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 . 네트워크의 기초 (3)
-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컴퓨터 네트워크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이번 시간의 학습 목표
• 식별자 ( 또는 구분자 Identifier)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이름
• 주소 정보의 관리 개요
• MAC 주소 , 포트번호 , 전자우편 주소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2
식별자
• 식별자(identifier)의 4가지 특징
•
유일성•
서로 다른 시스템은 같은 식별자를 가질 수 없음•
확장성•
시스템의 최대 수용 규모의 예측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최대 한 계 설정•
편리성•
내부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함•
숫자로 구성된 주소와 문자로 구성된 이름 사이의 매핑(mapping)
필요
•
정보의 함축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주소와 이름
• 주소(Address)
•
기계가 처리하기 쉬운 구조•
식별자의 일종• 이름 (Name)
•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인간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로 구성•
일반적인 이름은 식별자가 아님• Why ?
• 동명이인
•
호스트 이름은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4
IP 주소 (1)
• IPv4 예
• 32 비트 크기의 주소 체계
• IP 주소의 표현
• 4개의 십진수와 .(dot)으로 표현
•
예: 211.223.201.30• IPv6 에서는 128 비트 주소 체계로 확장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IP 주소 (2)
• IPv4 주소 클래스
• Reserved address
• 0.0.0.0 : this host
• x.y.z.255 : x.y.z 서브망의 모든 호스트
• 127.0.0.1 : loopback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6
IP 주소 (3)
• 라우터에서의 경로 선택
• IP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 선택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호스트 이름 (1)
• 인간이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 대신 호스트 이름을 주로
이용
• 호스트 이름
•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dot)로 구분된 레이블(label)들로 구 성•
레이블은 1에서 63개까지 영문자와 숫자, 하이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시작은 반드시 영문자이어야 함• 호스트 이름은 대소문자 구분이 없음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8
호스트 이름 (2)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변환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호스트 이름 (3)
• 일반적인 TLD(top-level domain)
• 3글자 혹은 그 이상의 길이를 갖는 일반적인 도메인
(https://www.icann.org/ 에서 확인 가능)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10
name meaning name meaning
aero The air transport industry i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iz Business use jobs Employment-related sites
cat The Catalan culture mil The U.S. military
com Commercial organizations mobi Mobile devices site
coop Cooperatives museum Museums
edu Educational organizations name Family and individual sites gov U.S. governmental agencies net Network infrastructures
info Informational sites org Non-commercial organizations
호스트 이름 (4)
• 일반적인 국가 도메인 호스트 이름 구성
• <호스트>.<단체>.<단체 종류>.<국가 도메인>
•
예: zebra.korea.co.kr•
국가 도메인• ISO 3166에서 정의한 2글자 국가 코드 이용
•
예 : 아랍 에미레이트 : ae•
예 : 짐바브웨 : zw•
두 번째 단체종류에 일반적인TLD
에 대응하는 종류를 가지고 있음•
예: ac.kr (edu)•
예: co.kr (com)• “. 한국 ” 과 같은 자국어로 구성된 호스트 이름도 가능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11
호스트 이름 (5)
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12
주소 정보의 관리 (1)
• 도메인 이름 (domain name)
•
인간이 지칭하는 호스트 이름•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
도메인 이름의 마지막이 .(dot)로 끝나는 경우 이를 (Root까지 명확히 드러난) 완전한 도메인 이름이라 지칭•
예: lily라고 지칭하는 경우 lily 뒤에 mmu.ac.kr.을 붙여 FQDN을 만듬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주소 정보의 관리 (2)
• 호스트 파일
• 호스트 이름과
주소를 관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파일에 해당 정보 보관
• 초창기에 이용했으나 현재는 일부 흔적만 남아있음
•
예: /etc/hosts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14
주소 정보의 관리 (3)
• DNS(Domain Name System)
• DNS를 Domain Name
Service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음• IETF RFC 1034, RFC 1035에
정의•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호스트 이름을 입력하면DNS 서비스가 요청되어
일련의 과정 진행•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네임서버(name server), 리졸버(resolver),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
User Program
Full Resolver
Name Server
Foreign Name Server Database
Cache
Ca hc e
User query
User response
Query
Response
Query Response
그외 주소
•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
계층 2 (Data link layer)에서 사용하며, 보통 LAN 카드(H/W)에 내장– H/W 주소로 지칭하기도 함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 필요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포트(port) 번호•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며 서비스(프로세스) 구분• TCP, UDP가 별도로 port 번호를 관리
• Well-known port : 표준에서 정의한 포트 번호
• UNIX의 경우 /etc/services 에서 확인 가능
•
메일 주소•
일반적으로 호스트 이름 앞에 사용자 이름과 @을 붙여 사용•
예: [email protected]목포해양대해양컴퓨터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