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국가는 정치·경제적 배경, 지역적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기준으로 구별하기가 어렵다. lt;부록 1 참조>) 이들 28개국은 CEE(중동부 유럽), CIS(독립연방)이다. 남동부 유럽은 서부 발칸 반도의 구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를 포함한 발칸 반도 국가입니다. 여기에는 i.a가 포함됩니다. 발칸 반도 동부에 위치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4 이들 국가의 경제 수준은 5,000달러(1인당 GNI) 내외로 동구권의 중간 수준으로 CEEC 국가 중 가장 낮다. 그러나 북한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경우 동구권 국가들처럼 급격한 체제변화와 체제전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된다. 8. 이는 북한이 동구권 국가들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정권이 바뀌기 전, 한 사람이 통제하는 중앙집권적 시스템을 유지한다는 점을 바탕으로 한다.
대부분의 동유럽 전환국가들은 전환 후 처음 4~5년 동안 계속해서 생산량이 감소하다가 회복세로 바뀌었고 9~15년 후에야 전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경제 회복 측면에서 CEE 국가가 CIS 국가보다 생산 감소폭이 적고 회복세가 더 좋은 것과 대조됩니다.18. 21 상대가격왜곡 조정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전환 초기에는 유의미했으나, 인플레이션이 온건한 시기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Coorey et al., 1996).
한편, 초기 가격 급등 이후에도 2~3년 동안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 원인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23 그 원인에 대해서는 연구자와 지역별로 다양한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의견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전환 국가의 경제 및 통화 통합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지만 경제 이론이 제시하는 긍정적인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자세한 내용은 다음 섹션 참조). 가입 국가의 동질성에 따라 수렴이 달라진다는 의견이 있다.34 EU에 가입한 전환 국가의 소득 수렴에 관한 실증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느리기는 하지만 수렴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션.35.
더욱이, 글로벌 경제위기의 영향도 EU 회원국이 아닌 전환국가의 영향보다 더 크기 때문에 경제통합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36. 이는 통화 통합으로 인해 독립적인 통화 및 환율 정책 수단을 상실하는 비용이 예상보다 클 수 있기 때문입니다(Jones and Witte, 2011; Bancevičius, 2011). 특히 최근의 위기와 지원,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 등을 고려하면 전환국가의 경기주기는 다른 유로 국가들과 다를 수 있어 독립정책에 따른 자금손실 비용이 더 커질 수 있다.
북한 체제전환 및 남북통일에 대한 시사점
성장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과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장기성장을 위한 정책방안 및 통합대책 가. 북한의 장기성장정책은 시기별로 초점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동유럽 전환기 국가의 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경제 구조 변화 중 및 이후 성장 결정 요인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고려하면, 각 시기별로 다른 성장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경제 구조변화 시기에 시장경제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체제전환 특유의 요인인 안정화, 구조개혁, 제도개혁 등이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37 물가안정은 성장으로의 전환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며, 북한 경제의 초기 여건에 적합한 수준에서 속도와 질서를 고려한 구조적, 제도적 개혁을 준비해야 한다. 경제구조 변화 이후에는 인적·물적 투자, FDI 등 전반적인 경제성장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기간에는 다른 시장경제 국가와 마찬가지로 성장전략을 따라야 한다.
맺음말
Productivity Growth, Convergence and Welfare: What the Long-Term Data Show.”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Growth in transition: what we know, what we don't do and what we should."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Exchange Rate Regimes and the Stability of Trade Policy in Transition Economies.” Journal of Comparative Economics.
Institutions and economic performance: An overview of empirical research with a primary focus on transition economies. Journal of Southeast European Economy and Busi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Speed of Liberalization During Transition." Journal of Policy Reform. Old and New in Heterodox Stabilization Programs: Lessons from the 1960s and 1980s.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Shock Therapy versus Gradualism Reconsidered: Lessons from Transition Economies after 15 Years of Reforms.” Comparative Economic Studies.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as a reference model for transition economies in Central Asia – an analysi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exogenous constraints. Economic and Environmental Studies.
A Survey on Economic Performance of the Eastern Bloc after Transi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