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장도습지의 관속식물상
이 호*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The Vascular Plant in Jangdo Wetlan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Ho Lee*
Migratory Birds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hinan-gun, Jeollanam-do 590-917, Korea
요 약 :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소재한 장도습지에 대한 식물상을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총 4회 실시 하였다. 본 조사 결과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83과 200속 236종 1아종 36변종 1품종, 총 274분류군으로, 93분류 군이새롭게나타났다. 멸종위기식물은관찰되지않았으며, 한국특산식물은흑산도비비추, 애기닥나무, 자주꿩의다리, 흑산가시, 민땅비싸리, 말오줌때, 영주치자, 홍도서덜취 등 8 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Ⅳ등급 5분류 군, Ⅲ등급 20분류군, Ⅱ등급 6분류군, Ⅰ등급 35분류군으로 총 6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전체귀화식물종 321종에대한도시화지수(U.I) 및귀화율은 3.4%와 4.0%이다.
주요어 :관속식물상, 특산식물, 귀화식물
Abstract : The flora of Jangdo wetland was investigated 4 times from May 2014 to May 2015. The vascular plants in Jangdo wetland were recorded as 274 taxa which is 83 families, 200 genera, 236 species 1subspecies, 36 varieties and 1 forms. 93 taxa were newly found in this region. Korean endemic plants of this area were 8 taxa.; Hosta yingeri, 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Thalictrum uchiyamae, Rosa kokusanensis, Indigofera koreana, Euscaphis japonica, Gardneria insularis, Saussurea polylepis.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66 taxa which consist of five taxa of grade Ⅳ, 20 taxa of grade Ⅲ, 6 taxa of grade Ⅱ, 35 taxa of grade Ⅰ. The naturalized plants index and the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to be 4.0% and 3.4% respectively.
Key words : Vascular plant, Endemic plant, Naturalized plant
서 론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안에는 2,767 개의 무인도서와 470개의 유인도서가산재되어 총 3,237개 의 유무인 도서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 가운데 전남지방에만 1,964개(유인도 276개, 무인도 1,688) 가 분포하여 우리나라 전체 도서의 60.7%를 차지하고 있다.
본 조사지역인 장도습지 일원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포함 되고,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 비리(대장도)에 소재하며, 국립공원특별보호구로 지정·관리되고 있고 2004 년 8월 31일 습지보호지역으로환경부에서지정·관리하고
있다. 국내에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19개 습지 가운데 대암 산용늪, 우포늪에 이어 세 번째로 2005년 3월 30일에 등록 된 장도습지는 면적이 약 90,414 m2이며, 국립공원특별보호
구는총면적 475,970 m2로 습지지역을포함하고 있다. 특히,
철새연구센터에서 2015년 5월에조류모니터링을실시한결 과 29과 59종이조사되어 작은면적임에도 많은종이관찰 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Ⅰ급에 해당하는 노랑부리백로, 매가 관찰되고, Ⅱ급으로는 붉은배새매, 흑비 둘기, 팔색조, 긴꼬리딱새, 섬개개비, 검은머리촉새 등 총 8 종이 관찰되는 등 조류서식지로서도 매우 중요한 지역임을 알 수있다. 장도습지에대한관속식물상의연구는 임과권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004, 2007)이 2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64과 151속 177 종 23변종 1품종의 총 201분류군을 보고하였으며, 이후나 와 함(2013)이 74과 146속 160종 5아종 17변종 1품종의
183종으로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도서내에 위치한 산지습지의 보전과, 조류 서 식환경으로서의 식물분포의 특성뿐만 아니라, 보호지역 관 리를위한기초자료로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2014년 10월 부터 11월까지환경부에서습지내에함양트렌치, 차수벽, 집 수정 등을 설치하는 습지복원공사를 시행한 당해년도의 조 사 결과여서 이후 변화상을 관찰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의미 가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 일정
2014년 봄철(5.26~27), 여름철(6.26~27), 가을철(10.24) 3회 조사와 2015년 봄철(5.21)에 1회 조사를 실시하여 총 4회 에 걸쳐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사경로는 Table 1, Figure 1과 같다.
2. 연구 방법
장도습지 및 습지경계지역, 탐방로 주변부에 분포하는 관
속식물을 대상으로 현장 동정이 어려운경우 채집및 사진 촬영을 실시 하였고, 식물동정에는 한국식물도감(정태현
195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이우철 1996a), 원색대한식물
도감(이창복 2003), 한국양치식물도감(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식물도해도감2 양치식물(국립수목원 2008), 한국
의 귀화식물(박수현 2009), 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국립수
목원 2015), 한국산 사초아과 식물(오용자 2006), 한국산사
초과식물(오용자 2000), 증보 일본벼과식물도감(長田武正
1989), 수생관속식물(최홍근 2000), 잡초(김동성 2009), 한국
의 난과 식물도감(이남숙 2011), 한국동식물도감(교육과학기 술부 2011), 한반도제비꽃(유기억 2013) 등을 참고하였다.
식물목록의 정리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의 순서를 따랐으며, 특산식물은 한반도 고유종 총람
(환경부 2011)을 참고하였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환경부 2012)을 따라 정리하였다. 귀 화식물은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 =조사된 귀화식물 종수/조사된 전체식물종수 × 100)과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종수/남한내 귀화식물 321종 × 100)
를 산출하였다. 식물의생활형은 우리나라습지생태계관속 식물의유형분류(정연숙등 2012)를 참고하였다(Tables 2, 3, 8, 9).
Figure 1. Map of investigation route (map from Daum).
Table 1.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survey area.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May 26, 2014 Jangdo Wetland Center → Summit → ChakJiGimi → Jangdo Wetland Center 2 June 26, 2014 Jangdo Wetland Center → Summit → ChakJiGimi → Jangdo Wetland Center 3 Oct. 24, 2014 Jangdo Wetland Center → Summit → ChakJiGimi → Jangdo Wetland Center 4 May 21, 2015 Jangdo Wetland Center → Summit → ChakJiGimi → Jangdo Wetland Center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의 종구성
조사지역에자생하는 관속식물은총 83과 200속 236종 1 아종 36변종 1품종, 총 274분류군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가운데 자생식물과 귀화식물로 기록된 4,493분류군(산림청 2015)의 6.05%에 해당한다. 임 과 권(2004, 2007)의 201분류군과 나와 함(2013)의 183분류 군으로조사된결과를이번 조사결과와종합해서비교해본 결과 93분류군이새롭게확인되었다. 새롭게 확인된분류군 에는 영주치자(Gardneria insularis),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자주꿩의다리(Thalictrum uchiyamae), 홍도서덜취(Saussurea polylepis) 등 4분류군의 특산식물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Ⅳ등급인 개톱날고사리(Athyrium
sheareri)와 수정목(Damnacanthus major) 2종이 추가로 조사 되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의차이는조사시기와경로, 조 사 횟수등이원인인것으로보인다.
2. 특산식물
특산식물은 ‘한반도의 자연환경에서 적응 및 진화해 온 식물로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독 특한 식물(Kim, 2004)’로 본 조사에서는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 흑산가시(Rosa kokusanensis), 영주치자(Gardneria insularis) 등 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5). 특히, 본 조사에서 홍도서덜취(Saussurea polylepis),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e), 영주치자(Gardneria insularis), 애기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등 특산식물 4분 류군이 추가로 확인되었는데, 흑산도비비추, 흑산가시, 민땅 Table 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by frequency of occurrence in wetlands.
Frequency of occurrence Abbreviation Description
Obligate wetland plant OBW Occurs almost always in wetlands under natural conditions (estimated > 98% Probability in wetlands)
Facultative wetland plant FACW Usually occurs in wetlands but occasionally found in non-wetlands (estimated 71~98% probability in wetlands)
Facultative plant FAC Equally likely to occur in wetlands or non-wetlands (estimated 31~70% probability)
Facultative upland plant FACU Occasionally occurs in wetlands, but usually occrus in non-wetlands (estimated 3~30% probability in wetlands)
Obligate upland plant OBU Almost never occurs in wetlands under natural conditions (estimated < 3%probability in wetlands)
Table 3. Categorizing wetland plants by degree of wetness and morpholgy(정연숙 등 2012).
Degree of wetness Abbreviation Description
Hygrophyte Hygro
A plant in saturated soil conditions such as watersides and marshes, which are temporarily inundated or saturated by surface or groundwater at a frequency and duration sufficient to support but does not live in an aquatic environment
Aquatic macrophyte
Emergent plant Emer An aquatic plant rooted in water, but leaves and stems extend out of water, They grow in wetlands and along the shore, where water is above the soil surface most of time
Floating-leaf
plant Fl-lf An aquatic plant that floats on the bottom of a water body, but their leaves and flowers float on the water surface
Floating plant Float An aquatic plant that floats on top of the water surface with a trailing root system below.
Sometimes the roots are poorly developed Submerged plant Sub
An aquatic plant whose stems and leaves grow entirely underwater, although some may also have floating leaves. Flowers and seeds on short stems that extend above the water may also be present
Table 4. The abridged list of the plants in Jangdo wetland.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10 16 23 0 1 0 24
Gymnospermae 1 1 1 0 0 0 1
Angiospermae 72 183 211 1 35 1 248
Dicotyledons 64 140 157 1 28 0 186
Monocotyledons 8 43 54 0 7 1 62
Total 83 200 236 1 36 1 274
비싸리(Indigofera koreana), 애기닥나무는 장도일대에 전체 적으로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홍도서덜취는 홍도, 흑산도, 장 도에모두 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 장도에서는습지 중심부 소로주변에간헐적으로나타났고, 영주치자, 말오줌 때(Gardneria insularis), 자주꿩의다리는 짝지기미로 이어진 숲속 소로 주변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장도습지 일대에서는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발 견되지 않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Ⅳ등급은 흑산도비 비추(Hosta yingeri), 개톱날고사리(Athyrium sheareri), 수정
목(Damnacanthus major) 등 5분류군, Ⅲ등급종인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상동나무(Sageretia theezans), 털머 위(Farfugium japonicum) 등 20분류군, Ⅱ등급은 방기(Sin- omenium acutum), 다정큼나무(Raphiolepis umbellata), 실거 리나무(Caesalpinia japonica), 좀딱취(Ainsliaea apiculata) 등 6분류군, Ⅰ등급종은 풀고사리(Gleichenia japonica), 홍지네 고사리(Dryopteris erythrosora), 조릿대풀(Lophatherum gracile) 등 35분류군이 조사되어 총 66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6).
4. 귀화식물
귀화식물은 ‘외국의자생지로부터인간의 매개에의해의 Table 5.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Jangdo wetland.
Family name/Korean name Scientific name/Korean name
Liliaceae 백합과 흑산도비비추 Hosta yingeri S.B. Jones
Moraceae 뽕나무과 애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Uyeki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e Nakai
Rosaceae 장미과 흑산가시 Rosa kokusanensis Nakai
Leguminosae 콩과 민땅비싸리 Indigofera koreana Ohwi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Loganiaceae 마전과 영주치자 Gardneria insularis Nakai
Compositae 국화과 홍도서덜취 Saussurea polylepis Nakai
Table 6. List of 4th to 3th grade taxa by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assig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Family name/Korean name Scientific name/Korean name Grade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Athyrium sheareri (Baker) Ching 개톱날고사리 Ⅳ
Liliaceae 백합과 Hosta yingeri S.B. Jones 흑산도비비추 Ⅳ
Calanthe striata for. Sieboldii Decne.exRegel 금새우난초 Ⅳ
Rubiaceae 꼭두서니과 Damnacanthus major S. et Z. 수정목 Ⅳ
Compositae 국화과 Ligularia stenocephala (MAX.) MATSUMURA 곤달비 Ⅳ
Selaginellaceae 부처손과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부처손 Ⅲ
Dennstaedtiaceae 잔고사리과 Hypolepis punctata METT. 점고사리 Ⅲ
Davalliaceae 넉줄고사리과 Thelypteris angustifrons (Miq.) Ching 탐라사다리고사리 Ⅲ
Gramineae 벼과 Phaenosperma globosa MUNRO 산기장 Ⅲ
Liliaceae 백합과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천문동 Ⅲ
Moraceae 뽕나무과 Ficus nipponica FR. et SAV. 모람 Ⅲ
Lauraceae 녹나무과 Cinnamomum japonicum SIEB. 생달나무 Ⅲ
Lozoste lancifolia (S. et Z.) BL. 육박나무 Ⅲ
Machilus japonica S. et Z. 센달나무 Ⅲ
Neolitsea aciculata (BL.) KOIDZ. 새덕이 Ⅲ
Rutaceae 운향과 Zanthoxylum ailanthoides S. et Z. 머귀나무 Ⅲ
Rhamnacea 갈매나무과 Sageretia theezans BRONGN. 상동나무 Ⅲ
Araliaceae 두릅나무과 Dendropanax morbiferus H.Lev. 황칠나무 Ⅲ
Umbelliferae 산형과 Sanicula tuberculata MAX. 애기참반디 Ⅲ
Coraceae 층층나무과 Aucuba japonica THUNB. 식나무 Ⅲ
Ericaceae 진달래과 Vaccinium bracteatum THUNB. 모새나무 Ⅲ
Myrsinaceae 자금우과 Ardisia crenata SIMS. 백량금 Ⅲ
Loganiaceae 마전과 Gardneria insularis NAKAI 영주치자 Ⅲ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mollis S. et Z. 새비나무 Ⅲ
Compositae 국화과 Farfugium japonicum KITAMURA 털머위 Ⅲ
도적 또는무의도적으로 우리나라에옮겨져여러세대를반
복하면서야생화내지는 토착화된식물(Park 2009)’로본조
사에서는 5과 8속 11종으로 총 11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Table 7), 전체 조사된 식물 종수에 대한 귀화식물 비율인
귀화율(NI)은 4.0%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UI)는 3.4%로 분석되었다. 이 가운데 국화과 식물이 5분류군, 45%로 가장 높은 비율로나타났으며, 본 조사지역에서는인근흑산도에 서발견되고있는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미국 쑥부쟁이(Aster pilosus) 등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5. 수생 및 습생식물
습지출현빈도에 의한 관속식물의 유형분류(정현숙 등
2012)를기준으로장도습지에서조사된 274분류군을습지출
현빈도에 따라 유형을 분류(Table 8)하면, 자연상태에서 거 의 습지에만 출현하는 절대습지식물(OBW)은 개쉽싸리 (Lycopus ramosissimus), 기장대풀(Isachne globosa), 고양이 수염(Rhynchospora chinensis), 미나리(Oenanthe javanica), 송이고랭이(Scirpus triangulatus) 등 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 습지에서 출현하나 낮은 빈도로육상에서도 출현하
는식물(습지출현빈도 71~98% 추정)인임의습지식물(FACW)
은 날개골풀(Juncus alatus), 골풀(Juncus effuusus var. decipiens),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쇠돌피(Polypogon fugax), 왕 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가는오이풀(Sanguisorba tenui- folia), 낚시제비꽃(Viola grypoceras), 버드나무(Salix koreensis) 등 10종으로 조사되었다. 습지나 육상에서 비슷한 빈도로 출현하는 식물(습지출현빈도 31~70% 추정)인 양생식물 (FAC)은 갯사상자(Selinum japonicum), 소리쟁이(Rumex crispus),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조아재비(Setaria chondrachne), 쇠별꽃(Stellaria aquatica), 흰꽃여뀌(Persicaria japonica) 등 6종, 대부분 육상에서 출현하나 습지에서도 낮은 빈도로 출현하는 식물(습지출현빈도 3~30% 추정)인 임의육상식물 (FACU)은 고비(Osmunda japonica),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골등골나물(Eupatorium lindleyanum), 며느리밑씻
개(Persicaria senticosa), 돌소리쟁이(Rumex obtusifolius), 고 추나물(Hypericum erectum), 젓가락나물(Ranunculus chinensis),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줄사초(Carex lenta), 방동 사니대가리(Cyperus sanguinolentus), 큰피막이(Hydrocotyle ramiflora), 쇠뜨기(Equisetum arvense), 좁쌀냉이(Cardamine fallax), 실포아풀(Poa acroleuca) 등 14종, 자연상태에서 거 의 항상육상에서만출현하고습지에서는 거의출현하지않 는식물(습지출현빈도 3% 이하 추정)인절대육상식물(OBU) 은 배풍등(Solanum lyratum), 제비쑥(Artemisia japonica), 까 실쑥부쟁이(Aster ageratoides) 등 238종, 재배종은 머위 (Petasites japonicus), 모시풀(Boehmeria nivea), 사방오리(Alnus firma) 3종으로 나타났다(Table 8). 절대습지식물(OBW)과 임의습지식물(FACW)은 주로 장도습지내 저층수원에서 물 이 상시흐르는지역에서만나타나며, 습지식물의분류군의 수가 적게나타나는 것은상시 안정된 수위를가진 지역이 부족하고, 수심이 매우 낮게 유지되어 습지식물의 분포 범 위가 작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절대습지식물(OBW)과 임의습지식물(FACW)만을 대상으 로 생육지의 습한정도에 따라 습생 및 수생식물로 구분한 결과(Table 9) 15분류군으로정리가되었다. 수생식물(Aquatic
macrophyte) 가운데지상부의 대부분이 공기중에노출되고
뿌리는 저토에 고정되며연중대부분의 시기에수위가지표 보다 높은 생육지에 적응한 식물인 정수식물(Emergent plant) 은 송이고랭이(Scirpus triangulatus), 미나리(Oenanthe javanica) 등 2종만 나타났으며, 부엽식물(Floating-leaf plant), 부유식 물(Floating plant), 침수식물(Submerged plant)은 없었고, 습 Table 7.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Jangdo wetland.
Family name/Korean name Scientific name/Korean name
Compositae 국화과 Bidens pilosa var.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Sonch usasper(L.) HILL 큰방가지똥
Polygonaceae 마디풀과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Gramineae 벼과 Avena fatua L. 메귀리
Bromus unioloides H.B.K. 큰이삭풀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Table 8.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by frequency of occurrence in Jangdo wetland.
Frequency of occurrence No. of taxa Ratio(%)
Obligate wetland plant (OBW) 5 1.8
Facultative wetland plant (FACW) 10 3.7
Facultative plant (FAC) 6 2.2
Facultative upland plant (FACU) 14 5.1 Obligate upland plant (OBU) 238 87.2
Total 274 100
생식물(Hydrophyte)은 개쉽싸리(Lycopus ramosissimus), 기장 대풀(Isachne globosa), 고양이수염(Rhynchospora chinensis), 날개골풀(Juncus alatus), 골풀(Juncus effuusus var. decipiens),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쇠돌피(Polypogon fugax), 왕 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가는오이풀(Sanguisorba tenui- folia), 낚시제비꽃(Viola grypoceras), 버드나무(Salix koreensis)
등 13종으로 나타났다(Table 9). 조사된 274분류군 가운데
절대습지식물(OBW)과 임의습지식물(FACW)은 15분류군으 로 5.5%로 나타났다.
고 찰
장도습지는 주민들에 따르면 소나 염소를 방목하고 밭, 경작지 등으로 이용해 오던 지역으로, 현재는 소를 키우는 가구는 없고, 휴경지로 남아 있는 상태이다. 장도습지는 ‘람 사르협약에 등록된 것과는 달리 식물사회학적으로 고층습원 (high moor)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동철새의 중간기착지로 서의 역할과작은 섬지역임에도 수원이있고 지역 생물종의 피난처로서가치가 있다(최병기 등 2012)’라고밝힌 견해에 서보는 바와 같이장도습지는식물상조사결과에서도흔히 주요 습지에서 나타나는 식충식물이나 난초과 식물들은 발 견할 수 없었으며, 습지출현빈도에 의한 관속식물의 유형 분석에서도 임의육상식물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상시 수 심이 낮고 버드나무의 유목이 확대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절대습지식물과임의습지식물의전체종수가 15종으로 습지식물의 종다양성이 매우 낮고, 습지식물의 유형분류
(Table 3)를 보면 뿌리가 연중 물속에 잠겨서 자라는 정수식
물인 송이고랭이, 미나리 등 2분류군만이 분포하고 있으며, 부엽, 부유, 침수식물이 나타나지 않음에서도 수심과 수량이 얕은 환경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습지내 소로 를 제외한 지역은사람이 출입이 어려운 정도로 초본과목 본식물이 밀생하고있고, 대부분의 도서지역이수원이없거 나 부족한 반면상시 유지되는 수원과, 습지에서 발원되는 계곡은 이동철새의 중요한 휴식처, 먹이 공급처 및 번식처 로서 중간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다.
장도습지 중심부의 수량과 수심 확보를 위해 2014년에 환 경부에서 시행한 습지복원공사가 철새와 식물상의 변화에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관찰과 습지및 주 변 지역뿐만 아니라섬 전체에 대한식물상조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terature Cited
유기억, 장수길. 2013. 특징으로보는한반도제비꽃. 지성사, 서울. 정연숙, 이우철, 조강현, 주광영, 민병미, 현진오, 이규송. 2012. 우 리나라습지생태계관속식물의유형분류. 수생태복원사업단, 강원.
환경부. 2007. 2007 습지보호지역정밀조사. 국립습지센터, 과천. 환경부. 2013. 2013 습지보호지역정밀조사. 국립습지센터, 과천.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 Co, Seoul. 1482.
Kim, M. 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in Korean), 408.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in Korean), 39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54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http://www.nature.go.kr (Accessed 2015. 5. 3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600.
Lee, W. T.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624.
Lee, Y. 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Ⅰ. Gyohaksa, Seoul.
(in Korean), 974.
Lee, Y. 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Ⅱ. Gyohaksa, Seoul.
(in Korean), 885.
Lee,T.B. 2003a. Couloured Flora of Korea(sang). Hyangunbsa, Seoul. (in Korean), 914.
Lee,T.B. 2003b. Couloured Flora of Korea(sang). Hyangunbsa, Seoul. (in Korean), 9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451.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486.
Oh, Y. C. 2000. Korean Cyperaceae. Sun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244.
Oh, Y. C. 2006.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404.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h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575.
(2015년 5월 31일접수; 2015년 6월 3일채택) Table 9. Categorizing wetland plants by degree of wetness and morphology in Jangdo wetland.
Degree of wetness Hygrophyte Aquatic macrophyte
Total
Emergent Floating-leaf Floating Submerged
No. of taxa 13 2 0 0 0 15
Ratio (%) 86.7 13.3 0 0 0 100
Appendix 1. List of vascular plants of Jangdo Wetlan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관속식물(Tracheophyta)
양치식물문 (Pteridophyta)
석송아문 (Lycopsida)
석송강 (Lycopodineae)
부처손목 (Selaginellales)
부처손과 (Selaginellaceae)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부처손 Ⅲ
★Selaginella tamariscina (BEAUV.) SPRING 바위손
속새아문 (Sphenopsida)
속새강 (Equisetineae)
속새목 (Equisetales)
속새과 (Equisetaceae)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양치식물아강 (Pteropsida)
고사리강 (Filicineae)
고사리삼목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Ophioglossaceae)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고사리삼
고사리목 (Filicales)
고비과 (Osmundaceae)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
풀고사리과 (Gleicheniaceae)
★Gleichenia japonica SPRENG 풀고사리 Ⅰ
잔고사리과 (Dennstaedtiaceae)
★Deparia japonica (Thunb.) M. Kato 진고사리
Hypolepis punctata METT. 점고사리 Ⅲ
Lemmaphyllum microphyllum PRESL. 콩짜개덩굴 Ⅰ
넉줄고사리과 (Davalliaceae)
Thelypteris acuminata (Houtt.) C.V. Morton 별고사리 Ⅰ
★Thelypteris angustifrons (Miq.) Ching 탐라사다리고사리 Ⅲ
★Thelypteris decursivepinnata (H.C. Hall) Ching 설설고사리
면마과 (Aspidiaceae)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 Chr. 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erythrosora (D.C. Eaton) Kuntze 홍지네고사리 Ⅰ
★Dryopteris hikonensis (H. Ito) Nakaike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비늘고사리
꼬리고사리과 (Aspleniaceae)
★Asplenium incisum Thunb. 꼬리고사리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개고사리
★Athyrium sheareri (Baker) Ching 개톱날고사리 Ⅳ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Hell. 고사리
Pteris multifida Poir. 봉의꼬리 Ⅰ
고란초과 (Polypodiaceae)
Cyrtomium devexiscapulae (Koidz.) Ching 긴잎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L.f.) C.Presl 도깨비쇠고비
Pyrrosia lingua (Thunb.) Farw. 석위 Ⅰ
나자식물강 (Gymnospermae)
구과식물아강 (Coniferophytae)
구과목 (Coniferales)
소나무과 (Pinaceae)
Pinus densiflora S. et Z. 소나무
피자식물문 (Angiospermae)
단자엽식물강 (Monocotyledoneae)
벼목 (Graminales)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벼과 (Gramineae)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OHWI 개밀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새
Avena fatua L. 메귀리
★Bothriochloa parviflora (R. BR.) OHWI 나도기름새
Bromus japonicus THUNB. 참새귀리
★Bromus remotiflorus (STEUD.) OHWI 꼬리새
★Bromus unioloides H.B.K. 큰이삭풀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 BEAUV. 그령
Festuca ovina L. 김의털
Festuca parvigluma STEUD. 김의털아재비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DURAND et SCHINZ 띠
Isachne globosa (THUNB.) O. KUNTZE 기장대풀
★Lophatherum gracile BRONGN. 조릿대풀 Ⅰ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민바랭이새 Ⅰ
Miscanthus sinensis ANDERSS. 참억새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ROEM. et SCHULT. 주름조개풀
Paspalum thunbergii KUNTH 참새피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수크령
Phaenosperma globosa MUNRO 산기장 Ⅲ
Poa acroleuca STEUD. 실포아풀
★Polypogon fugax STEUD. 쇠돌피
Pseudosasa japonica MAKINO 이대
Setaria chondrachne (STEUD.) HONDA 조아재비
★Setaria glauca (L.) BEAUV. 금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BEAUV. 강아지풀
★Setaria foberi Herrmann Lim. D.O. & E.J. Yun 가을강아지풀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MAK. et NEMOTO 갯강아지풀
★Spodiopogon cotulifer (THUNB.) HACK. 기름새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Sporobolus elongatus R. BR. 쥐꼬리새풀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MAKINO 솔새
★Trisetum bifidum (THUNB.) OHWI 잠자리피
사초목 (Cyperales)
사초과(Cyperaceae)
Carex boottiana HOOKER et ARNOTT 밀사초
Carex doniana SPRENG. 흰사초
★Carex lenta DON 줄사초
Carex maximowiczii MIQ. 왕비늘사초
★Carex planiculmis KOM. 그늘흰사초
Carex polyschoena LEV. et VNT. 가지청사초
Cyperus sanguinolentus VAHL 방동사니대가리
★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is HARA 파대가리
Rhynchospora chinensis NEES et MEYEN 고양이수염
Scirpus triangulatus ROXB. 송이고랭이
천남성목 (Arales)
천남성과 (Lemnaceae)
Arisaema amurense var. amurense 둥근잎천남성
Arisaema ringens SCHOTT 큰천남성 Ⅰ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반하
닭의장풀목 (Commelinales)
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골풀목 (Juncales)
골풀과 (Juncaceae)
★Juncus alatus Franch. & Sav. 날개골풀
Juncus effusus var.decipiens Buchenau 골풀
Luzula capitata (Miq.) Miq. 꿩의밥
백합목 (LiLiales)
백합과 (LiLiaceae)
Allium grayi REGEL 산달래
Allium monanthum MAX. 달래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천문동 Ⅲ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Hosta yingeri S.B. Jones 흑산도비비추 Ⅳ
Lilium tigrinum KER-GAWL. 참나리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맥문동
Scilla scilloides (LIND.) DRUCE 무릇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Smilax sieboldii MIQ. 청가시덩굴
마과 (dioscoreaceae)
★Dioscorea batatas DECNE. 마
★Dioscorea quinqueloba THUNB. 단풍마
난초목 (Orchidales)
난초과 (Orchidaceae)
★Calanthe striata for. Sieboldii Decne. ex Regel 금새우난초 Ⅳ
쌍자엽식물강 (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 (Archichlamydeae)
버드나무목 (Salicales)
버드나무과 (Salicaceae)
Salix koreensis ANDERSS. 버드나무
가래나무목 (Juglandales)
가래나무과 (Juglandaceae)
★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굴피나무
참나무목 (Fagales)
자작나무과 (Betulaceae)
★Alnus firma S. et Z. 사방오리
참나무과 (Fagacea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구실잣밤나무 Ⅰ
쐐기풀목 (Urticales)
느릅나무과 (Ulmaceae)
★Celtis biondii var. heterophylla SCHNEID. 폭나무 Ⅰ
★Celtis jessoensis KOIDZ. 풍게나무
Celtis sinensis PERS. 팽나무
뽕나무과 (Moraceae)
★Broussonetia kazinoki SIEB.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UYEKI 애기닥나무
Ficus nipponica FR. et SAV. 모람 Ⅲ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삼과 (Cannabinaceae)
★Humulus japonicus S. et Z. 환삼덩굴
쐐기풀과 (Urticaceae)
Boehmeria nivea (L.) GAUDICH. 모시풀
★Boehmeria pannosa NAKAI et SATAKE 왕모시풀
마디풀목 (Polygonales)
마디풀과 (Polygonaceae)
Persicaria blumei GROSS 개여뀌
Persicaria japonica (MEISN.) H. GROSS 흰꽃여뀌
★Persicaria senticosa GROSS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thunbergii H. GROSS 고마리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L. 돌소리쟁이
석죽목 (Caryophyllales)
명아주과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명아주
자리공과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석죽과 (Caryophyllaceae)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MIZUSHIMA 점나도나물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개별꽃
★Sagina japonica OHWI 개미자리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 Wu 갯장구채 Ⅰ
Stellaria aquatica SCOP. 쇠별꽃
Stellaria media VILLARS 별꽃
미나리아재비목 (Ranales)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Clematis patens MORR. et DECNE. 큰꽃으아리 Ⅰ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anunculus chinensis BUNGE 젓가락나물
★Thalictrum uchiyamai NAKAI 자주꿩의다리
방기과 (Menispermaceae)
Cocculus trilobus DC. 댕댕이덩굴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 방기 Ⅱ
목련목 (Magloiales)
목련과 (Magnoliaceae)
Kadsura japonica DUNAL 남오미자 Ⅰ
녹나무과 (Lauraceae)
★Cinnamomum japonicum SIEB. 생달나무 Ⅲ
Litsea japonica JUSS. 까마귀쪽나무 Ⅰ
Lozoste lancifolia (S. et Z.) BL. 육박나무 Ⅲ
Machilus japonica S. et Z. 센달나무 Ⅲ
Machilus thunbergii S. et Z. 후박나무 Ⅰ
Neolitsea aciculata (BL.) KOIDZ. 새덕이 Ⅲ
Neolitsea sericea (BL.) KOIDZ. 참식나무 Ⅰ
양귀비목 (Papaverales)
현호색과 (Fumariaceae)
Corydalis ambigua CHAM. et SCHLECHTEND. 왜현호색 Ⅰ
★Corydalis heterocarpa S. et Z. 염주괴불주머니
십자화과 (Cruciferae)
Arabis glabra (L.) BERNH. 장대나물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냉이
★Cardamine flexuosa var. fallax O.E. SCHULZ 좁쌀냉이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장미목 (Rosales)
장미과 (Rosaceae)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Duchesnea chrysantha (ZOLL. et MORR.) MIQ. 뱀딸기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Raphiolepis umbellata (THUNB.) MAKINO 다정큼나무 Ⅱ
Rosa kokusanensis NAK. 흑산가시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Rosa wichuraiana CREP. 돌가시나무
Rubus coreanus MIQ. 복분자딸기
Rubus hirsutus THUNB. 장딸기 Ⅰ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TRAUTV. et MEYER 가는오이풀 Ⅰ
Stephanandra incisa ZABEL 국수나무
콩과 (Leguminosae)
Albiz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Amphicarpaea edgeworthii var. trisperma OHWI 새콩
Caesalpinia japonica S. et Z. 실거리나무 Ⅱ
Glycine soja S. et Z. 돌콩
Indigofera koreana OHWI 민땅비싸리
Pueraria thunbergiana BENTH. 칡
Rhynchosia volubilis LOUR. 여우콩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K.KOCH. 살갈퀴
쥐손이풀목 (Geraniales)
쥐손이풀과 (Geraniaceae)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HARA 이질풀
괭이밥과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운향과 (Rutaceae)
Zanthoxylum ailanthoides S. et Z. 머귀나무 Ⅲ
Zanthoxylum piperitum A.P. DC. 초피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산초나무
굴거리나무과 (Euphorbiaceae)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굴거리나무 Ⅱ
대극과 (Euphorbiaceae)
Euphorbia helioscopia L. 등대풀
Mallotus japonicus MUELL.-ARG. 예덕나무 Ⅰ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옻나무과 (Anacardiaceae)
Rhus chinensis MILL. 붉나무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REHDER 줄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Ⅰ
고추나무과 (Staphyleaceae)
Euscaphis japonica (THUNB.) KANTIZ 말오줌때 Ⅰ
갈매나무목 (Rhamnales)
갈매나무과 (Rhamnaceae)
★Rhamnus yoshinoi MAKINO 짝자래나무
Sageretia theezans BRONGN. 상동나무 Ⅲ
포도과 (Vitaceae)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HARA 개머루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 ET Z.) PLANCH. 담쟁이덩굴
★Vitis coignetiae PULLIAT 머루
아욱목 (Malvales)
피나무과 (Tiliaceae)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HAND.-MAZ. 장구밤나무 Ⅰ
측막태좌목 (Parietales)
다래나무과 (Actinidiaceae)
★Actinidia arguta PLANCH. 다래
차나무과 (Theaceae)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Ⅰ
Eurya japonica THUNB. 사스레피나무 Ⅰ
물레나물과 (Hypericaceae)
Hypericum erectum THUNB. 고추나물
제비꽃과 (Violaceae)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Viola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MAKINO 남산제비꽃
Viola grypoceras A. GRAY 낚시제비꽃
Viola japonica LANDSD. 왜제비꽃
Viola mandshurica W. BECKER 제비꽃
Viola rossii HEMSL. 고깔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NO 호제비꽃
박목 (Cucurbitales)
박과 (Cucurbitaceae)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돌외 Ⅰ
★Trichosanthes kirilowii MAX. 하늘타리
도금양목 (Myrtales)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
Elaegnus macrophylla THUNB. 보리밥나무 Ⅰ
바늘꽃과 (Onagraceae)
★Circaea mollis S. et Z. 털이슬
산형화목 (Umbellales)
두릅나무과 (Araliaceae)
Dendropanax morbiferus H.Lev. 황칠나무 Ⅲ
Hedera rhombea (Miq.) Bean 송악 Ⅰ
산형과 (Umbelliferae)
Anthriscus sylvestris HOFFM. 전호
★Cnidium japonicum MIQ. 갯사상자
Hydrocotyle ramiflora MAX. 큰피막이
★Oenanthe javanica (BL.) DC. 미나리
Peucedanum japonicum THUNB. 갯기름나물 Ⅱ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기름나물
Sanicula chinensis BUNGE 참반디
Sanicula tuberculata MAX. 애기참반디 Ⅲ
Torilis japonica (HOUTT.) DC. 사상자
층층나무과 (Coraceae)
Aucuba japonica THUNB. 식나무 Ⅲ
합판화아강 (Metachlamydeae)
진달래목 (Ericales)
노루발과 (Pyrolaceae)
★Pyrola japonica KLENZE 노루발
진달래과 (Ericaceae)
Vaccinium bracteatum THUNB. 모새나무 Ⅲ
앵초목 (Primulales)
자금우과 (Myrsinaceae)
Ardisia crenata SIMS. 백량금 Ⅲ
Ardisia japonica BL. 자금우 Ⅰ
앵초과 (Primulaceae)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까치수염 Ⅰ
Lysimachia japonica THUNB. 좀가지풀
★Lysimachia mauritiana LAM. 갯까치수염 Ⅰ
감나무목 (Ebenales)
때죽나무과 (Styracaceae)
Styrax japonica S. et Z. 때죽나무
용담목 (Gentianales)
물푸레나무과 (Oleaceae)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나무 Ⅰ
Ligustrum obtusifolium S. et Z. 쥐똥나무
마전과 (Loganiaceae)
★Gardneria insularis NAKAI 영주치자 Ⅲ
협죽도과 (Apocynaceae)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마삭줄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Cynanchum paniculatum KITAGAWA 산해박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통화식물목 (Tubiflorales)
메꽃과 (Convolvulaceae)
★Calystegia soldanella ROEM. et SCHULT. 갯메꽃 Ⅰ
지치과 (Borraginaceae)
Lithospermum zollingeri A. DC. 반디지치 Ⅰ
Trigonotis peduncularis BENTH. 꽃마리
마편초과 (Verbenaceae)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 REHDER 왕작살
★Callicarpa mollis S. et Z. 새비나무 Ⅲ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누리장나무
꿀풀과 (Labiatae)
★Clinopodium chinense var. shibetchense KOIDZ. 산층층이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Leonurus sibiricus L. 익모초
Lycopus ramosissimus MAKINO 개쉽싸 리
가지과 (Solanaceae)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HORT. 꽈리
Solanum lyratum THUNB. 배풍등
현삼과 (Scrophulariaceae)
Melampyrum roseum MAX. 꽃며느리밥풀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
Justicia procumbens L. 쥐꼬리망초
파리풀과 (Phrymaceae)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파리풀
질경이목 (Plantaginales)
질경이과 (Plantaginaceae)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꼭두서니목 (Rubiales)
꼭두서니과 (Rubiaceae)
★Damnacanthus major S. et Z. 수정목 Ⅳ
★Galium pogonanthum FR. et SAV. 산갈퀴
Galium spurium L. 갈퀴덩굴
Paederia scandens (LOUR.) MERR. 계요등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MAX. 갈퀴꼭두서니
인동과 (Caprifoliaceae)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NAK.) HARA 지렁쿠나무
Viburnum carlesii HEMSL. 분꽃나무
Viburnum erosum THUNB. 덜꿩나무
마타리과 (Valerianaceae)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초롱꽃목 (Campanulales)
초롱꽃과 (Campanulaceae)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층층잔대
국화과 (Compositae)
★Ainsliaea apiculata SCH.-BIP. 좀딱취 Ⅱ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제비쑥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쑥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Aster ageratoides TURCZ. 까실쑥부쟁이
Aster scaber THUNB. 참취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Carpesium abrotanoides L. 담배풀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엉겅퀴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o 이고들빼기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산국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구절초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Erigeron sumatrensis Retz. 큰망초
★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 KITAMURA 등골나물
★Eupatorium fortunei TURCZ. 벌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골등골나물
Farfugium japonicum KITAMURA 털머위 Ⅲ
Gnaphalium affine D. DON 떡쑥
Ixeris dentata (THUNB.) NAKAI 씀바귀
★Ixeris japonica NAKAI 벋음씀바귀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O. KUNTZE) HARA 왕고들빼기
Ligularia stenocephala (MAX.) MATSUMURA 곤달비 Ⅳ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머위
★Saussurea polylepis NAKAI 홍도서덜취
Solidago virga-aurea var.asiaticaNAKAI 미역취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 : Newly found taxa in this investigation, Grade :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assig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