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덕유산국립공원 내 스키슬로프의 식물상 및 생활형의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덕유산국립공원 내 스키슬로프의 식물상 및 생활형의 변화"

Copied!
16
0
0

Teks penuh

(1)

덕유산국립공원 내 스키슬로프의 식물상 및 생활형의 변화

두하은·박여빈*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A Study on the Changes of Flora and Life forms at the Ski slopes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Ha-Eun Doo and Yeo-Bin Park*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Korea

요 약

: 1997

년 국제 유니버시아드 대회유치를 위한 스키슬로프 건설로 덕유산은 표고

1,500m

이상까지 식생의 파괴가 이루어졌다

.

본 연구 대상지는 대회이후

20

여년이지난 스키슬로프로써 자연천이가진행되고 있으며원상 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대상지 가장자리의 기존 산림식생의 구성종들로 식생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

따라서 현재 스키슬로프에분포하는 식물상 및 생활형을 분석한 후 생태적 특성과 변화를 파악하여 식생의 건강성

,

식생천이

,

식생복원의경향

,

식생조성방안및관리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

주요어

:

덕유산

,

국립공원

,

스키슬로프

,

식물상

,

생활형

Abstract : The destruction of vegetation was happened in Deogyusan national park altitude over 1500m due to construction of ski-slope to attract the international universiade in 1997. This study site is now on vegetation succession after international universiade over 20 years. In order to recover to its original state, vegetation change should be induced by the constituents of existing forest vegetation at the edge of the site. Therefore, we analyze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after analyzing flora and lifeform distributed on ski slope,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vegetation health, vegetation transition, vegetation restoration trend, vegetation composition plan and management.

Key words : Deogyu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ski-slope, flora, lifeform

서 론

우리나라에 지정된 22개의 국립공원 중 덕유산 국립공원 은 1975년에 10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주 봉인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총면적 231,650 km2에 이른다.

식물구계학적위치로는한반도남부아구

(Lee and Yim 1978),

식물군계로는 냉온대중부에 속하며

(Yim and Kira 1976)

동 북방향으로는 민주지산(1,241m), 지리산(1,951m) 및 무등산

(1,187m)으로

이어진 소백산맥의 한자락인 덕유산 일대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연결하는 통로로 생물지리학적 중요 성이 매우 큰 지역이다(박병상과 백남극 1994). 덕유산국립

공원은해발

1,500m

이상의아고산지대로 뛰어난자연경관

을 보유하고 있어생태학적으로 중요한 핵심지역이나 덕유

산의주 봉인향적봉과 설천봉 일대는

1997

년 국제 유니버

시아드 대회유치를위한 대규모스키슬로프 건설에 의하여 식생의 파괴가 이루어졌다. 또한 덕유산 정상인 향적봉을 향하여 북사면에 분포하고 있는 들메나무군락은 우리나라에 서 드물게 보는 큰 규모이고 군락의 구조와 발달 정도가 훌 륭하다. 그런데 이들의 많은 부분이 완전 벌채되고 군락지 바로그 자리가 스키슬로프를 조성하여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으면서 스키슬로프 내 인위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덕유산 의 본래의 식물상 및 생육환경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스키슬로프내 식물의 생육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스키슬로프내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은 주요 환 경요소 등의 상호작용 또는 공존하는 식물들간의 직접적인 기능의경쟁 등을나타내기때문에스키슬로프와 같은다양 한 생육공간이 만들어진 곳에서는 각각의 생육공간에적응 하여 정착하는 특정생활형의 식물이 우점하게 된다

.

이러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한 식물의 생활형분포비율을 조사함으로써 식물군락에서 종조성 뿐만아니라 환경요소에대한 군집의 반응또는공 간의 사용, 군락 내에서의 가능한 경쟁관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활형은 생육형, 영아의 특징여부, 휴면아의 위치 그리고 생활형의 계절현상의 일부 또는 전부 를 포함한다(Mueller-Dombois and Ellenberg 1974).

본연구대상지는

1997

년 동계

U

대회이후

20

여년이지난

스키슬로프로써자연천이가 진행되고있으며원상태로복원 하기 위해서는 대상지 가장자리의 기존 산림식생의 구성종 들로 식생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스키슬로프에 분포하는 식물상 및 생활형을 분석한 후 생태적 특성과 변 화를 파악하여 식생의 건강성, 식생천이, 식생복원의 경향, 식생조성방안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덕유산(127o

41' ~127

o

50'E와 35

o

45'~36

o

00'N)은

태백산맥 에서 서남방향으로 갈라진 소백산맥의 소백산

(

해발고도

1,421m)

과 지리산

(

해발고도

1,915m)

의중간에 위치하며

,

전 라북도 무주군 안성면과 설천면이 동서로, 남쪽으로는 장수 군과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에 경계를 이루고 있다. 향적 봉(해발고도 1,614m)을 주봉으로 하여 북서쪽으로 두문산

(해발고도 1,052m)과

적상산(해발고도 1,029m), 남서쪽으로

덕유산

(

해발고도

1,594m),

무룡산

(

해발고도

1,491m),

삿갓봉

(

해발고도

1,420m),

남덕유산

(

해발고도

1,507m)

으로 이어지 고있다

.

산정에서남북방향으로뻗은약

2 km

의능선은비 교적 평탄하나 능선의 서사면은 30o 이상의 급경사를 이루 고 있고 동사면은 20o

미만에 지나지 않으며

산정 가까이에 서도 샘이 솟아난다. 향적봉의 동쪽에는 백련사가 있고 하 류는 구천동 계곡, 남쪽은 칠연계곡을 이루고 있으며 인접

한 지역에 민주지산

(

해발고도

1,242m),

대덕산

(

해발고도

1,290m),

가야산

(

해발고도

1,430m),

장안산

(

해발고도

1,237m)

등이 있다. 이 지역 일대는 덕유산 향적봉의 표고가 1,614m, 무주읍 내도리 금강변의 표고는 160m로서 약 1,500m 고도 차가 있다(김창환 1991). 연구 대상지는 덕유산 국립공원 무 주리조트 내 스키슬로프와 미사용스키슬로프 일대로 하였다

(Figure 1).

2. 연구 방법

본 조사지역의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무주리조트 내 미사 용스키슬로프와 사용스키슬로프(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 와 3-5년 주기로 관리되는 사용슬로프)를 조사하였다. 2018 년 5월(5월 17일)에서, 6월(6월 21일), 7월(7월 25일), 8월(8 월

16

, 8

30

), 9

(9

12

)

까지

6

회 현지조사를통 해 확인된 모든 관속식물의 출현종을 기록하고 일부 종은 사진촬영 및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미확인 식물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동정하였다. 식물의 분류와 동정은 이창복(2003)의 대한식물도감, 이영노(1996)의 한국식물도감 그리고 이우철

(1996)의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들을 참조하였다. 생활형 분

석은

Raunkiaer(1934)

의 생활형을 구체화시킨

Numata(1975)

식을사용하여 구분집계하였다

(

이우철

1996b).

Figure 1. Location of survey areas at ski-slope in Deogyusan national park.

Table 1. The classification class of used ski-slope managed annually.

Taxa

System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7 8 6 0 2 0 8

Gymnospermae 2 5 7 0 0 0 7

Angiospermae 49 135 159 1 31 3 194

Monocotyledon 7 35 37 0 7 0 44

Dicotyledons 42 100 122 1 24 3 150

Total 58 148 172 1 33 3 209

(3)

결과 및 고찰

1. 덕유산 스키슬로프 별 식물상

매년 관리되고 있는 사용슬로프에서 조사된 전체 관속식 물은 58과 148속 172종 1아종 33변종 3품종으로 총 209종 류가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한국산 관속식물

4,191

종류

(Nakai, 1952)

4.99%

에 해당된다

(Table 1).

조사된 관속식 물을살펴보면양치식물이전체의

3.83%,

나자식물이

3.35%,

피자식물이 92.82%를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이 피자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3-5

년 주기로 관리되고 있는 사용슬로프에서 조사된 전체 관속식물은

56

115

131

23

변종

2

품종으로 총

156

종 류가조사되었으며이것은한국산관속식물

4,191

종류

(Nakai, 1952)

5.89%

에 해당된다

(Table 2).

조사된 관속식물을 살 펴보면 양치식물이 전체의 4.45%, 나자식물이 3.24%, 피자 식물이 92.31%를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이 피자식물로 구성 되어 있다.

미사용슬로프에서 조사된 전체 관속식물은 64과 168속

201

1

아종

41

변종

4

품종으로총

247

종류가조사되었으며 Table 2. The classification class of used ski-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Taxa

System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7 8 6 0 2 0 8

Gymnospermae 2 5 7 0 0 0 7

Angiospermae 47 102 118 0 21 2 141

Monocotyledon 7 27 26 0 5 0 31

Dicotyledons 40 75 92 0 16 2 110

Total 56 115 131 0 23 2 156

Table 3. The classification class of used ski-slope managed in unused ski-slope.

Taxa

System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6 9 9 0 2 0 11

Gymnospermae 2 5 8 0 0 0 8

Angiospermae 56 154 184 1 39 4 228

Monocotyledon 8 38 45 0 7 0 52

Dicotyledons 48 116 139 1 32 4 176

Total 64 168 201 1 41 4 247

Figure 2. comparison graph of 2015 and 2018 species number.

Table 4. Invasive species and Disappearing species of used ski- slope managed annually.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55)

Disappearing species (1)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석송과 석송

면마과 뱀고사리

소나무과 전나무

벼과 조릿대

  금강아지풀

  참억새

사초과 산거울

  삿갓사초

백합과 비비추

  원추리

  산부추

  무릇

  비짜루

  청미래덩굴

붓꽃과 각시붓꽃

난초과 타래난초

자작나무과 서어나무

쐐기풀과 개모시풀

마디풀과 산여뀌

석류풀과 석류풀

석죽과 동자꽃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

범의귀과 물참대

  산수국

장미과 산딸기

  오이풀

콩과 비수리

  칡

  돌콩

  붉은토끼풀

  토끼풀

대극과 광대싸리

옻나무과 붉나무

노박덩굴과 노박덩굴

단풍과 고로쇠나무

  시닥나무

  복장나무

제비꽃과 둥근털제비꽃

진달래과 철쭉

물푸레나무과 쇠물푸레

꿀풀과 산박하

현삼과 마주송이풀

마타리과 뚝갈

국화과 금불초

  돼지풀

  벌개미취

  곰취

  사철쑥

  쑥

  원추천인국

  엉겅퀴

  정영엉겅퀴

  수리취

  조뱅이

  서양민들레

  조밥나물      

Invasive species: Newly confirmed species in 2018 year

Disappearing species : A species confirmed in 2015 but not identified

in 2018

(4)

이것은 한국산관속식물

4,191

종류

(Nakai, 1952)

5.89%

해당된다

(Table 3).

조사된관속식물을 살펴보면양치식물이

전체의 4.45%, 나자식물이 3.24%, 피자식물이 92.31%를 차 지하고 있어 대부분이 피자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 2

는 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 3-5년 주기로 관리

되는 사용슬로프, 미사용슬로프 및 무주리조트의 식물 종수 를 나타낸그래프이다

.

양시인

(2016)

에 따르면전체 무주리 조트 식물상은

88

245

종 총

386

종류로 나타났으며

2015

년의 조사결과에 비해 2018년 조사에서 매년 관리되는 사용 슬로프에서는 147종, 3-5년에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에서는

19종,

미사용 스키슬로프에서는 26종류가 증가하였다.

2.

덕유산 스키슬로프별 3년간(2015~2018) 종의 침입과 소멸

매년관리되고 있는사용슬로프의

2015

(

양시인

2016)

에 Table 5. Invasive species and Disappearing species of used ski- 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65)

Disappearing species (84)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석송과 석송

면마과 개면마

  뱀고사리

주목과 개비자나무

소나무과 전나무

  구상나무

  일본잎갈나무

측백나무과 노간주나무

벼과 조릿대

  개밀

  자주개밀

  김의털

  큰김의털

  달뿌리풀

  왕바랭이

  잔디

  강아지풀

  바랭이

  참억새

  개솔새

  솔새

  쇠치기풀

사초과 지리대사초

천남성과 천남성

  애기앉은부채

백합과 비비추

  원추리

  산부추

  무릇

  비짜루

  청미래덩굴

붓꽃과 각시붓꽃

난초과 은대난초

버드나무과 키버들

자작나무과 사스래나무

  개암나무

Table 5. Continued.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65)

Disappearing species (84)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참나무과 졸참나무

뽕나무과 산뽕나무

쐐기풀과 큰물통이

  개모시풀

마디풀과 애기수영

  며느리배꼽

  며느리밑씻개

  고마리

  미꾸리낚시

  큰개여뀌

  여뀌

  마디풀

명아주과 명아주

비름과 쇠무릎

자리공과 미국자리공

석류풀과 석류풀

쇠비름과 쇠비름

석죽과 벼룩이자리

  큰개별꽃

  점나도나물

  패랭이꽃

미나리아재비과꿩의다리

  산꿩의다리

  진범

  투구꽃

  승마

  동의나물

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

목련과 오미자

녹나무과 생강나무

양귀비과 애기똥풀 십자화과 싸리냉이

  황새냉이

  냉이

돌나물과 기린초

범의귀과 괭이눈

  물참대

  털고광나무

  산수국

장미과 참조팝나무

  국수나무

  뱀딸기

  돌양지꽃

  큰뱀무

  산딸기

  오이풀

  산오이풀

  짚신나물

  산벚나무

  아그배나무

  산돌배

  마가목

  팥배나무

콩과 자귀나무

  조록싸리

  비수리

  매듭풀

(5)

2018

년 조사에서나타난종의변화를살펴본 결과침입 종은석송

,

뱀고사리

,

산거울 등

55

종이조사되었고 소멸종 은 수리취 1종이 조사되었다.

3-5년

주기로 관리되고 있는 사용슬로프의 2015년(양시인

2016)에서 2018년

조사에서 나타난 종의 변화를 살펴 본 결

과 침입종은 초본 59종, 목본 6종으로 총 65종이 조사되었고 소멸종은초본

39

종목본

45

종으로총

84

종이조사되었다

.

미사용슬로프의

2015

(

양시인

2016)

에서

2018

년 조사에 서 나타난 종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침입종은 초본 50종, 목본 21종으로 총 71종이 조사되었고 소멸종은 초본 53종, 목본 7종 총 60종이 조사되었다.

Table 6. Invasive species and Disappearing species of used ski- slope managed in unused ski-slope.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71)

Disappearing species (60)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석송과 석송

면마과 개면마

  그늘개고사리

소나무과 구상나무

벼과 호밀풀

  포아풀

  금강아지풀

  주름조개풀

  개솔새

  솔새

  쇠치기풀

사초과 산사초

  산거울

  삿 갓사초

  방울고랭이

  쇠방동사니

백합과 산부추

  무릇

  은방울꽃

난초과 타래난초

버드나무과 선버들

  키버들

느릅나무과 참느릅나무

  혹느릅나무

쐐기풀과 개모시풀

마디풀과 참소리쟁이

  여뀌

비름과 비름

  쇠무릎

쇠비름과 쇠비름

석죽과 개미자리

  큰개별꽃

  점나도나물

  벼룩나물

미나리아재비과할미밀망

  사위질빵

  산꿩의다리

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

Table 5. Continued.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65)

Disappearing species (84)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큰도둑놈의갈고리

  칡

  새콩

  땅비싸리

괭이밥과 괭이밥

운향과 산초나무

대극과 광대싸리

옻나무과 붉나무

단풍과 신나무

  고로쇠나무

  시닥나무

  복장나무

포도과 담쟁이덩굴

다래나무과 개다래

제비꽃과 둥근털제비꽃

  고깔제비꽃

박쥐나무과 박쥐나무

두릅나무과 음나무

  두릅나무

산형과 바디나물

앵초과 큰까치수영

  봄맞이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

때죽나무과 쪽동백나무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

  쇠물푸레

메꽃과 실새삼

마편초과 작살나무

꿀풀과 꿀풀

  산박하

현삼과 큰개불알풀

  마주송이풀

인동과 딱총나무

  덜꿩나무

  백당나무

  병꽃나무

  인동

마타리과 마타리

국화과 단풍취

  돼지풀

  미역취

  벌개미취

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

머위

곰취

제비쑥

넓은잎외잎쑥

그늘쑥

엉겅퀴

정영엉겅퀴

이고들빼기

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Invasive species: Newly confirmed species in 2018 year

Disappearing species: A species confirmed in 2015 but not identified

in 2018

(6)

스키슬로프의침입종과소멸종조사결과미사용스키슬로 프 주변 사용 중인 슬로프의 경우 덕유산의 식물상 및 식생 의 전형성 및 건강성을 위협하고 있는 침입종이 상당히 많 은 개체수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미사 용 스키슬로프의 위치

,

지형

,

미세기후 등을고려하여식생 의 건강성을 판단해 볼 때 대부분의 식생은 자연성이 크게 Table 6. Continued.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71)

Disappearing species (60)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십자화과 싸리냉이

  장대나물

장미과 조팝나무

  참조팝나무

  큰뱀무

  산딸기

  곰딸기

  오이풀

  마가목

콩과 풀싸리

  매듭풀

  큰도둑놈의갈고리

  도둑놈의갈고리

  자귀풀

  칡

  돌콩

  땅비싸리

  붉은토끼풀

단풍과 고로쇠나무

  시닥나무

  복장나무

포도과 담쟁이덩굴

다래나무과 다래

제비꽃과 둥근털제비꽃

  고깔제비꽃

바늘꽃과 바늘꽃

두릅나무과 음나무

  두릅나무

산형과 개사상자

  바디나물

진달래과 정금나무

앵초과 좁쌀풀

  봄맞이

때죽나무과 쪽동백나무 물푸레나무과 쇠물푸레

  개회나무

메꽃과 실새삼

지치과 꽃마리

마편초과 작살나무

  누리장나무

꿀풀과 배초향

  꿀풀

  익모초

  광대나물

  쉽싸리

  탑꽃

  방아풀

  산박하

현삼과 주름잎

  선개불알풀

  큰개불알풀

  마주송이풀

Familly name Species name

Invasive species (71)

Disappearing species (60) Herb Woody

plant Herb Woody plant

꼭두선이과 계요등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인동과 인동

마타리과 마타리

  뚝갈

숫잔대과 수염가래꽃

국화과 담배풀

  여우오줌

  단풍취

  미역취

  미국미역취

  벌개미취

  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

  망초

  머위

  곰취

  톱풀

  산국

  사철쑥

  맑은대쑥

  뺑쑥

  넓은잎외잎쑥

  멸가치

  진득찰

  원추천인국

  미국가막사리

  엉겅퀴

  정영엉겅퀴

  지칭개

  조뱅이

  조밥나물

  벋음씀바귀

  벌씀바귀

  씀바귀

  선씀바귀

  방가지똥

  뽀리뱅이

  까치고들빼기      

Invasive species: Newly confirmed species in 2018 year

Disappearing species: A species confirmed in 2015 but not identified in 2018

Table 6. Continued.

(7)

유지되면서천이가진행되고 있으며

,

천이의진행정도는산 림식생 천이의 초기 및 중기 식생천이의 종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3. 덕유산 스키슬로프별 생활형

Table 7

은 매년관리되는 사용슬로프

, Table 8

3-5

년주 기로관리되는 사용슬로프

, Table 9

는 미사용슬로프의각각 휴면형, 지하기관형, 산포기관형, 생육형을 나타낸 것이다.

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의 출현 식물 휴면형(Dormancy

form)은

반지중식물(H)이 33.0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 났다. 그 다음으로 중대형지상식물(M, MM) 18.18%, 지중식

(G) 15.31%

순으로분포하고 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

번식형을 살펴보면 지하기관형

(Radicoid form)

은 지하나

지상에 연결체를 전혀 만들지 않는단립식물

(R

5

)

의 비율이

55.02%로

가장 많았으며, R3이 22.97%, R2,3은 5.74%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번식형 중 종자나 과실의 산포를 유형 화한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중력산포형(D4

) 50.24%,

풍수산포형

(D

1

) 27.27%

등의순으로분포하고있었다

.

또한이지역 식물의생육형

(Growth form)

을보면 직립형

(e)

39.71%

로 가장많은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

총생형

(t)은 15.31%, 로제트직립형(ps)은 8.13% 등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3-5년

주기로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의 출현 식물 휴면형

(Dormancy form)

은 중대형지상식물

(M,MM) 31.41%

로 가장 높은비율로나타났다

.

그다음으로반지중식물

(H) 28.85%,

지중식물

(G) 15.38%

순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Table 7. Life form of used ski-slope managed annually (2018).

Dormancy form

(%)

Ch G H HH M(MM) N Th

3.83 15.31 33.01 1.44 18.18 10.53 17.70

Radicoid form

(%)

R

(o)

R

(s)

R

1,2

R

2,3

R

3

R

3(b)

R

3(s)

R

3(v)

R

4

R

5

R

5(b)

R

5(s)

1.44 0.96 1.44 5.74 22.97 0.96 1.91 3.35 4.78 55.02 0.48 0.96

Disseminule form

*

(%)

D

1

D

1,4

D

2

D

2,4

D

3

D

4

D

4,1

D

4,2

D

5

27.27 0.96 8.61 3.83 6.70 50.24 1.44 0.48 0.48 Growth form

**

(%)

b b,e b-l b-p b-ps e e,b l l-b p p-b p-l p-ps pr ps ps-b r t t-p

4.31 0.48 0.48 0.48 1.91 39.71 3.35 3.35 1.44 0.96 0.48 0.48 1.44 8.13 11.00 0.48 5.74 15.31 0.48

Th: therophyte (summer annual), Th

(w)

: therophyte (winter annual), G: geophyte, H: hemicryptophyte, Ch: chamaephyte, M: microphanerophyte, N: nanophanerophyte, MM: megaphanerophyte, HH

(Th)

: therophytic aquatic plant, HH: helophyte and hydrophyte (perennial), HH

(n)

: floating hydrophyte (natantia)

R

1

: widest extent of rhizomatous growth, R

2

: moderate extent of rhizomatous growth, R

3

: narrowest extent of rhizomatous growth, R

4

: clonal growth by stolons and struck roots, R

5

: non-clonal growth (monophyte), R

(t)

: tuber, R

(o)

: oblique type, R

(v)

: vertical type, R

(s)

: succulent type

* D

1

: disseminated widely by wind or water, D

2

: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D

3

:disseminated by mechanical propulsion of dehiscence of fruits, D

4

: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D

5

: not producing seeds, D

1,4

, D

2,4

or D

4,1

: plant with dissemimule forms of both D

1

and D

4

, D

2

and D

4

, or D

4

and D

1

**b: branched form, e: erect form, p: procumbent form, pr: partial-rosette form, ps: pseudo-rosette form, r: rosette form, t: tussock form, l: liane form, e,b: erect or branched form, b-l: b form with liane stem, b-p: b form with procumbent stem, b-ps: b form with pseudo-rosette, p-b: p form with branched stem, ps-b: ps form with branched stem

Table 8. Life form of used ski-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2018).

Dormancy form

(%)

Ch G H HH M(MM) N Th

2.56 15.38 28.85 0.64 31.41 15.38 5.77

Radicoid form

(%)

R

(o)

R

1,2

R

2,3

R

3

R

3(v)

R

4

R

5

3.23 1.61 9.68 20.97 1.61 6.45 56.45 Disseminule form

*

(%)

D

1

D

1,4

D

2

D

2,4

D

3

D

4

D

4,1

27.42 1.61 8.06 1.61 8.06 51.61 1.61 Growth form

**

(%)

b b,e e e,b l-b p-ps pr ps r t t-p

3.23 1.61 43.55 3.23 1.61 3.23 11.29 11.29 4.84 14.52 1.61

† ‡ * **

Legend is the same as table 7

(8)

었다

.

번식형을 살펴보면 지하기관형

(Radicoid form)

은 지하나 지상에 연결체를 전혀 만들지 않는 단립식물(R5

)의

비율이

56.45%로

가장 많았으며, R3이 20.97%, R2,3은 9.68%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번식형 중 종자나 과실의 산포를 유형 화한산포기관형

(Disseminule form)

은중력산포형

(D

4

) 51.61%,

풍수산포형

(D

1

) 27.42%

등의순으로분포하고 있었다

.

또한이 지역식물의생육형

(Growth form)

을보면직립형

(e)이 43.5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생

형(t)은 14.52%, 로제트직립형(ps)과 일시적로제트(pr)가 8.13%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미사용슬로프의 출현 식물 휴면형(Dormancy form)은 반 지중식물

(H)

27.13%

로가장 높은비율로나타났다

.

그다

음으로 중대형지상식물

(M, MM)

25.10%

지중식물

(G)

16.19%

순으로분포하고 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

번식형을 살펴보면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지하나 지상에 연결체를 전혀 만들지 않는 단립식물(R5

)의

비율이

55.87%로

가장 많았으며, R3이 21.05%, R2,3은 8.50% 등의 순으로조사되었다

.

번식형 중 종자나 과실의 산포를 유형 화한산포기관형

(Disseminule form)

은중력산포형

(D

4

) 45.34%,

풍수산포형

(D

1

) 25.51%

등의순으로분포하고있었다

.

또한 이 지역 식물의 생육형(Growth form)을 보면 직립형

(e)이 48.58%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생

형(t)은 15.38%, 로제트직립형(ps) 8.50% 등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Figure 3

은 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의

2015

년 휴면형

Table 9. Life form of unused ski-slope (2018).

Dormancy form

(%)

Ch G H HH M(MM) N Th

4.05 16.19 27.13 5.26 25.10 11.74 10.53

Radicoid form

(%)

R

(o)

R

(s)

R

(v)

R

1,2

R

2,3

R

2-3

R

3

R

3(b)

R

3(s)

R

3(v)

R

4

R

5

R

5(c)

R

5(s)

1.21 0.81 0.40 1.21 8.50 0.81 21.05 0.81 2.02 2.43 3.64 55.87 0.40 0.81

Disseminule form

*

(%)

D

1

D

1,2

D

1,4

D

2

D

2,4

D

3

D

4

D

4,1

D

5

25.51 0.40 4.05 13.36 4.05 5.26 45.34 1.21 0.81 Growth form

**

(%)

b b-l b-p b-ps e e,b l l-b p p-b p-l p-ps pr ps ps-b r t t,e

2.43 0.81 1.62 1.62 48.58 1.62 4.45 1.21 0.40 0.40 0.81 0.81 6.07 8.50 0.40 4.45 15.38 0.40

† ‡ * **

Legend is the same as table 7

Figure 3. Dormancy form comparison between 2015 and 2018 of used ski-slope managed annually.

Figure 4. Dormancy form comparison between 2015 and 2018 of used ski-slope managed 3-5 year intervals.

(9)

(양시인 2016)

과 현지 조사된 2018년의 휴면형을 비교한 것 이다

.

휴면형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한 것은

1

년생식물

(Th)

의비율이

2015

년에

27.42%

에서

2018

17.70%

로감소 하였다.

Figure 4는 3-5년

주기로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의 2015년

휴면형(양시인 2016)과 현지 조사된 2018년의 휴면형을 비 교한 것이다. 휴면형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한 것은 1년 생식물

(Th)

의 비율이

2015

년에

27.42%

에서

2018

5.77%

로 감소하였으며중대형지상식물

(M, MM)

17.52%

에서

31.41%,

미소지상식물

(N)

7.30%

에서

15.38%

로증가하였다

.

Figure 5는

미사용스키슬로프의 2015년 휴면형(양시인

2016)과 현지 조사된 2018년의 휴면형을 비교한

것이다. 휴

면형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한 것은 1년생식물(Th)의 비 율이

2015

년에

22.17%

에서

2018

10.53%

로감소하였으며 중대형지상식물

(M, MM)

18.55%

에서

25.10%

로 증가하 였다

.

매년 관리되는 사용스키슬로프, 3-5년 주기로 관리되는 스 키슬로프와 미사용스키슬로프의 2015년 휴면형(양시인 2016) 과 2018년에 조사된 휴면형을 비교해본 결과 3곳 모두 일년 생식물(Th)의 비율이 10% 이상 줄어들었으며 상대적으로 중대형지상식물

(M, MM)

과미소지상식물

(N)

의 비율이증가 하였다

.

이는지속적인관리및 산림천이의진행으로 인하 여 스키슬로프 가장자리에 있는 지상식물의 슬로프 내 침입 으로 인하여 대부분 선구종으로 이루어진 일년생식물(Th)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Table 10은 연구대상지 중 미사용스키슬로프와 한반도, 남

,

무주리조트의 서로 다른 유형의 식생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휴면형을 비교한 것이다

.

한반도와 남한에 비 해 무주리조트와 미사용스키슬로프의 중대형지상식물

(M,

MM)과

수생식물(HH)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중

대형지상식물이 우점하고 있는 산림 계곡의 위치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보인다

.

결 론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내 무주리조트의 사용슬로프

(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 3-5년 주기로 관리되는 사용슬 로프

)

와 미사용슬로프에대한 식물상과생활형을분석한것 이다

.

덕유산국립공원 무주리조트 스키슬로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에서는

247

종류

, 3-5

년 주기로 관리되는 사용슬로프는 156종류 그리고 미사용 슬로프는 247종류가 조사되었으며 2015년(양시인 2016)과 비교해 볼 때 매년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에서는 147종, 3-5 년에 관리되는 사용슬로프에서는

19

,

미사용 스키슬로프 에서는

26

종류가 증가하였다

.

각 스키슬로프의 침입종과소멸종을조사한 결과 미사용 스키슬로프 주변 사용 중인 슬로프의 경우 덕유산의 식물상 및 식생의 전형성 및 건강성을 위협하고 있는 침입종이 상 당히 많은 개체수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 만 천이의 진행정도는 산림식생 천이의 초기 및 중기 식생 천이의종조성을나타내고있어 어느정도 시간이경과하면 스키슬로프 조성이전의 식생유형 및 종조성을 유지할 수 있을것으로판단된다

.

각 스키슬로프의 생활형 조사결과 2015년(양시인 2016)과 비교해볼 때 공통적으로 일년생식물(Th)의 비율이 10% 이 상 줄어들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상식물(N, M, MM)의 비율 이 증가하였다

.

이는지속적인 관리및산림천이의 진행으 로 인하여 스키슬로프가장자리에 있는지상식물의 슬로프 내 침입으로인하여 대부분 선구종으로이루어진 일년생식 물(Th)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3-5년 주기로 관리되는 스 Figure 5. Dormancy form comparison between 2015 and 2018 of unused ski-slope.

Table 10. The dormant distribution ratio for different types of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Muju Resort, and unused ski slopes.

Dormancy form

Location M(MM) N E Ch H G HH Th

The Korea Peninsula (

임양재등

1982) 16.0 16.2 1.2 1.5 35.1 15.0 2.3 12.7

Republic of korea (

임양재등

1982) 20.0 14.8 0.6 1.9 30.0 12.4 1.4 19.0

Muju resort (양시인 2016) 20.21 11.14 0 4.4 24.61 16.19 5.97 16.84

Unused ski-slope 25.10 11.74 0 4.05 27.13 17.88 5.26 10.53

(10)

키슬로프에서 가장변동폭이 높았다

.

따라서

3-5

년 주기로 관리해주는것이스키슬로프의 덕유산원식생복원에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 2017. 2017

년덕유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양시인

. 2016.

덕유산무주리조트스키슬로프의식물상변화에관

한연구

이영노

. 1996.

한국식물도감

.

교학사

이우철

.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

아카데미서적

이우철

. 1996b.

한국식물명

.

아카데미서적 이창복

. 2003.

대한식물도감

.

향문사

임양재

. 1974.

한반도수종의수직적분포에관한기후학적연구

임양재

,

김정언

,

이남주

,

김용범

,

백광수

. 1990.

한라산국립공원식 물군집의식물사회학적분류

박병상

.

백남극

. 1994.

관광휴양지개발이조류분포에미치는영향

-

민주지산일대의조류상을중심으로

.-

Muller-Dombois 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Inc. 547pp.

Numata. 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Japanese books. 160pp.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632pp.

(2018

10

10

일접수

; 2018

11

2

일수정

;

2018

11

28

일채택

)

(11)

Appendix 1. List of whole vascular plants of study area.

A: Used ski-slope managed in annually (2015 양시인) B: Used ski-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2015 양시인) C: Used ski-slope managed in annually (2018) D: Used ski-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2018) E: Unused ski-slope (2015

양시인

) F: Unused ski-slope (2018)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Life form Growth form

Used ski-slope Unused ski-slope 2015 2018 2015 2018

L R D G A B C D E F

석송과 Lycopodium clavatum var. nipponicum 석송 Ch R4 D1 p-b ○ ○

속새과 Equisetum arvense 쇠뜨기 G R2,3 D1 e ○ ○ ○ ○

고사리삼과 Botrychium ternatum 고사리삼 H R3 D1 e ○ ○ ○ ○

고비과 Osmunda japonica 고비 G R3 D1 t ○ ○ ○

고사리과 Dennstaedtia wilfordii 황고사리 H R2,3 D1 e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고사리 G R1,2 D1 e ○ ○ ○ ○

면마과 Matteuccia orientalis 개면마 H R(o) D1 t ○ ○

Dryopteris crassirhizoma 관중 H R(v) D1 t

Athyrium yokoscense 뱀고사리 H R3 D1 t ○ ○

Athyrium nipponicum 개고사리 G R2-3 D1 t

Athyrium koryoense 그늘개고사리 H R3 D1 t

꼬리고사리과 Asplenium incisum 꼬리고사리 H R(o) D1 t ○ ○ ○ ○

주목과 Taxus cuspidata 주목 MM R5 D2 e ○ ○ ○

Cephalotaxus koreana 개비자나무 M R5 D2 e ○ ○

소나무과 Abies holophylla 전나무 MM R5 D1 e ○ ○

Abies koreana 구상나무 MM R5 D1 e ○ ○

Larix leptolepis 일본잎갈나무 MM R5 D1 e ○ ○

Pinus koraiensis 잣나무 MM R5 D1 e ○ ○ ○

Pinus rigida 리기다소나무 MM R5 D1 e

Pinus densiflora 소나무 MM R5 D1 e ○ ○ ○ ○

측백나무과 Juniperus rigida 노간주나무 M R5 D4 e

벼과 Sasa borealis 조릿대 N R1,2 D4 e ○ ○

Phleum pratense 큰조아재비 H R3 D4 t ○ ○ ○ ○

Beckmannia syzigachne 개피 HH(Thw) R5 D1,4 t

Calamagrostis epigeios 산조풀 G R2,3 D4 t

Calamagrostis pseudo-phragmites 갯조풀 G R2,3 D4 t

Calamagrostis arundinacea 실새풀 G R3 D4 t ○ ○ ○

Agropyron tsukushinense var. transiens 개밀 Th(w) R5 D4 t ○ ○ ○

Agropyron yesonense 자주개밀 Th(w) R5 D4 t ○ ○ ○

Dactylis glomerata 오리새 H R3 D4 t ○ ○ ○ ○

Lolium perenne 호밀풀 Th(w) R5 D4 t ○ ○ ○

Festuca ovina 김의털 H R3 D4 t ○ ○

Festuca arundinacea 큰김의털 H R3 D4 t ○ ○

Poa annua 새포아풀 H R5 D4 t ○ ○ ○ ○

Poa sphondylodes 포아풀 H R5 D4 t

Poa pratensis 왕포아풀 H R2,3 D4 t

Phragmites japonica 달뿌리풀 HH R4 D1 e

Eleusine indica 왕바랭이 Th R5 D4 t ○ ○ ○

Zoysia japonica 잔디 G,H R1,2 D4 t ○ ○

Arundinella hirta H R2,3 D4 t ○ ○ ○

Setaria viridis 강아지풀 Th R5 D4 t ○ ○ ○

Setaria glauca 금강아지풀 Th R5 D4 t

Digitaria sanguinalis 바랭이 Th R4 D4 t-p ○ ○ ○

Oplismenus undulatifolius 주름조개풀 H R4 D2 p ○ ○ ○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억새 H R3 D1 t ○ ○ ○

Miscanthus sinensis 참억새 H R3 D1 t ○ ○

Spodiopogon sibiricus 큰기름새 H R3 D4 e ○ ○ ○ ○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개솔새 H R5 D4 t ○ ○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솔새 H R3 D4 t ○ ○

Hemarthria sibirica 쇠치기풀 H R2,3 D4 t ○ ○

사초과 Carex maackii 타래사초 H R3 D4 t

Carex canescens 산사초 H R3 D4 t

Carex humilis 산거울 H R3 D4 t ○ ○ ○

(12)

Appendix 1. Continued.

A: Used ski-slope managed in annually (2015

양시인

) B: Used ski-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2015

양시인

) C: Used ski-slope managed in annually (2018) D: Used ski-slope managed in 3-5 year intervals (2018) E: Unused ski-slope (2015

양시인

) F: Unused ski-slope (2018)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Life form Growth form

Used ski-slope Unused ski-slope 2015 2018 2015 2018

L R D G A B C D E F

Carex lanceolata 그늘사초 H R3 D4 t ○ ○ ○

Carex okamotoi 지리대사초 H R2,3 D4 t

Carex siderosticta 대사초 H R2,3 D4 t

Carex dispalata 삿갓사초 HH R2,3 D4 t

Scirpus wichurae 방울고랭이 HH R3 D1,4 t

Cyperus orthostachys 쇠방동사니 HH(Th) R5 D1,4 t

Kyllinga brevifolius var. leiolepis 파대가리 HH R3 D1,4 t,e

천남성과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천남성 G R5(c) D4 e

Symplocarpus nipponicus 애기앉은부채 H R3 D4 r ○ ○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닭의장풀 Th R5 D4 b-p

골풀과 Juncus gracillimus 물골풀 HH R2,3 D1,4 t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골풀 HH R3 D1,4 t ○ ○ ○ ○

Juncus krameri 비녀골풀 HH R2,3 D1,4 t

백합과 Veratrum maackii var. japonica 여로 G R5 D4 ps ○ ○ ○

Hosta longipes 비비추 H R5 D4 r ○ ○

Hemerocallis fulva 원추리 G R3(s) D5 t ○ ○

Allium thumbergii 산부추 G R3(b) D4 r ○ ○

Lilium lancifolium 참나리 G R3(b) D3,5 e

Erythronium japonicum 얼레지 G R3(b) D4 e ○ ○ ○

Scilla scilloides 무릇 G R5(b) D4 t ○ ○

Asparagus schoberioides 비짜루 G R3 D2 e ○ ○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둥굴레 G R3 D2,4 e ○ ○ ○

Disporum smilacinum 애기나리 G R5 D4 e ○ ○ ○

Convallaria keiskei 은방울꽃 G R2,3 D2 r ○ ○ ○ ○

Liriope specata 개맥문동 G R3(s) D2 r

Smilax china 청미래덩굴 N R3(s) D2,4 l ○ ○

붓꽃과 Iris rossii 각시붓꽃 G R3 D3 ps ○ ○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은대난초 H R5 D1,4 e

Spiranthes sinensis 타래난초 G R5(s) D1,4 ps

Liparis kumokiri 옥잠난초 Ch R5 D1,4 r

버드나무과 Populus tomentiglandulosa 은사시나무 MM R5 D1 e

Salix glandulosa 왕버들 MM R5 D1 e ○ ○ ○ ○

Salix koreensis 버드나무 MM R5 D1 e ○ ○ ○ ○

Salix hulteni 호랑버들 M R5 D1 e ○ ○ ○ ○

Salix nipponica 선버들 M R5 D1 e

Salix purpurea var. multinervis 개키버들 N R5 D1 e ○ ○ ○ ○

Salix purpurea var. japonica 키버들 N R5 D1 b ○ ○

Salix gracilistyla 갯버들 N R5 D1 b ○ ○ ○

자작나무과 Betula ermani 사스래나무 MM R5 D1 e ○ ○

Betula schmidtii 박달나무 MM R5 D1 e ○ ○ ○ ○

Betula fruticosa 좀자작나무 N R5 D1 e ○ ○ ○

Carpinus cordata 까치박달 MM R5 D1 e

Carpinus laxiflora 서어나무 MM R5 D1 e ○ ○ ○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개암나무 M R5 D4 e

참나무과 Quercus variabilis 굴참나무 MM R5 D4 e ○ ○ ○ ○

Quercus mongolica 신갈나무 MM R5 D4 e ○ ○ ○ ○

Quercus serrata 졸참나무 MM R5 D4 e

느릅나무과 Ulmus parvifolia 참느릅나무 MM R5 D1 e

Ulmus davidiana var.japonica 느릅나무 MM R5 D1 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for. subelosa 혹느릅나무 MM R5 D1 e

뽕나무과 Morus bombycis 산뽕나무 MM R5 D2 e

쐐기풀과 Laportea bulbifera 혹쐐기풀 G R(s) D5 e

Pilea hamaoi 큰물통이 Th R5 D4 e

Boehmeria spicata 좀깨잎나무 Ch R3 D4 e

Boehmeria platanifolia 개모시풀 Ch R3 D4 e ○ ○

마디풀과 Rumex acetocella 애기수영 H R2,3 D4 pr ○ ○ ○

Rumex acetosa 수영 H R5 D4 ps

Rumex japonica 참소리쟁이 H R5 D4 ps

(13)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Life form Growth form

Used ski-slope Unused ski-slope 2015 2018 2015 2018

L R D G A B C D E F

Rumex crispus 소리쟁이 H R5 D4 ps ○ ○ ○ ○

Persicaria perfoliata 며느리배꼽 Th R5 D4 b-l

Persicaria senticosa 며느리밑씻개 Th R5 D4 b-l

Persicaria thunbergii 고마리 HH(Th) R4 D4,1 b-p

Persicaria sieboldii 미꾸리낚시 HH(Th) R4 D4,1 b-l

Persicaria nepalensis 산여뀌 Th R4 D4,1 b-p ○ ○ ○

Persicaria nodosa 큰개여뀌 Th R5 D4 e ○ ○

Persicaria hydropiper 여뀌 HH(Th) R4 D4,1 e,b ○ ○

Polygonum aviculare 마디풀 Th R5 D4 b,e ○ ○ ○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명아주 Th R5 D4 e

비름과 Amaranthus mangostanus 비름 Th R5 D4 e

Achyranthes japonica 쇠무릎 H R5 D2 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미국자리공 G R5 D2 e ○ ○

석류풀과 Mollugo phentaphylla 석류풀 Th R5 D4 b-ps ○ ○

쇠비름과 Portulaca oleracea 쇠비름 Th R5 D4 b

석죽과 Sargina japonica 개미자리 Th(w) R5 D4 b

Arenaria serphyllifolia 벼룩이자리 Th(w) R5 D4 b ○ ○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개별꽃 H R(s) D4 b ○ ○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큰개별꽃 H R(s) D4 e ○ ○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점나도나물 H R5 D4 b ○ ○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벼룩나물 Th(w) R5 D4 b

Dianthus sinensis 패랭이꽃 H R5 D4 b

Lychnis cognata 동자꽃 H R5 D4 e ○ ○ ○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trichotoma 할미밀망 N R5 D1 l

Clematis apiifolia 사위질빵 N R5 D1 l

Thalictrum aquilegifolium 꿩의다리 G R5 D4 ps ○ ○

Thalictrum filamentosum 산꿩의다리 G R5 D4 ps ○ ○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진범 G R5 D4 l

Aconitum jaluense 투구꽃 G R5 D4 e ○ ○ ○

Actaea asiatica 노루삼 G R5 D4 e

Cimicifuga daburica 눈빛승마 G R5 D4 ps

Cimicifuga heracleifolia 승마 G R5 D4 ps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동의나물 H R5 D4 ps

새모래덩굴과 Cocculus trilobus 댕댕이덩굴 N R2,3 D1 l ○ ○

목련과 Magnolia sieboldii 함박꽃나무 MM R5 D4 e

Schisandra chinensis 오미자 N R5 D2 l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생강나무 N R5 D2 e

Lindera glauca 감태나무 N R5 D2 e

Lindera erythrocarpa 비목나무 N R5 D2 e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애기똥풀 Th(w) R5 D4,2 e ○ ○

현호색과 Corydalis pallida 괴불주머니 Th(w) R5 D3 b

십자화과 Lepidium apetalum 다닥냉이 Th(w) R5 D4 ps

Cardamine impatiens 싸리냉이 HH(Thw) R5 D4 ps

Cardamine flexuosa 황새냉이 Th(w) R5 D3 ps ○ ○ ○

Cardamine scutata 큰황새냉이 HH R4 D2 ps

Cardamine leucantha 미나리냉이 H R3 D4 e

Capsella bursa-pastoris 냉이 Th(w) R5 D4 ps ○ ○ ○

Draba nemorosa var. hebecarpa 꽃다지 Th(w) R5 D4 ps

Arabis glabra 장대나물 Th(w) R5 D4 pr

돌나물과 Sedum kamtschaticum 기린초 H R3 D4 b

범의귀과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노루오줌 H R3 D4 ps ○ ○ ○ ○

Chrysosplenium grayanum 괭이눈 HH R4 D4 b-p

Deutzia glabrata 물참대 N R3 D4 e,b ○ ○

Philadelphus schrenckii var. jackii 털고광나무 N R5 D4 e ○ ○

Hydrangea serrata for.acuminata 산수국 N R5 D4 e ○ ○

장미과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개쉬땅나무 N R5 D4 e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조팝나무 N R5 D4 e,b

Spiraea fritschiana 참조팝나무 N R5 D4 e,b ○ ○

Stephanandra incisa 국수나무 N R5 D4 e,b ○ ○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눈개승마 H R3 D4 e

Duchesnea chrysantha 뱀딸기 Ch R4 D2 p-ps ○ ○ ○

Potentilla kleiniana 가락지나물 Ch R5 D4 p-ps

Appendix 1. Continued.

Referensi

Dokumen terkait

https://doi.org/ 10.1017/jie.2019.13 Received: 17 September 2018 Revised: 17 October 2018 Accepted: 23 April 2019 First published online: 2 September 2019 Key words: Aborig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