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무등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저장량 평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무등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저장량 평가"

Copied!
6
0
0

Teks penuh

(1)

무등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저장량 평가

이나연1*·나경태2·노종민3·심석영3

1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국립공원관리공단 무등산국립공원 동부사무소

3호남대학교 조경학과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in A Forest Ecosystem at Mudeungsan Mt. National Park, Korea

Na-yeon Lee

1

*, KyungTae Na

2

, JongMin Noh

3

and Sukyoung Shim

3

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20-947, Korea

2Mudeungsan National Park Dongbu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wasun 519-803, Korea

3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 Gwangju 506-714, Korea

요 약 :무등산국립공원은인공조림지와나지를제외(약 20% 정도)한대부분이이차림이다. 이를토대로무등산국 립공원자연생태계의탄소저장량을평가하기 위하여낙엽활엽수를중심으로 고정조사구(30 m×30 m, 4지점)를설치, 식생권과 토양권의 탄소저장량을추정하였다. 무등산국립공원에서잣고개, 풍암제및 중봉의대표낙엽활엽수림군 락과 중지의 소나무림(혼합림)의 식생권과 토양권의 탄소량을 평가하였다. 식생권의 탄소량은 82~145 t C ha−1

범위로 평균 약 107 t 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다. 또한 토양권의 탄소량은 69~178 t C ha−1의 범위로 평

균 약 114 t C ha−1 정도의양을 축적하고 있다. 토양권과 식생권을 포함한 생태계 전체의탄소저장량은 172~271

t C ha−1의 범위로 평균 약 222 t 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다. 소나무와 활엽수가 혼생하고 있는 중지 조

사구가토양권에서매우높은탄소저장량을지니고있으며식생권을포함한전체생태계의탄소저장량도중지조사 구에서가장높은값을나타내었다. 다른공원(지리산, 속리산, 북한산, 설악산, 내장산국립공원)과 비교할때 무등산 국립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다음으로많은 탄소를저장하고 있음을알수 있다. 또한무등산국립공원과타 지역산 림생태계를 비교할때, 생태계전체의탄소량이 강원지역(213 t C ha−1)에 필적하는 양을 지니고있는 것으로평가 되었다.

주요어 :산림생태계, 무등산국립공원, 현존량, 토양유기물, 탄소저장량

Abstract :We studied carbon storage at four forest stands (Jatgogae, Pungamjae, Jungbong, Jungji)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Korea. Biomass and soil carbons were calculated from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ased on the DBH and carbon contents of soil and litter collected in each stand. The biomass of trees in the four stands on an average was 107 t C ha−1 and ranged from 82 to 145 t C ha−1. The total amount of soil organic matter at a depth of 30 cm in the four stands on an average was 114 t C ha−1. In addition, the total carbon pools of biomass and soil was approximately 222 t C ha−1, ranged from 172 to 271 t C ha−1. Above values among three stands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did not show the valuable difference on average 205 t C ha−1. The amount of ecosystem carbon pools at Mixed forest stand (JungJi site) was higher estimated than other three deciduous stands. The estimated total ecosystem carbon pools at Mudeungsan Mt. National Park was higher than other National Parks (Bukhansan, Soraksan and Naejangsan), except Jirisan, Sokrisan and Soraksan National Parks. Furthermore, the amounts of ecosystem carbon storage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significantly.

Key words :Biomass, Carbon storage, Forest ecosystem, Mudeungsan Mt. National Park, Soil organic matter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서 론

식물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를 광합성 작용을 통해 식물체에 고정한다. 반면 식물과 토양 속의 뿌리 및 미생물 은 호흡작용을 통해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기도 한 다. 또한 식물이 고정한 탄소(C)가 낙엽과 낙지라는 유기물 형태로토양권에 유입되어축적된다. 이렇게쌓여지는 탄소 의 일부는미생물의 분해작용에의해다시대기중에 CO2 로 방출된다. 이러한 탄소의 흐름이 육상생태계에서 일어나 는 탄소 순환의 주된 흐름이다. 육상생태계에서 탄소의 움 직임(탄소 동태)을 파악하는 것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저 감하는 생태계 역할을 평가하는 데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 는 일이다. 육상생태계에서 탄소 동태를 파악하는 데에 기 본이 되는일 중하나는각 생태계를구성하는탄소 저장고

(reservoir)를파악하는 것이다. 육상생태계의 탄소저장고는

크게 식물과 토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이 2010).

이(2011)는 북한산국립공원 낙엽활엽수림의 탄소저장량을 평가하였다. 토양권과 식생권을 포함한 생태계 전체의 탄소 저장량은 142~156 t C ha−1의 범위로 평균 약 149 t 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식생권의 탄

소량은평균 약 93 t C ha−1, 토양권의탄소량은 평균약 55

t 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우

리나라 국립공원의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조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토양-식생- 대기)의 물질순환 중 탄소를 중심으로 유기물의 저장고

(pool) 인 토양과식생에저장된탄소량을평가하는 것을목

적으로 실시하였다. 고정조사구에서 식물과 토양이 가지고 있는 탄소 저장량을 평가하기 위해서, 식물은 매목조사를 통하여 식물 군락의 현존량을 산출하고 토양은 직접 시료 채취 후 탄소함량을 분석하여 탄소량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무등산국립공원과 타 국립공원(북한산국립공원, 내장 산국립공원 등)과다른산림지역(강원권, 남부권 등)의 산림 생태계탄소저장량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던 무등산은 2013 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광주광역시(북 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는 무등산 국립공원의 면적은 75.425 km2이다. 최고봉(해발 1,187 m)인 천왕봉일대는서석대, 입석대, 규봉등수직절리상의암석 이석책을두른듯치솟아장관을이루며주상절리대를포함 하여 경관자원 6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수달, 구렁이, 삵 등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총 2,296종이 서식하고 있다 (http://mudeung.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

=122000&menuNo=7020090).

조사 방법

2013년 11월 고정 조사구(30 m × 30 m) 내 매목조사를 실 시하고 DBH(흉고 직경, Diameter at Breast Height) 5 cm 이

상의상층식생에대해상대생장법(Allometric method)으로간 접 추정한다. 상층식생의 지상부현존량은낙엽활엽수림의 건중량 추정회기식(손 등 2007)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또 한 지하부 생체량은 손 등(2007)의 지상부 현존량에 대한 비율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침엽수림의 침엽수에 관해서 는 손 등(2010)의 상대생장식을 이용하여 간접 추정하였다.

식생의탄소저장량은건중량에 45%를 탄소함량으로간주하 여추정하였다(IPCC 2001, 구체적인조사방법국립공원연구 원 2013a, b 참고). 하층식생에 대해서는 그 양이 매우 적어 고려하지 않아 식생권 탄소저장량은 과소평가 되었다.

고정 조사구 내 임의의 장소 2지점에서 시료 채취 코어를 이용하여 5 cm 깊이별로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리터층은

15 cm × 15 cm 크기의 면적에서 채취하여 비닐 백에 담아

밀봉하여실험실로운반, 항량이될 때까지건조시킨후, 토 양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용적밀도를 구하였다. 이후 토양시 료는 원소분석기로 탄소함량(%)을 측정하였다. 탄소함량에 용적밀도를 감안하여 깊이별 토양저장량을 추정하였다(국립 공원연구원 2013a, b).

조사지 개요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 30년간(1981~2010년) 광주시 의 연평균 기온은 13.8oC, 평균 강수량은 1,391.0 mm으로 나 타났다. 월평균 기온은 8월이 평균 26.2oC로 가장 높고, 강수 량은 7월이 308.9 mm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1,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yy_st

=2011&stn=156&norm=M&obs=0&x=30&y=7).

이지역의식생은 1940년대의무절제한벌채로인해일부

지역에 국한하여 원시림이 자생하고 있고 대부분이 이차림 으로 30년생 미만이며 침엽수인 소나무군집과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림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이와 오 1995). 조 등(2000)은 인공조림지

와 나지를제외(약 20% 정도)한 대부분이 이차림을 차지한

다고보고하고있다. 김과오(1993)는침엽수림인 소나무림,

리기다소나무 및 편백 식재림과 낙엽활엽수림인 상수리나무 림, 굴참나무림, 졸참나무림, 신갈나무림과 계곡부위에 때죽

Figure 1. Mean (Max, Min) air temperature (oC) and monthly precipitation (mm) during 30 years (1981~2010)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3)

나무, 비목나무, 팽나무, 졸참나무, 산벗나무, 층층나무, 노각 나무등의잡목림이울창하게자라고있다고보고하고있다. 또한 억새군락과 아까시나무-매미꽃군락, 끈끈이주걱군락 등 10개 군락으로구분하여 보고하고있다. 고정조사구로서 선정한 지점은 위치, 접근성, 해발고도, 식생 분포 등의 요 건을 안배하여 원효사 지구 중봉 얼음바위, 풍암제 및 잣고 개 인근 낙엽활엽수림과 화순지구 중지 인근의 소나무 혼합 림이다(Figure 2). 많은 조사구를 선정하여 조사하는 것이 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대표성을 높일 수 있으나, 최소한의 지점에서 비교적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넓게 분포하고 있는) 군락을 조사지로 선정하였다. 비교적 잘 발달된 군락 선정으로 탄소저장량이 높게 평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되도록이면 해당지역의 평균적인 군락 지점을 선정하였다.

각 조사구에 대한 군락 특성을 Table 1에 간략하게 기재 하였다. 구체적으로 잣고개 조사구는 밤나무군락으로 팥배 나무, 리기다소나무, 때죽나무, 자귀나무, 아까시나무등으로 구성되어 있는인위적 간섭을 받은 숲이다. 평균 흉고직경

16.6 cm, 조사구 내 직경 5 cm 이상의 교목·아교목이 91개

체 생육하고 있는 군락이다. 흉고직경이 40 cm 넘는 밤나무 가 3그루 존재하고 30 cm 이상 40 cm 미만의 밤나무가 8개 체, 소나무 1개체, 리기다소나무 1개체가 생육하고있다. 관 목층에는 때죽나무, 개옻나무, 산벗나무 등이 있다. 흉고직

경이 10 cm 미만의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이혼생하여향후

참나무군락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5° 이하의

경사에 소나무 대경목의 고사목이 존재한다. 계곡부 저지대 로 바위 및 돌이 산재하고 있어 토양 깊이 30 cm까지 시료 를 채취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을 정도로 토양이 덜 발달되 어 있다.

풍암제 조사구는굴피나무군락으로계단식농사의흔적이 있는이차림으로 사료된다. 굴참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소 나무 등이 졸참나무, 대팻집나무, 팥배나무, 물푸레나무, 갈 참나무, 산벗나무 등과 함께 생육하고 있다. 평균 흉고직경

11.1 cm, 조사구 내 직경 5 cm 이상의 교목·아교목이 136 개

체 생육하는 대표적인 이차림이다. 흉고직경 30 cm 넘는 개 체가 7개체로굴피나무가 2그루, 흉고직경 37 cm 의 소나무

1그루, 33 cm 정도의굴참나무 2그루및느티나무와팽나무

가 있다. 약 15°의 급경사로 사면 중저부에 위치하고 있으 며 잣고개 조사지와 마찬가지로 돌이 산재하고 있어 토양 깊이 30 cm까지 시료를 채취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을 정도 로 토양은 덜 발달되어 있다. 다른 조사구와 비교하여 비교 적 유기물(리터층)이 쌓이지않고적게분포하고 있는특징 이 있다.

중봉 조사구는계곡부고지대의신갈나무군락으로당단풍 나무, 들메나무, 쪽동백, 비목나무, 물푸레나무, 때죽나무, 노 린재나무, 사람주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비교적 작은키로 존재하는 자연림에 가까운 군락이다. 평균 흉고직경 11.7 cm, 조사구 내 직경 5 cm 이상의 교목·아교목이 239개체 생 육하는 낙엽활엽수군락이다. 아교목과 관목층에 당단풍이 분포하고 있으며 하층식생에는 1 m가 넘는 조릿대가 일면 을 덮고 있다. 흉고직경 20 cm 이상이 16개체이고 이중 산 벗나무와 소나무가 각 1개체씩 존재하며 들메나무가 2개체, 나머지 14개체는 신갈나무이다. 풍암제 조사구와 마찬가지 로 큰 바위가 존재하고 토양 속에 많은 돌이 산재하고 있으

나 약 40 cm~45 cm까지 A층에 해당할 정도로 토양이 잘

발달되어 있다.

중지 조사구는주변에 목장이있는인위적인간섭이많은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생하고 있는 군락이다. 고정 조사구내 침엽수 24개체 중 소나무가 14개체이고, 나머지 잣나무 7개 체와 편백나무 3개체가 생육하고 있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23 cm이다. 활엽수는 졸참나무를 비롯하여 굴참나무, 쇠물

푸레나무, 사람주나무, 쪽동백, 노각나무, 굴거리나무, 때죽

나무등이분포하고있다. 활엽수의평균흉고직경 12.2 cm,

직경 5 cm 이상의 교목·아교목이 134 개체 생육하고 있다.

교목층에 소나무가 잘 발달하여 소나무숲으로 볼 수 있으나 Figure 2. Location of the study sites (No. 9: Jatgogae, No. 11:

Pungamjae, No. 23: Jungbong, No. 29: Jungji)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Table 1. Characteristics of four stands (Jatgogae, Pungamjae, Jungbong, Jungji)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stand a.s.l. sum of stem area

number of trees

mean DBH (m) (m2 ha−1) (tree ha−1) (cm)

Jatgogae 94 31.40 1011 16.6

Pungamjae 520 21.35 1022 11.1

Jungbong 770 33.99 2656 11.7

Jungji 479 11.83 1222 13.8

(4)

숲속에는낙엽활엽수가 소나무보다더많이 생육하고있는 천이 도중의 혼합림이라고 할 수 있다. 평지에 하층식생은 거의 발달하지 않은 군락이다. 흉고직경 40 cm 넘는 굴참나 무 1그루와 흉고직경 30 cm 이상의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4그루 있다. 다른 잣고개, 풍암제, 중봉 조사구와 달리 유기물

층이 약 3 cm 정도의 두께로 두껍게 존재하는 특징이 있다.

결 과 1. 현존량 및 식생권 탄소량

현존량은 부위별로 줄기, 가지, 잎, 뿌리로 구분하고, 줄기 부분은 다시 목질부와 수피로, 가지 부분은 생지와 고사지, 그리고 당년생 소지로 추정하였다. 현존량은 부위별로 줄기

부분이지상부의 약 80% 정도를차지한다. 이는다른국립

공원 낙엽활엽수 군락의 특징과 다르지 않은 비율이다. 그 러나 중지의 경우 소나무 등 침엽수에 의해 줄기가 지상부 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현존량은 중봉 (243 t ha−1)과 중지(206 t ha−1)가 유사한 값을 나타냈으며, 풍암제가 가장 낮으며(183 t ha−1), 잣고개가 가장 높은 값

(323 t ha−1)으로 추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전체 조사구의

평균 현존량은 약 239 t ha−1로 나타났으며, 소나무 군락의

중지를 제외한 세 조사구의 평균 현존량은 약 250 t ha−1로 추정되었다.

이 등(2009)은 강원도 횡성지역의 천연 소나무와 참나무 류 순림 및 혼합림의 하층식생이 0.25 t ha−1~1.35 t ha−1의 현존량임을 보고한 바 있다. 하층식생의 양이 식생권 전체 현존량의 약 1% 수준에 해당될 정도로 매우적어 본 연구 에서는 평가하지 않았으나절대값의 평가라는 차원에서는 과소평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현존량을 바탕으로 식생권 탄소량을 추정한 결과 (Figure 3) 세 지구(잣고개, 풍암제, 중봉)는 82 t C ha−1~

145 t C ha−1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중지는 93 t C

ha−1으로무등산국립공원전체조사구의평균 식생권탄소량 은 약 112 ± 32 t C ha−1(Average ± SD)에 달했다.

2. 토양권 탄소량

유기물층(리터층)에서부터 30 cm 깊이까지 5 cm 간격으로 토양탄소량을 Figure 4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서 리터층까지의 유기물층에 토양탄소량이 많이 분포하고 토양깊이가 깊어지면서 토양탄소량이 적어지는 경향이있 다. 무등산국립공원 조사구 중에서 유기물(Litter)층에 토양 탄소량이가장많은 것은중지(86 t C ha−1) 로나타났다. 이 는 조사구 개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터운 리터층에 기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세 조사구(잣고개, 풍암제, 중 봉)는 약 40 t C ha−1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나타났 다. 식생권과 달리 잣고개의 토양이 토양탄소량이 가장 적 은 양(69 t C ha−1)이었으며, 풍암제(90 t C ha−1), 중봉(121 t C ha−1), 중지(178 t C ha−1) 순으로탄소를저장하고있었다. 리터층을 제외한 나머지 깊이의 토양탄소량은 전체 조사구 에서 모두 깊이가 깊어지면서 토양탄소량이 감소하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토양탄소량은 약 114 ± 26 t C ha−1(Average ± SD)으로 추정되었다.

3. 생태계 탄소량

무등산국립공원조사구의생태계전체(토양권과 식생권을 포함)의 탄소저장량을 Figure 5에 나타내었다. 생태계의 평

Figure 3. Amount of vegetation carbon storage (t C ha−1) of tree by components (stem, branch, foliage and roots) at four stands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by allometric equations.*

Equations follow the form log Y = a + b log X, where X is DBH (cm) and Y is biomass (kg).

Figure 4. Carbon stocks of soil (t C ha−1, n= 8) based on the carbon contents of soil and litter collected to a depth of 30 cm including forest floor litter at four stands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Figure 5. Total amount of ecosystem carbon storage (t C ha−1) at four stands in Mudeungsan Mt. National Park.

(5)

균적인 탄소저장량은 평균 약 222 t C ha−1(범위 172 t C ha−1~ 271 t C ha−1)으로추정된다. 중지(혼합림)를제외한조 사구의 생태계 평균 탄소저장량은 약 205 ± 30 t C ha−1 (Average ± SD)로 나타났다.

고 찰

무등산국립공원낙엽활엽수림의 현존량은 어느 정도인지 다른공원(지리산, 속리산, 북한산, 설악산, 내장산국립공원) 과 비교하였다(국립공원연구원 2013a; 이 2011; 이 2012a;

이 2012b; 이 등 2013). 각 공원별 탄소저장량의 평가 방법 은 모두 3지점의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동일한 평가 방 법을 적용한 결과이다. 식생은 해발고도 400 m에서 1,000 m 정도에분포하고 있는중산간지역의신갈나무군락, 졸참나 무군락, 서어나무군락등이다. 식생권탄소량은현존량과동 일한 경향으로 양적으로만 차이가 있다(Figure 6). 양적으로 6개 공원 낙엽활엽수림의 식생권 탄소량은 평균 약 108 t C ha−1정도(범위, 90 t C ha−1~147 t C ha−1)이고 무등산국립 공원의 식생권 탄소량 평균도 5개 공원 평균값에 필적하는 값임을알 수 있다. 무등산국립공원(147 t C ha−1)을 제외하 고 속리산국립공원(90 t C ha−1)과 북한산국립공원(93 t C ha−1)은 평균이 100 t C ha−1에 미치지 못하는 양이다. 또한 지리산국립공원과 북한산국립공원과 달리 무등산국립공원은 지구별 편차가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토양이 다른 5개의 국립공원보다 많은 양임을나타내었다(Figure 7). 특히, 많은 양의탄소저장량을 나타내고있는 중지를제외한낙엽활엽수림 세조사구의평

균도무등산국립공원의 평균 토양탄소량에 필적하는 양이 었다. 무등산국립공원과타 지역산림생태계를비교하여토 양권 탄소량은 어느 지역보다 많은 양을 지니고 있는 것으 로 평가되었다. 또한 이 등(2010)은 2006년부터 2008년 국 가산림자원조사에서 낙엽활엽수림의 토양권(0 cm~50 cm 깊이)의 탄소량을 57.3 t C ha−1로 추정하였다. 여기에 유기 물층의탄소량(3.9 t C ha−1)을 더하면 61.2 t C ha−1가 된다. 무등산국립공원의토양(114 t C ha−1)은우리나라평균 산림 토양의 탄소저장량의 약 2배 가까운 값을 저장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북한산국립공원을 제외한 5개 국립공원은 모두 평균적인 산림 토양의 탄소량 보다 많이(8%~87%) 저 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사한 깊이가 국립공원의 경우 0 cm~30 cm의 값이므로 이를 감안하면 국립공원의 토양탄소량은 평균적인 우리나라 산림보다 상당히 많음을 알 수있다. 그러나 Figure 7에서보는 바와같이(설악산, 무 등산국립공원) 탄소저장량 값이 2배 이상 차이가 있을 정도 로 토양의 불균일성은 매우 높다. 산림생태계의 토양권 탄 소저장량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식생, 지형, 토양 유형, 유효토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무등산국립공원산림생태계 전체의 탄소저장량은 평균적 으로 222 t C ha−1으로, 북한산국립공원(149 t C ha−1)과 내 장산국립공원(178 t C ha−1) 보다 많은 양을 지니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Figure 8). 설악산국립공원(238 t C ha−1), 지 리산국립공원(265 t C ha−1) 및 속리산국립공원(245 t C ha−1)

보다는 비교적 적은 양으로 평균 약 28 t C ha−1가량의 차

이를보였다. 또한무등산국립공원과타 지역산림생태계를

Figure 6. Amount of vegetation carbon storage (t C ha−1) at the four stands of the current study and three stands of Jirisan, Sokrisan, Bukhansan, Soraksan and Naejangsan National Parks.

Figure 7. Amount of soil carbon storage (t C ha−1) at the four stands of the current study and three stands of Jirisan, Sokrisan, Bukhansan, Soraksan and Naejangsan National Parks.

Figure 8. Total amount of ecosystem carbon storage (t C ha−1) at the four stands of the current study and three stands of Jirisan, Sokrisan, Bukhansan, Soraksan and Naejangsan National Parks.

Figure 9. Total amount of ecosystem carbon storage (t C ha−1) at the four stands of the current study and three stands of the three regions (Gangwon, Jungbu, Nambu, and Namsan) in Korea.

(6)

비교하면, 생태계전체의 탄소량은 가장많은강원지역(213

t C ha−1)에 필적하는 양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손 등 2007, Figure 9).

박(2009)의 보고에 의하면, 도시공원의 탄소저장량은 평균 17.3 t(최소 7.0~최대 27.8 t C ha−1)로 무등산국립공원이 10 배 이상 많은 저장량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은 41.1 t C ha−1으로 보고하여 무등산국립공원이 5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산림의 평균 탄소 저장량은

142.8 t C ha−1로 추정된다(산림청의 산림자원 평가보고서

(2011)에 의하면 우리나라 산림의 탄소저장량이 9억 1,000만

t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나무가 4억5700만 t(50.1%),

토양 4억1,700만 t(45.7%), 낙엽층 3,800만 t(4.2%)이다. 이 를 우리나라 산림 면적(6,369 천 ha, 2010년 기준)으로 나누 면이와 같은값을얻을수 있다). 국립공원의탄소저장량은 이 값과비교하여 5개 공원모두 많은편이며, 특히 무등산 국립공원은 약 1.55배 높은 수준이다.

식생권과 토양권 전체를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탄소량은 대기에 존재하는 탄소의 3.6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IPCC 2001). 이러한 탄소저장고의 역할이 급격한 토지이 용 변화나 토양 침식 등과 같은 인위적 활동에 의해 대기 중으로이산화탄소가방출되어기후변화의가속화를초래하 는 방출원이 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평가방법에 과소평가 요인(하층부 식생 평가 누락 등)과 과대평가 요인(토양의 불균일성 등)이 있으나, 평균적으로 볼때 다른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도상대적으로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는무등산국립공원은 생태계 보전과관 리에대한노력이더욱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실시하는 2013년 무등산국 립공원자연자원조사 사업에의해수행된 결과이다.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2013a. 내장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탄소저장 량.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3b. 무등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탄소저장 량. 국립공원관리공단.

김철주, 오장근. 1993. 무등산의식생에대한식물사회학적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6(1): 93-114.

박은진. 2009. 도시수목의이산화탄소흡수량산정및흡수효과

증진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58pp.

손영모, 이경학, 김래현, 표정기, 박인협, 손요환, 이영진, 김춘식.

2010. 산림온실가스인벤토리를위한주요수종별탄소배출

계수. 국립산림과학원. 75pp.

손요환, 김동엽, 박인협, 이명종, 진현오. 2007. 한국참나무림의물 질생산과양분순환: 신갈나무림과굴참나무림의연구사례. 강원대학교출판부. 240pp.

이나연. 2010. 육상생태계의탄소순환 -산림의순생태계생산량-.

국립공원연구원지. 1(3): 163-168.

이나연. 2011. 북한산국립공원낙엽활엽수림의탄소저장량평가.

국립공원연구원지. 2(2): 53-57.

이나연. 2012a. 설악산국립공원낙엽활엽수림의탄소저장량평가.

국립공원연구원지. 3(1,2): 9-13.

이나연. 2012b. 지리산국립공원낙엽활엽수림세군락의탄소저장

량평가. 환경생물학회지. 30(2): 121-127.

이나연, 이호, 나경태. 2013. 국립공원낙엽활엽수림의탄소저장량

평가-북한산, 무등산, 지리산, 속리산국립공원을대상으로-. 한 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23(2): 14.

이규완, 오구균. 1995. 광주광역시도시림의현존식생과식생구조.

한국조림학회지. 23(2): 148-156.

이수경, 손요환, 노남진, 허수진, 윤태경, 이아름, 이우균. 2009. 횡 성지역천연소나무와참나무류순림및혼효임분의탄소저장 량추정. 한국임학회지. 98(6): 772-779.

이승우, 변재경, 김성호. 2010. 우리나라의산림토양탄소저장량.

(사)한국임학회정기학술연구발표회. 230-231.

조현제, 조재형, 이창석. 2000. 도시림관리를위한식생단위구분

과정밀식생도작성 -광주광역시무등산을중심으로-. 한국임 학회지. 89(4): 470-479.

제5차국가산림자원조사보고서(2006~2010), 2011. 국립산림과 학원.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88.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yy_st

=2011&stn=156&norm=M&obs=0&x=30&y=7(기상청 국내기 후자료)

http://mudeung.knps.or.kr/front/portal/visit/ visitCourseMain.do?parkId

=122000&menuNo=7020090 (무등산국립공원홈페이지) (2014년 10월 30일접수; 2015년 3월 16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Effects of Permeable Barriers on Total Ecosystem Carbon Stocks of Mangrove Forests and Abandoned Ponds in Demak Regency.. Supervised by DANIEL MURDIYARSO and

At Howland Forest, a temperate coniferous forest in central Maine, USA, we used measurements of carbon and radiocarbon in soil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C storage occurring in both

The Walton company has a total of five underground storage tanks for the storing this cyclpentane C5 chemical, among the total five underground storage tanks which have four underground

The following formula is employed: 𝐶 = 𝐵 × 0,47 where C = carbon tons/Ha, B = biomass of undergrowth/litter, 0.47 = constant value Calculation of total carbon, the total carbon value

• Catherine Potvin, McCill University, Apr 26 -JuJ 31, to work on the effects of CO:z enrichment on carbon storage and species growth in a tropical mixed-species plantation ecosystem,

Total species-wise carbon stock in both Bayaldhunga Pahapu CF and Bayaldhunga CF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quantity of carbon storage in both community

Soil organic carbon, soil total nitrogen, and the ratio of carbon and nitrogen are very important parameters to understand the biogeochemical cycles in the ecosystem, but still, it is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functioning of the mangrove ecosystem on the total biomass, estimated stored carbon, organic carbon, sediment and leaf litter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