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2011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User's Guid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2011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User's Guide"

Copied!
10
0
0

Teks penuh

(1)

2011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User's Guide

(2)

1. 조사 목적 및 연혁

1 목적 및 필요성

〇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실태, 한국 내 소비실태 및 한국 여행 평가를 조사하여 관광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 용하기 위하여 외래객 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〇 본 조사를 실시하는 목적은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 성향을 파악하고 연도별 변화추이 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향후 관광수용태세 개선을 위한 관광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2 조사연혁

〇 1974년 : "외래관광객 여론조사"로 조사 시작 (1년 1회)

〇 1991년 : 2년 주기로 변경

〇 1993년 : 1년 주기로 변경

〇 1998년 :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로 명칭 변경

〇 2004년 : 조사주기(분기 1회 → 월 1회) 변경 및 표본수 확대(5,023명 → 10,056명)

〇 2006년 : 표본수 확대(10,069명 → 11,453명)

〇 2008년 : 인도 관광객 추가로 표본수 확대 (11,453명 → 11,978명)

〇 2009년 : 조사 주관기관 변경 (한국관광공사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〇 2010년 : 조사 장소 변경 (4월부터 여객터미널 출국장 → 일반구역)

〇 2011년 : 일부 문항 변경, 조사 대상 확대(체류기간 1일 이상 1년 이내로 확대)

3 조사의 법적 근거

〇 통계법에 의한 정부승인통계 - 승인번호: 제 31402호

(3)

1 조사 주기 및 규모

2. 조사 범위 및 항목

〇 조사 주기: 1년

〇 조사 규모: 약 12,000명(매월 약 1,000명 조사)

2 조사 대상

〇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대상국가는 관광공사 해외지사가 있는 16개국을 기준으로 하였다.

- 국가 구분 : 일본, 중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호주,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중동, 인도

〇 조사대상자는 한국을 방문한 후 출국하는 외래객

- 만 15세 이상이며, 한국체류기간이 1일 이상 1년 이하인 경우가 조사의 대상자였다.

- 환승을 위해 한국에서 숙박만하고 간 경우와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기장, 승무원, 군인은 조사대상자에서 제외되었다. 단, 사복차림이고 관광목적으로 방한한 경우 조 사 대상이 될 수 있었으며, 비즈니스 목적으로 방한하며 관광, 쇼핑이 없는 경우 조 사 대상이었다.

- 외래객의 규모가 2인 이상을 동반했을 시에는 응답자 수에 제한을 두었다. 가족 및 9인 이하 동반자 중에서는 1명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인 이상 동반자는 2명까 지 조사하였다. 이 경우에는 성/연령을 다르게 조사하였다.

- 단체 여행인 경우 동일 패키지 상품에서 4명까지 조사 진행을 하였다.

3 조사 장소

〇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인천국제항, 부산국제항: 여객터미널 탑승 수속 카운터 로비

〇 제주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출국장(CIQ)

(4)

4 조사 시기

〇 1월 : 1/24, 1/26~1/31 〇 7월 : 7/25~7/31

〇 2월 : 2/18~2/20, 2/22, 2/24~2/25, 2/27 〇 8월 : 8/24~8/29, 8/31

〇 3월 : 3/24~3/28, 3/30~3/31 〇 9월 : 9/23~9/29

〇 4월 : 4/22~4/24, 4/26~4/29 〇 10월 : 10/24, 10/26~10/31

〇 5월 : 5/23, 5/25~28, 5/30~5/31 〇 11월 : 11/24~11/30

〇 6월 : 6/24~6/30 〇 12월 : 12/15~12/21

5 조사 항목

〇 한국여행 실태: 여행 형태, 방문 횟수/방문 시기/방문 목적, 한국여행 결정 시점, 다른 국가 방문 검토 여부, 한국 방문 선택 고려 요인, 한국 여행정보 입수경로, 한국 방문 전․후 이외 국가 방문 여부, 동반자 현황, 체재 기간, 이용 숙박시설, 한국 여행 중

방문지, 한국 여행 중 좋았던 방문지, 한국 여행 중 참여한 활동, 방한기간 중 활동

〇 한국여행 소비 실태: 지출 경비, 쇼핑 품목, 쇼핑 장소

〇 한국여행 평가: 한국 여행에 대한 만족도, 한국 여행 시 인상 깊었던 점, 한국 여행 시 불편사항, 향후 3년 내 한국 재방문 의향, 타인 추천 의향, 한국 여행 후 이미지 변화 여부

(5)

1 조사 방법

2 자료 수집 도구

3. 조사 방법 및 절차

〇 조사대상 응답자가 직접 종이 설문지를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채택

〇 영어, 일어, 중국어(간체/번체), 태국어 독어, 불어, 러시아어 등 8종의 설문지 (Structured Questionnaire) 중 응답자의 언어권을 고려하여 1개 사용

3 조사 절차

〇 면접원 선정

- 서울, 경기, 인천, 부산, 제주에 거주하는 영어, 일어, 중국어, 태국어, 독어, 불어, 러시아어 회화가 가능한 면접원 리스트 추출

- 최근 2년간 외래객 실태조사 경험 면접원 중 조사 진행 평가에서 일정 수준 이상 (B+)의 평가를 받은 면접원, 외국인 조사 유경험 면접원 위주로 선정하였다.

〇 면접원 교육

- 조사목적 및 질문지 내용에 대한 충분한 교육 실시

- 본 조사 투입 전 면접자와 응답자의 역할을 바꾸어 보는 Role- Playing 실시를 통 해 면접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표본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〇 조사과정

- 공항, 항구 출국대기실에서 탑승 대기 중인 외래객들에게 조사 취지를 설명 후, 설 문지를 배부하였다.

- 응답자는 종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질문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 설문지 회수 시 면접원이 주요항목 작성 여부 및 추가응답 필요 여부를 확인한 후

보완하였다.

〇 면접원 통제

- 조사책임자가 조사장소에 직접 나가 조사과정을 감독하고, 조사당일 설문지를 회수

(6)

4 실사진행과정

조사준비 ∘ 조사일정, 국가별 표본수, 언어권별 면접원 선발/교육

∘ 비행기 시간표, Gate 별 Boarding 시간 확인 면접장소 ∘ 일반구역에서 조사

조사참여설득

∘ 문화관광연구원 명의로 조사협조 공문 또는 조사안내문등을 제시하여 조사 에 대한신뢰도 제고

∘ 본 조사의 취지와 의의, 조사참여 절차, 참여시 혜택(선물 및 경품) 설명

∘ 응답결과에 대한 비밀보장을 각인시켜 불성실 응답 최소화

조사진행 ∘ 해당 국가 응답자에게 설문 진행

(단체일 경우 10명 미만 1인, 10명 이상 2인 조사 진행)

답례품제공 ∘ 조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 감사 인사 후 응답 답례품 지급

∘ 국가별, 성별, 연령대별 Gift 선호도를 고려하여 어권별 배분

자료취합 ∘ 조사 진행 완료 후 현장감독이 설문 취합 및 현장 에디팅 실시

∘ 소비실태 자료 단위 통합

5 데이터 배포

〇 데이터, 설문지, 코드북, 유저가이드 등은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tour.go.kr)에서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〇 홈페이지 접속 후 관광통계DB ☞ 조사통계 ☞ 외래관광객 실태

6 예산지원, 조사 주관 및 수행기관

〇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는 문화관광체육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 를 주관하여 설문개발, 표본설계 및 가중치 작업 및 데이터를 생산하였다.

〇 2011년 실사기관은 밀워드브라운 미디어리서치에서 조사하였다.

(7)

4. 표본 설계

1 표본 추출 방법

〇 최소 유효 표본을 확보하기위해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가 소재한 16개 국가 기준으로 국가별 유의할당(Quota Sampling)으로 추출

〇 변형비례할당방식으로 국가별 최소 표본수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별로 300표본(분석 최 소단위)을 사전에 미리 배분한 후에 제곱근 비례할당 실시하였다.

단, 기타 국가는 제곱근 비례할당 없이 월별 50표본씩 배분하였다.

(단위: %, 명)

거주국 모집단

(2009/12∼

2010/11)입국자

비례할당

배분 모집단

제곱근 기본

배분 제곱근

배분 2011 할당

일본 3,029,685 4,140 34.5 1,741 19.9 300 1,312 1,612

중국 1,857,484 2,538 21.2 1,363 15.6 300 1,028 1,328

홍콩 229,534 314 2.6 479 5.5 300 361 661

싱가포르 111,124 152 1.3 333 3.8 300 251 551

대만 411,683 563 4.7 642 7.3 300 484 784

태국 254,886 348 2.9 505 5.8 300 381 681

말레이시아 105,841 145 1.2 325 3.7 300 245 545

호주 113,571 155 1.3 337 3.8 300 254 554

미국 653,293 893 7.4 808 9.2 300 609 909

캐나다 121,227 166 1.4 348 4.0 300 263 563

영국 97,510 133 1.1 312 3.6 300 235 535

독일 98,823 135 1.1 314 3.6 300 237 537

프랑스 66,309 91 0.8 258 2.9 300 194 494

러시아 157,543 215 1.8 397 4.5 300 299 599

중동 88,328 121 1.0 297 3.4 300 224 524

인도 86,552 118 1.0 294 3.4 300 222 522

기타 1,298,203 1,774 14.8     600   600

전체 8,781,596 12,000 100.0 8,754 100.0 5,400 6,600 12,000

(8)

5. 조사 결과

1 조사결과

〇 2011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는 12,038명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11년 1∼12월 동안 국적별, 월별, 입국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였다(2011년 결과 기준)

- 매월 국적별 입국자수를 고려하여 모수(평균, 비율)에 대한 추정치를 계산하였음

- 입국자의 국적을 층으로 하여 사후층화를 실시하고 추출률의 역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모수 에 대한 추정을 수행(추출률 = 국적별 표본크기/입국자수)

〇 본 보고서는 모두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〇 아래의 표는 실제 조사표본수와 가중치를 부여한 표본수의 거주국별 분포를 나타낸다

(단위: %, 명)

거주국 2011년 연간 입국 비율 조사 표본 수 가중치 부여 사례 수

일 본 37.4 1,607 4,503

중 국 22.3 1,353 2,681

홍 콩 3.1 683 377

싱가포르 1.3 554 153

대 만 4.8 807 581

태 국 3.0 683 361

말레이시아 1.6 576 189

호 주 1.3 458 158

미 국 7.1 953 851

캐 나 다 1.3 460 153

영 국 1.1 505 134

독 일 0.9 574 109

프 랑 스 0.7 509 82

러 시 아 1.0 621 116

중 동 1.0 528 125

인 도 0.6 537 71

기 타 11.6 630 1,395

전체 100.0 12,038 12,038

(9)

2 용어 설명

(1) 용어 정의

∙  : 관찰값 (각 문항에 대한 응답)

 : 국가의 번호 (     ⋯ ). 단, =17

 : 국가 내의 표본 외래객 번호 (   ⋯ )

즉,  번째 국가, 번째 표본 외래객에 대한 관찰값임

: 번째 국가 규모에 대한 표본크기

: 번째 국가 규모에 대한 모집단크기

    

: 전체 표본크기

    

: 전체 모집단크기

∙   

 : 번째 국가의 표본평균

∙   

    : 번째 국가의 표본분산

∙  : 번째 국가의 표본비율

(2) 모평균 의 추정량 및 분산

    

      

 



 



 

(3) 모비율 의 추정량 및 분산

    



    

 



 



 

  

  (4) 표준오차 및 오차한계

표준오차 : 

(10)

3 분석적용 기준

〇 무응답 처리: 응답자 특성은 무응답을 포함해 100.0%로, 조사결과 분석 시에는 무응답자 를 제외한 응답기준으로 처리

〇 지출경비: 총비용 및 항목별 비용 평균 산출은 개별여행의 경우 총비용 US$10,000 초과 자, 단체여행 및 Air-tel은 총비용 US$11,000 초과자를 제외한 응답기준으로 처리

〇 체재기간: 61일(60박) 초과 체재자는 제외하고 체재기간 구성 비율 및 평균 체재기간을 산출함. 2010년 조사까지는 체재기간을 ‘박’ 단위로 조사하였는데, 2011년 조사결과와의 시계열적 비교를 위하여 ‘일’ 단위로 환산하여 분석함. ‘일’ 단위로의 환산은 과가 ‘박’ 단위 데이터에 일괄적으로 “1일”을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함

6. 변수 및 변수설명

〇 변수에 대한 내용은 별도로 해당년도 <코드북>에 기재되어 있다.

〇 단체여행객은 “단체여행 +Air-tel”로 구성되어 있음

7. 문의처

〇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통계정보센터(외래관광객 실태조사 담당 연구원 ☎ 02)2669-8486)

Referensi

Dokumen terkait

조사 목적 본 조사의 목적은 국제대학교의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라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과 학습지원 프로그램 구축 및 강화를 위해 재학생의 만족수준을 파악하고 취약요소를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문직업인 육성” 재학생의 NEEDS에 부합하는

학교폭력 피해만 받는 학생 들보다 피해, 가해 경험이 모두 있는 학생들의 경우 피해 행위의 횟수가 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가해만 하는 학생들보다 가해, 피 해 경험이 모두 있는 학생들의 경우 가해 행위의 횟수가 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