6 21.6

200-300만원 미만 3 2,947 24.3 24.3

300-500만원 미만 4 3,771 31.1 31.1

500만원 이상 5 1,745 14.4 14.4

12,121

100.0 100.0

edu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졸 이하 1 2,491 20.6 20.7

대재 이상 2 9,557 78.8 79.3

시스템 결측값 72 .6

(7)

A1-2010-0063 금연정책에 대한 조사

area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2,709 22.4 22.4

인천/경기/강원 2 3,705 30.6 30.6

부산,울산,경남 3 1,970 16.3 16.3

대구,경북 4 1,260 10.4 10.4

대전,충청 5 1,173 9.7 9.7

광주,전라,제주 6 1,303 10.7 10.7

12,121

100.0 100.0

5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