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남북협력 추진에 따른 북한 인적자원개발 마스터플랜 연구 II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남북협력 추진에 따른 북한 인적자원개발 마스터플랜 연구 II"

Copied!
2
0
0

Teks penuh

(1)

이상준·이상돈·박천수·홍순직·고영주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제2장 체제전환국의 사회통합 사례 연구 제1절 베트남의 통일 이후 사회통합 사례 제2절 폴란드의 체제전환 이후 사회통합 사례 제3장 남북한 직업훈련 인력교류협력 기본계획

제1절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 추진 배경

- 이 연구는 남과 북한간의 인력교류와 협력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1차 연구는 총론적인 차원에서 남과 북간의 인력교류 협력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차 연구는 여성, 청소년, 훈련, 과학, 지자체, 그리고 법률 분야에서 남과 북의 교류 협력 방안에 대한 기본계획 및 제도 변화를 제언 함.

- 과거의 연구관점과는 달리 북한에 대한 일방적 지원과 교류 협력이 아니라 남과 북간 상호 인정하고 발전하는 관점에서 기본계획을 수립.

- 특히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교류 협력을 위한 상호 협정문을 제안함 ▸

·주제어: 기본계획, 남북간 인력교류협력,남북한 인적자원, 협정문

제2절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의 비전과 목표 제3절 인력교류협력 전제 및 기본 목표 제4절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추진과제 제4장 남북한 과학기술 인력교류협력 기본계획

제1절 과학기술 분야 인력교류협력 기본계획 추진 배경 제2절 비전과 전략

제3절 과학기술 분야 인력교류협력 추진 기본방향 제4절 과학기술 분야 인력교류 협력 추진과제(프로그램) 제5절 과학기술 분야 인력교류 추진 지원 및 개선방안

남북협력 추진에 따른 북한

인적자원개발 마스터플랜 연구 II :

직업훈련과 과학분야

(2)

Ⅰ. 배경 및 목적

Ⅱ. 주요 내용

□ 남과 북간의 교류협력은 국내 정치 문제, 북한의 호응, 국제적 제제라는 삼중고(trilemma of coperation and exchange)에 내몰려 있음.

□ 그러나 남과 북의 관계는 점진적인 교류협력 확대도 가능하지만 느닷없이 교류협력 확대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높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이러한 대비는 북한 붕괴와 같은 서든데쓰의 상황보다는 국제관계 역학 변화에 의한 급변에 의해 어느 날 우리들 앞에 인력교류협력이라는 과제가 나타났을 때 어떠한 원칙과 방향을 가지고 대응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

□ 본 연구는 남북간 인력교류 협력의 원칙과 방향을 총론적인 차원에서 접근한 1차 연구에 이어 금번 2차 연구는 분야별 교류 협력 방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자 함

2차 년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여성, 청소년, 직업훈련, 과학기술인력, 지자체, 법률 총 6개 분야의 인력교류 협력 기본계획을 제시개조식으로 작성

- 다만 법률은 기본계획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민간교류 협력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와 현재 법상 인력교류 협력의 방해가 되는 부분의 개선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함.

주요 내용

청소년은 과거 단순한 수학여행, 통일교육 등에서 벗어나 한반도 미래 주인으로써의 새로운 정체성 확립을 주제로 역사, 국제, 미래라는 관점에서 기본계획을 제시

여성은 과거 통일독일의 노동시장내 여성배제라는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여성인권, 사회(노동)참여 등 의 주제로 기본계획을 마련

직업훈련은 전통적인 정부개발원조(ODA) 관점이나 개발도상국 근로자 직업훈련관점이 아닌 개발협력 관점에서 남북한 인력의 직업훈련 기본계획

과학기술인력은 북한에서 관심이 크고 남북이 협력할 수 있는 첨단 과학기술 분야 중심으로 기본계획 수립

지자체별 교류협력의 표준 기본계획은 과거 남북교류 협력시 만연했던 무분별한 지자체간 경쟁을 통한 성과 부풀리기를 방지하고 지자체간 원칙적인 교류 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 각 분야별 기본계획은 아래와 같은 목차 순으로 작성하였음 1.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 추진 배경

2.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의 비전과 목표 3.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추진 기본 방향 4.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추진과제 5.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6. 분야별 인력교류 및 인적자원개발 추진체계 연관부처: 통일부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

Referensi

Dokumen terkait

연구개발의 목표 구분 내용 최종목표 한국해 수온과 염분 4차원 기후평균장 시범 구축 및 기술 개발 최종목표 설정근거 장기 해수 물성 변동성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 구축 현장관측 자료 품질검증 기법과 기후평균장 계산을 위한 추적 기술 확 보 필요 세부목표 한국해 해수물성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구축 품질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