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보 고 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보 고 서"

Copied!
248
0
0

Teks penuh

부산지방해양항만청 부산항건설사무소장.

그림  2.4.22  현상태  정선  B1에서의  년간  수심변화  및  침ㆍ퇴적  두께  변화. ······································2-105 그림  2.4.23  현상태  정선  B2에서의  년간  수심변화  및  침ㆍ퇴적  두께  변화
그림 2.4.22 현상태 정선 B1에서의 년간 수심변화 및 침ㆍ퇴적 두께 변화. ······································2-105 그림 2.4.23 현상태 정선 B2에서의 년간 수심변화 및 침ㆍ퇴적 두께 변화

과업의 목적

과업의 범위

진우도와 시신자도 사이의 좁은 수로에서는 서쪽 벽의 퇴적물과 동쪽 벽의 침식이 동쪽(신자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본 사업의 연구 내용을 공개하고 실시간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홈페이지(http://pob.kordi.re.kr)를 구축 운영하였다.

그림  1.4.1  파랑관측정점  위치도.
그림 1.4.1 파랑관측정점 위치도.

약 한 달 간의 관찰이 끝난 후 장비를 회수하여 DSU에 저장된 수압 데이터를 해수면 데이터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수위 값으로 변환된 30분 간격 데이터는 스무딩 필터를 사용하여 1시간 간격 데이터로 변환되었습니다.

그림  2.1.3  레이다식  실시간  해수위계  제원  및  설치  개요(자료  제공  :  오션  ENG).
그림 2.1.3 레이다식 실시간 해수위계 제원 및 설치 개요(자료 제공 : 오션 ENG).

스펙트럼법은 관측된 파동의 시계열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기법으로 분석하여 파동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얻어 파동의 특성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장주기 파동 자료의 분석은 스펙트럼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그림  2.2.2  정점  DW에서  2008년  6월에  관측된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대표파향.
그림 2.2.2 정점 DW에서 2008년 6월에 관측된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대표파향.

Date in June, 2006

Date in May, 2006

Date in April, 2006

Date in September, 2006

Date in August, 2006

Date in July, 2006

Date in December, 2006

Date in November, 2006

Date in October, 2006

Date in June, 2007

Date in May, 2007

Date in April, 2007

Date in September, 2007

Date in August, 2007

Date in July, 2007

Date in December, 2007

Date in November, 2007

Date in October, 2007

Date in June, 2008

Date in May, 2008

Date in April, 2008

Date in September, 2008

Date in August, 2008

Date in July, 2008

Date in December, 2008

Date in November, 2008

Date in October, 2008

또한 표층부에서 1m 깊이까지 시공면적에 공해방지막을 설치하여 부유모래의 비산을 방지하였다. 이는 INBUS-1 지점의 부유사 농도가 높아 INBUS-2 지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Namkon 2 인근 하천순환도로 건설로 일몰시 유속이 약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2 단계. 전체적으로 부유 모래의 농도는 제어 및 강우 기간보다 약 10mg/l 더 높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 가장 높은 부유 모래 농도는 약 34mg/l였으며 부유 모래 농도의 전체 분포는 추정치와 유사했습니다. 또한 준설로 인한 부유사 농도의 증가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보존식의 매개변수화는 파동스펙트럼의 영점과 1차 모멘트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기본 방정식은 Eulerian 유한 차분 방법을 사용하여 해결되며, 파동 스펙트럼의 0번째 및 1번째 모멘트는 여러 방향에 대해 직사각형 그리드에서 계산됩니다. 모델의 기본 방정식은 분광 파동 밀도에 대한 보존 방정식이며, 이 방정식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매개변수화는 파동 스펙트럼의 0차 및 1차 모멘트를 독립 변수로 도입하여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퇴적된 입자 중 일부는 굳어지고 다른 일부는 주변 흐름으로 인해 침식 및 재부유되어 확산됩니다. Peclet 수는 수직 방향의 대류 및 확산으로 인한 이동 속도이며 다음 공식으로 제공됩니다.

1 sinh ( 2 π

부산신항만 건설지역의 부유물질 농도의 공간적 분포, 건설 중 부유물질의 분산면적 및 공사진행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SPOT-5로 촬영한 영상자료, 프랑스의 고해상도 위성을 수집하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SPOT-5 영상은 컬러이기 때문에 검색분석을 통해 부유모사의 농도를 정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2002년 영상에서는 여러 곳에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였으며, 북측 컨테이너 부두 남측에 설치한 방지막의 경우 부유퇴적물 저감 효과를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03년 영상에서는 가호안 준설매립지와 북컨테이너부두 공사지역 부근에 부유퇴적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공사지역 밖은 대체적으로 낮았다. 2007년 영상을 보면 남부 컨테이너 부두의 준설장에서 제방 보호가 상당 부분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5.9  SPOT-5  위성  영상(2002.  12.  27).
그림 2.5.9 SPOT-5 위성 영상(2002. 12. 27).

수질관측은 용원수로 주변 총 10개소를 선정하여 수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수를 선정하여 용원수로 내부 6개소, 송정천 2개소에서 채수하였다. , 2점을 지적합니다. 용원운하의 수질변화 양상은 지점별 수질변화와 시간에 따른 수질변화에 따른 추이 검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용수로 내측이 외측보다 농도가 높은 이유는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실트가 특정 위치에 집중되어 있어 비점오염원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1에서 4.

즉, 2003년 기간 중 오염이 심하여 처음에는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가 점차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기 조사는 용원운하 내부에서 외부까지 현장에서 진행되었다.

표  2.6.1  기상조사표
표 2.6.1 기상조사표

SWEEPX-SWEEP

수질예측모델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수질 예측 모델은 예측 목표와 지역 여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따라서 조수간만의 수질변화를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모델이다.

QUAL2E 모델의 하천 하위 구간에 대한 물질 수지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QUAL2E 모델은 각 하위 구간에 대한 물질 수지 방정식을 행렬 방정식으로 변환한 후 풀어서 수질 농도를 계산합니다.

그림  2.6.28  정점별  유속  시계열.
그림 2.6.28 정점별 유속 시계열.

BOD u (1.0 - exp ( - 5×KBOD))

  • 협수로 매몰조사 및 대책

하천유황변동에 따른 하천수력해석을 위하여 각 구간별로 수심-유량 및 유속-유량 관계식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도출하였다. 측정 결과 높이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심측량과 동시에 수심측량선의 육지연장에 대한 해안변동을 관찰하였다.

해안선 변화 역시 가덕도 기준면을 기준으로 하였다. 한국수로해양청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 평균 해수면은 우리나라의 육지 표고 기준인 인천의 평균 해수면보다 8.6㎝ 낮다고 한다.

표  2.6.15  모델에  적용되는  반응계수의  범위.
표 2.6.15 모델에 적용되는 반응계수의 범위.

Gambar

그림  1.4.1  파랑관측정점  위치도.
그림  1.4.3  수질  조사지점  위치도.
그림  2.1.7  용원수로  외해측  조석,  조류관측  지점  위치도.
그림  2.1.8  관측수위,  예측조위,  잔차수위의  시간변화.
+7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5% SIMILARITY INDEX 4% INTERNET SOURCES 4% PUBLICATIONS 3% STUDENT PAPERS 1 1% 2 1% 3 1% 4 1% 5 1% 6 1% Exclude quotes On Exclude matches < 1% Assessing the Governance M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