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쿄미술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도쿄미술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Copied!
10
0
0

Teks penuh

(1)

도쿄미술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김용철

김용철은 1964년생으로서울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를졸업(학사, 석사)하고일본도쿄대학미술

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 전공분야는동아시아근대미술사일본미술사이 경기도박물관학예연구실장, 성신여대전임강사를지냈고, 주요저술로는「오카쿠라 텐신과일본미술사의성립」(日本思想7, 2004), 「후지타쓰구하루의전쟁화」(『한국근 대미술사학』15특별호, 2005), 「몽롱체화법과한국근대동양화」(『한국근대미술사학』

16상반기, 2006), 「근대일본인의고구려고분벽화조사와모사, 그리고활용」(『美術

史學硏究254, 2007), 徐悲鴻 ‹愚公移山›(中國史硏究50, 2007), 「만주국미술전

람회의설치와의의」(『한국근현대미술사학』18, 2007),嶺南畵派 三傑출판활동과 회화에관한시론」(中國史硏究61, 2009), 『에도시대의실학과문화』(이산, 2005, 공저) 등이있다.

(2)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okyo National School

of Fine Arts

KIM Yongcheol

Although there is almost no over–lapping period of existence between the Col- 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okyo National School of Fine Arts, they have intimate human and institutional relation as national acad- emy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construction period of each nation state. The fact that Chang Bal장발 who led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ied in Tokyo National School of Fine Arts and his juniors Kim Yongjun김용준, Kil Jinseop길진섭, Song Byeongdon송병 돈, Yi Sunseok이순석, Yun Seunguk윤승욱, Kim Jongyeong김종영 became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ells the main lineage among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the first time. It seems that there is also personal relation which are concerning Mok–il group목일회 and Whimun High School휘문고보 where Chang Bal participated or taught, and in the cases of Yi Sunseok and Kil Jinseop, it is likely to be personal contact with Chang Bal from the fact that they tried to be a foreign student in Columbia University with English document. Different from the argument thus far, there is deep relation between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okyo National School of Fine Arts in the institution because of college central adminstration and year grade system, and the same in the curriculum.

Key words: College of Fine Ar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okyo National School of Fine Arts, Chang Bal장발

Abstract

(3)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1. 머리말

2. 서울대학교미술대학설립과관련한해방직후의움직임 3.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인적연관 4.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제도적연관

5. 맺음말

목차

1. 머리말

1946년 8월미군정에 의한 미군정청법령 제 102호인「국립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법령」에 의거하여 국립서울대학교에 예술대학이설치됨으로써 서울대학 교미술대학의역사가시작되었고, 같은시기일본에서는도쿄미술학교의폐지 에관한논의가전개되고있었다.1 2차세계대전의종전을배경으로한이같은 상황은일단 서울대학교예술대학 미술학부와도쿄예술대학 미술학부로정리

되었다. 이후 1951년서울대학교예술대학이미술대학과음악대학으로분리되

고, 도쿄미술학교의 경우 도쿄음악학교와 통합되어 도쿄예술대학이 됨으로써 그후신에해당하는도쿄예술대학미술학부가오늘날에이르고있다. 학교명칭 상으로는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존폐가엇갈린것이다.

도쿄미술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은 그 존속연대는 차이가 있지만, 각각한일 양국의국민국가 건설기에 설립된국립미술교육기관이라는공통점

을갖고 있다. 즉, 1945년해방후 새로운국가건설이모색되던 시기에설립이

추진된서울대학교미술대학과 1868년메이지유신이 단행되고국민국가가건 설되는과정에서 설립된 국립미술학교인도쿄미술학교는 미술가를양성하기 위한국립미술교육기관이라는점에서공통점을가진다. 하지만, 양자사이에는 밀접한연관관계가있었다. 이글에서두학교사이의연관을다루려는이유가 바로여기에있다. 이하본론에서는두학교의시간적전후관계를염두에두고, 서울대학교미술대학이단과대학으로독립한 1951년이전의시기를중심으로 하여 양자 사이의인적 연관관계와 제도적 연관관계를중심으로 논하고자 한 다. 다시말하면, 서울대학교예술대학미술부시기의관련내용을다루게될것 이며, 기존의논의를재검토하는데도비중을둘것임을미리밝혀둔다.

1 「국립서울대학교설립에관한법령」(서울대학교二十年史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二十年史』(서울대학교, 1966, pp. 441-444에서재인용)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 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 1078.

(4)

조형_아카이브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2. 서울대학교미술대학 설립과관련한해방직후의움직임

해방직후서울에서전개된미술학교설립을위한미술계의움직임은서울대학 교미술대학의역사와도관련이있을뿐만아니라, 그전사로서매우중요하다. 그움직임은크게두가지갈래를이루고있었다. 첫번째는미군정청문교부를 중심으로 한움직임이다. 미군정청문교차관오천석과 교화국국장최승만, 교 화국예술과고문이순석, 서울시학무국장장발이관계한이움직임은미군정 청이 장발에게경성제국대학교 후신인경성대학에예술학부를신설하고 음악 부와미술부를두는것을내용으로하는과제를부여함으로써추진되었다.2장 발은 고희동과 이순석등과 협의하는한편으로 인선에 착수하여김용준, 길진 섭, 윤승욱등을교수로영입함으로써 1946년 9월개교에이르렀다.

두번째움직임은배운성을주축으로한것이다. 당시신문이나잡지에는 조선예술대학, 조선예술원, 조선종합예술학교등의이름으로기록되어있는이 기관은당초미술을비롯하여음악, 연극, 무용, 영화등여러장르에걸친예술 교육기관을목표로한것이었다.3미술분야의경우배운성을비롯하여임용련, 김인승, 이종우, 도상봉, 김은호, 이상범, 정말조, 정종녀, 윤효중, 김경승, 강창원

등을포함하고있었다. 하지만, 1947년 1월미군정당국으로부터설립계획안을

인가받은이학교의설립준비는입시요강까지언론에게재할정도로진척되었 으나건물문제가해결되지않음으로인하여결국무산되었다.

국립서울대학교 예술대학의 설치 당시의 상황과 관련하여주목할 것은 미군정의 역할이다. 당시 미군정은 정부 수립 이전의 통치주체로서 배운성이 추진한 조선예술학교 설립을 인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설립계획을 후원한 것으로 알려진푸스 대령이미군정의 민정장관직에 있었다. 결국 군정장관을 보좌하는민정장관에한국인안재홍이임명되는시점에푸스대령이미국으로 전보발령을받음으로써그계획은무산되었지만, 그가예술원대학의산파역으

2 『서울대학교미술대학사 1946–1993(서울대학교미술대학, 1993), p. 6. 하지만, 이에대해서는 향후면밀한검토가필요하다.

3 『藝術通信』1946. 6. 25.

로알려졌던사실은당시미군정의막대한영향력을말해준다. 4

국립서울대학교의 예술대학에 미술부와 음악부가 분리, 설치된 것과 관 련하여또한가지주목할것은일본의사정이다. 한국과마찬가지로미군정치 하에있던당시의일본에서는도쿄미술학교와도쿄음악학교의통합에따라도 쿄예술대학이 설립되고, 두학교는미술학부와 음악학부로존재하게 되었다.5 따라서, 연극이나 영화와같은 여타 장르를배제한채 예술대학으로 출범하게 된것은일본의경우와연관지어보는것도그개연성이전혀없다고보기는어 렵다.

3.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인적연관

서울대학교미술대학이설립되는 과정, 그리고초기역사에서도쿄미술학교와 연관된가장중요한문제는인적 연관이다. 도쿄미술학교를중퇴한후미국컬 럼비아대학에서수학한장발이주도한설립과정에서그의인선에의해도쿄미 술학교출신인김용준, 길진섭, 윤승욱, 이순석등이교수로초빙되었다. 장발을 포함하여이들도쿄미술학교수학생들은김환기, 장우성등과초기서울미대의 교수진을 구성하였지만, 그출신으로 보자면서울미대 교수진의 가장 유력한 학맥을형성하였다.

그들이 도쿄미술학교에서 공부한 시기는 각각 다르다. 도쿄미술학교의

역사에서보자면적어도세시기에걸쳐있다. 먼저, 장발이유학한시기는 1919

년 제국미술원 개설과그에 따른 일본 미술계의 재편에 의해 도쿄미술학교도

조각과를중심으로한개혁이진행된시기이다. 3학년진급을앞둔 1922년 9월

4 『藝術通信』1946. 11. 9.

5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p. 1078–1079. 물론, 이를 장발이 수학한 컬럼비아대학처럼 종합대학에 속한미술학부를이상적인교육구조로생각했을것이라는기존의논의도주목할필요가 있다. 정영목, 「한국현대미술교육과서울대학교미술대학, 1946–1960, 『조형』19(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1996), p. 50 정형민, 「창작과교육의공존의가능성을향하여한국미술교육의 현대성의논리」, 『조형』19(서울대학교조형연구소, 1996), p. 34.

(5)

조형_아카이브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그는미국뉴욕으로유학을떠나기위해자퇴하였다.6

장발이미국으로 떠난 후도쿄미술학교에입학한김용준과 길진섭, 송병 돈, 그리고 이순석은비슷한 시기에유학한사실 외에도모두 카와바타화학교 川端画学校에서 그림을공부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이재학할 당시 도 쿄미술학교는 1923년의규정 개정에의해 변화를겪었다. 먼저그들의입학에 서부터 달라진입학제도가 적용되었다. 1924년 2월「외국학생특별입학규정세 칙外國學生特別入學規程細則」이 제정됨에 따라 이전까지 조선이나 대만과

같은 식민지를 포함하여 외국인학생은모두 선과생(選科生)이었으나 이때부

터는특별학생으로불리게되었다.7특히그규정의부칙에는조선이나대만출 신학생도외국인의경우에준용함을명시함으로써이후입학한학생들은선과 생이 아니라특별학생이되었다. 김용준과길진섭, 송병돈등은당시 서양화과 특별학생이었고, 이순석은도안과특별학생이었다. 이같은입학제도는 1929년 에변경될때까지적용되어이들외에도이마동, 오지호등이같은자격으로입 학하여졸업하였다.

또한각전공과의운영에서는예비과를폐지하고각전공별로 1학년에서 5학년까지의학생이소속되게되었다. 그에따라교과목이수에도변화를초래 하였고, 일본화과와서양화과학생은각각일본화실습과서양화실습을매학년 18시간이상 이수하였으며, 이론과목으로 해부학과 원근법을 이수하였다.8그 밖에도회화사, 조각사, 건축사, 고고학, 풍속사, 미학, 문학, 공예사, 공예제작법, 외국어등의과목가운데 2과목을선택과목으로이수할수있었다. 당시서양화 과의이수교과목은 ‹표. 1›과같다.

6 吉田千鶴子,『近代東アジア美術留学生研究』(東京: ゆまに書房, 2009), p. 183. 장발의경우

구체적인활동의흔적이남아있지는않으나 1941조선미술가협회의평의원이었던사실도

도쿄미술학교수학경력과무관하지않은것으로보이며, 단체에적극적으로참여한 인물들로 도쿄미술학교 선배에 해당하는 日吉守, 遠田運雄, 山田新一 등의 존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추측된다. 『매일신보』1941. 4. 23.

7 김용철, 「도쿄미술학교의입학제도와조선인유학생, 『동악미술사학』6, pp. 57–58.

8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 158.

‹표.1› 도쿄미술학교서양화과교과목(1924–1932)

과목 매주수업시수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수신 1 1 1

서양화실습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해부학 2 2

원근법 2

미학미술사 동양미술사2

서양미술사2 서양회화사2 미학2 외국어 (영어/불어) 2 2

체조 2 2 2 2

선택과목

비고

1. 선택과목(회화사,조각사,건축사,고고학,풍속사,미학,문학,공예사,공예제작법, 외국어) 3학년이상에서 2과목으로한다.

2. 5학년의 2, 3학기는졸업제작만이수한다.

3. 도화교원지망자는 4학년매주교육학심리학 2시간, 용기화법 4시간, 교수연습 2시간, 회화도안을 6시간추가로이수해야한다.

윤승욱과김종영의경우는각각 1934년과 1936년에도쿄미술학교에입학한경

우로 1924년의 2월에정해진「외국학생특별입학규정세칙」의부칙이 1929년삭

제됨에따라 일본인수험생들과경쟁하는 별도의입학시험을통과한경우다.9

다만, 그들은 1933년예과가설치되고수업연한이예과 1년에본과 4년으로바

뀐다음에입학한경우로, 각각 1934년과 1936년조각과소조부예과에입학하

여대학원과정인연구과에서수학하였다.

1920년 9월도쿄미술학교에 입학한 장발은 도쿄미술학교재학중에 1학 년때에는 동양미술사와서양미술사, 미술해부학, 영어, 원근법, 서양회화사를 이수하고 2학년때에는미술해부학, 서양회화사, 영어를이수하였다. 후지시마 타케지藤島武二 교실에소속되어있던 그는도쿄미술학교재학시절부터독일 뮌헨의 그리스도교미술협회회원으로 가입하여 월간지를 구독할정도였다.10 도쿄미술학교 재학 당시에그가 그린 ‹김대건신부상›(1920년)의그림자 부분

9 김용철, 앞의, pp. 58–62 참조.

10 , 2 , 29(1984 ), p. 74.

(6)

조형_아카이브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에서 녹색조를사용한데서 알수있듯이일본식외광파의화법을수용하였던 그는 이후 보이론화파나나비파, 표현주의 회화의영향을드러내며 기독교성 화에주력하였다.

길진섭과송병돈의경우는김용준과비슷한시기에도쿄미술학교서양화 과에유학하였고, 둘다일본식외광파화가들의단체백마회회원을지낸인물 로서, 후일도쿄미술학교교장을지낸와다에이사쿠교실에소속되어있었다.11 1946년 10월서양화과교수로 부임한길진섭은이듬해 5월조선미술동맹위원 장에취임하고곧월북함으로써당시학생들에게큰영향을주지는못하였던것

으로추측된다. 또한송병돈은길진섭이월북한이후인 1949년 9월부임하여해

부학등의과목을담당하였고, 한때의과대학의해부학과목을맡기도하였다. 잘알려져있는바와같이김용준의 경우원래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출 신이었음에도 1920년대후반이후활발한평론활동을전개함으로써식민지시대 유력미술평론가로부상하였고, 해방후에는『朝鮮美術大要』(1949년)를비롯한 저술을통하여당대가장영향력있는이론가가되었다. 그가회화과에소속되어 동양미술사나 조선미술사등의 과목을담당하는한편으로 실기과목도가르친 사실은당시그의위상이이론과실기를겸비한실력자였음을말해준다.12

1946년 10월조소과교수로임명되었으나 한국전쟁 때행방불명된윤승 욱의당시조각경향은그흔적을찾기어렵고, 김종영의경우도초기서울대학 교미술대학교수일당시에는구상조각의경향이강하였다. 그들이도쿄미술학 교에 재학할 당시 아사쿠라 후미오朝倉文夫, 다테하타 다이무建畠大夢 등이 지도한 조각과소조부는 로댕의 조각경향을 토대로하여 그것을 더욱 온건한 묘사로바꾼 온건한관전양식이 주류를이루었던 만큼, 그들의조각경향 또한 그영향에서크게벗어나지못하였던것으로추측된다.13

초기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도안과교수로부임한이순석은 1910년대이 후일본디자이너들사이에서유행한바와같이식물문양을주요모티프로하여

11 吉田千鶴子, 앞의 책, pp. 190–196.

12 김용준, 『새근원수필』근원김용준전집1(열화당, 2001) 『민족미술론』근원김용준전집5(열화당, 2002).

13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p. 20–22.

디자인한도서장정을졸업작품으로제출하였고, 귀국한이후에는화신백화점도 안부에근무한바있다. 해방후미군정청교화국예술과고문을역임한그는서 울대학교미술부도안과 교수로 부임하여도안과의전공수업을지도하였을뿐 만아니라, 미술부 1학년의구성수업을맡는등기초조형교육에도관여하였다.

그런데, 도쿄미술학교에서 수학한 초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진 과관련하여 흥미로운 것은 장발과여타 도쿄미술학교 출신교수들의 관계다.

1920년 9월에입학한장발이 3학년진급을앞둔 1922년 9월미국유학을위해

자퇴한만큼 장발이 도쿄미술학교에 재학한 시기에그들과 직접 알고 지냈을 가능성은희박하다. 하지만, 김용준을 비롯하여길진섭, 윤승욱, 이순석은도쿄 미술학교를졸업한 사실 외에도 그들의주요학력 및 경력에서 장발과관련이

있었다. 1926년도쿄미술학교에 입학하여 1931년에졸업한 김용준의 경우 카

와바타화학교에서수학하였고, 1934년장발과일본에유학한다른미술가들과 함께목일회牧日會를결성하였다.14도쿄미술학교 출신이면서 목일회에참여

한또다른미술가로길진섭이있다. 1932년도쿄미술학교를졸업한그는도쿄

미술학교재학중이던 1931년컬럼비아대학유학을위해 영문증명서의발급을

신청한바있다.15이미 목일회에 참가하기 전인 1931년장발과의 연락관계를

맺고 있었을가능성도 배제할수없는 것이다. 목일회에는 참가하지 않았으나

김용준과같이 1931년에도쿄미술학교를졸업한이순석의경우도카와바타화

학교에수학한 바있고, 졸업한그해에컬럼비아대학교 유학을위한 영문증명 서의발급을신청한적이있어길진섭과마찬가지로장발과의연락관계를맺고 있었을가능성을배제할수없다.16

서울대학교개교당시서울미대의교수가운데윤승욱은도쿄미술학교출 신인점외에장발과각별한관계에있었다. 그는휘문고보출신으로, 컬럼비아 대학에서수학하고미국유학에서 귀국한장발의제자였던것이다. 한국전쟁당 시행방불명된그의바톤을이어받은김종영역시윤승욱과마찬가지로도쿄미 술학교출신이라는사실외에휘문고보출신으로서장발의제자였던점이중요 한요인으로작용하였을것으로추측된다.

14 吉田千鶴子, 앞의, p. 191.

15 吉田千鶴子, 앞의, p. 196.

16 吉田千鶴子, 앞의, p. 194.

(7)

조형_아카이브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서울미대의설립과정에서어떤사람이관여했는가하는문제와함께어떤미술 가가배제되었는가도중요한문제의하나다. 특히도쿄미술학교출신으로식민 지시대엘리트화가였던김인승, 심형구의 경우그들의지명도나식민지시대경 력으로보자면길진섭이나송병돈을 능가하는화가들이었음에틀림없다. 그들 이서울미대의설립에배제된것은 당시여타의미술학교 설립움직임과도연 관이 있지만, 그보다 결정적인이유는 일제의격화된침략전쟁의 과정에서부 일협력함으로써친일의오명을쓰게되었던때문으로보인다.17

4.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제도적연관

인적인 연관에서보았듯이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의 설립과정은 도쿄미술학교 수학생이나 졸업생이 교수진의수적 다수를차지하며 추진되었다. 뿐만 아니 라, 학과명칭이나 초기 운영방식, 커리큘럼 등제도적인 면에서도 도쿄미술학 교와밀접한연관을보였다. 먼저, 전공학과의설치에서회화과와조소과, 도안 과등전부 3개과로출발한것은도쿄미술학교가개교당시회화과, 조각과, 미 술공예과로출발한 것과비교된다. 특히 전공학과의명칭에 사용된회화와조 소, 그리고도안은 각각 시기는 다르나 일찍이 도쿄미술학교의학과명칭에서

사용된바있다. 예를들면 1887년개교당시도쿄미술학교에는일본화만을전

공으로한회화과가 있었고, 조소의경우는 개교 당시의 ‘조각彫刻’을한시기

경과한시점에서 대체하게 된 용어다. 원래 영어 sculpture를 일본에서 번역하

는과정에서한자어 ‘彫刻’을사용하였으나 1893년 10월과이듬해 10월에각각

「조소의미술계에있어서의지위彫塑ノ美術界二於ケル地位」, 「조소론彫塑論」 을『교토미술잡지京都美術協会雑誌』에기고한 오무라세이가이가 ‘조각’에는

carving의의미만담겨 있음에주목하여 modelling을 포함하는 ‘조소彫塑’이라

는용어를사용한것이고, 도쿄미술학교에서는 1899년조각과에소조과가설치

된이래 1949년도쿄미술학교가 폐지될 때까지조각과소조부라는 이름을유

지하였다. 서울미대의학과명칭이 조소과가 된것은초기 교수로초빙된 윤승 욱의출신이조각과소조부였던사실과도무관하지않을것으로생각된다.

한편, 도쿄미술학교도안과의경우 서양화과와 함께 1896년에처음 설치

되어 1933년공예과도안부로그명칭이바뀌었다. 일본에서도안圖案(혹은 圖

按)이라는말이 처음사용된것은 1877년의 일로서영어인 design을한자어로

바꾼것이다.18서울미대에는개교당시학과명칭이도안과였던것은초기도안 과교수였던이순석이재학당시도쿄미술학교의학과명칭과관련이깊은것으 로추측된다. 이후도안과는응용미술과로바뀌었다가다시응용미술과공예과, 산업미술과등으로분리되는등의변화를거쳐현재의디자인학부가되었다.

초창기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입시제도는석고데생과면접시험으로이 루어져있었고, 이는도쿄미술학교의입시제도와깊은 관련을갖고있다. 도쿄 미술학교의경우개교당시에는 1. 독서및작문, 2. 산술, 3. 일본역사, 4. 임화, 5.

도안또는 조각모조등다섯 가지로이루어져 있었으나점차 변화를겪었다.19 서양화과와도안과가설치된 1896년에는외국어가더해졌고, 1915년입시제도 의변화로 인하여모필이나 연필로자유화를 그리는 일본화과와 도안과등과 목탄화를그리는 서양화과, 조소로 제작해야하는 조각과 등으로 세분화되어 복잡해졌다.20마지막시기라고 할 1947년에는 각각 1차실기시험과 2차 필답 시험으로나누어시행하였다.

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입학시험에합격하여 입학한학생들이이수한 초 기커리큘럼에관한자료는충분하지않다. 현재서울대학교본부에남아있는학

적부관련자료에는 “학적부불비치로 인하여 1963년 11월 23일에작성”하였다

는메모가기재되어있는만큼, 개인의성적표를통하여당시커리큘럼을추정해 볼수있을뿐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초기서울미대의커리큘럼에관해단정적 으로논의하려는일부연구자들의시도들은혼란을가중시키고있는실정이다.

지금까지초기서울대학교미술대학커리큘럼에관한논의가이루어지는 동안주로 지적된문제는두 가지로압축할수있다. 그첫번째는서울대학교 개교당시예술대학미술부의조직을주도한장발이종합대학체제내의미술학 부를당시현실에서이상적인교육구조로생각했을것이라는추측이다.21물론, 그가능성은충분하다. 하지만, 적어도개교초기에는 그의도가관철되었다고

18 竹原あき子 · 森山明子감수, 『日本デザイン史』(東京: 美術出版社, 2003), pp. 24–25.

19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二卷』(東京:

ぎょうせい, 1992), p. 115.

20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二卷』(東京:

(8)

조형_아카이브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보기 어렵다. 왜냐하면, 개교초기미술분야 교육의경우예술대학 미술부단위 에서이루어지기도하였지만, 그와함께또한가지지적해두어야할점은학교 운영이단과대학 중심으로 이루어졌고커리큘럼의운영은학년학점제가 기본 이었다는사실이다.22즉, 특정학년의이수과목이정해져있어서그틀을벗어 나자유로운학점의취득이용이하지않았던것이다.

단과대학 중심의 학교 운영과 학년학점제가 시행되던 서울대학교 개교 초기의상황에서도쿄미술학교는다시금주목해야할대상이다. 실제로서울대 학교 개교초기 예술학부미술부입학생들의성적표에서볼수있는 이수교과 목은도쿄미술학교의그것과깊은연관을보여준다. 당시회화과학생 2명과조 소과 학생 1명, 그리고도안과에 입학하였으나응용미술과를 졸업한 1명의성 적표를토대로하여재구성한커리큘럼은 ‹표. 2›와같다.

‹표.2› 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초기커리큘럼(과목명뒤숫자는학점)

1학년(1946) 2학년(1947) 3학년(1948) 4학년(1949)

학생 A

B

A

B

A

B

A

B

교과목 학점

영어8 국어6 체육2 체육2

미술10 체육1 미술14 미술10

동양미술사6 미술16 서양미술사6 고등미술16

구성6 해부학3

4

2

미학사

6 조선미술사6

해부학6 서양미술사6 국사6 문인화

3 3

3 도학6 철학개론4 문인화6 사진3 졸업작품12

서예4 과학개론6 미학사

6 6

6

졸업논문8

조소4 미학6

6

6

실기 6

학점계 50 48 44 42 49 49 63 54 54

‹표.3› 도쿄미술학교예과교과목 (1933–1943)

과목 주당시간수

일본화과지망 유화과 조각과 공예과 건축과

수신 1 1 1 1 1

회화실습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18시간이상 조각실습

도안실습

도안원리 2

구성원리 2

동양미술사 2 2 2 2 2

서양미술사 2 2 2 2 2

동양문학 2 2 2 2 2

圖學 2 2 2 2 2

해부학대의 2 2 2 2

영어/불어 2 2 2 2 2

수학역학 3

체조 2 2 2 2 2

‹표. 2›에드러나있는것과같이 1학년의경우는영어를비롯하여동양미

술사, 해부학, 서예, 조소등의 과목을 50학점을이수하였다. 그가운데에는도 학圖學이나 미술 등의 과목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을 가르쳤는지 모호한 경우도있지만, 흥미로운점은 1학년과목에등장하는포함된도학은 ‹표. 3›에

드러나있는바와같이 1933년도쿄미술학교의규정개정에의해 1학년에해당

하는예과의교과목으로처음등장한과목명과동일하다는사실이다.23당시도 쿄미술학교의경우동양미술사를 2학점, 도학을 2학점이수하게되어있고, 2학 점인영어나프랑스어를선택할수있었다. 도쿄미술학교가개교한이래수차 례교과과정의개편이이루어졌으나도학은이후예과가폐지되고수업연한이

4년으로축소된 1944년의개편에서도그대로유지되었고, 1947년개편당시의

23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 642.

(9)

조형_아카이브 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

교과과정에이르러서야보이지않게된다.24그리고모든전공의 1학년학생들 이 6학점을이수한구성의경우과목명으로는 도쿄미술학교의건축과예과과 목인 구성원리가있고, 공예과예과 과목인도안원리나 도안실습이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과목을 담당하였던이순석의 의견이반영된결과가 아닌가하는 추측을하게된다.25따라서, 초기서울대학교미술대학의교육과정과과목명은 교수진가운데도쿄미술학교출신으로대학원과정을졸업한윤승욱이재학할 당시의과목명칭을참고하였을가능성을배제할수없다. (표.4)

‹표.4› 도쿄미술학교교과목(1944–1946, 일본화과)

교과목

주당시간수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道義 1 1 1 1

실기 (일본화. 소묘. 도안. 書道) 22 24 22 24

국사 2

국어 2

미술사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일본회화사. 중국회화사) 2 2 6 2

미학 2

圖學제도 2 2

미술해부학 2 2

외국어 2 2 2

교육학교수법 4

교련 4 4 4 4

체련 2 2 2 2

39 39 39 39

24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p. 945–946 pp. 1051–1053.

25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p. 638–642.

물론, 컬럼비아대학에서 수학한장발의 의견이 반영된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교양필수과목의성격인국어나국사, 영어, 체육 등을제외하면 1학년과 목으로개설된구성이나 3학년과목으로개설된사진의경우 당시로서는진보 적인과목설정이라고할수있다. 하지만, 1학년서예과목의경우전시체제하의 교과목운영이라는문제점을감안하더라도 1944년도쿄미술학교에도실기과목 에서서도書道가있는만큼양자사이의연관을고려해볼수있다.26

교육과정에서 또한가지 주목할점은고학년인 3, 4학년 과목가운데문 인화, 사군자등의과목이 비중있는과목으로 개설된점이다. 표에서다룬 4명 의졸업생가운데회화과학생들은 3학년때문인화를 6학점, 4학년일때문인 화를 3학점 이수하였고, 조소과나응용미술과학생들도사군자, 문인화를이수 한사실에비추어미술대학전체문인화, 사군자의비중이컸음을보여준다. 이 는해방 후회화의일본색을청산하려 한과정에서문인화를 중시하였던풍조 와무관하지않으며, 회화과교수로영입된김용준의입장이반영된것으로보 인다.27

기존의 논의에서 지적해야 할두번째 문제는컬럼비아대학과의 연관이 다. 이는위에서살펴본첫번째문제와도관련이있으나, 장발의컬럼비아대학 유학사실과개교당시그의지대한영향력으로인하여초래된추측인만큼엄 밀한 검증이 필요하다. 실제로개교 초기에는도쿄미술학교와의 연관이깊었 고, 그만큼컬럼비아대학과의연관을강조하기에는무리가있다. 오히려이부 분은 식민지시대의 학부즉, 오늘날단과대학 단위중심의 학교운영의전통이 뿌리를내리고 있었던점과 함께, 국대안에 의한 종합화가 실질적으로는 단과 대학중심의운영체제가가진견고한틀을넘어서기어려웠던사정을반영하는 것으로해석하는 것이 타당할것이다. 그와함께 커리큘럼의 운영에서컬럼비 아대학과의연관성이 인정되는시기는 1951년미술대학으로독립하여커리큘 럼의변화가일어난이후인사실역시도주목해야할대목이다.28

26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うせい, 1997), pp. 945–946.

27 김용준, 『민족미술론』근원김용준전집5(열화당, 2002) 장우성, 『畵壇풍상七十年』(미술문화, 2003), pp. 72–74.

28 정형민, 앞의, pp. 33–36.

(10)

조형_아카이브

5. 맺음말

이상에서살펴본바와같이도쿄미술학교와서울대학교미술대학은그존속연 대에서는엇갈렸지만, 밀접한관련을갖고있었다. 그와같은관련은 1차적으로 는장발이나김용준과같은도쿄미술학교수학생들의존재로인하여생겨난것 이다. 특히 제도적인 연관에서보듯이 일정부분은 도쿄미술학교의경우를 참 고한데서유래한유사성으로추측되는경우도간과할수없다. 이는장발이미 술분야의교육에대해종합대학체제내의구조를이상적인모델로생각하였을 것이라는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가 이상적인 모델로지향하였던 바가종합대학체제 내의 미술교육이었다고하더라도 적어 도서울대학교개교초기의상황에서그것을실현하기는곤란하였던것으로파 악할수있을것이다.

물론, 양자사이의연관이일제의식민통치에서해방된이후충분한시간 적여유를가질수없었던점과해방후의좌우이념대립과미군정이라는혼란 상황속에서나타난현상임을고려할때일정부분불가피한측면이있다. 하지 만, 이는 한시기 동안극복해야 할과제가되었고, 도쿄미술학교와의 인적, 제 도적연관을넘어서는데는짧지않은시간이필요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도서 울대학교 미술대학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그 성과와문제점을 평가하는데는 도쿄미술학교와의 연관을얼마나 또, 어떻게넘어섰는가 하는문제 역시 중요 한척도가될것이다.

주제어: 서울대학교미술대학, 도쿄미술학교, 장발

김용준, 『새근원수필』근원김용준전집1(열화당, 2001)

______, 『민족미술론』근원김용준전집5(열화당, 2002)

김용철, 「도쿄미술학교의입학제도와조선인유학생, 『동악미술사학』6 장우성, 『畵壇풍상七十年』(미술문화, 2003)

정영목, 「한국현대미술교육과서울대학교미술대학, 1946–1960, 『조형』19(서울대학교조형연구소, 1996)

정형민, 「창작과 교육의 공존의 가능성을 향하여–한국미술교육의 현대성의 논리」,

『조형』19(서울대학교조형연구소, 1996)

「국립서울대학교설립에관한법령」(서울대학교二十年史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二十年史』(서울대학교, 1966, pp. 441–444에서재인용) 서울대학교 4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40년사』(서울대학교, 1986) 하동철 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사 1946–1993』(서울대학교미술대학, 1993)

『每日申報』1941. 4. 23

『藝術通信』1946. 6. 25, 11. 9

竹原あき子 · 森山明子감수, 『日本デザイン史』(東京: 美術出版社, 2003)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二卷』(東京: ぎょ うせい, 1992)

東京芸術大学百年史刊行委員会編, 『東京芸術大學百年史–東京美術學校篇 第三卷』(東京: ぎょ うせい, 1997)

吉田千鶴子,『近代東アジア美術留学生研究』(東京: ゆまに書房, 2009)

참고문헌

Referensi

Dokumen terkait

and founded the Museo Nacional de Bellas Artes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key figure in this project was the private collector Marcos Maturana (1802 –

184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Arts College of Fine Arts MA Program of Chinese Arts For International Student Master. 185 Nan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holds a master of fine arts degree from the Tyler School of Art, a bachelor of arts degree from Brandeis University, and has completed residencies at the Museum of Fine Arts

NS2 Wireless Network Simulation Chang-Gun Lee [email protected] Assistant Professor The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Mobile Node d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