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남극해 생태계의 신종 해양병원체 검출기술 발굴 및 검출기술 개발" 과제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되었습니다. 남해 생태계의 신종 해양병원체 탐지 및 탐지 기술 개발 새로운 해양 바이러스 병원체 탐색 및 탐지 기술 개발.
해양바이러스 병원체의 지역별, 계절별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신종 해양바이러스 병원체 유입 가능성 분석 해양 바이러스 특이적 반응 scFv 및 HRP 융합 발현 벡터 구축 및 발현 분석 b. 신흥 해양 세균성 병원체 탐색 및 탐지 기술 개발.
신종 해양바이러스 병원균 연구 및 검출 기술 개발 해양 병원성 바이러스 검출 키트는 내수면에서 일반 검출 키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양바이러스에 대한 병원균 검출법 확립 해양병원성세균 검출방법 확립 난류 수괴 특성 및 해양 세균성 병원균.
해양 병원성 바이러스의 탐지 기술 검토. 해양병원성세균 검출기술 개발 해양 바이러스 병원체 검출 방법 개발.
해양병원성세균 검출기술 확립 기생 원생동물 병원체 검출 기술 개발.
대만에서 한국으로 들어올 수 있는 해양 바이러스. 3월 대만에서 한국으로 들어올 수 있는 해양 바이러스. 남태평양에서 발견되는 해양 바이러스는 가장 많은 박테리아 숙주 종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주해역, 통영해역, 대만해역의 계절병원성 해양세균 분포. 특히 대만 해역에서는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방선균이 출현했다. 반대로 Peudoalteromonadeceae는 대만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풍부합니다.
3월 대만, 통영, 제주해역의 해양병원성세균 분석. 9월 대만, 6월 통영, 제주 해양병원성세균 분석. 산호의 병원성 박테리아 검출을 위한 PCR 프라이머 목록.
한국 해면동물의 병원균 검출을 위한 PCR. 총 2가지 유형의 스폰지에서 병원성 박테리아가 발견되었습니다. 국산 해조류의 표적 병원체 검출.
표적 유기체의 질병 유발 박테리아 및 질병 증상. 키트를 사용하여 산호에서 세균성 병원체를 탐지합니다. 키트를 사용하여 스폰지에서 병원성 박테리아를 찾습니다.
준비된 병원성 세균 검색 키트를 이용하여 7종의 해면동물에 대한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해면체내 병원성세균 스크리닝키트 사용 해조류에서 병원성 세균을 찾기 위한 키트 사용.
결론적으로 엠.
2012) Seasonality and monthly dynamics of marine myovirus communities. ed.), The biology and ecology of tintinnid ciliates. Egan et al., (2013) Bacterial pathogens, virulence mechanism and host defense in marine macroalgae. 2008) Establishment of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LAMP) for the detection of Vibrio nigripulchritudo in shrimp. 2013). Fu Y, Keats KF, Rivkin RB, Lang AS. 2013) Water mass and depth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Rhodobacterales in an Arctic marine system.
Giacopello C, Foti M, Bottari T, Fisichella V, Barbera G. 2013) Detection of viral encephalopathy and retinopathy virus (VERV) in wild marine fish species in the South Tyrrhenian Sea (Central Mediterranean). Greenblatt RJ, Quackenbush SL, Casey RN, Rovnak J, Balazs GH, Work TM, Casey JW, Sutton CA. 2005) Genomic variation of the sea turtle fibropapilloma-associated herpesvirus in seven geographic areas and three host species. Harvell CD, Mitchell CE, Ward JR, Altizer S, Dobson AP, Ostfeld RS. 2002) Climate warming and disease risks for terrestrial and marine biota. 2008).
The genome sequence of the fish pathogen Aliivibrio salmonicida strain LFI1238 shows extensive evidence of gene decay. Tintinnid species as biological indicators for monitoring warm oceanic water entry into Korean coastal waters. Ng TF, Wheeler E, Greig D, Waltzek TB, Gulland F, Breitbart M. 2011) Metagenomic identification of a novel anellovirus in harbor seal (Phoca vitulina richardsii) lung samples and its detection in multi-year samples.
Pradeep B, Rai P, Mohan SA, Shekhar MS, Karunasagar I. 2012) Biology, host range, pathogenesis and diagnosis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In: Fish Diseases and Disorders, Volume 3: Viral,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s, Woo P.T.K. 2002) Microbial diseases of corals and global warming. Saleh, M, Soliman, H and El-Matbouli, M. 2008)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 a new technology for detection of Yersinia ruckeri causing enteric red mouth disease in fish.
Tan J, Lancaster M, Hyatt A, Van Driel R, Wong F, Warner S. 2008) Purification of a herpes-like virus from abalone (Haliotis spp.) with ganglioneuritis and detection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ole of the parasite Amoebophrya in the flowering termination of Alexandrium fundyense in a small coastal strip. The aerobiological pathway of a fish pathogen: survival and spread of Aeromonas salmonicida in aerosols and its implications for fish health management.
박미례, 이건섭, 황진익, 이택균 한국해양과학기술. En de toekomstige 김영옥 대한원생생물학회 Korea. ko DNA-barcode 정재호, 박경민, 김영옥, 민기식 한국원생생물학회.
황진익, 박미례, 유지영, RiCui, BalveenKaur, RamiI, Aqeilan, 이택균,. Tegnologieë vir mariene hospitale 이택균, 서승석 Marine Bio Society International. 서승석 박미례, 황진익, 이택균 한국추크코리아.
해양 섬모 세포에 기생하는 Eudubosquella(Dinoflagellata: Syndinea)의 두 국내 개체군에 대한 보고서. 정재호, 최정민, 김영옥, 한국원생생물학회. 최정민, 정재호, 김영옥 한국원생생물학회.
2014.10.22 감자의 분리 및 특성 분석 조상호, 길의준, 조승찬, 한국식물병리학회. 산호와 미역 그리고 해면 김정희 우우옥 한국해양학회. 산호병원체 우원욱, 이택균 해외미생물학회.
황진익, 서승석, 박미례·이택견, 27. 분자세포생물학. 박미례, 서승석, 황진익, 이택견, 27. 분자세포생물학. 한국, afsløret af metagenomics 황진익, 서승석, 박미례, 이택견, 27기 분자세포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