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법제연구원 법령영역센터는 대한민국의 법령을 영어로 번역하여 1,900여건의 법률과 시행령을 「대한민국영문법령」 웹서비스(elaw.klri.re.kr)에 지속적으로 국문 법률에 맞는 현행성을 유지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RESEARCH REPORT
법령영역사업
대한민국 영문법령 웹서비스 수록법령
박세훈(한국법제연구원 법령영역센터 사업기획팀장)
최신영역법령
입양특례법
아동입양의 절차가 아동의 복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최선의 아동 보호는 출신가정과 출신국가 내에서 양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기본 패러다임으로 국가 입양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기에 법률의 제명을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서 「입양특례법」으로 변경하고, 국내외 입양 모두 법원의 허가를 받도록 하며, 친생부모에게 양육에 관한 충분한 상담 및 양육정보를 제공하는 등 부모의 직접 양육을 지원하고, 아동이 출생일부터 1주일이 지나고 나서 입양동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양자가 된 사람에게 자신에 대한 입양정보 접근권을 부여하고, 국내입양의 우선 추진 의무화 등을 규정함으로써 아동의 권익과 복지를 증진하고자 2011.08.04. 전부개정되어 「입양특례법」(법률 제11007호)을 시행하고 있으며 입양특례법은 최신법률인 제14890호를 서비스하고 있다.
「입양특례법」(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ADOPTION )은 제8장 총45조로 총칙(GENERAL PROVISIONS), 입양의 요건 및 효력(REQUIREMENTS FOR AND EFFECT OF ADOPTION), 입양기관 및 중앙입양원(ADOPTION AGENCIES AND KOREA ADOPTION SERVICES), 입양아동 등에 대한 복지 지원(SUPPORT FOR WELFARE OF ADOPTED CHILDREN, ETC.), 입양아동 등에 대한 정보의 공개(DISCLOSURE OF INFORMATION ON ADOPTED CHILDREN, ETC.), 보칙(SUPPLEMENTARY PROVISIONS), 벌칙(PENALTY PROVISION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여성기업의 활동과 여성의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경제영역에 있어 남녀의 실질적인 평등을 도모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을 제고하여 국민경제발전에 이바지하게 하기 위하고자 1999.02.05. 여성기업지원에관한법률(법률 제5818호) 제정되었으며, 2017.07.26.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ACT ON SUPPORT FOR FEMALE-OWNED BUSINESSES)은 총21조로 목적(Purpose), 정의(Definitions),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Responsibility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s), 차별적 관행의 시정(Correction of Discriminatory Practices), 여성기업활동 촉진에 관한 기본계획(Basic Plan for Facilitating Activities of Female-Owned Businesses), 여성의 창업지원 특례(Special Cases of Support for Women in Establishing Businesses), 공공기관의 우선 구매(Preferential Purchase by Public Institution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6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어업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의 발효(1994.11.16)에 따른 국제해양질서와 우리 주변수역의 어업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대한민국의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 어업자원을 능동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하여 외국인에 대한 어업활동을 규제하고자 1996.08.08. 제정되어 시행되었으며, 수산자원을 보호하고 우리 어업인의 안정적인 어업활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외국인이 배타적 경제수역 중 특정금지구역에서 어업활동을 하거나 해양수산부장관의 어업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특정금지구역이 아닌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어업활동을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자국(自國)의 어업허가를 받지 아니한 외국인이 우리나라의 특정금지구역에서 어업활동을 한 경우 등에는 해당 외국인이 소유한 어획물 등을 반드시 몰수하도록 하고자 2016.12.27. 일부개정되었으며 현재 2017.03.21.
타법개정된 내용을 포함한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어업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법률 제14605호)가 제정 공포되어 시행되고 있다.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어업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ACT ON THE EXERCISE OF SOVEREIGN RIGHTS ON FOREIGNERS’FISHING, ETC. WITH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은 총25조로 목적(Purpose), 정의(Definitions), 적용 범위 등(Scope of Application, etc.), 특정금지구역에서의 어업활동 금지(Prohibition of Fishery Activities in No Take Zones), 어업의 허가 등(License for Fisheries, etc.), 허가기준(Standards of License), 불법 어업활동 혐의 선박에 대한 정선명령(Order for Stoppage of Vessel Suspected of Illegal Fishery Activitie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기영역법령
식품위생법
식품위생법(FOOD SANITATION ACT /소관부처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은 급증하는 식품위해사고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식품 등의 안전관리에 소비자가 직접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정한 조건 하에 소비자가 직접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영업시설 등의 위생검사 등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위해사고의 즉각적인 대응을 위하여 위해식품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 판매금지 등 긴급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률이다.
1962.01.20. 제정되어 2017.03.28. 시행되는 법률의 영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영역서비스의 주요 내용으 로는 유 전자변형생물체를 원재료 로 사용하 여 제조ㆍ가 공한 유 전자 변형식품에 대해서는 원재료 사용함량 순위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모두 유전자변형식품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경매, 압류재산의 매각 등의 절차에 따라 영업 시설의 전부를 인수하는 자는 그 영업자의 지위를 승계하도록 하며,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인증을 받은 업체 중 일정 요건을 만족하는 업체에 대하여 자가품질검사제도 의무를 면제하여 이중적 규제를 완화하며, 식품업체들의 HACCP 인증 참여를 유인하여 HACCP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외에도 공무원이나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이 영업소를 출입하여 식품위생관리업무를 수행할 때 조사기관, 조사범위 등이 기재된 서류를 제시하도록 하여 관리ㆍ감독 대상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합리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서비스 하고 있다. 소비자의 권리 보호를 신장하는 활용도가 높은 영문서비스라 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
개인정보 보호법(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소관부처 :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은 정보사회의 고도화와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 증대로 사회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정보의 수집과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나, 국가사회 전반을 규율하는 개인정보 보호원칙과 개인정보 처리기준이 마련되지 못해 개인정보 보호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최근 개인정보의 유출·오용·남용 등 개인정보 침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국민의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명의도용, 전화사기 등 정신적·금전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 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망라하여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개인정보 처리원칙 등을 규정하고, 개인정보 침해로 인한 국민의 피해 구제를 강화하여 국민의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하며,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하기 위한 법률이다. 2011.03.29. 제정하여 개정이후 2017.03.30. 시행법률까지 개정된 연혁법률에 대한 영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영역서비스의 주요 내용으로는 개인정보처리자가 민감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의무화하고, 행정안전부장관은 고유식별정보를 처리하는 개인정보처리자가 안전성 확보 조치를 하였는지 정기적으로 조사하도록 하는 등 개인정보 처리 시 안전성 확보를 강화하고 주민등록번호를
57
Vol. 57 - Winter 2017
RESEARCH REPORT
수집할 수 있는 법령의 범위를 법률ㆍ대통령령ㆍ국회규칙ㆍ대법원규칙ㆍ헌법재판소규칙ㆍ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 및 감사원규칙으로 한정하고, 해당 법률 등의 제ㆍ개정 현황을 개인정보 보호 연차보고서에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주민등록번호의 사용을 보다 엄격히 관리ㆍ통제하도록하여 실질적인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을 강화하는 영문서비스로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주세법
주세법(LIQUOR TAX ACT /소관부처 :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은 세계무역기구(WTO)의 권고에 따라 주세율체계를 국제규범에 합치되도록 개편하고 다양한 주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류의 제조방법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는 한편, 주류업단체의 설립 및 가입제한을 폐지하고 주세환급의 범위를 확대하는 등 주류행정과 관련한 규제를 완화하여 납세자의 편의를 제고하기위해 1949.10.21. 제정되었다가 1999.12.28. 전부개정되어 2016.03.28. 시행 법률까지 개정된 연혁법률에 대한 영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영역서비스의 주요 내용으로는 주류 제조ㆍ판매 면허에 대한 조건을 정하는 경우에 그 이유를 명시하고 주세 보전상 해당 조건이 불필요하게 되면 철회하도록 함으로써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한편, 현재 월별로 주세를 신고ㆍ납부하는 것을 분기별로 신고ㆍ납부하도록 함으로써 납세편의를 제고하는 등의 개정(법률 제11718호)의 내용을 포함하고, 형식적인 위원회 제도 유지에 따른 행정 및 예산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류판정심의위원회 규정을 삭제하고 또한, 「민법」이 개정(법률 제10429호, 2011. 3. 7. 공포, 2013. 7. 1. 시행) 되어 금치산 및 한정치산 제도가 폐지되고 성년후견, 한정후견 등의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어 주류 제조면허 및 주류 판매업면허 제한과 관련한 규정을 정비하는 내용(법률 제14051호)을 반영하여 영문서비스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법령 영문번역의 기본지침」의 법령번역 기준에 대하여 소개한다.
⁂ 실체 규정(Substantive Provisions) 법령 번역의 세부 기준
* 위원회(Commission; Committee)
위원회는 의사결정 과정에 여러 사람이 참여하여 표결의 방법에 따라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합의제 기관을 말한다. 합의제 행정기관인 위원회와 합의제 행정기관이 아닌 위원회로 구분된다.
1) 위원회의 종류
가) 합의제 행정기관인 위원회(Commission)
국가의 의사를 결정하고 대외적으로 이를 표시하는 권한이 있는 위원회로서 독립적인 행정기관으로서의 지위를 가지며,
‘commission’으로 번역한다.
허가의 신청이란 허가를 받으려는 자가 허가권자에게 허가를 신청하는 행위를 말하며,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제3조(금융위원회의 설치 및 지위) ① 금융정책, 외국환업무취급기관의 건전성 감독 및 금융감독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국무총리소속으로 금융위원회를 둔다.
② 금융위원회는 「정부조직법」 제2조에 따른 중앙행정기관으로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Article 3 (Establishment and Status of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1)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shall be established to perform duties concerning financial policy, supervision of the soundness of foreign exchange business management institutions, and financial supervision,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Prime Minister.
(2)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s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established under Article 2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shall perform duties under its authority independently.
나) 합의제 행정기관이 아닌 위원회(Committee)
행정관청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부속 기관으로서의 지위를 가지는 위원회로서 주로 자문·심의·조정 등의 기능을 담당하며, ‘committee’로 번역한다.
제10조(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① 법 제9조의2제7항에 따른 운영위원회(이하 “운영위원회”라 한다)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30 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58
Article 10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Operating Committee) (1) The Operating Committee established under Article 9-2 (7) of the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perating Committee”), shall be comprised of not more than 30 members, including one Chairperson.
2) 위원회의 구성 가) 위원의 구성 및 임명
위원의 역할에 따라 위원장(chairperson), 부위원장(vice-chairperson) 및 그 밖의 위원(member/commissioner)으로 구분하거나, 상임 여부에 따라 상임위원(standing member/commissioner), 비상임위원(non-standing member/
commissioner) 으로 구분한다.
제37조(공정거래위원회의 구성등) ① 공정거래위원회는 위원장 1인 및 부위원장 1인을 포함한 9인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그중 4 인은 비상임위원으로 한다.
② 공정거래위원회의 상임위원과 비상임위원(이하 “위원”이라 한다)은 독점규제 및 공정 거래 또는 소비자분야에 경험 또는 전문 지식이 있는 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중에서,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기타 위원은 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이 경우 위원장은 국회의 인사청문을 거쳐야 한다.
Article 37 (Composition, etc.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1) The Fair Trade Commission shall be comprised of nine commissioners, including a Chairperson and a Vice-Chairperson, and four commissioners of them shall be non-standing members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2) The standing and non-standing commissioners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missioners”) shall be appointed or commissioned by the President from among the following persons who have experience or knowledge specialized in the field of monopoly regulation, fair trade, or consumerism: the Chairperson and Vice-Chairperson shall be appointed upon the recommendation of the Prime Minister; and the other commissioners shall be appointed or commissioned upon the recommendation of the Chairperson. In such cases, the Chairperson shall undergo a hearing held by the National Assembly.
나) 위원의 임기
제39조(위원의 임기)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원장, 부위원장 및 다른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1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Article 39 (Term of Office of Commissioners) The term of office of the Chairperson, Vice-Chairperson, and commissioners shall be three years, and may be consecutively renewed only once.
3) 위원회의 운영
가) 위원회의 소집 및 의사정족수
위원회의 의결(resolution)에 필요한 회의의 소집권자 및 의사 및 의결정족수(quorum)에 관한 규정은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제1조의6(회의) ① 위원장은 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開議) 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Article 1-6 (Meetings) (1) The Chairperson shall convene and preside over meetings of the Committee. (2) A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shall constitute a quorum, and any decision thereof shall require the concurring vote of at least a majority of those present.
나) 회의 운영 방법
회의 운영 방법은 회의 개최일의 통보, 출석 회의의 원칙, 이해관계인의 참여 등에 대한 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제9조(위원회의 운영) ① 행정기관의 장은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회의 일정과 안건 등을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② 위원회는 안건의 내용이 경미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원이 출석하는 회의(화상회의를 포함한다) 로 개최하여야 한다. ③ 위원회는 회의 안건과 관련된 이해관계인이 있는 경우 그 의견을 듣거나 회의에 참석하게 할 수 있다.
Article 9 (Operation of Committees) (1) The head of an administrative agency shall notify the committee members of the meeting schedule, agenda, etc. by seven days before he/she holds a meeting.
(2) Except in case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such as cases where the details of the agenda are insignificant, a committee shall be held by a meeting attended by the members thereof (including a video conference).
(3) Where there exists an interested party related to the agenda of a meeting, a committee may hear his/her opinion or require him/her to attend the relevant meeting.
59
Vol. 57 - Wint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