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Copied!
16
0
0

Teks penuh

(1)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 2012

CODE BOOK

자료번호 A1-2012-0140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2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4년

(2)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2.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 2012 . 연구수행기 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4 년 . 자료번호 : A1-2012-0140.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4.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CODE BOO

K . pp. 1-14.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q1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만족 1 93 7.6 7.6

다소 만족 2 346 28.2 28.2

다소 불만족 3 490 39.9 39.9

매우 불만족 4 300 24.4 24.4

1,229

100.0 100.0

q2 이명박정부와 노무현정부의 대북정책 비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잘했다 1 113 9.2 9.2

대체로 잘했다 2 280 22.8 22.8

비슷하다 3 245 19.9 19.9

대체로 못했다 4 333 27.1 27.1

매우 못했다 5 257 20.9 20.9

무응답 9 1 0.1 0.1

1,229

100.0 100.0

q3 차기정부의 남북경제협력 추진방안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약

속을 받은 후에 추진해야 한다 1 585 47.6 47.6 경제협력 재개와 재발방지 약속을 동시에 추진해

야 한다 2 549 44.7 44.7

경제협력은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과는 상관 없

이 추진해야 한다 3 94 7.6 7.6

무응답 9 1 0.1 0.1

1,229

100.0 100.0

문 1. 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문 2. 현 정부의 대북 정책이 전임 노무현 정부의 대북 정책과 비교해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

문 3. 차기 정부에서 남북 경제 협력을 재개한다면, 가장 바람직한 추진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4)

q4 연평도포격 류의 사건이 재발할 경우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즉시 중단해야 한다 1 756 61.5 61.5

북한의 사과를 받은 뒤 계속한다 2 409 33.3 33.3 상관없이 계속 진행해야 한다 3 62 5.0 5.0

무응답 9 2 0.2 0.2

1,229

100.0 100.0

q5 금강산관광 재개 주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조건 찬성한다 1 132 10.7 10.7

사과를 전제로 조건부 찬성 2 815 66.3 66.3

먼저 재개한 후 재발방지 약속을 받는다 3 174 14.2 14.2

무조건 반대한다 4 106 8.6 8.6

무응답 9 2 0.2 0.2

1,229

100.0 100.0

q6 북핵문제 해결 전 대북지원 금지 주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364 29.6 29.6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518 42.1 42.1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281 22.9 22.9

적극 반대한다 4 64 5.2 5.2

무응답 9 2 0.2 0.2

1,229

100.0 100.0

문 4. 향후 연평도 포격 같은 사건이 재발할 경우 남북교류협력은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 하십니까?

문 5. <금강산 관광은 재개되어야 한다>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 6. <북핵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대북지원을 하지 말아야 한다>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

각하십니까?

(5)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q7 대북삐라살포를 정부가 막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225 18.3 18.3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554 45.1 45.1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359 29.2 29.2

적극 반대한다 4 89 7.2 7.2

무응답 9 2 0.2 0.2

1,229

100.0 100.0

q8 정부가 북한인권문제를 계속 제기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346 28.2 28.2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672 54.7 54.7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184 15.0 15.0

적극 반대한다 4 25 2.0 2.0

무응답 9 2 0.2 0.2

1,229

100.0 100.0

q9 정부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에 동참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304 24.7 24.7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636 51.7 51.7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259 21.1 21.1

적극 반대한다 4 27 2.2 2.2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문 7. <대북 삐라 살포를 정부가 막아야 한다>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 8. <정부는 북한 인권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해야 한다>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문 9. <정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에 동참해야 한다>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6)

q10 통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북한 경제교류협력 1 265 21.6 21.6

문화교류 및 인적 교류 2 270 22.0 22.0

이산가족 왕래 및 고향방문 3 219 17.8 17.8

군사적 신뢰 구축 4 342 27.8 27.8

남북정상회담 5 130 10.6 10.6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q11_1 북한관련상황의 위협정도1: 북한의 서해5도 도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 0 8 0.7 0.7

1 1 14 1.1 1.1

2 2 37 3.0 3.0

3 중간 3 132 10.7 10.7

4 4 211 17.2 17.2

5 5 358 29.1 29.1

6 매우 위협적 6 466 37.9 37.9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q11_2 북한관련상황의 위협정도2: 북한의 핵무기 개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 0 14 1.1 1.1

1 1 18 1.5 1.5

2 2 43 3.5 3.5

문 10. 귀하께서는 통일을 위해 우리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문 11. 다음 북한 관련 상황들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얼마나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십니 까?

1) 북한의 서해5도 도발

문 11. 다음 북한 관련 상황들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얼마나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십니 까?

2) 북한의 핵무기 개발

(7)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3 중간 3 152 12.4 12.4

4 4 189 15.4 15.4

5 5 265 21.6 21.6

6 매우 위협적 6 545 44.3 44.3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q11_3 북한관련상황의 위협정도3: 북한의 경제상황 악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 0 29 2.4 2.4

1 1 33 2.7 2.7

2 2 70 5.7 5.7

3 중간 3 275 22.4 22.4

4 4 324 26.4 26.4

5 5 289 23.5 23.5

6 매우 위협적 6 206 16.8 16.8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q11_4 북한관련상황의 위협정도4: 3대 세습에 따른 독재 강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 0 30 2.4 2.4

1 1 38 3.1 3.1

2 2 65 5.3 5.3

3 중간 3 232 18.9 18.9

4 4 294 23.9 23.9

5 5 305 24.8 24.8

6 매우 위협적 6 262 21.3 21.3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문 11. 다음 북한 관련 상황들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얼마나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십니 까?

3) 북한의 경제상황 악화

문 11. 다음 북한 관련 상황들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얼마나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십니 까?

4) 3대 세습에 따른 독재 강화

(8)

q12_1 남북군사갈등 완화방안 평가1: 대북 제재 강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도움이 안된다 0 70 5.7 5.7

1 1 73 5.9 5.9

2 2 118 9.6 9.6

3 중간 3 306 24.9 24.9

4 4 248 20.2 20.2

5 5 223 18.1 18.1

6 매우 도움이 된다 6 188 15.3 15.3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q12_2 남북군사갈등 완화방안 평가2: 서해 5도 군비 증강 등 서해 억지력 강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도움이 안된다 0 20 1.6 1.6

1 1 37 3.0 3.0

2 2 74 6.0 6.0

3 중간 3 245 19.9 19.9

4 4 308 25.1 25.1

5 5 269 21.9 21.9

6 매우 도움이 된다 6 273 22.2 22.2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문 12. 현 정부 들어 천안함, 연평도 사건 등 NLL(북방한계선) 주변 남북 군사 갈등이 발 생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방법들이 NLL(북방한계선) 주변 및 서해 긴장 완화를 위해 얼마 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 대북 제재 강화

문 12. 현 정부 들어 천안함, 연평도 사건 등 NLL(북방한계선) 주변 남북 군사 갈등이 발 생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방법들이 NLL(북방한계선) 주변 및 서해 긴장 완화를 위해 얼마 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2) 서해 5도 군비 증강 등 서해 억지抑止력 강화

(9)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q12_3 남북군사갈등 완화방안 평가3: 남북한 공동어로수역 설정 등 서해 평화구역 설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도움이 안된다 0 74 6.0 6.0

1 1 44 3.6 3.6

2 2 82 6.7 6.7

3 중간 3 292 23.8 23.8

4 4 259 21.1 21.1

5 5 280 22.8 22.8

6 매우 도움이 된다 6 195 15.9 15.9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q12_4 남북군사갈등 완화방안 평가4: 남북 정상회담을 통한 평화협정 체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도움이 안된다 0 36 2.9 2.9

1 1 30 2.4 2.4

2 2 68 5.5 5.5

3 중간 3 246 20.0 20.0

4 4 292 23.8 23.8

5 5 301 24.5 24.5

6 매우 도움이 된다 6 253 20.6 20.6

무응답 9 3 0.2 0.2

1,229

100.0 100.0

문 12. 현 정부 들어 천안함, 연평도 사건 등 NLL(북방한계선) 주변 남북 군사 갈등이 발 생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방법들이 NLL(북방한계선) 주변 및 서해 긴장 완화를 위해 얼마 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3) 남북한 공동어로수역 설정 등 서해 평화구역 설정

문 12. 현 정부 들어 천안함, 연평도 사건 등 NLL(북방한계선) 주변 남북 군사 갈등이 발 생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방법들이 NLL(북방한계선) 주변 및 서해 긴장 완화를 위해 얼마 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4) 남북 정상회담을 통한 평화협정 체결

(10)

q13 북핵문제와 경제협력연계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북핵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 한 뒤 경제 협

력을 논의해야 한다 1 495 40.3 40.3

북핵 문제에 대한 “협상을 재개”한 뒤 경제협

력을 논의해야 한다 2 452 36.8 36.8

먼저 경제 협력을 통해 남북관계를 개선한 뒤 북

핵 문제를 논의 해야 한다 3 278 22.6 22.6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q14 차기정부에서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필요하다 1 509 41.4 41.4

대체로 필요하다 2 558 45.4 45.4

별로 필요 없다 3 128 10.4 10.4

전혀 필요 없다 4 18 1.5 1.5

잘 모르겠다 5 12 1.0 1.0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q15 한반도 평화를 위해 주변국들의 협조 필요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필요하다 1 608 49.5 49.5

어느 정도 필요하다 2 555 45.2 45.2

별로 필요하지 않다 3 53 4.3 4.3

전혀 필요하지 않다 4 9 0.7 0.7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문 13. 이명박 정부는 '비핵 개방 3000', 즉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것을 전제로 경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와 경제 협력 연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문 14.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차기 정부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 까?

문 15. 귀하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한반도 주변국들의 협조가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십

니까?

(11)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q16_1 한반도 평화를 위해 중요한 국가1: 북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중요하지 않다 0 17 1.4 1.4

1 1 10 0.8 0.8

2 2 16 1.3 1.3

3 중간 3 71 5.8 5.8

4 4 95 7.7 7.7

5 5 247 20.1 20.1

6 매우 중요하다 6 769 62.6 62.6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q16_2 한반도 평화를 위해 중요한 국가2: 미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중요하지 않다 0 10 0.8 0.8

1 1 11 0.9 0.9

2 2 23 1.9 1.9

3 중간 3 110 9.0 9.0

4 4 241 19.6 19.6

5 5 404 32.9 32.9

6 매우 중요하다 6 426 34.7 34.7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q16_3 한반도 평화를 위해 중요한 국가3: 중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중요하지 않다 0 12 1.0 1.0

1 1 10 0.8 0.8

문 16.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음 국가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북한

문 16.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음 국가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미국

문 16.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음 국가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중국

(12)

3 중간 3 98 8.0 8.0

4 4 227 18.5 18.5

5 5 410 33.4 33.4

6 매우 중요하다 6 453 36.9 36.9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q16_4 한반도 평화를 위해 중요한 국가4: 일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중요하지 않다 0 59 4.8 4.8

1 1 55 4.5 4.5

2 2 100 8.1 8.1

3 중간 3 289 23.5 23.5

4 4 339 27.6 27.6

5 5 235 19.1 19.1

6 매우 중요하다 6 148 12.0 12.0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q16_5 한반도 평화를 위해 중요한 국가5: 러시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중요하지 않다 0 21 1.7 1.7

1 1 32 2.6 2.6

2 2 69 5.6 5.6

3 중간 3 232 18.9 18.9

4 4 347 28.2 28.2

5 5 318 25.9 25.9

6 매우 중요하다 6 206 16.8 16.8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문 16.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음 국가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일본

문 16.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음 국가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러시아

(13)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q16_6 한반도 평화를 위해 중요한 국가6: 대한민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전혀 중요하지 않다 0 1 0.1 0.1

1 1 5 0.4 0.4

2 2 4 0.3 0.3

3 중간 3 41 3.3 3.3

4 4 53 4.3 4.3

5 5 203 16.5 16.5

6 매우 중요하다 6 918 74.7 74.7

무응답 9 4 0.3 0.3

1,229

100.0 100.0

dq1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626 50.9 50.9

여 2 603 49.1 49.1

1,229

100.0 100.0

dq2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4 180 14.6 14.6

30대 5 245 19.9 19.9

40대 6 261 21.2 21.2

50대 7 274 22.3 22.3

60대 이상 8 269 21.9 21.9

1,229

100.0 100.0

dq3 응답자 거주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303 24.7 24.7

부산 2 84 6.8 6.8

인천 3 52 4.2 4.2

문 16.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음 국가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대한민국

(14)

광주 5 26 2.1 2.1

대전 6 36 2.9 2.9

울산 7 19 1.5 1.5

경기 8 307 25.0 25.0

강원 9 26 2.1 2.1

충북 10 33 2.7 2.7

충남 11 40 3.3 3.3

전북 12 50 4.1 4.1

전남 13 47 3.8 3.8

경북 14 66 5.4 5.4

경남 15 55 4.5 4.5

제주 16 7 0.6 0.6

기타(해외) 17 3 0.2 0.2

1,229

100.0 100.0

dq4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등학교재학 1 6 0.5 0.5

초등학교 졸업 2 30 2.4 2.4

중학교 재학 3 3 0.2 0.2

중학교 졸업 4 73 5.9 5.9

고등학교 재학 5 4 0.3 0.3

고등학교 졸업 6 477 38.8 38.8

대학(전문대) 재학 7 12 1.0 1.0

대학(전문대) 졸업 8 91 7.4 7.4

대학(4년제) 재학 9 90 7.3 7.3

대학(4년제) 졸업 10 333 27.1 27.1

대학원 석사 재학 11 7 0.6 0.6

대학원 석사 졸업 12 63 5.1 5.1

대학원 박사 재학 13 9 0.7 0.7

대학원 박사 졸업 14 13 1.1 1.1

기타 15 18 1.5 1.5

1,229

100.0 100.0

(15)

대북 현안에 관한 여론조사, 2012

dq5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원 1 243 19.8 19.8

자영업 2 117 9.5 9.5

대학생 6 85 6.9 6.9

대학원생 7 6 0.5 0.5

전업주부 8 237 19.3 19.3

공무원 9 22 1.8 1.8

교직자 10 37 3.0 3.0

전문직 11 47 3.8 3.8

의료인 12 7 0.6 0.6

법조인 13 2 0.2 0.2

종교인 14 12 1.0 1.0

언론인 15 2 0.2 0.2

농/축/수산/임업 16 32 2.6 2.6

금융/증권/보험 17 23 1.9 1.9

유통 18 6 0.5 0.5

정보통신 19 10 0.8 0.8

건설 20 16 1.3 1.3

제조 21 28 2.3 2.3

서비스 22 59 4.8 4.8

스포츠 23 1 0.1 0.1

군인 24 2 0.2 0.2

방송인 25 1 0.1 0.1

예술가 26 17 1.4 1.4

부동산 27 9 0.7 0.7

운송 28 11 0.9 0.9

일용직 29 25 2.0 2.0

무직 30 84 6.8 6.8

기타 31 88 7.2 7.2

1,229

100.0 100.0

(16)

dq6 월평균 개인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107 8.7 8.7

0~100만원 미만 1 370 30.1 30.1

100~200만원 미만 2 325 26.4 26.4

200~300만원 미만 3 216 17.6 17.6

300~400만원 미만 4 116 9.4 9.4

400~500만원 미만 5 48 3.9 3.9

500~600만원 미만 6 20 1.6 1.6

600~700만원 미만 7 11 0.9 0.9

700~800만원 미만 8 6 0.5 0.5

800만원 이상 9 10 0.8 0.8

1,229

100.0 100.0

dq7 월평균 가구소득_A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41 11.5 11.5

100-150만원 미만 100 112 9.1 9.1

150-200만원 미만 150 164 13.3 13.3

200-300만원 미만 200 300 24.4 24.4

300-500만원 미만 300 305 24.8 24.8

500-800만원 미만 500 168 13.7 13.7

800-1000만원 미만 800 23 1.9 1.9

1000만원 이상 1000 16 1.3 1.3

1,229

100.0 1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입찰에 참가하는 자가 입찰공고문, 현품설명서 등 발주서,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 이용약관 및 전자입찰유의서, 물품구매계약 일반조건, 청렴서약서 등 기타 입찰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숙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입찰자에게 있습니다.. 기타 공고문에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이와 관련하여 국가 지역주민 지역사회의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등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 , 활용하여 지역안전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생활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 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행정연구원에서는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지역안전공동체 구축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