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보 도 자 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보 도 자 료"

Copied!
5
0
0

Teks penuh

(1)

보 도 자 료

배포일자 2022년 3월 24일(목) 총 5매

담당부서 항 공 과 담 당 자 ∙항공산업팀장 이상욱 ☎440-4806

∙담당자 한예지 ☎440-4809

사진(이미지) ▣ 없음 □ 있음 참고자료 □ 없음 ▣ 있음 보 도 시 점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시, 항공정비(MRO)산업에서 인천형 일자리모델 찾는다

- 고용부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공모 선정 - - 노사민정 협력 통한 일자리 모델 개발 기대 -

인천시가 항공정비(MRO*)산업에서 인천형 일자리모델을 모색한다.

*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약자로 항공기의 수리, 정비, 개조를 뜻함

인천광역시는 23일 고용노동부(주관: 노사발전재단) ‘2022년 노사상 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사업은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일자리모델을 개발하고 이행 방안 수립을 지원해 지역 특화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17개 광 역 시·도 중 인천시를 포함한 3개 자치단체만이 이번 사업에 선정됐 다.

인천시는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항공정비(MRO)산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일자리 모델개발을 위해 이번사업을 계 획했다.

(2)

시는 지난해 유치한 IAI 항공기 개조사업·미 아틀라스 중정비센터·

대한항공 엔진정비 클러스터 사업 등 기업들에는 맞춤형 직접일자리 를 지원하고, 구직자들에게는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해 인천형 일자리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청년 일자 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 2월 한국노총 인천지역본부와 인천경영자총협회·인천광역시가 체결한 노사정 합의서를 기반으로, 시 항공과가 사업을 총괄하고 항 공정비기업이 다수 위치하고 있는 인천시 중구가 협력지자체로 참여 한다. 또 항공우주산학융합원·인천대학교·인천연구원·시민과 대안 연구소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추진한다.

대표 컨소시엄 기관인 항공우주산학융합원은 지역 산업 전문기관으로 항공MRO에 대한 연구를, 인천대학교·시민과 대안연구소는 노동 분야 전문기관으로 노사상생 일자리 전략과 거버넌스 강화 방안 연구를 진 행한다. 또한 인천연구원은 지역 전문기관으로 인천의 고용구조 분석 을 통해 일자리 모델 개발을 수행한다.

현재 국내 MRO 산업은 항공사 중심의 자사 정비체계로 인해 전문기 업들이 부족하고 해외의존도가 높아 국내 항공정비물량의 51%, 약 7,560억 원 규모가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해외 주요 항공정비 선도국은 대부분 정부 주도의 계획적인 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자체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 어 법·제도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의 한계가 있다. 결국 세계 항공 운송 능력 7위 국가임에도 MRO산업은 아직 저조한 수준이라고 볼

(3)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8월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 방 안’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산업 육성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인천시 또한 이스라엘 IAI 항공기 개조사업(‘21.5.), 미 아틀라스 항공 기 중정비센터(’21.7.), 대한항공 엔진정비 클러스터(‘22.1.)를 유치하 는 등 인천형 MRO산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오고 있다.

이를 통해 2025년부터 약 3,000여 명의 직접고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 상되며, 코로나19 이후 MRO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면 그 이상의 신 규 일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시는 이러한 단일 사업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한계가 있 다고 보고, 이번 공모사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계획했다.

박영길 시 해양항공국장은 “2025년 항공기 개조·정비 클러스터 개 시에 맞춰 더 나은 일자리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을 것”이라며 “인천시는 국내 MRO산업 육성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 갈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1> 2022년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 개요

<참고 2>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일자리 모델

(4)

참고 1 2022년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 개요

ㅇ 사 업 명 : 2022년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

ㅇ 사업목적 : 지자체와 컨소시엄기관의 적극 협업 하에 지역 특성을 고려한 상생형 일자리모델 개발 및 이행방안 수립 지원 ㅇ 사업기간 : 2022. 3. ~ 2022. 11.(8개월)

ㅇ 주관부처 : 고용노동부(노사발전재단) ㅇ 지원대상 :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 ㅇ 지원규모 : 자치단체별 2억원 이내

ㅇ 지원내용 : 상생형 지역일자리 수립을 위한 컨설팅 및 비용지원

① (일자리 모델 지원) 지자체의 일자리모델 추진 단계에 따라 컨설팅 진행

주요 컨설팅 내용

⦁상생형 일자리의 의미 및 기본 원칙 숙지

⦁지역상생형 일자리 모델 설계의 기본 원칙과 방향 설정

⦁지역 고용거버넌스 진단 및 형성 방안 설정

- 지역 산업 생태계 진단 및 분석

⦁모범사례 지역 벤치마킹

⦁지역 노사분야 및 산업 전략과 상생형 일자리모델의 연계

-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의 설계

- 상생요소에 대한 내용 및 형식 검토 - 상생협약문 검토 및 이해관계자 협의

⦁상생협약 이행방안 구체화를 위한 분야별 전문 컨설팅

- 상생형 지역 일자리 신청 및 선정에 필요한 전문 컨설팅 지원 -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을 바탕으로 정부부처 재정지원 사업 연계

② (전문가 자문) 경제·산업구조 + 노사관계 등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수립 및 정착을 위한 전문가 자문 지원

(5)

참고 2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일자리 모델

<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일자리 모델 >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일자리 모델 대상분야>

구분 대상분야 선정사유

사업 지원

항공기 도장 (페인트) 공장

환경 정화 시설 등으로 초기 투자비가 아주 높고 수익성 이 낮지만 항공기를 개조하거나, 중정비 후에 필수 공정 으로 인천공항에 시설 부재 시 항공정비 단가 상승 요인 항공기 공용 부품센터 고가의 항공기 예비부품을 공유경제형으로 확보하여 사용

함으로써 재고 비용 절감과 경쟁력 강화 지원 항공정비 공용 장비

센터

고가의 항공기 정비장비 공유경제형으로 확보하여 사용함 으로써 재고 비용 절감과 경쟁력 강화 지원

기반 조성

항공정비 교육·훈련원

항공정비 분야별 맞춤형 교육훈련을 통해 적시에 적절 한 인재 양성 지원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사내 교육훈련원 통합 항공우주마이스터

고등학교 설립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항공정비기업과 연계한 직업 교 육 훈련체계 구축

항공정비 기술 지원 센터

항공정비에 필요한 기술을 퇴직 전문가 그룹을 통해 ① 기업에 정비기술 지원, ② 정비기술 개발(R&D), ③ 정비 관련 인증 지원 추진

항공정비 Back-Shop

단지 조성 항공 부품 정비 등의 관련 기업 육성에 필요한 아파트 형 공장 공급

여건 개선

정주여건개선 영종지역 항공정비산업 배후지원 도시 개발 교통체계지원 호출형 대중교통체계(버스, 택시) 확대 강화 항공정비일자리 항공정비분야 일자리 매칭 및 고용 여건 개선 지원

Referensi

Dokumen terkait

* 박명숙 시 여성가족국장은 “시설 입소 아동들이 폭넓은 교육 기회를 제공 받아 배움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며, 교육 기회 제 공에 따른 돌봄 공백 축소를 통해 한부모의 안정적 자립 지원에 도움 이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한부모가족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입소 아동

이야기를 나눌 패널로는 국외 독 립운동 유공자들을 앞장서서 발굴하고 그의 후손들을 찾아 독립유공 자 서훈을 이끌어 낸 황명하 광복회 대외협력 이사와 한국 여성 독립 운동가를 연구하고 세상에 알리는 데 공헌하고 있는 한국여성독립운 동연구원 심옥주 원장 그리고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예우를 위해 앞장 서고 있는 류종열 흥사단 전 이사장이

이날 협약식에는 인천광역시 박남춘 시장, 서병조 인천테크노파크원 장, ㈜만도 조성현 대표이사, 최성호 부사장과 송준규 박사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인천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향후 협력기업 유치, 양질의 일자리 창 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 조택상 인천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주민들연수구의 요구에 따라 용역을 시행했지만, 용역 결과 적정 대체지의 부재 등으로 현 부지가 최적지로 선정됐다”며, “화물차 주차장 조성 위치와 관련한 민·민 갈등을 종식하고 주차장이 설치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리며 더 이상 주차장 설치를 미룰 수도 없음을 이해해 주실 것을 간곡히 요 청

TF는 이 과정에서 청년들을 대상으로 의견수렴은 물론, 인천 소재기 업 청년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일자리, 주거생활, 여가문화, 교육 등 각 분야별 청년의 니즈를 반영한 청년정책 발굴에 중점을 뒀다.. 이를 통해 청년의 도전을 응원하고 청년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 책 발굴과 대책을 마련해 2025년까지 5개년에 걸쳐 추진할

또, 안영규 시 행정부시장은 “저출산 고령화와 일자리 창출의 해법 을 찾고,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해 여성기업 육성과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확대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경제규모 100조 시대, 일하기 좋은 제2경제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새롭게 출범한 민선8기 시 정부는 여성기업인에게 기업지원 혜택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문화예술회관에서는 코로나19의 피로감과 다양한 후유증으로 우울함을 호소하는 시민들에게 관람을 통해 마음속의 불안과 무기력함을 정화 시키고 연령과 장르를 넘어 공연 예술만이 전할 수 있는 활력과 위로를 선사하기 위해 5월 다양한 공연을 준비했다.. 집콕은 이제

인천광역시는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과 다양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 공하고자 어르신 맞춤형 직업 교육인 ‘전문시이어 양성 교육과정’ 을 지난해에 이어 관내 노인인력개발센터에서 11개 과정 155명에게 지원하고 기관별 수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과정은 책놀이 지도사15명, 중구노인인력개발센터, 치매예방 트레이 너3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