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 3. Graphical Linkage Synthesis (3 장 . 도해 기구 합성 )
대부분의 엔지니어링 설계 과정에는 합성과 분석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
대부분의 엔지니어링 과정은 주로 다양한 상 황에 대한 분석 기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 그러 나 그것이 합성 될 때까지는 분석 할 수 없습니 다 .
많은 기계 설계 문제는 특정 동작 특성이 있는 장치를 만들어야 합니다 . 특 정 시간 간격으로 A 위치에서 B 위치로 공구를 이동해야 할 수도 있습니 다 . 어셈블리에 파트를 삽입하기 위해 공간의 특정 경로를 추적해야 할 수 도 있습니다 .
이제 몇 가지 간단한 합성 기술을 탐구하여 몇 가지 일반적인 기구학적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잠재적 인 연계 설계 솔루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
3.1 합성 (Synthesis)
잘 정의된 알고리즘이 없는 상태에서 가능성 있는 해를 구하는 것 .
(the creation of potential solution in the absence of a well-defined algorithm) 형태 합성 (Type synthesis) 적절한 형태의 기구를 정의하는 것 .
(the definition of proper type of mechanism) Ex
.
컴퓨터 하드디스크잘 정의된 알고리즘에 기초한 구체적인 해를 구하는 것 .
(the generation of a particular solution based on the well-defined algorithm) 치수 합성 (Dimensional synthesis)
원하는 운동을 생성할 수 있게 링크의 길이를 정하는 것 .
(the determination of the proportion of the links to accomplish the desired motion)
• 정성적 합성 (Qualitative Synthesis)
• 정량적 합성 (Quantitative Synthesis)
무 유
• 기구의 종 류
• 링크 / 조 인트
• 기구의 종 류
• 링크/조 인트 반복
작업
3.2 함수 , 경로 및 운동 생성
(Function, Path and Motion Generation)
• 함수 생성
(Function generation)
기계식
전자식
서보 모터 함수
캠 단면
• 모터
• 센서
• 제어기 ( 마이크로프로세서)
+
Governor
3.2 함수 , 경로 및 운동 생성
(Function, Path and Motion Generation)
- 사례 : 에어백
16~24
km/h가속도
0.04 초
322 km/h
3.2 함수 , 경로 및 운동 생성
(Function, Path and Motion Generation)
• 경로 생성 (Path generation)
• 운동 생성 (Motion generation)
- 기구의 한 점이 평면 또는 공간에서 움직이는 궤적 (position)을 제어하는 것 . - 기구의 한 링크가 평면 또는 공간에서 움직이는 궤적 (position) 과 방향
(orientation) 을 제어하는 것
3.3 극한 조건 (Limiting Conditions)
• 토글 (Toggle)
- 두개 의 링크가 동일 직선 상에 놓이는 상태 . (
Co- linearity of two of the moving links)- 잠금 장치 (Safety-lock mechanism), 힘 증폭 장치 (Force amplification device)
• Tailgate link-
age
a
F
1P
a F1
P
힘 평형
a
sin 2
F
1P
If a 0, F
1
Toggle mechanism
3.3 극한 조건 (Limiting Conditions)
sin 2
1
F a P
• 펀치 (Punch)
8 8
입력
출력
3.3 극한 조건 (Limiting Conditions)
• 클램프 (Clamp)
8 8
입력
출력
8 8
3.3 극한 조건 (Limiting Conditions)
• 두 링크의 교차점이 이루는 예각 .
(Acute angle at the intersection of two links)m
힘 증폭
감소전달각
증가운동 성능 향상
- 힘 증폭 기구 - 급속 방출 기구 - 안전 잠금 기구
- 간헐 운동 기구 - 급속 귀환 기구 - 직선 운동 기구
Tin a
운동 전달
li
F
F
lo
Fcosa
Fcos(p/2-m)
Tout
T
in?
T
outi in (Fcos ) T a l
a
cos F T
i in
l
o out Fcos 2
T l
p -m
a
m
cos T sin
T i
ino
out l
l
증가 출력 상승
X
a 90
F
out
T
토글
8
0모든 기구에서 힘 또는 운동을 각각 증 가시킬 수는 있으나 힘과 운동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는 없다.
전달각 (Transmission angle)
m >30 P
in=T
inw
inP
out X
P
out=T
outw
out3.4 치수 합성 (Dimensional Synthesis)
Ex. 3-1 일정한 속도의 모터 입력에서 같은 시간 동안 앞뒤로 45 ° 의 로커 회 전을 제공하는 4 절 Grashof 크랭크 로커를 설계하십시오 .
B1
B2
O4
( 임의의 위치) O2
( 임의) A2
A1
링크 3 링크 2
링크 4 q4
1. 출력 링크 O4B 를 임의의 위치에 설정 . 2. B1B2의 연장선 상의 임의의 위치에
O2 설정.
3. 고정 링크 O2O4 및 링크 2,3,4 에 대 해 Grashof 조건 적용 .
4. 만약 비 -Grashof 기구이면 O2를 다 시 설정하고 2-3 을 반복 . Grashof 기구이면 전달각 등 운동 성능 검토 .
Ex. 3-2 C
1D
1에서 C
2D
2로 이동하는 4 절 링크를 설계하시오
O4 D1 C1
D2 C2
B1
B2
1. 링크 CD 의 합성 위치 C1D1 과 C2D2 를 작도 .
2. C1 에서 C2까지 , D1 에서 D2까지 선을 그리고 수직이등분 .
3. 연장선 상의 교점 O4( 회전극점 , ro- topole) 를 구함 .
4. O4로부터 임의의 반지름 상의 B1, B2를 설정 .
5. Example 3.1의 과정 반복 .
3.4 치수 합성 (Dimensional Synthesis)
3.4 치수 합성 (Dimensional Synthesis)
Ex. 3-5 C1D1 위치에서 C2D2 로 표시된 링크를 이동 한 다음 C3D3 위치로 이동하는 4 절 링크를 설계 하시오 . 이동 링크는 C 와 D 일때 고정 링 크의 위치를 찾으시오 .
C1 C2
C3 D1
D2
D3
O2
O4
링크 2
링크 3
링크 4
( 링크 1 = O2O4)
1. 링크 CD의 합성 위치 C1D1, C2D2및 C3D3 작도.
2. C1 에서 C2까지 , C2에서 C3까지 선 을 그리고 수직이등분 .
3. 연장선 상의 교점 O2를 구함 .
4. D1 에서 D2까지 , D2에서 D3 까지 선 을 그리고 수직이등분하여 교점 O4 구함 .
5. Grashof 조건 검사. 6. 운동 기능 검토 .
3.4 치수 합성 (Dimensional Synthesis)
Ex. 3-9 일정 속도의 모터 입력에서 1 : 1.25 의 시간 비율로 로커 회전 45 도 를 제공하는 4 절 Grashof 크랭크 로커를 설계하십시오 .
A2 A1 O2
a b
d
B1 B2
O4 q4
1. 원하는 각운동 q4가 되도록 O4B 를 설정 . 2. 임의의 각으로 B1 을 통과하는 선을 작도.
4. 크랭크와 커플러 링크의 길이 계산 . 커플러 + 크랭크 = O2B1 커플러 - 크랭크 = O2B2
5. Grashof 조건을 검토하고 비 -Grashof 기구이면 O2, O4를 조정 .
6. 운동 성능 검토 .
d180 - ab-180
3. 위 직선과 d의 각으로 B2 를 통과하는 선 을 작도하고 교점 O2를 구함 .
a
b
TR
Crank-Shaper Quick-Return Mechanism
3.6 커플러 곡선 (Coupler Curves )
커플러 곡선
• 커플러 링크가 그리는 곡선 .
• 다양한 형태의 곡선 가능 . m 2 3
n/2-1
링크 수
m차 곡선
3.6 커플러 곡선 (Coupler Curves )
Film-advance mechanism
고정
고정
Crank
Rocker Coupler
3.6 커플러 곡선
Automotive suspension
1
2
3 4
휠 중심의 커플러 커브는 필요한 작은
수직 변위에 대해 거의 직선입니다 . 이
는 차체의 모든 코너링 및 자세 변화에서
최상의 견인력을 위해 지면에 수직으로
타이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기 때
문이다
3.8 직선운동기구 (Straight-Line Mechanisms)
Watt straight-line linkage
L1=4 L2=2 L3=1 L4=2
AP=0.5
3.8 직선운동기구 (Straight-Line Mechanisms)
Roberts straight-line linkage
L1=2 L2=1 L3=1 L4=1
AP=1 BP=1
3.8 직선운동기구 (Straight-Line Mechanisms)
Chebyschev straight-line linkage
L1=2 L2=2.5 L3=1 L4=2.5
AP=0.5
3.8 직선운동기구 (Straight-Line Mechanisms)
L1= L2 L3= L4
L5= L6 = L7 = L8
1 3 2
4 5
6
7 8
Peaucellier exact straight-line linkage
Peaucellier was a French army captain and military engineer who first proposed his
“compas compose” or compound compass in 1864 but received no immediate recogni- tion. The British-American mathematician, James Sylvester, reported on it to the Atheneum Club in London in 1874. He ob- served that the perfect parallel motion of Peaucellier looks so simple and moves so easily that people who see it at work al- most universally express astonishment that it waited so long to be
discovered.”
A
C B
D
P E
DOF = 3(8-1)-2(10) = 1
F
AB x AP = (AF-BF) x (AF+BF)
= AF
2-BF
2= (AD
2-DF
2) – (BD
2-DF
2)
= AD
2-BD
2Constant ( K)
G Q
따라서 AG x AQ = K 가 되도록 Q 를 잡으면 P 점은 항상 PQ 를 지나는 직 선운동을 한다 .
AG x AQ = K
3.9 일시정지기구 (Dwell Mechanisms)
입력운동 ( = 0 ) 출력운동 ( = 0 )
3.9 일시정지기구 (Dwell Mechanisms)
입력운동 ( = 0 ) 출력운동 ( = 0 )
20 180 320 360
크랭크 각도 로커 각도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