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보 도 자 료
배포일자 2021년 9월 26일(일) 총 4매
담당부서 보육정책과 담 당 자 ∙보육정책팀장 권혜경 ☎440-2891
∙담당자 정신옥 ☎440-2892
사진 ▣ 없음 □ 있음 참고자료 □ 없음 ▣ 있음 보 도 시 점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시, 내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 대폭 확대
- 공동주택 내 민간어린이집‘국공립어린이집’으로 전환, 내년까지 34개소 이상 전환 - - 아파트 공동시설개선비 지원·기존 원장 임기보장 등 인센티브 제공 -
인천시가 국공립어린이집 확대를 위해 팔 걷고 나섰다.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가 공동주택단지 내 민간어린이집의 국공립 전환을 통해 공보육을 강화하고 보육의 질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 다.
2021년 7월 기준, 인천시의 국공립어린이집과 이용률*은 각각 13.3%
와 18.8%로 전국 평균(15.6%·22.9%)에 못 미치고 있다.
* 국공립어린이집 : 전체 1,810개소 / 국공립 242개소(13.3%) 이용률 : 전체 현원 63,316명 / 국공립 현원 11,872명(18.8%)
이에 따라 인천시는 공공주택 내 민간어린이집을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전환대상은 2019년 9월 이전에 설치된 300세대 이
- 2 -
상 공공주택 내 어린이집 216개소이다. 시는 내년까지 이중 34개소 이상을 전환해 국공립어린이집을 전국 평균 이상의 수준으로 끌어올 리겠다는 방침이다.
신축과 장기임차 등 기존의 국공립 확충 방식의 경우, 신축은 평균 건축비가 15억 원에 이르며 2~3년의 건축 시간이 소요된다. 또 보건 복지부 선정 장기임차 확대도 1년에 1개소로 한하는 한계가 따랐다.
예산 절감과 사업의 신속성을 고려해 인천시가 꺼내든 카드는 공동주 택 내 민간어린이집의 국공립 전환이다. 이 또한 어린이집 임대료 문 제, 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권과 기존 시설투자비 회수 문제 등으로 무 상임대 방식의 국공립 전환에 어려움이 있으나, 시는 인센티브 제공 을 통해 민간 어린이집의 참여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경로당, 어린이 놀이터, 도서실 등 아파트 공동시설개선비를 지원(개 소 당 3~5천만 원)해 포기 임대료를 보전하고, 기존 원장의 임기도 5 년간 보장한다. 신청수를 감안해 군·구에 시설직 등 추가 직원도 배 치할 계획이다.
전환 어린이집에는 ▲기존 운영자 및 보육교직원 승계 ▲호봉제 급여 지원으로 보육교직원 처우 획기적 개선 ▲전환 어린이집 대상 컨설팅 및 교육을 통한 보육 서비스 향상 ▲향후 추가 시설 보수 필요시 기 능보강사업비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국공립어린이집이 저조한 미추홀·부평·계양·서구 지역에 대해 우
- 3 -
선 설치하고, 보육수요를 고려해 지역별 균형 있는 시설을 확충할 방 침이다. 또 입주자 자녀의 어린이집 우선 입소를 통해 주민의 만족도 도 높일 계획이다.
조진숙 시 여성가족국장은“향후 공동이용시설개선비와 어린이집 시 설개선비 추가 지원을 비롯해 기존 원장의 운영권 승계도 가능토록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면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통해 보육의 질을 높이고 아이와 부모 모두가 행복한 보육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 력 하겠다”고 말했다.
<붙임> 안내문
- 4 -
인천광역시는 공동주택 관리동 어린이집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적극 지원합니다!!
ü
공동주택 단지 내 관리동어린이집 → 국공립전환 우선 지원ü
국공립으로 전환 시 공동이용시설개선비 및 어린이집 시설개선비 지원◆ 국공립어린이집이란?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는 어린이집
◆ 국공립 전환방법
- 전환대상 : 공동주택 단지 내 관리동 어린이집(무상임대 시) - 국공립어린이집 전환방법
입주자 과반수
서면 동의
à
입주자 대표회의 의결(관리동 어린이집 국공립 전환)
à
관할 군‧구에 전환신청à
사전적격심사위탁심사
à
예산지원 승인보건복지부à
지자체-입주자 대표회의간 협약(관리동 어린이집 장기임차) 체결
à
국공립어린이집 개원리모델링 및◆ 공동주택 내 국공립어린이집 전환혜택 ➀ 입주자 자녀 국공립어린이집 우선 입소 가능
- 정원의 70% 범위 내에서 자치구와 협의하여 결정 ➁ 국공립어린이집 시설 유지보수는 지자체가 책임‧관리
➂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자는 입주자 대표, 지자체가 협의하여 결정
- 기존 원장의 운영권 승계도 가능(사전적격심사 및 위탁심사 통과 시) ➃ 공동이용시설개선비 및 어린이집 시설개선비 지원(리모델링 및 기자재비)
(단위 : 천원) 합계 국공립전환 인센티브 지원평균(시100%) 어린이집 확충사업(국50%, 시25%, 군구25%)
기자재비 시설 개선비 리모델링비 기자재비
170,000 10,000 40,000 110,000 10,000
추가 지원 기존 지원
※ 규모별 차등기준(기자재비 5,000~15,000천원, 시설개선비 30,000~50,000천원) ➄ 공동주택 브랜드가치 상승 및 선호도 증가(주민만족도 상승 등)
➅ 시간연장보육(19:30 이후 보육) 포함 취약보육 서비스 우선 제공
《문의처》 인천광역시 보육정책과(440-2892), 중구 여성보육과(760-7926), 동구 여성정책과(770-6837), 미추홀구 보육정책과(880-7322), 연수구 출산보육과(749-7742), 남동구 보육정책과(453-5842), 부평구 보육지원과(509-3173), 계양구 여성보육과(450-5932), 서구 가정보육과(560-5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