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복지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 CODE BOO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복지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 CODE BOOK"

Copied!
12
0
0

Teks penuh

(1)

CODE BOOK

자료번호 A1-2011-0009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1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2 년

(2)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1. 「 복지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 .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년. 자료번호: A1-2011-0009.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2. 「 복지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q1

현 정부의 복지정책 평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분배보다 성장을 매우 중시한다 1 468 44.7 44.7

분배보다 성장을 다소 중시한다 2 384 36.6 36.6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3 65 6.2 6.2

성장보다 분배를 다소 중시한다 4 96 9.1 9.1

성장보다 분배를 매우 중시한다 5 36 3.4 3.4

1,049

100.0 100.0

q2

현 정부의 복지정책 방향 지지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 1 39 3.7 3.7

다소 찬성 2 168 16.0 16.0

중립 3 301 28.7 28.7

다소 반대 4 379 36.1 36.1

매우 반대 5 162 15.5 15.5

1,049

100.0 100.0

q3

초등학교 무상급식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 1 310 29.6 29.6

다소 찬성 2 304 29.0 29.0

중립 3 112 10.7 10.7

다소 반대 4 195 18.6 18.6

매우 반대 5 128 12.2 12.2

1,049

100.0 100.0

1. 현 정부의 복지정책의 성격을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2. 앞에서 응답하신 현 정부의 복지정책 방향에 대해 지지하십니까?

3. 초등학교의 무상급식에 대한 입장은 무엇입니까?

(4)

q4

무상복지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 1 221 21.1 21.1

다소 찬성 2 385 36.7 36.7

중립 3 138 13.2 13.2

다소 반대 4 209 20.0 20.0

매우 반대 5 95 9.0 9.0

1,049

100.0 100.0

q5

보편적 복지정책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 1 122 11.7 11.7

다소 찬성 2 333 31.8 31.8

중립 3 172 16.4 16.4

다소 반대 4 256 24.4 24.4

매우 반대 5 164 15.7 15.7

1,049

100.0 100.0

q6

가장 시급한 복지문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상급식 1 18 1.7 1.7

의료보장 확대 2 125 11.9 11.9

사교육비 절감 3 181 17.2 17.2

주거대책 4 121 11.5 11.5

대학등록금 인하 5 198 18.9 18.9

보육비 지원 6 58 5.6 5.6

실업 대책 7 313 29.8 29.8

기타 99 35 3.4 3.4

1,049

100.0 100.0

4. 무상급식, 무상의료, 무상보육 등 무상복지에 대한 입장은 무엇입니까?

5. 보편적 복지(저소득층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수준이나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모 든 사회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복지)정책에 대한 입장은 무엇입니까?

6. 현재 우리사회에서 가장 시급한 복지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5)

q7

바람직한 복지제도 방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빈곤층을 위주로 한 복지지원에 국한해야 한다 1 382 36.5 36.5

중산층까지 복지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2 546 52.0 52.0

상류층을 포함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복지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3 120 11.5 11.5

1,049

100.0 100.0

q8_1

정부가 가장 먼저 확대해야 할 분야: 1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빈곤층 대상 소득지원(소득보장) 강화 1 229 21.8 21.8

공적연금 가입대상의 확대 2 24 2.3 2.3

건강보험의 보장성 확대(비급여 항목 축소, 자기부

담 지출 경감) 3 300 28.6 28.6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자 확대 4 21 2.0 2.0

보육, 간병 등 사회서비스 확대 5 87 8.3 8.3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복지시설 확충 6 119 11.4 11.4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정책 강화 7 266 25.3 25.3

기타 8 3 .2 .2

1,049

100.0 100.0

q8_2

정부가 가장 먼저 확대해야 할 분야: 2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빈곤층 대상 소득지원(소득보장) 강화 1 202 19.3 19.3

공적연금 가입대상의 확대 2 31 3.0 3.0

건강보험의 보장성 확대(비급여 항목 축소, 자기부

담 지출 경감) 3 182 17.4 17.4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자 확대 4 45 4.3 4.3

보육, 간병 등 사회서비스 확대 5 146 13.9 13.9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복지시설 확충 6 219 20.9 20.9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정책 강화 7 210 20.0 20.0

기타 8 12 1.2 1.2

1,049

100.0 100.0

7. 복지제도는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8. 다음 복지정책 중 정부가 가장 먼저 확대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에 따라 두 개만 선택해 주십시오.

(6)

q9

복지확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복지는 경제발전을 매우 저해한다 1 30 2.8 2.8

복지는 경제발전을약간 저해한다 2 201 19.1 19.1

복지와 경제발전간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3 172 16.4 16.4

복지는 경제발전에 약간 기여한다 4 383 36.5 36.5

복지는 경제발전에 매우 기여한다 5 264 25.1 25.1

1,049

100.0 100.0

q10

복지확대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복지는 사회통합을 매우 저해한다 1 10 .9 .9

복지는 사회통합을 약간 저해한다 2 62 5.9 5.9

복지와 사회통합간에는 아무 상관이 없다 3 117 11.1 11.1

복지는 사회통합에 약간 기여한다 4 475 45.3 45.3

복지는 사회통합에 매우 기여한다 5 385 36.7 36.7

1,049

100.0 100.0

q11

복지지출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복지지출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1 203 19.3 19.3

복지지출을 다소 확대해야 한다 2 586 55.9 55.9

복지지출을 현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3 176 16.8 16.8

복지지출을 다소 축소해야 한다 4 51 4.9 4.9

복지지출을 대폭 축소해야 한다 5 10 .9 .9

잘 모르겠다 6 23 2.2 2.2

1,049

100.0 100.0

9. 복지확대는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10. 복지확대는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11. 인구고령화와 소득양극화 등으로 인해 복지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복지지출을 확대해 야 한다는 주장과 복지지출 확대시 관련 예산 확보 등 현실성이 부족하고 재정부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간에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복지 예산의 지출 정도에 대한 의견은 어떠하십니까?

(7)

q12_1

복지지출 확대를 위한 재원조달방안: 1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근로소득에 대한 추가 과세 1 7 .7 .7

자영업자에 대한 소득 파악 강화 2 117 11.1 11.1

소비지출에 대한 부가가칫 인상 3 16 1.6 1.6

금융재산 및 부동산에 대한 추가 과세 4 128 12.2 12.2

고소득층에 대한 추가 과세 5 500 47.7 47.7

정부의 재정지출 절감을 통한 재원확보 6 265 25.3 25.3

잘 모르겠다 7 16 1.5 1.5

1,049

100.0 100.0

q12_2

복지지출 확대를 위한 재원조달방안: 2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근로소득에 대한 추가 과세 1 15 1.5 1.5

자영업자에 대한 소득 파악 강화 2 162 15.5 15.5

소비지출에 대한 부가가칫 인상 3 30 2.9 2.9

금융재산 및 부동산에 대한 추가 과세 4 278 26.5 26.5

고소득층에 대한 추가 과세 5 269 25.7 25.7

정부의 재정지출 절감을 통한 재원확보 6 268 25.6 25.6

잘 모르겠다 7 25 2.4 2.4

1,049

100.0 100.0

q13

복지확대를 위한 조세부담 납부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91 8.7 8.7

그런 편이다 2 483 46.0 46.0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270 25.8 25.8

전혀 그렇지 않다 4 146 13.9 13.9

잘 모르겠다 5 58 5.6 5.6

1,049

100.0 100.0

13. 복지확대를 위해 국민들의 추가적인 조세부담이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세금을 납부할 의향이 있습니까?

12. 다음은 복지지출 확대를 위한 재원조달방안입니다. 다음 중 찬성하시는 방안을 우선 순위에 따라 두 개만 선택해주십시오.

(8)

q14

복지확대에 쓰인다는 보장이 있다면 납부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2 1.1 2.5

그런 편이다 2 204 19.4 42.9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144 13.7 30.3

전혀 그렇지 않다 4 71 6.7 14.9

잘 모르겠다 5 44 4.2 9.4

시스템 결측값 574 54.8

1,049

100.0 100.0

q15

사회계층의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하층 1 156 14.9 14.9

중하층 2 446 42.6 42.6

중간층 3 388 37.0 37.0

중상층 4 52 5.0 5.0

상층 5 6 .6 .6

1,049

100.0 100.0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성 1 528 50.3 50.3

여성 2 521 49.7 49.7

1,049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 데이터 참조

age_re

[R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2 198 18.9 18.9

30대 3 220 21.0 21.0

40대 4 232 22.2 22.2

50대 5 185 17.7 17.7

60대 이상 6 213 20.3 20.3

14. 만일 추가적인 조세부담이 국민들의 복지 확대에 쓰인다는 보장이 있다면, 추가적인 세금 납 부를 할 의향이 있습니까?

15. 선생님의 사회계층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십니까?

(9)

area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249 23.8 23.8

부산 2 66 6.2 6.2

대구 3 43 4.1 4.1

인천 4 68 6.5 6.5

광주 5 28 2.6 2.6

대전 6 22 2.1 2.1

울산 7 15 1.5 1.5

경기 8 274 26.1 26.1

강원 9 41 3.9 3.9

충북 10 30 2.9 2.9

충남 11 36 3.4 3.4

전북 12 40 3.8 3.8

전남 13 27 2.6 2.6

경북 14 41 3.9 3.9

경남 15 56 5.4 5.4

제주 16 13 1.2 1.2

1,049

100.0 100.0

area_re

[RE]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249 23.8 23.8

인천,경기,강원 2 383 36.5 36.5

부산,울산,경남 3 137 13.1 13.1

대구,경북 4 84 8.0 8.0

대전,충청 5 89 8.5 8.5

광주,전라 6 95 9.0 9.0

제주 7 13 1.2 1.2

1,049

100.0 100.0

(10)

edu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학 0 7 .6 .6

초등학교 졸업 2 24 2.3 2.3

중학교 재학 3 2 .2 .2

중학교 졸업 4 87 8.3 8.3

고등학교 재학 5 12 1.2 1.2

고등학교 졸업 6 411 39.2 39.2

대학(2,3년제) 재학 7 9 .8 .8

대학(2,3년제) 졸업 8 68 6.5 6.5

대학교(4년제) 재학 9 69 6.6 6.6

대학교(4년제) 졸업 10 245 23.4 23.4

대학원 재학 11 12 1.1 1.1

대학원 졸업 12 69 6.6 6.6

기타 13 34 3.2 3.2

1,049

100.0 100.0

job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업체 경영주(10인이상 고용) 1 13 1.3 1.3

자영업주(9인이하 고용) 2 66 6.3 6.3

전문직/준전문직 3 85 8.1 8.1

관리직 4 37 3.5 3.5

사무직 5 201 19.1 19.1

서비스직 6 68 6.5 6.5

기술/기능직 7 55 5.3 5.3

판매직 8 26 2.5 2.5

생산직 9 19 1.8 1.8

농업/임업/어업/수산업/축산업 10 16 1.5 1.5

군인,경찰 11 2 .2 .2

학생 12 115 11.0 11.0

전업주부 13 221 21.1 21.1

무직/실업상태 14 80 7.7 7.7

기타 15 46 4.4 4.4

1,049

100.0 100.0

(11)

marr

응답자 혼인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혼 1 360 34.3 34.3

기혼 2 636 60.6 60.6

이혼 3 27 2.6 2.6

사별 4 26 2.5 2.5

1,049

100.0 100.0

inc1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65 6.2 6.2

100만원 미만 1 68 6.5 6.5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2 90 8.6 8.6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3 212 20.2 20.2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4 188 17.9 17.9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5 138 13.1 13.1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 6 75 7.2 7.2

600만원 이상 700만원 미만 7 89 8.5 8.5

700만원 이상 800만원 미만 8 40 3.8 3.8

800만원 이상 9 84 8.0 8.0

1,049

100.0 100.0

inc2

월평균 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92 8.8 8.8

100만원 미만 1 318 30.3 30.3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2 230 21.9 21.9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3 189 18.0 18.0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4 102 9.7 9.7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5 60 5.7 5.7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 6 22 2.1 2.1

600만원 이상 700만원 미만 7 13 1.3 1.3

700만원 이상 800만원 미만 8 8 .7 .7

800만원 이상 9 16 1.5 1.5

1,049

100.0 100.0

(12)

party

지지하는 정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지정당 없음 0 573 54.7 54.7

한나라당 1 256 24.4 24.4

민주당 2 152 14.5 14.5

자유선진당 3 14 1.3 1.3

미래희망연대 4 7 .6 .6

민주노동당 5 19 1.8 1.8

창조한국당 6 4 .4 .4

국민중심연합 7 4 .4 .4

진보신당 8 14 1.4 1.4

기타 정당 9 6 .6 .6

1,049

100.0 100.0

ideo

이념적 성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진보적 1 48 4.5 4.5

대체로 진보적 2 189 18.1 18.1

약간 진보적 3 160 15.2 15.2

중도 4 355 33.9 33.9

약간 보수적 5 175 16.7 16.7

대체로 보수적 6 105 10.0 10.0

매우 보수적 7 17 1.6 1.6

1,049

100.0 1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다음의 각 소수자의 인권증진을 위해서 가장 핵심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권리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각 소수자별로 한 개 이상 응답 가능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