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해상국립공원 내 지표성 딱정벌레류 ( 딱정벌레목 : 딱정벌레과 ) 군집의 다양성과 계절적 변화
홍의정1
⋅
강승호2⋅
정종국3*1국립생태원, 2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3강원대학교
Diversity and seasonal change of Carabid Beetle Assemblage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Eui Jeong Hong
1, Seung-Ho Kang
2and Jong-Kook Jung
3*1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33657, Korea 2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6441, Korea
3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요약: 본 연구에서는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내륙과 도서지역 산림에 분포하는 딱정벌레과의 다양성과 계절적 변화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남해도 5개소, 통영 4개소, 거제도 3개소, 오동도 1개소, 그리고 늑도 1개소를 선정하였고 한려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 내륙지역으로 하동군 노량리 금오산 1개소를 선정하여 총 15개소에 대해 함정트랩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014년 6월부터 10월까지 약 1개월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1,072개체의 딱정벌레과 곤충을 채집하였으며, 이들은 25종으로 동정되었다. 대부분의 섬에서 윤납작먼지벌레가 우점하였고, 아우점종은 섬마다 달랐다. 남해도에서 15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통영(14종), 늑도(10 종), 거제도(9종), 금오산(내륙, 6종), 오동도(4종)의 순이었다. 딱정벌레과의 종수와 개체수는 대체적으로 가을철이 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곤충상에 12종의 딱정벌레과 곤충을 추가하였다. 향후 도서지역 환경의 특성과 계절성 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지점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이뤄진다면 도서지역별 곤충상의 증가가 예상된다.
주요어: 딱정벌레과, 다양성, 섬, 산림, 자연자원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versity and its seasonal change of carabid beetles in the Hallyeohaesang na- tional park, especially in forest environments. A total of 15 sites were selected. As islands, 5 sites in Namhaedo, 4 sties in Tongyeong, 3 sites in Geojedo, 1 site in Odongdo and Neukdo were selected and 1 site in Mt. Geumo in Hadong-gun was selected as mainland.
Sampling was conducted by pitfall traps from June to October in 2014. A total of 1,072 individuals belonging to 25 carabid beetle species were collected. In most islands, Synuchus nitidus was dominant, but subdominant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islands. In number of species, 15 carabid beetle species were collected in Namhaedo that was the highest following by Tongyong (14 species), Neukdo (10 species), Geojedo (9 species), Mt. Geumo (mainland, 6 species), and Odongdo (4 species). Number of spe- cies and abundance were generally increased from early summer to autumn. In consequence, we added 12 carabid beetle species to the insect fauna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insect species can be found considering by environ- ment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ity of islands.
Key words Carabidae, Diversity, Island, Forests, Natural resources
서론
한려해상국립공원은 해상공원으로는 최초로
1968년
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전체 면적은535.676㎢
에 달하지만 76%가 해상으로 육지의 면적은 128.6㎢에 불과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총
17목 263과 2,695종의 곤충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높은 곤충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Hong
et al., 2016).
Received 15 May 2022; Revised 26 August 2022; Accepted 2 September 2022
*Corresponding to 정종국(Jong-Kook Jung) E-mail. [email protected]
높은 곤충 종다양성과는 별개로 한려해상의 넓은 면적과 다양한 서식지 유형 때문에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한 자연자원조사와 외부문헌(Yoon and Nam, 1972)에서는 특정 시기에 국한되어 조사가 단편적으로 이루어졌거나, 특정 섬 특히 면적이 넓은 섬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그러나
1971년 이후 육지와 도서 또는 도서와 도서를
연결하는 다리가 많이 건설되면서 도서지역에 대한 접근 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구역인 한려해상국 립공원 역시 여러 다리가 완공되어 이용 가능한데, 1971 년 거제대교를 비롯하여 남해대교, 창선교, 신거제대교, 창선⋅삼천포대교, 거가대교 등이 완공되어 이용 중에 있 다. 따라서 기존에는 접근이 용이한 도서를 중심으로 조사 가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조사 현장에 더 자주 방문함 으로써 주기적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곤충 다양성 조사는 현장에서 채 집된 종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트랩을 이용한 조사는 매우 제한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가장 최근 한려 해상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곤충상을 보고한 Hong
et al.
(2016)의 연구에서는 4월부터 10월까지 총 19개 지점에
대해 1회씩 함정트랩을 운영하였고, 설치기간은 1개월 정 도였다. 섬이 많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특성상 넓은 면적 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 외 다양한 조사법을적용하 면서 함정트랩의 비율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한려해상 국립공원 내 내륙과 도서지역 산림에 분포하는 딱정벌레 과(딱정벌레목)의 다양성과 계절적 변화 양상에 대해 조 사하였다. 일반적으로 딱정벌레과는 표준화된 채집법인 함 정트랩을 이용하여 매우 쉽게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Jung et al., 2019).
특히 종 다양성이 매우 높은 분류군 중 하나인 딱정벌레과(Löbl and Smetana, 2003)를 대상 으로 환경의 변화와 같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이나 생태계 천이 과정 등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환경지표종 으로 활용되기도 한다(Lövei and Sunderland, 1996; Rainioand Niemelä, 2003).
우리나라 산림 환경에서도 딱정벌레 과가 지표종의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는데, 산림의 파 편화 현상과 같은 서식처의 질적 감소로 인한 다양성 감소 현상이나(Junget al., 2018),
산림 내 우점 식생의 영향(Jung and Lee, 2020)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딱정벌레과 곤충의 조사를 위해 서 국립공원공단에서 설정한 총
211개의 격자 중 상시적
으로 접근이 가능한 도서의 산림을 대상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Fig. 1). 최종적으로 남해도5개소,
통영4개
소, 거제도 3개소, 여수 1개소, 그리고 늑도 1개소를 선 정하였다(Table 1). 추가적으로 한려해상국립공원 격자 중 유일하게 내륙지역인 하동군 노량리 1개소를 조사하 여 총15개소를 조사구로 선정하였다(Table 1).
2. 조사방법
딱정벌레과 곤충의 채집은 함정트랩(부피 500ml, 입구
지름
100mm,
깊이 60mm)을 이용하였다. 2014년 6월에중순부터 조사지점별로 함정트랩 3개를 설치하였으며 10 월 중순까지 조사하였다. 모든 함정트랩에는 원형의 흰 색 플라스틱 덮개(직경 25㎝)를 트랩 입구로부터 3~4㎝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빗물이나 낙엽의 유입을 최소화하였 다. 채집된 샘플의 보존을 위해서 에틸알코올(99% Ethyl-
alcohol)과 에틸렌글리콜(99% Ethylene-glycol)을 1:1로
혼합하여 함정트랩에 넣어두었으며, 월 1회 조사지점을 방문하여 샘플을 수거 후 재설치하였다. 수거한 샘플은 서울대학교 곤충생태학연구실로 운반하여 딱정벌레과 곤 충만을 분류하였고 실체현미경(Nikon SMZ800, 10~63 배율) 하에서 동정하였다. 종 동정을 위해Habu(1967, 1973, 1978, 1987), Kwon and Lee(1984),
그리고Park and Paik(2001)을 참고하였으며,
종명은Paek et al.(2010)
을 참고하였다. 동정이 완료된 표본은 액침 또는 건조표 본의 상태로 강원대학교 산림곤충연구실에 수장하였다.3. 분석방법
자료 분석을 위해 지표성 딱정벌레류의 조사구별(격 자별) 개체수와 종수를 요약하였으며, 각각의 섬에 대한 자료로 통합한 후 희박화곡선(rarefaction curves)을 작성
하였다. 이후 각각의 섬에 대한 종수를 비교하였다. 희박 화곡선 분석은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R v.4.0.3 (R Core
Team, https://www.R-project.org/)을 이용하였으며, “ve- gan”
패키지 내rarefy function을 이용하였다.
Location Mountain Quadrat no. Note
Is. Geojedo
Garasan 163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Mangsan 176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Nojasan 131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Is. Neukdo Keunseomsan 17 Black pine forests
Is. Odongdo Odongdo 86 Evergree broad-leaved forests
Is. Tongyeong
Mangsan 119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Mireuksan 68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Sinbongsan 94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Taeguisan 47 Evergree broad-leaved forests
Is. Namhaedo
Geumsan 59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Gudusan 13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Haeunsan 93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Mudeungsan 106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Wangjisan 14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Geumosan (mainland) Noryang-ri 5 Black pine forests
Table 1. Site description for the carabid sampling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Fig. 1. Study plots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결과
1.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딱정벌레과의 다양성
총
1,072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채집하였으며,이들은
25종으로 동정되었다(Table 2).
대부분의 섬에서윤납작먼지벌레(323개체)가 우점하였고, 아우점종은 섬 마다 달랐는데 거제도에서는 윤납작먼지벌레(153개체)와 거제멋쟁이딱정벌레(144개체), 늑도에서는 진홍단딱정벌 레(95개체), 오동도에서는 윤납작먼지벌레(12개체), 통영 에서는 윤납작먼지벌레(42개체)와 거제멋쟁이딱정벌레
(24개체),
남해도에서는 윤납작먼지벌레(108개체), 쌍무늬먼지벌레(108개체)가 우점하였다.
조사구별 다양성의 경우, 늑도(17번 조사구)에서 10종
(120개체)으로 가장 많은 종이 채집되었고 다음으로 통
영(94번 조사구)에서 9종(38개체)이 채집되었으나, 대부 분의 조사구에서는
2~8종(15개체~163개체)의
낮은 종 다 양성을 보였다. 도서별로 조사구 자료를 통합하여 보면, 남해도의5개 조사구에서 15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
되었고, 다음으로 통영의4개 조사구에서 14종,
늑도의1개 조사구에서 10종,
거제도의 3개 조사구에서 9종, 오동도의 1개 조사구에서 4종의 순이었고, 내륙의 하동군 금오산의
1개 조사구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희박화곡 선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남해도와 거제도는 종수 최 대치, 즉 조사를 추가적으로 수행해도 더 이상 종수가 증가하지 않는 지점에 점근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영, 늑도, 오동도 및 금오산은 곡선의 기울기를 볼 때 여전히 많은 종이 채집되지 않는 경향으로 향후 더 많은 종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2).Scientific name Korean name 5 13 14 17 47 59 68 86 93 94 106 119 131 163 176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점박이먼지벌레 1
Brachinus scotomedes 큰목가는먼지벌레 2 11 2 2 2 1 5
Chlaenius costiger 줄먼지벌레 1
Chlaenius naeviger 쌍무늬먼지벌레 7 4 82 6 11 8
Chlaenius ocreatus 민무늬먼지벌레 1
Coptolabrus jankowskii kojensis 거제멋쟁이딱정벌레 1520 40 3 1 1 71 73
Coptolabrus smaragdinus branickii 진홍단딱정벌레 1 95 4
Cymindis collaris 가슴점박이먼지벌레 1 4
Diplocheila zeelandica 모래사장먼지벌레 2
Dolichus coreicus 고려등빨간먼지벌레 1
Eucarabus namhaedoensis 남해우리딱정벌레 31
Eucarabus sternbergi kojedoensis 거제우리딱정벌레 1 20 4
Galerita orientalis 목가는먼지벌레 3 1 1 2
Harpalus tridens 꼬마머리먼지벌레 1 1 1
Oxycentrus argutoroides 긴머리먼지벌레 1
Pheropsophus jessoensis 폭탄먼지벌레 16 2 9
Planetes puncticeps 두점박이먼지벌레 1 8 2 4
Pterostichus audax 수도길쭉먼지벌레 2
Pterostichus teretis 원길쭉먼지벌레 1
Synuchus cycloderus 붉은칠납작먼지벌레 3 3 1 14 1 3 1 4 1 2 5
Synuchus crocatus 긴목칠납작먼지벌레 451
Synuchus melantho 검정칠납작먼지벌레 1
Synuchus nitidus 윤납작먼지벌레 7 12 19 1 3 8 12 11 74 23 27 106 20
Synuchus arcuaticollis 둥근칠납작먼지벌레 41 1 1 8 1 3 4 13
Trigonotoma lewisii 루이스큰먼지벌레 1 1
Number of species 6 5 7 10 2 5 8 4 4 9 6 6 8 3 5
Number of individuals 61 36 163 120 1564 43 17 44 38 80 33 131 124 103 Table 2. List of carabid beetles for each quadrat with their caught numbers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2. 딱정벌레과의 월별 변동
도서지역별 딱정벌레과의 종수와 개체수는 대체적으 로 가을철이 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Fig. 3). 특히 이러한 경향은 남해도, 통영, 거제도에서 두드려졌는데,
Synuchus속에 속하는 윤납작먼지벌레,
붉은칠납작먼지벌레, 둥근칠납작먼지벌레 등의 출현 및 개체수 증가가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딱정벌레아과에 속하는 거제멋
쟁이딱정벌레, 거제우리딱정벌레 및 남해우리딱정벌레는
7~9월 중에 주로 출현하였고,
진홍단딱정벌레는7월에서
10월로
갈수록 개체수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늬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종 중 개체수가 많이 포 획된 쌍무늬먼지벌레는 7월에 밀도가 높게 형성된 후 낮 아지는 경향이었다.
Fig. 3. Changes in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carabid beetles in each island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Fig. 2. Rarefaction curves for the each island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eumosan Geojedo Namhaedo Neukdo Odongdo Tongyeong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점박이먼지벌레 1
Brachinus scotomedes 꼬마목가는먼지벌레 2 5 13 2 3
Chlaenius costiger 줄먼지벌레 1
Chlaenius naeviger 쌍무늬먼지벌레 7 86 6 19
Chlaenius ocreatus 민무늬먼지벌레 1
Coptolabrus jankowskii kojensis 거제멋쟁이딱정벌레 144 56 23
Coptolabrus smaragdinus branickii 진홍단딱정벌레 1 95 4
Cymindis collaris 가슴점박이먼지벌레 4 1
Diplocheila zeelandica 모래사장먼지벌레 2
Dolichus coreicus 고려등빨간먼지벌레 1
Eucarabus namhaedoensis 남해우리딱정벌레 31
Eucarabus sternbergi kojedoensis 거제우리딱정벌레 24 1
Galerita orientalis 목가는먼지벌레 3 3 1
Harpalus tridens 꼬마머리먼지벌레 1 1
Oxycentrus argutoroides 긴머리먼지벌레 1
Pheropsophus jessoensis 폭탄먼지벌레 18 9
Table 3. List of carabid beetles for each island with their caught numbers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고찰
본 연구 결과, 국립공원연구원에서
2014년에 수행한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자연자원조사 결과(Honget al.,
2016)
대비12종의
딱정벌레과가 더 추가되었다. 12종에는 점박이먼지벌레(Anisodactylus punctatipennis), 큰목 가는먼지벌레(Brachinus scotomedes), 민무늬먼지벌레
(Chlaenius ocreatus),
가슴점박이먼지벌레(Cymindis col-laris),
목가는먼지벌레(Galerita orientalis), 긴머리먼지벌 레(Oxycentrus argutoroides), 폭탄먼지벌레(Pheropsophusjessoensis),
원길쭉먼지벌레(Pterostichus teretis), 둥근칠 납작먼지벌레(Synuchus arcuaticollis), 긴목칠납작먼지 벌레(Synuchus crocatus), 붉은칠납작먼지벌레(Synuchuscycloderus),
검정칠납작먼지벌레(Synuchus melantho)가 포함되며, 길쭉먼지벌레아과(Pterostichinae)에 속하는 종의 추가가 두드려졌다. 동일한 시기에 조사가 수행된 본 연구와 Honget al.(2016)의
차이는 길쭉먼지벌레아 과의 종 다양성 차이로 볼 수 있다. 길쭉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종은 함정트랩에 의해서 주로 채집되고 형태적 으로 동정이 어려울 정도로 종간 유사성이 높아 국립공 원연구원의 연구(Honget al., 2016)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12종 중 점박이먼지벌레, 민무늬먼지벌레, 폭탄먼지벌레, 그리고 붉은칠납작먼지 벌레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2014년 조사결과와 과거 조 사결과를 취합하여 발간한 보고서(KNPRI, 2015)에서 과 거 발생 기록을 찾을 수 있어 실제 추가된 종은 8종으로판단된다. 따라서 보고서(KNPRI, 2015)에서 확인된 78종
에
8종이 추가되어 총 86종의 딱정벌레과 곤충이 한려해
상국립공원 일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종은 대부분 수상성인 십자무늬먼지벌레아과(Lebiinae), 초지를 선호하는 무늬먼지벌레류(Chlaeniini족)이나 길앞잡 이류(Cicindelini족) 등으로 이들 중 무늬먼지벌레류를 제외하면 함정트랩보다는 육안조사나 유아등 등 다른 조사방법에 의해 채집되는 종류이다. 즉, 산림 내부가 아 닌 환경에서 단기간 조사를 수행한 기존 연구와 장기간 산림에서 함정트랩으로 조사한 본 연구의 방법론적 차 이에 의해 기존에 기록된 많은 종이 출현하지 않았던 것 으로 추정된다.
KNPRI(2015)과 Hong et al.(2016)의 결과에 비해
길 쭉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종이 다소 많이 추가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곤충 다양성이 높은 6~8월 외에도 가을철인9~10월까지 연속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기 때문으로 생
각된다. 산림에 서식하는 딱정벌레과 곤충은 종별로 다 른 계절적 발생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인데, 이들은 분류 군에 따라 봄철과 가을철에 높은 밀도로 출현하거나(Synuchus속),
여름철 이후 발생이 증가하는(Pterstichus속) 경향이 있다. 교량이 연결되지 않던 과거에는 도서지역 의 특성상 연속적인 조사를 수행하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되고, 정기적으로 현장 방문이 어려운 야외 조사의 특성상 함정트랩이 아닌 딱정벌레과의 휴식처(돌밑, 나 무밑, 낙엽 속 등)에 대한 직접 조사를 통해 조사를 하는Scientific name Korean name Geumosan Geojedo Namhaedo Neukdo Odongdo Tongyeong
Planetes puncticeps 두점박이먼지벌레 2 1 8
Pterostichus audax 수도길쭉먼지벌레 2
Pterostichus teretis 원길쭉먼지벌레 1
Synuchus cycloderus 붉은칠납작먼지벌레 3 7 18 1 3 5
Synuchus crocatus 긴목칠납작먼지벌레 46
Synuchus melantho 검정칠납작먼지벌레 1
Synuchus nitidus 윤납작먼지벌레 7 153 108 1 12 19
Synuchus arcuaticollis 둥근칠납작먼지벌레 41 17 2 1 8
Trigonotoma lewisii 루이스큰먼지벌레 2
Number of species 6 9 15 10 4 14
Number of individuals 61 358 387 120 17 96
Table 3. Continued
경우가 많다. 기존의 한려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 서도 곤충강 전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조사법을 이용하 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딱정벌레과와 같이 트 랩의 장기간 운용시 다양성이 높아지는 분류군에 대한 조사는 정밀도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이런 차이점은 비단 한려해상국립공원과 같은 도서지역 외에도 다른 자연자원조사에서도 유사한 부분이 있어 다른 지역에서 도 종 다양성 증가가 기대된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딱정벌레과 종은 경우에 따라 재검토가 필요할 수 있는데, 특히 길쭉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종은 동일한 분류군 내 다른 종과의 형태적 유사 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원길쭉먼지벌레는 1970년 거제 도와 1983년 경남의 무학산에서 기록된 종으로(Park and
Paik, 2001)
기존 국립공원연구원의 자연자원조사에서기록된 바가 없을 뿐 이 지역에서 분포하는 종으로 판단 된다. 이에 비해 긴목칠납작먼지벌레는 표본을 이용한 검 토가 필요할 수 있다. KNPRI(2015)에는
Synuchus calli- theres가 기록되어 있는데,
본 종은 수컷 외부생식기의 형태적 특징이 긴목칠납작먼지벌레와 다소 유사하다(Habu, 1978).
수컷과 달리 암컷의 경우, 복부 끝마디의뾰족돌기(stylus)의 형태적 특징은 두 종에서 완연하게 차이가 나며(Habu, 1978), 최근에 정리된 한국곤충명집
(KSAE, 2022)에서도 기록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존에 기록된
S. callitheres가
오동정일 가능성이 높다. 이외 에도 한려해상국립공원에는 꼬마목가는먼지벌레(Brachinusstenoderus)가 기록되어 있는데,
일부 문헌에서 큰목가는먼지벌레(B. scotomedes)의 국명을 꼬마목가는먼지벌레로 기록하는 경우가 확인되고 있고(Cho and Oh, 2007; Jung
et al., 2018), 이는 과거 국내 곤충 목록에서 제시된 국명
에 대한 오류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B. stenoderus
는 금속성의 광택이 있는 딱지날개를 갖는 종으로 광택 이 없는 B. scotomedes와는 명확하게 구분되지만(Habu,1967),
과거 표본을 확인할 수 없어 기존에 기록된 꼬마목가는먼지벌레 개체 중 큰목가는먼지벌레 존재 유무는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도서지역은 도서생물지리설에 따라 종의 이입과 이출이 어려워 내륙과 비교할 때 낮은 종 다양성 을 보여주거나, 섬의 면적 감소에 따라 종 다양성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늑도는 조사대 상 섬 중 섬의 면적이 가장 작음에도 불구하고
10종으로
많은 종이 조사되었는데, 다른 섬과 달리 줄먼지벌레, 쌍 무늬먼지벌레, 민무늬먼지벌레, 진홍단딱정벌레 및 폭탄 먼지벌레 등이 채집되어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무 늬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종들은 초지 환경을 선호하며(Jung and Lee, 2016),
진홍단딱정벌레 역시 하층식생이 발달한 숲에서 많이 채집되는 종인데(Junget al., 2016),
늑도는 섬 내부의 산림 면적이 좁고 하층식생이 발달한 특성을 보여 산림 외부 환경을 선호하는 종들이 많이 서 식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늑도 외에 섬의 면적이 큰 거제도, 통영, 남해도는 각각 9종, 14종, 15종으로 많은 종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조사구의 수가 3~5 개로 늑도나 오동도에 비해 많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산 림성 종과 일부 초지성 종이 채집되었던 것으로 생각된 다. 오동도의 경우 산림 내 낙엽층이 거의 없는 환경으로 산림성 종의 서식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종수와 개체수 모두 매우 낮은 특징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조사에서 유일한 내륙 지역의 산림인 하동군 금오산의 경우에는 남사면의 소나무림이었는데 산림 내부가 건조 한 특성 때문에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산림성 딱정벌 레과 곤충이 적게 채집된 것으로 생각된다.희박화곡선 결과에서 채집된 종수가 낮은 지역인 통 영, 늑도, 오동도 및 금오산은 향후 추가 조사 시 종수가 증가할 수 있는 잠재성이 높은 지역들이었는데, 이들 지 역은 산림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초지성 종의 증가가 예상되거나(통영과 늑도), 산림 내 환경이 딱정벌레과의 분포에 불리한 조건이어서 더 이상 증가할 수 없는 경우
(금오산과
오동도)로 추정된다. 그러나 향후 도서지역환경의 특성과 계절성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지점에 대 한 추가 조사가 이뤄진다면 도서지역별 곤충상의 증가 및 도서생물지리설에 의한 종 변화 경향에 대한 연구 등 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사사
본 연구는 2014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
원(한려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의 지원에 의해 수 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KNPRI. 2015. Investig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n 2014.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p. 744.
Yoon IB, SH Nam. 2007. Insect fauna of islands adjacent to Is. Geoje during summer seas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4: 75-91.
Cho YB, KS Oh. 2007. Beetles Diversity (Insecta, Coleoptera) of Mt. Boryeonin Chungju City, Chungbuk Province.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5(1): 1-7.
Habu A. 1967. Fauna Japonica, Carabidae truncatipennes group (Insecta: Coleoptera). Biogeographical Society of Japan, Tokyo.
Habu A. 1973. Fauna Japonica, Carabidae: Harpalini (Insecta:
Coleoptera). Keigaku Publishing Co. Ltd, Tokyo.
Habu A. 1978. Fauna Japonica, Carabidae: Platynini (Insecta:
Coleoptera). Keigaku Publishing Co. Ltd, Tokyo.
Habu A. 1987. Classification of the Callistini of Japan (Coleoptera, Carabidae). Entomological Review of Japan. 42: 1-36.
Hong EJ, SW Choi, HY Kwon, S Kang, Y Kim, JC Jeong.
2016. Insect fauna o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7(1): 53-60.
Jung JK, EJ Hong, TG Kim, JC Jeong. 2018.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Assemblage Structure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 Comparison between Coastal Dune and Windbreak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2): 147-153.
Jung JK, JC Jeong, JH Lee. 2019. Effects of pitfall trap size and sampling duration on collection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temperate forests. Entomological Research. 49: 229-236.
Jung JK, JH Lee. 2016. Forest-farm edge effects on commun- ities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under dif- ferent landscape structures. Ecological Research. 31:
799-810.
Jung JK, JH Lee. 2020. Trait-Specific Responses of Carabid Beetle Diversity and Composi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s Compared to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in a Temperate Region. Diversity. 12: 275. doi:10.3390/d12070275 Jung JK, SK Lee, SI Lee, JH Lee. 2018. Trait-specific re- sponse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to for- est fragmentation in the temperate region in Korea.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27: 53-68.
Jung JK, YJ Park, SK Lee, HS Lee, YG Park, JH Lee, TY Choi, D Woo, 2016. Response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to vegetation structure in wildlife cross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2):
185-198.
KSAE. 2022.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won YJ, SM Lee. 1984.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Carabinae from Korea (Coleoptera: Carabidae). Insecta Koreana, Series 4, Editorial Committee of Insecta Koreana.
Löbl I, A Smetana. 2003. Catalogue of Palaearctic Coleoptera.
Volume I. Archostemata-Myxophaga-Adephaga. Apollo Books. Stenstrup, Denmark.
Lövei GL, KD Sunderland. 1996. Ecology and behavior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Annual Review of Entomology. 41: 231-256.
Paek MK, JM Hwang, KS Jung, TW Kim, MC Kim, YJ Lee, YB Cho, SW Park, HS Lee, DS Ku, JC Jeong, KG Kim, DS Choi, EH Shin, JH Hwang, JS Lee, SS Kim, YS Bae. 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Academic Series 2). Nature and Ecology. (in Korean)
Park JK, JC Paik. 2001. Family Carabidae. Economic Insects of Korea 12. Ins. Koreana Suppl. 19, Junghaeng-sa, Seoul.
Rainio J, J Niemelä. 2003.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as bioindicator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2: 487-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