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독소 유발 패혈증 모델에서 실리마린의 치료 및 예방 효과. 대조군은 실리마린 대신 세포배양배지(DMEM)를 사용하였다. 동물의 기관지폐포세척액 상층액에서 측정한 IL-1β의 수치는 LPS군에 비해 실리마린 전처리 실험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서 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패혈증 환자의 과도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됩니다.14 그러나 스테로이드 사용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습니다. Jeong 등의 연구에서는 간독성 물질인 사염화탄소(CCL4)에 의해 유발된 간경변증 동물모델에서 실리마린 투여가 호중구 감소를 통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26 Juma'a의 연구에서는 외. . al., egg albumin (Egg)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알부민으로 유발된 실험동물의 발부종 크기가 호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27 본 연구를 통해 실리마린이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정확한 항염증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30.
- 실험 대상과 실험 방법 가. 대식세포 실험
- 검체의 채취 및 처치
- 측정 변수들
- Western blot 분석
- 조직 절편 제작 및 염색
- 형태 및 조직학적 관찰
- 자료 처리 및 분석
- 대식세포 실험
- 동물 실험
기관지폐포세척액의 호중구 수를 계산하기 위해 Everhart의 방법을 수정하여 측정했습니다. 단백질 농도는 Bio-rad Protein 분석(Bradford, Bio-rad)을 사용하여 정량화되었습니다. 블로킹 용액(5% 탈지유 또는 BSA 용액)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Tween-20이 함유된 PBS-T로 세척하였다.
연구 결과
투여 용량이 증가하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했습니다(그림 4A). 투여 용량이 증가하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했습니다(그림 4B). 투여 용량이 증가하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했습니다(그림 4C).
LPS군과 비교하여 실리마린 치료 후 IL-1β, IL-6 및 IL-10이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저용량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투여 용량이 증가하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했습니다(그림 5B).
Compared with the LPS group, PGE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ilymarin treatment, and there was a dose-dependent decrease between silymarin doses.
실리마린에 의한 대식세포 내 단백질 발현 변화
Analysis of IL-1β before and after Silymarin treatment in LPS-induced injury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alysis of COX-2 before and after Silymarin treatment in LPS-induced injury using Western blot analysis. Cytokine level IL-1β, IL-6, IL-10 in BAL fluid in pre-treatment with silymarin (A) Level of IL-1β in pre-treatment with Silymarin (B) Level of IL-6 in pre-treatment with Silymarin (C) IL-10 level in pre-treatment with Silymarin.
Compared with the LPS group, IL-1β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ilymarin pretreatment, and IL-6 was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LPS group, PGE2 increased and LTB4 decreased in silymarin pretreatment, but neither was significant. Total number of cells and neutrophils in BAL fluid with pretreatment with silymarin (A) Total cell count (x104/ml) with pretreatment with silymarin (B) Neutrophil count (x104/ml) with pretreatment with silymarin.
LPS군에 비해 실리마린 전처리군에서 총 세포수와 호중구 수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폐포 공간 내에서 출혈이 관찰되었습니다(그림 11B). 실리마린을 사용한 전처리 실험에서는 용량의존적으로 폐포공간이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었으며, 용량이 저용량에서 고용량으로 증가함에 따라 폐포공간으로의 염증세포 침윤 및 혈관주위 부종이 감소하였고 출혈이나 부종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 폐포 공간에서(그림 11C, D, E).
Compared to the LPS group, the inflammatory scor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silymarin pretreatment.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실리마린의 후처치 실험
Cytokine IL-1β, IL-6, IL-10 level in BAL fluid at silymarin post-treatment (A) IL-1β level in post-treatment with Silymarin (B) IL-6 level in post-treatment with Silymarin (C) IL-10 level in post-treatment with Silymarin. Compared with the LPS group, IL-1β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ost-treatment with silymarin, and IL-6 de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was a dose-dependent decrease between silymarin doses. Compared with the LPS group, PGE2 increased and LTB4 decreased in the post-treatment with silymarin, but neither was significant.
실리마린 처리 후 BAL 액의 총 세포 수 및 호중구 수(A) 실리마린 처리 후 총 세포 수(x104/ml)(B) 실리마린 처리 후 호중구 수(x104/ml). LPS군과 비교하여 실리마린 투여 후 총 세포수와 호중구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처리 실험과 마찬가지로 정상 대조군의 폐 조직은 폐포 중격, 폐포 내강, 모세혈관 등의 정상적인 구조를 보인 반면(도 16A), LPS 군에서는 중증 염증 세포가 폐포 공간으로 이동하여 간질성 침윤을 보였으며, 혈관주위 커핑 및 폐포 중격 부종이 분명했습니다(그림 16B).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LPS 주사 후 실리마린을 투여한 치료 후 실험에서는 염증세포가 폐포강으로 침윤된 것이 관찰되었으나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뚜렷하지 않았다(도 16C, D, E). LPS군에서는 폐포공간과 간질에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실리마린 후처리군에서는 염증세포의 폐포 내 침윤이 관찰되었으나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뚜렷하지 않았다.
Compared to the LPS group, the inflammation score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silymarin treatment.
고 찰
그러나 대식세포에 실리마린을 투여한 실험 결과, LPS 단독 투여군에 비해 IL-10의 측정값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실험 결과가 부족하여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실리마린을 사이토카인 IL-10과 함께 투여한 경우, LPS 단독 투여군에 비해 대식세포 실험에서는 감소하였고, 마우스 실험에서는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패혈증 모델에서 실리마린 투여의 효과를 조직학적 변화를 통해 조사했습니다.
LPS 투여 48시간 후 얻은 조직에서는 실리마린 처리 전, 후 실험 모두에서 LPS 단독 투여군에 비해 호중구 침윤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폐 손상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리마린을 사용한 치료 전후 시험 모두 LPS 단독 투여군에 비해 폐 손상 점수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패혈증 쥐 모델에서 실리마린 전처리는 후처리보다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총 세포 수가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리마린 투여량에 따른 결과는 투여시와 치료시, 치료 전후 모두에서 나타났다. 마우스 실험에서도 실리마린의 투여량을 나누어 기존 연구 중 가장 높은 투여량을 나타냈다. 실리마린 투여 시간에 따라 구분된 치료 전 및 치료 후 실험에서는 용량 의존성이 없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마린을 대식세포와 동물에 투여하였으며, 투여 시기는 치료 전과 치료 후로 하였다.
결 론
참고 문헌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ppropriate empiric antibiotic treatment for sepsis. Treatment of gram-negative bacteremia and septic shock with human monoclonal antibody HA-1A against endotoxin. Silymarin attenuates paraquat-induced lung injury via Nrf2-mediated pathway in vivo and in vitro.
High bronchoalveolar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 and its inhibitors, interleukin-1, interferon, and elastase, in patients with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fter trauma, shock, or sepsis. Time course of cytokine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by macrophages isolated after heat injury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reatment with a prostaglandin E2 receptor antagonist (SC-19220) restores the balance of bone marrow myelopoiesis after burn sepsis.
IL-12-deficient dendritic cells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prostaglandin E2 induce type 2 cytokine production in mature human naïve T helper cells. Dendritic cells, derived from peripheral blood precursors in the presence of PGE2, induce Th2 responses. Mechanisms of increased macrophage-mediate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and its suppressive role in Th1 activation in Th2-dominant BALB/c mice.
Intratracheal aerosolization of endotoxin (LPS) in the rat: a comprehensive animal model to study adult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bstract
In animal experiments, the cytokine value was decreas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silymarin compared to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LP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