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he Pteridophytes of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The Pteridophytes of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Copied!
8
0
0

Teks penuh

(1)

소백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상

권재환1

* ·조효원

2

1국립공원연구원, 2소백산국립공원북부사무소

The Pteridophytes of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Jai-Hwan Gwon

1

* and Hyo-Won Cho

2

1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Sobaeksan National Park Northern Office

요 약 :소백산국립공원 양치식물은 문헌상의기록과 현장조사를 포함하여총 18과 32속 83종 10변종으로 총 93 분류군을 기록되었다. 이는 국내양치식물 334분류군의 27.8%에해당하는 수치이다. 양치식물계수는 1.62로 나타났 는데위도가높은 설악산보다높고 월악산, 지리산, 제주도보다는낮은 수치이다. 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IV급 1 분류군, III급 5분류군, II급 8분류군, I급 6분류군으로총 20분류군이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소 백산국립공원내에새롭게분포가확인된종은Lycopodium clavatum Linnaeus(석송) 등 23분류군으로나타났다. 주요어 :고사리, 신규종, 식물연구

Abstract: This study has confirmed 93 taxa in total, including 83 species, 10 varieties and 32 genera, 18 families were recorded 27.8% domestic indigenous Pteridophytes total 334 taxa. Coefficient of Pteridophytes was 1.62 that higher than Mt. Seoraksan (1.13) and lower than Mt. Woraksan (1.63), Mt. Jirisan (2.11), Jeju island (2.12). This study identified 20 species of Special Plants by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that 1 species categorized IV class, 5 species categorized III class, 8 species categorized II class and I class was categorized 6 Species. It has been confirmed 23 taxa Newly literature pteridophytes in Sobaeksan National Park.

Key words :Fern, Floristic Studies, Newly Species

서 론

소백산은 1987년 12월 14일에우리나라 18번째국립공원 으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영주시, 봉화군, 충 청북도 단양군 등 2개 도 3개 시군에 걸쳐 있으며 면적은 322.011 km2이다. 북위 36° 50′~37° 04′, 동경 128° 21′~128°

43′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주요 봉우리로는 해발고도가 가

장 높은 비로봉(1,439m)이 중심부에 위치하며 북동쪽에는 국망봉(1,421m), 신선봉(1,380m), 형제봉(1,177m) 등이솟아 있고 남서쪽에는 제1연화봉(1,394m), 도솔봉(1,314m) 등이 연이어 솟아 주릉을 이룬다.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은 300m 내외이지만 대체로 해발 400m에 국립공원 경계가 구획되어 있다.

소백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중부 내륙에 걸쳐있고 식물구

계구분(이우철과 임양재 2002) 상 중부아구에 해당하는 지 역으로 낙엽활엽수림이 주종을 이룬다.

소백산국립공원선행식물상연구는 양인석(1963)이처음 이나 전체적인 관속식물상 연구자료는 6건에불과하다. 특 히 양치식물은 관속식물과 더불어 기록되어 있는 것이 전부 인 실정이다.

양치식물(Pteridophytes)은 포자로 번식하며 잎, 뿌리, 줄기 를 갖고 있는 유관속식물로 가장 오래되고 원시적인 식물이 다. 가장오래된양치식물 화석은 3억 45백만년전 고생대 석탄기 초기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지구상에 생존하고 있는 양치식물은 약 12,000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이창숙과 이강협 2015).

우리나라 양치식물 연구는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 전후 에 유럽인, 러시아인, 일본인에 의해 채집목록이 발표되면서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시작되었다. 최근우리나라에자생하는 양치식물을 334분류 군으로정리된 자료가있다(국립수목원 2008).

소백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 자료를 살펴보면 국가표준식 물목록(2013)을 기준으로 정리하였을 때 이희선(1989)은 소 백산 전체 관속식물 569분류군 중 10과 15속 18종 3변종

21분류군의 양치식물을 기록하였다. 김기중(1998)은 제1기

소백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전체 관속식물 1,034분류 군 중 17과 25속 35종 4변종 39분류군의 양치식물을 기록

하였고 박종욱과 이현우(1999)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

고서에 소백산과 인근산지의 관속식물 624분류군 중 10과

15속 20종 3변종 23분류군의 양치식물을 기록하였다. 현진

오(2007)은 제2차 소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서 관속식 물 735분류군 중 13과 18속 22종 3변종 25분류군을 기록하

였고장창석등(2011)은소백산국립공원 전체관속식물 869

분류군 중 14과 20속 42종 5변종 47분류군의 양치식물을 기록하였다. 국립공원관리공단(2015) 집계에는 소백산국립 공원 전체 관속식물 921분류군 중 14과 20속 35종 4변종

39분류군을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료가 빈약한 양치식물을 대상으로 문헌 자료를추출하고현지조사를실시하여양치식물목록을체계 적으로정리하고국립공원생물 종보전에필요한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범위

가. 기간 및 장소

조사기간은 2016년 3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8개월간으 로 소백산국립공원 내 임의구간을 선정하여 총 34회 현장조 사를 실시하였다(Figure 1, Table 1).

나. 조사지 개황

소백산국립공원은 행정구역상충청북도 단양군과 경상북 도 영주시, 봉화군에 걸쳐 있으며 개괄적인 지질은 소백산 육괴의 북서부와 옥천대의 남동부 일부 영역에 해당하며, 구성암류는 선캠브리아기 편암 및 편마암복합체와 캠브리아

-오르도비스기의 변성퇴적암류 그리고 중생대 화강암 등으

로 되어있다(이대성, 1966; 원종관과 이하영, 1967; 이종혁

외, 1989). 선캠브리아기 편마암류가 비로봉을 중심으로 넓

게 분포하고 있고시대미상의 페크마타이트질미그마타이트 와 화강암류는형제봉과부석사일대에분포하고있으며고 생대 석회암류와 규암류는 단양군의 국립공원 경계부에 선 형으로 분포하고 있다(http://kigam.re.kr).

기상청 제공 조사지역(영주)의 지난 1981~2010년의 30년 간 연평균기온은 11.3oC, 연평균강수량은 1,290.9 mm를 보 이고있다. 그러나 최근 5년간의 자료를살펴보면평균기온

은 0.44oC 증가하였고연평균강수량은약 37 mm 감소한것

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3).

2. 연구방법 가. 양치식물상

소백산 선행 연구자료인 이희선(1989), 김기중(1998), 박

Figure 1. The topography and location of Sobaeksan National Park (Scale 1:125,000).

(3)

종욱과 이현우(1999), 현진오(2007), 장창석 등(2011) 국립공 원관리공단(2015) 6건의 관속식물상연구자료를집계하였다. 24개구간을조사하면서 현장에서촬영및채집한표본은 이창숙과 이강협(2015)의 문헌을 참고하여 동정하였고 분류 체계는 Smith et al. (2006)을 따랐으며 속(Genus) 내에서는 알파벳순으로 나열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체 식물사진을 확 보하였다.

식생의 보전상태를파악하기 위해자연의 파괴정도를나 타내는지수로사용되는 양치식물계수(Pre-Q=25 ×양치식물 종수/현화식물종수)를 산출하였다. 현장조사에서 새로 확인 한 분류군은 표로 나타내었다.

나. 휴면형

양치식물 휴면형(Dormancy form)은 Raunkiaer(1934)에 의 해 구분된 휴면형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강우창과 정승선 2012).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지역마다서로다른환경에분포하는식물의유사도를 표 현하는데이용되고학술적·국제적으로보호가치가높은식 물 중 우리나라 고유종 또는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환경부가 지정한 분류군인 식물구계 학적 특정식물(국립환경과학원 2012)은 등급을 구분하여 목 록화하였다.

결 과 1. 양치식물상

6건의 선행 연구자료에서 관속식물상 중 양치식물군을 정 리한 결과 총 17과 27속 65종 5변종으로 총 70분류군이 기 록된 것으로 집계되었고 현장조사에서 확인한 종은 16과 28 속 58종 11변종으로 총 6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문헌상의 기록과 현장조사를 포함하여 총 18과 32속 83종 10변종으 Table 1. Investigated routes and date in this study.

No. Date(y-m-d) Investigated routes No. Date(y-m-d) Investigated routes

1 2016.03.18. 남천계곡 18 2016.06.05. 어의곡, 동대리

2 2016.03.26. 두음, 용부원, 동대리 19 2016.06.17. 마조리-연화봉

3 2016.03.28. 비로사, 삼가저수지 20 2016.06.27. 안성금

4 2016.04.02. 동대리 21 2016.06.30. 단석리, 고치령

5 2016.04.09. 연화봉-천동리 22 2016.07.09. 새밭-국망봉

6 2016.04.14. 새밭-늦은맥이재 23 2016.07.14. 희방사 지역

7 2016.04.15. 고치령구간 24 2016.07.21. 죽령, 용부원리, 동대리

8 2016.04.28. 성금리 25 2016.08.03. 청구리

9 2016.04.29. 죽령-비로봉 구간 26 2016.08.04. 죽령-연화봉-비로봉

10 2016.05.06. 남천계곡 27 2016.08.05. 죽령-제2연화봉-구중계소

11 2016.05.08. 동대리 28 2016.08.24. 천동-죽령

12 2016.05.12. 좌석리-상월봉 29 2016.08.25. 마구령-연화봉

13 2016.05.13. 새밭-신선봉-민봉 30 2016.09.01. 새밭, 두음리

14 2016.05.20. 비로사지역 31 2016.09.02. 제2연화봉

15 2016.05.26. 도솔봉구간 32 2016.09.13. 제2연화봉-천동

16 2016.05.27. 북지리 33 2016.09.18. 고치령

17 2016.06.01. 죽령-비로봉 34 2016.09.30. 고치령, 새밭

Table 2. The annual temperature of Sobaeksan National Park (Yeongju-si). (unit: oC) Year

Temperature 2011 2012 2013 2014 2015 Mean

Maximum 33.4 37.5 34.8 35.2 37.1 35.60

Minimum −18.5 −19.9 −20.9 −14.4 −13.7 −17.48

Annual range 51.9 57.4 55.7 49.6 50.8 53.08

Annual mean 11.37 11.20 11.63 11.99 12.51 11.74

Table 3. The annual precipitation of Sobaeksan National Park (Yeongju-si). (unit: mm) Year

Precipitation 2011 2012 2013 2014 2015 Mean

Monthly mean 144.11 119.25 98.45 96.37 64.06 104.45

Total 1729.3 1431.0 1181.4 1156.4 768.7 1,253.36

(4)

로 총 93분류군을 기록(Table 4)하였는데 이는 국내 양치식 물 334분류군(국립수목원, 2008)의 27.8%에 해당하는 수치 이다.

양치식물분류군의과별 비율은 관중과가가장높은 비율

(24.7%, 23분류군)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개고사리과(17.2%,

16분류군), 고란초과 석송과(각 6.5%, 6분류군), 부처손과,

우드풀과 처녀고사리과(각 5.4%, 5분류군), 꼬리고사리과, 속새과, 처녀이끼과(각 4.3%, 4분류군), 야산고비과, 잔고사 리과(각 3.2%, 3분류군), 고비과, 고사리삼과, 봉의꼬리과(각 2.2%, 2분류군), 넉줄고사리과, 네가래과, 생이가래과(각 1.1%, 1분류군)의순으로 나타났다.

6건의 선행 연구자료를 정리하여 소백산국립공원의 관속 식물상은 총 1,528분류군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를 적용하여 양치식물계수를 산출하면 1.62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 값은 지리산 2.11(권재환, 2013)과 제주도 2.12(문명옥, 2007), 월 악산 1.63(권재환, 2015) 보다는 낮았고 설악산 1.13(홍문표

등, 2010) 보다는높았는데위도가높아질수록종 다양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 선행 연구자료에 없는 분류군

본 연구에서 선행 연구자료에 기재되지 않은 Lycopodium clavatum Linnaeus(석송) 등 23분류군의양치식물을 새로확

인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자료에는 기록되어 있으나 본 현장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한 양치식물은 24분류군으로 나타 났다(Table 5).

확인하지 못 한 종들을 살펴보면 주로 우리나라 남부에 분포하는 왕다람쥐꼬리, 부처손, 설설고사리, 사다리고사리, 가는잎개고사리, 뿔고사리, 좀진고사리, 큰진고사리, 도깨비 쇠고비, 족제비고사리, 애기일엽초, 일엽초 12분류군과 우리 나라 북부에 분포하는 좀다람쥐꼬리, 개쇠뜨기, 좀가물고사 리, 왕고사리 4분류군, 호수에분포하는 네가래, 생이가래 2 분류군, 석회암지대에분포하는왜구실사리, 개부처손 2분류 군, 분포가 불분명한 산우드풀 1분류군으로, 총 21분류군은 분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2. 휴면형

문헌자료를 포함한 소백산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양치식물 의 휴면형을 살펴보면 반지중식물(Hemicryptophytes: H)이

46.2%(43분류군)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지중식물(Geophytes: G)이 21.5%(20분류군), 지표식물 (Chamaephytes: Ch)이 16.1%(15분류군), 착생식물(Epiphytes:

E)이 14.0%(13분류군), 수생·수습식물(Hydatophytes: HH) 이 2.2%(2분류군)로 각각 나타났다(Table 6).

권재환(2013)은 지리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 중 반지중식

Table 4. Summary on the Pteridophytes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 for. Total taxa

Pteridophyte 18 32 83 - 10 - 93

Table 5. List of newly confirmed species in this study.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Lycopodiaceae Lycopodium clavatum Linnaeus (석송)

Equisetaceae Equisetum hyemale Linnaeus (속새)

Hymenophyllaceae Hymenophyllum coreanum Nakai (애기수염이끼)

Hymenophyllum polyanthos (Swartz) Swrizawa (좀처녀이끼) Hymenophyllum wrightii Bosch (처녀이끼)

Crepidomanes minutus (Bosch) K. Iwats. (부채괴불이끼)

Pteridaceae 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고비고사리)

Aspleniaceae Asplenium tenuicaule Hayata (애기꼬리고사리)

Asplenium × castaneo-viride Baker (거미꼬리고사리) Thelypteridaceae Thelypteris japonica (Baker) Ching var. japonica (지네고사리)

Woodsiaceae Woodsia microsora Kodama (금강가물고사리)

Onocleaceae Matteuccia struthiopteris (Linnaeus) Todaro (청나래고사리)

Athyriaceae Athyrium concinnum Nakai (광릉개고사리)

Deparia pycnosora (Ch.) M. Kato var. albosquamata M. kato (흰털고사리) Deparia × angustatum (Nakai) Nakaike (개좀진고사리)

Dryopteridaceae Cyrtomium fortunei var. clivicola (Makino) Tagawa (산쇠고비) Polystichum craspedosorum (Maximowicz) Diels (낚시고사리)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 Sa. Ku. var. ovato-paleaceum (지리개관중)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곰비늘고사리)

Dryopteris fragrans var. remotiuscula (Komarov) Fomin (주저리고사리) Dryopteris saxifragivaria Nakai (광릉족제비고사리)

Polypodiaceae Selliguea hastata (Thunb.) H. Ohashi & K. Ohashi (고란초) Pleurosoriopsis makinoi (Maxim. ex Makino) Fomin (좀고사리)

(5)

Table 6. Pteridophyta Life-form spectra of Sobaeksan National Park.

Life-form classes

No. of Taxa

Ch E G H HH Th

15 16.1%

13 14.0%

20 21.5%

43 46.2%

2

2.2% - 93

100%

Table 7. List of 5th to 1st taxa of the Special Plants by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Sobaeksan National Park.

Degre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IV Hymenophyllum coreanum Nakai (애기수염이끼)*

III

Lycopodium obscurum Linnaeus (만년석송)

Selaginella tamariscina (P. Beauvois) Spring (바위손) Hymenophyllum wrightii Bosch (처녀이끼)*

Dryopteris fragrans var. remotiuscula (Komarov) Fomin (주저리고사리)*

Dryopteris gymnophylla (Baker) C. Christensen (금족제비고사리)

II

Huperzia miyoshiana (Makino) Ching (다람쥐꼬리) Equisetum hyemale Linnaeus (속새)*

Crepidomanes minutus (Bosch) K. Iwats. (부채괴불이끼)*

Phegopteris connectillis (Michx.) Watt (가래고사리) Polystichum braumii (Spenner ) Fee (좀나도히초미) Dryopteris expansa (Pr.) Franch.-Jenk. et Jermy (퍼진고사리) Selliguea hastata (Thunb.) H. Ohashi & K. Ohashi (고란초)*

Pleurosoriopsis makinoi (Maxim. ex Makino) Fomin (좀고사리)*

I

Matteuccia struthiopteris (Linnaeus) Todaro (청나래고사리)*

Cyrtomium fortunei J. Smith (쇠고비)

Polystichum craspedosorum (Maximowicz) Diels (낚시고사리)*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 Sa. Ku. var. coraiense (Christ) Sa. Ku. (참나도히초미)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곰비늘고사리)*

*: Newly confirmed Species in this study

Figure 2. Hymenophyllum wrightii Bosch (처녀이끼)

(6)

물 44.8%, 착생식물 10.5%로 보고하였고 정승선 등(2006) 은 광릉숲의 양치식물은 휴면형을반지중식물 56.6%, 착생 식물 4.3%로 보고하였으며 문명옥(2006)의 제주도 양치식 물상 연구자료에서 반지중식물이 40.6%, 착생식물 17.0%로 나타났다. 소백산국립공원 양치식물 휴면형은 반지중식물

46.2%, 착생식물 14.0%로 착생식물이 지리산국립공원과 제

주도사이의 값을 유지하고 있는데이는 습도가높은 곳에 자생하는처녀이끼류가다수확인되었기 때문인 것으로생 각된다.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분포

현장조사에서 확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V급은 확인하 지 못하였고 IV급 Hymenophyllum coreanum Nakai(애기수 염이끼) 1분류군, III급은 Lycopodium obscurum Linnaeus(만 년석송) 등 5분류군이, II급은 Huperzia miyoshiana (Makino) Ching(다람쥐꼬리) 등 8분류군, I급은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aro (Thunb.) Sw.(청나래고사리) 등 6분류군으로 총

20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고 찰

소백산국립공원 내 양치식물상은 18과 32속 83종 10변종 으로 총 93분류군이 기록되었고 선행 연구자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양치식물은 Lycopodium clavatum Linnaeus(석송) 등 23분류군이 새로 확인되었으나 문헌상 존재하는 24분류 군의양치식물은확인할수 없었다.

양치식물 휴면형 중 착생식물(Epiphytes: E)의 비율이

14.0%로, 지리산(권재환, 2013)과 제주도(문명옥) 사이의값 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일정 습도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 역에 자생하는 처녀이끼류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만 관 찰되던 Hymenophyllum wrightii Bosch(처녀이끼)가 내륙에 분포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Figure 2).

그러나 제주도 타입과 비교할때 길게 벋는 중간부분 측맥 과 근경까지 늘어지는 엽형에서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어 세 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정밀조사를 통해 확인하지 못 한 분류군에 대한 소 재여부를 파악하고, 건조일수 증가와 같은 기후변화현상으 로 감소가 예상되는 종(처녀이끼, 애기수염이끼, 고란초 등 의착생식물)과 증가가예상되는종의변화추이를관찰하여 생물종 보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사 사

본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시행하는 2016년소백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과제의 일부입 니다.

참고문헌

강우창, 정승선. 2012. 한국양치식물의생활형구성분석. 한국자

원식물학회 25(4): 433-446.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 국립공원생물종목록. 국립공원관리공 단국립공원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2012.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Pp.

173-220.

국립수목원. 2008. 한국식물도해도감 2 양치식물.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 2016.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nature.go.kr/kpni/

index.do). 국립수목원.

권재환, 신민경, 이강협, 송호경. 2013. 지리산국립공원의양치식 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5): 529-543.

권재환, 신민경. 2015. 월악산국립공원의양치식물상. 국립공원연

구지 6(4): 178-185.

김기중. 1998. 소백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문명옥. 2007. 제주도의양치식물상. 제주대학교박사학위논문.

박종욱, 이현우. 2000. 소백산(영주, 단양)과 인근산지의식물상.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양인석. 1963. 경북식물조사보고. 경북대학교출판부.

원종관, 이하영. 1967. 한국지질도(1:50,000) 단양지질도폭및설명 서. 국립지질조사소. p. 56.

이대성. 1966. 한국지질도(1:50,000) 옥동지질도폭및설명서. 국립 지질조사소. p. 48.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출판부.

이종혁, 이상현, 장태우. 1989. 한국지질도(1:50,000) 풍기지질도폭 및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33.

이창숙, 이강협. 2015. 한국의양치식물. 지오북.

이희선. 1989. 소백산관속식물상. 기초과학연구논총. 서원대학

기초과학연구소. 2: 49-69.

장창석, 양선규, 박민수, 김기홍, 서상원, 오병운. 2011. 소백산국 립공원의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398-414.

정승선, 이강협, 여경택. 2006. 광릉숲양치식물의분포와생활형.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 592-597.

현진오. 2007. 소백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Pp. 75-97.

홍문표, 이호준, 전영문, 홍보람. 2010. 강원도설악산의식물상. 한 국환경생태학회지. 24(4): 436-486.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don Press, London, England.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PG Wolf. 2006. A classification of extant ferns. Taxon 55: 705- 731.

(2016년 10월 28일접수; 2016년 12월 22일수정; 2017년 3월 24일채택)

(7)

Appendix 1. Comparison of the pteridophytes recorded in published lists and this study.

Family name (과명)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 Doma Publ This

Lycopodiaceae (석송과)        

1 Huperzia cryptomerinum (Maxim.) R. D. Dixit (왕다람쥐꼬리) Ⅴ Ch ○  

2 Huperzia miyoshiana (Makino) Ching (다람쥐꼬리) Ⅱ Ch ○ ○

3 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좀다람쥐꼬리) Ⅴ Ch ○  

4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뱀톱)   Ch ○ ○

5 Lycopodium clavatum Linnaeus (석송)   Ch   ★

6 Lycopodium obscurum Linnaeus (만년석송) Ⅲ Ch ○ ○

Selaginellaceae (부처손과)         

7 Selaginella helvetica (Linnaeus) Link (왜구실사리) Ⅱ E ○  

8 Selaginella involvens (Swartz) Spring (부처손)   Ch ○  

9 Selaginella rossii (Baker) Warburg (구실사리)   E ○ ○

10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개부처손) Ⅲ E ○  

11 Selaginella tamariscina (P. Beauvois) Spring (바위손) Ⅲ Ch ○ ○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12 Botrychium strictum Underwood (긴꽃고사리삼)   H ○ ○

13 Botrychium ternatum (Thunberg) Sw. (고사리삼)   H ○ ○

Equisetaceae (속새과)        

14 Equisetum arvense Linnaeus (쇠뜨기)   G ○ ○

15 Equisetum hyemale Linnaeus (속새) Ⅱ H   ★

16 Equisetum palustre Linnaeus (개쇠뜨기) Ⅲ G ○  

17 Equisetum ramosissimum Desfontaines (개속새)   G ○  

Osmundaceae (고비과)        

18 Osmunda cinnamomea var. fokiensis Copel (꿩고비)   G ○ ○

19 Osmunda japonicia Thunberg (고비)   G ○ ○

Hymenophyllaceae (처녀이끼과)        

20 Hymenophyllum coreanum Nakai (애기수염이끼) Ⅳ E   ★

21 Hymenophyllum polyanthos (Swartz) Swrizawa (좀처녀이끼)   E   ★

22 Hymenophyllum wrightii Bosch (처녀이끼) Ⅲ E   ★

23 Crepidomanes minutus (Bosch) K. Iwats. (부채괴불이끼) Ⅱ E   ★

Marsileaceae (네가래과)        

24 Marsilea quadrifolia Linnaeus (네가래)   HH ○  

Salviniaceae (생이가래과)        

25 Salvinia natans (Linnaeus) Allioni (생이가래)   HH(Th) ○  

Dennstaedtiaceae (잔고사리과)        

26 Dennstaedtia hirsuta (Sw.) Mett. Ex Miq. (잔고사리)   H ○ ○

27 Dennstaedtia wilfordii (Moore) Christ (황고사리)   H ○ ○

28 Pteridium aquilinum (L.) Kuhn var. latiusculum (Desv.) Unde. ex Heller (고사리)   G ○ ○

Pteridaceae (봉의꼬리과)        

29 Cheilanthes argenta (Gmel.) Kunze (부싯깃고사리)   H ○  

30 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고비고사리)   G   ★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31 Asplenium incisum Thunberg (꼬리고사리)   H ○ ○

32 Asplenium ruprechtii Sa. Kurata (거미고사리)   H ○ ○

33 Asplenium tenuicaule Hayata (애기꼬리고사리)   H   ★

34 Asplenium x castaneo-viride Baker (거미꼬리고사리)   H   ★

Thelypteridaceae (처녀고사리과)        

35 Phegopteris connectillis (Michx.) Watt (가래고사리) Ⅱ G ○ ○

36 Thelypteris decursive-pinnata (H. C. Hall) Fee (설설고사리)   H ○  

37 Thelypteris glanduligera (Kunze) Ching (사다리고사리) Ⅰ G ○  

38 Thelypteris japonica (Baker) Ching var. japonica (지네고사리)   G   ★

39 Thelypteris palustris (Salisb.) Schott (처녀고사리)   G ○ ○

Woodsiaceae (우드풀과)        

40 Woodsia intermedia Tagawa (좀우드풀)   H ○  

41 Woodsia manchuriensis Hooker (만주우드풀)   H ○ ○

42 Woodsia microsora Kodama (금강가물고사리)   H   ★

43 Woodsia polystichoides D.C. Eaton (우드풀)   H ○ ○

44 Woodsia subcordata Turczaninow (산우드풀) Ⅲ H ○  

(8)

Appendix 1. Continued.

Family name (과명)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 Doma Publ This

Onocleaceae (야산고비과)         

45 Matteuccia struthiopteris (Linnaeus) Todaro (청나래고사리) Ⅰ H   ★

46 Onoclea orientalis (Hooker) Hooker (개면마)   H ○ ○

47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owicz (야산고비)   G ○ ○

Athyriaceae (개고사리과)        

48 Athyrium brevifrons Nakai ex Kitagawa (참새발고사리)   H ○ ○

49 Athyrium concinnum Nakai (광릉개고사리)   G   ★

50 Athyrium iseanum Rosenst. (가는잎개고사리) Ⅳ H ○  

51 Athyrium niponicum (Mettenius) Hance (개고사리)   G ○ ○

52 Athyrium vidalii (Franchet et Savatier) Nakai (산개고사리)   H ○  

53 Athyrium yokoscense (Franchet et Savatier) Christ (뱀고사리)   H ○ ○

54 Cornopteris crenulatoserrulata (Makino) Nakai (응달고사리)   H ○ ○

55 Cornopteris decurreti-alata (Hooker) Nakai (뿔고사리) Ⅳ H ○  

56 Deparia conilii (Franchet et Savatier) M. Kato (좀진고사리)   G ○  

57 Deparia coreana (Christ) M. Kato (곱새고사리)   H ○ ○

58 Deparia dimorphophylla (Koidz.) M. Kato (큰진고사리)   G ○  

59 Deparia japonica (Thunberg) M. Kato (진고사리)   G ○ ○

60 Deparia pterorachis (Christ) Kato (왕고사리) Ⅱ H ○  

61 Deparia pycnosora (Christ) M. Kato var. albosquamata M. kato (흰털고사리)   H   ★

62 Deparia pycnosora (Christ) M. Kato var. pycnosora (털고사리)   H ○ ○

63 Deparia x angustatum (Nakai) Nakaike (개좀진고사리)   G   ★

Dryopteridaceae (관중과)        

64 Cyrtomium falcatum (Linnaeus fil.) Presl. (도깨비쇠고비)   H ○  

65 Cyrtomium fortunei J. Smith (쇠고비) Ⅰ H ○ ○

66 Cyrtomium fortunei var. clivicola (Makino) Tagawa (산쇠고비)   H   ★

67 Polystichum craspedosorum (Maximowicz) Diels (낚시고사리) Ⅰ H   ★

68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 Presl (십자고사리)   H ○ ○

69 Polystichum braumii (Spenner) Fee (좀나도히초미) Ⅱ H ○ ○

70 Polystichum polyblepharum (Roemer ex Kunze) C. Presl (나도히초미)   H ○ ○

71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 Sa. Ku. var. ovato-paleaceum (지리개관중)   H   ★

72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 Sa. Ku. var. coraiense (Ch.) Sa. Ku. (참나도히초미) Ⅰ H ○ ○

73 Arachniodes borealis Serizawa (왁살고사리)   G ○ ○

74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 Christensen (왕지네고사리)   H ○ ○

75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Ⅰ H ○ ○

76 Dryopteris lacera (Thunberg) Kuntze (비늘고사리)   H ○ ○

77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곰비늘고사리) Ⅰ Ch   ★

78 Dryopteris fragrans var. remotiuscula (Komarov) Fomin (주저리고사리) Ⅲ H   ★

79 Dryopteris expansa (Pr.) Franch.-Jenk. et Jermy (퍼진고사리) Ⅱ H ○ ○

80 Dryopteris gymnophylla (Baker) C. Christensen (금족제비고사리) Ⅲ Ch ○ ○

81 Dryopteris chinensis (Baker) Koidzumi (가는잎족제비고사리)   H ○ ○

82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 Christensen (산족제비고사리)   Ch ○ ○

83 Dryopteris saxifraga H. Ito (바위족제비고사리)   Ch ○ ○

84 Dryopteris saxifragivaria Nakai (광릉족제비고사리)   Ch   ★

85 Dryopteris varia (Linnaeus) Kuntze (족제비고사리) Ⅲ Ch ○  

86 Dryopteris sacrosancta Koidzumi (애기족제비고사리)   Ch ○ ○

Davalliaceae (넉줄고사리과)        

87 Davallia mariesii Moore ex Baker (넉줄고사리)   E ○ ○

Polypodiaceae (고란초과)        

88 Pyrrosia linearifolia (Hooker) Ching (우단일엽)   E ○ ○

89 Lepisorus onoei (Franchet et Savatier) Ching (애기일엽초) Ⅰ E ○  

90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일엽초)   E ○  

91 Leposorus ussuriensis (Regel & Maack) Ching (산일엽초)   E ○ ○

92 Selliguea hastata (Thunb.) H. Ohashi & K. Ohashi (고란초) Ⅱ E   ★

93 Pleurosoriopsis makinoi (Maxim. ex Makino) Fomin (좀고사리) Ⅱ G   ★

Degr: Degree Specialized Plants, Dorm: Dormancy form, Publ: Publications, This: This study, ★: New confirmed Species

Referensi

Dokumen terkait

By the simulation, the ombined scheme has better energy and spectral efficiency, but the fairness will be lower compared with the original mean-greedy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