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83 부록 : 공정성 실태조사 설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183 부록 : 공정성 실태조사 설문"

Copied!
29
0
0

Teks penuh

(1)

부 록

한국행정연구원

183 부록 : 공정성 실태조사 설문

1.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공정한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공정하지전혀

않음 보통 매우

공정함

0점 1 2 3 4 5점 6 7 8 9 10점

1) 과거 5년 전 2) 현재 3) 향후 10년 후 점 점 점

2.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에서 다음의 사항들이 어느 정도 공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공정하지

않음

공정하지

않음 보통 공정함 매우 공정함

1) 교육기회 ① ② ③ ④ ⑤

2) 취업기회 ① ② ③ ④ ⑤

3) 승진․승급 ① ② ③ ④ ⑤

4) 여성대우 ① ② ③ ④ ⑤

5) 근로소득 ① ② ③ ④ ⑤

6) 세금징수 ① ② ③ ④ ⑤

7) 지역개발 ① ② ③ ④ ⑤

8) 공공정보접근 ① ② ③ ④ ⑤

9) 법의집행 ① ② ③ ④ ⑤

자료번호 : A1-2011-0199

자 료 명 : 공정성, 사회갈등, 사회통합 실태조사, 2011

(2)

공정성 실태조사를 위한 결과보고서

184

3.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에서 다음의 분야들이 얼마나 공정하다고 생 각하십니까?

공정하지 전혀 않음

공정하지

않음 보통 공정함 매우 공정함

1) 정치분야 ① ② ③ ④ ⑤

2) 사법분야 ① ② ③ ④ ⑤

3) 기업분야 ① ② ③ ④ ⑤

4) 금융분야 ① ② ③ ④ ⑤

5) 교육분야 ① ② ③ ④ ⑤

6) 종교분야 ① ② ③ ④ ⑤

7) 의료분야 ① ② ③ ④ ⑤

8) 학계 ① ② ③ ④ ⑤

9) 노동계 ① ② ③ ④ ⑤

10) 사회복지분야 ① ② ③ ④ ⑤

11) 시민단체분야 ① ② ③ ④ ⑤

4. 요즘 공정성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고가고 있습니다. 귀하께서는 무엇이 공정성의 핵심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모든 사람이 똑같이 나누는 것 ② 능력이나 실적에 따라 나누는 것

③ 필요한 만큼 나누는 것 ④ 필요한 절차를 제대로 밟는 것

⑤ 가능한 모든 사람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

⑥ 필요한 정보를 모두 공개하는 것

(3)

부 록

한국행정연구원

185

5. 귀하께서는 소득분배와 관련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전혀 그렇지않음

그렇지않음 보통 그러 함

매우 그러함 1)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된다면

내 가족은 더 살기 좋아질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2)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된다면 우리사회의 갈등은 줄어들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3)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되면 사람들은 열심히 일할

의욕을 잃을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4) 개개인이 사회에 기여하는 바는 똑같이 중요하기 때문에 소득은 보다 평등하게 분배되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5) 사람들의 능력과 재능은 같지 않기 때문에 소득은

평등하게 분배될 수 없다 ① ② ③ ④ ⑤

6) 부자들이 경제에 보다 많이 투자하게 하려면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되어서는 안 된다

① ② ③ ④ ⑤

6. 귀하께서는 부정부패와 관련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렇지전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 함

매우그러 함 1) 우리 사회의 부정부패는

누구도 해결할 수 없는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2) 우리 사회에서는 부정부패한

사람들이 더 성공하는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친구가 비리를 저지르면

아무리 심한 것이라도 고발하지

못할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4) 다른 사람의 비리를 알아도 내게 손해가 없다면 모르는 체

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5) 뇌물을 주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나는 뇌물을

줄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4)

공정성 실태조사를 위한 결과보고서

186

7. 귀하께서는 가족이나 학교, 직장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음의 일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다음의 보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① ② ③ ④ ⑤

7-1. 가족 7-2. 학교나 직장 등 1) 맡고 있는 책임에 비해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

2)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 3) 기여한 일들에 비해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 4) 모든 구성원들의 의견이 잘 반영된다.

5) 특정인에게 유리하게 결정된다 6) 결정하는 사람의 감정이 작용한다

7) 내려진 결정에 대한 반대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8) 결정내용을 구성원에게 알려준다

9) 결정과정을 구성원에게 알려준다 10) 구성원들끼리 서로 신뢰한다 11) 구성원들끼리 서로 존중한다 12) 구성원들끼리 편애하지 않는다

13) 구성원들끼리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잘 듣는다

8. 다음은 우리 사회의 소득에 따른 계층별 인구분포를 나타내는 모형 도입니다.

(1) (2) (3) (4) (5)

고소득

저소득

8-1. 귀하께서는 현재의 한국사회가 어떤 유형에 가장 가깝다고 생 각하십니까? ( )

8-2. 귀하께서는 앞으로 한국사회가 어떤 유형이 되어야 한다고

(5)

부 록

한국행정연구원

187

생각하십니까? ( )

9. 귀하께서는 다음의 행정서비스들이 얼마나 공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공정하지

않음

공정하지

않음 보통 공정함 매우

공정함

1) 복지 지원 ① ② ③ ④ ⑤

2) 의료 지원 ① ② ③ ④ ⑤

3) 치안 지원 ① ② ③ ④ ⑤

4) 재해복구 지원 ① ② ③ ④ ⑤

5) 보육 지원 ① ② ③ ④ ⑤

6) 교육 지원 ① ② ③ ④ ⑤

7) 실업자 지원 ① ② ③ ④ ⑤

8) 주거안정 지원 ① ② ③ ④ ⑤

10. 귀하께서는 다음의 주장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렇지전혀 않음

그렇지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1) 한국에서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소득차이는 너무 크다 ① ② ③ ④ ⑤

2) 고소득자와 저소득자간 소득차이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① ② ③ ④ ⑤

3) 정부는 실업자들이 어느 정도의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4) 정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늘려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6)

공정성 실태조사를 위한 결과보고서

188

11.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렇지전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1) 법원은 누구에게나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① ② ③ ④ ⑤

2) 국회는 국민의 이익을

공정하게 대변한다 ① ② ③ ④ ⑤

3) 일선행정기관은 행정서비스를

공정하게 제공한다 ① ② ③ ④ ⑤

4) 중앙정부는 정부정책을

공정하게 입안․집행한다 ① ② ③ ④ ⑤

5) 지방자치단체는 지역행정을

공정하게 수행한다 ① ② ③ ④ ⑤

6) 선거제도는 모든 출마자에게

공정한 경쟁을 보장한다 ① ② ③ ④ ⑤

7) 검찰은 법을 공정하게

집행한다 ① ② ③ ④ ⑤

8) 경찰은 법을 공정하게

집행한다 ① ② ③ ④ ⑤

12. 귀하께서는 우리 정부가 누구를 위해 일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모든 국민을 위해

② 일부 지역을 위해

③ 일부 기업을 위해

④ 일부 계층을 위해

⑤ 일부 정당을 위해

⑥ 행정부 스스로를 위해

(7)

부 록

한국행정연구원

189

13. 귀하께서는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음과 같은 일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렇지전혀 않음

그렇지않음 보통 그러

함 매우 그러함 1) 영향 받는 모든 사람의

의견을 반영한다 ① ② ③ ④ ⑤

2)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한다 ① ② ③ ④ ⑤

3) 특정 지역에 유리하게

결정한다 ① ② ③ ④ ⑤

4) 특정 계층에 유리하게

결정한다 ① ② ③ ④ ⑤

5) 결정권자의 편견이

작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6) 결정권자의 감정이

작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7) 외부압력이나 ‘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① ② ③ ④ ⑤

8) 내려진 결정에 대한 반대의견의 제시를

허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9) 소외된 계층의 어려움을

배려한다 ① ② ③ ④ ⑤

10) 결정내용을 국민에게

알려 준다 ① ② ③ ④ ⑤

11) 결정과정을 국민에게 알려

준다 ① ② ③ ④ ⑤

12) 결정사항이 국민에게 미칠

영향을 설명해 준다 ① ② ③ ④ ⑤

(8)

공정성 실태조사를 위한 결과보고서

190

14. 귀하께서는 우리 정부에 관한 다음의 사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그렇지전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1) 정부는 국민들을 신뢰한다 ① ② ③ ④ ⑤

2) 정부는 국민들을 존중한다 ① ② ③ ④ ⑤

3) 정부는 특정 사회집단을

편들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4) 정부는 국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들을 경청한다 ① ② ③ ④ ⑤

5) 정부는 올바른 일을 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6) 정부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정직하다 ① ② ③ ④ ⑤

15. 귀하께서는 정부로부터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을 때, 다음과 같은 행동 들을 얼마나 자주 하십니까?

전혀 하지 않음

하지

않는편임 보통 하는 편임

매우 자주함 1) 보다 나은 대우를 받기 위해 맡은

일을 더 열심히 한다 ① ② ③ ④ ⑤

2) 그냥 참고 지낸다 ① ② ③ ④ ⑤

3) 주변사람들에게 이야기한다 ① ② ③ ④ ⑤ 4) 개인적으로 관련기관에 시정을

요구한다 ① ② ③ ④ ⑤

5) 언론을 통해 호소한다 ① ② ③ ④ ⑤

6) 시민단체 등을 통해 시정을

요구한다 ① ② ③ ④ ⑤

7) 국민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한다 ① ② ③ ④ ⑤

8) 다소 불법적이라도 집단행동을 한다

(불법집회 등) ① ② ③ ④ ⑤

9) 이민을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9)

부 록

한국행정연구원

191

16. 귀하께서는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음의 방안들에 대해 어 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렇지전혀 않음

그렇지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1)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2) 국민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3) 행정절차를 강화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4) 공직청렴도를 강화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5) 고등교육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6) 취업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7) 사회복지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8) 기득권을 양보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9) 상류층이 솔선수범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10) 중산층을 확대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17. 귀하께서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다음의 정책들이 공정한 사회를 위 해 얼마나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기여하지 않음

기여

하지않음 보통 기여 함

매우 기여함 1) 활기찬 시장경제를 위한 규제개혁 ① ② ③ ④ ⑤ 2) 사교육비 절감을 포함한 교육개혁 ① ② ③ ④ ⑤ 3) 가난의 대물림을 끊기 위한

든든학자금 ① ② ③ ④ ⑤

4) 서민의 내집마련을 돕는

보금자리주택 ① ② ③ ④ ⑤

5) 소상공인을 위한 미소금융과

햇살론 ① ② ③ ④ ⑤

6) 각 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① ② ③ ④ ⑤ 7)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정책 ① ② ③ ④ ⑤

(10)

ஏࡘ

ॢĶॱ܁ٍĵڙԐধܓԐՅࢢ

209

℉ᇡ ᖅྙ᳑ᔍ⢽

ͺ͵

Ͳ

͞

♪㱊ᇆ᪯⮎# ኾ㬚# ⢢㚚⸮♪

⊠ອ㊰⁅ဠத

╘㓄㊴ૅ㋡╭⍈ૄ␨⌨Ṵ࿬␈ᜄḄ㏤⒰Ḅ㏤⼍㋁⒰ὰ♘⒜つ⊝㊰ਸ╭᫘

╭⦝⌨੘㊴ૅᥔሼ⒰ⓐ‵⒜◈Ḅ㊰⍄ᩌြ⼍㋁╙ⓐḄ㏤╭⦝⒜ὰ᜕㊰࿬჈

ᄜ␘⒜♔ਸⓨ Ḅ㏤ॠ቉‼⸴◈Ḅ ᛔ‼‴㊰৤ᅰ⌠‍ဠြ ╘㓄⍈ૄ␨⒘㋡

╭⨌╴⒰ᥴ╜ᥧ㋡╭╴ᄜ⒰ॴṸ቉⌨੘㊴Ḅ㋅⒜⨌ਜ╙⒔ᖴ⍈ૄ㊰ஈ⑜

㋌Ṽ᜕ᅴ╭᫘⫴⍈⍈ૄஈ੘ⓝဠြ

ᩐ◈Ḅ⌨⒩၍㋌♔‼⍄ᕄ᫜ሼ⒘੔㊱╙ᦁ᧭⌨⒰㋌␈ᜄ෰ᓔ⒰╜ૅᥔ

⒜ၘㆴ㊰࿬᫜ሼᖴṸ╭ᅴ᫜ሼⓝဠြ ኈᓔṴ㊴ᢐ㋅ᄜ᮸✨⌞Ⓦ⒩၍㋌♔

‴⌌㊴ૅḄ㏤⒰ᥴ╜⌨ஈ⍄㊸ὰⓠ࿬ஈ⩠ⓨᘤḵḈ⌨㋀ర⦐⍄㋌♔‼

৛⒜ड़ਹ㓠᫘⸙ሴ᜕ဠြ ✠ᢐ⌨࿬╭၍Ⓦⓠ࿬৛Ⓦ⊜ဠᤘᖴㄡỤ⌨ਕ㌰

㊰ਸ࿨ු‸୐ၘᖴᛔỬ✙㊰৤၍ᨘ㋌♔‴៌ᆁဠြ ፨㊴⒩၍㋌♔‸ฌ␁

⒘⼍ਜ᧭╴ ◈ ᮜᥘ⒰ᩌ㎐⌨ኈᓔ╠ၘᮜᥘⓌᩌ⓽ᅰᤘᖴॴⓐ╭ᩌ⑸⫴

⌨ၘ㋌Ṵ࿬⍔ᕼ㊰✘⊢⒔Ậᄜᆁဠြ

ଘ㊰⒰╙୑╙ⓐ⦐⍄⌨ြ‴㊴᧠२Ḅሴ᜕ဠြ

ຜ ␬

㊴ૅ㋡╭⍈ૄ␨Ḅ㏤◈ḄẔ⺈

Ụ⓽ Ⓦᥔ㎐

◈Ḅ⦝ⓜ⓽✘␨

(11)

ԐধÄˣ֬ࢗܓԐεڦॢĀę҃ČԴ

210

※ 먼저 사회갈등에 대해 여쭈어 보겠습니다.

1.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집단 간 갈등이 얼마나 심각하다고 보십니까?

전혀 심각하지

않음 보통 매우

심각함

0점 1 2 3 4 5점 6 7 8 9 10점

1) 과거 5년 전 2) 현재 3) 향후 10년 후

점 점 점

2. 귀하께서는 지난 1년간 아래와 같은 경험이 있으십니까?

구 분 있음 없음

1) 타인과 심각한 다툼이나 분쟁으로 파출소나 경찰서

방문경험 ① ②

2) 타인과 법적 고소나 피고소등 법적 분쟁경험 ① ②

3) 정부나 기타 공공기관으로부터 이익이나 권리를 침

해받은 경험 ① ②

4) 사기업이나 기타 민간단체로부터 이익이나 권리를

침해받은 경험 ① ②

5) 정부나 기타 공공기관에 항의나 이의를 제기한 경험 ① ② 6) 기업이나 기타 민간단체에 항의나 이의를 제기한 경험 ① ②

3. 귀하께서는 지난 1년간 아래와 같은 이유로 정당하지 못한 대우나 불이익을 경험하신 적이 있으십니까?

혹은 귀하 주변의 타인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당하지 못한 대우나 불이익을 받는 것을 목격하신 적이 있으십니까?

구 분 3-1. 본인 3-2. 타인

있음 없음 있음 없음

1) 신체적 특성 ① ② ① ②

2) 성별 ① ② ① ②

3) 나이 ① ② ① ②

4) 학력 ① ② ① ②

5) 출신학교(학벌) ① ② ① ②

6) 출신지역 ① ② ① ②

7) 부모나 가족원의 직업이나 학

력 등 출신배경 ① ② ① ②

8) 거주 지역 ① ② ① ②

9) 직업적 특성 ① ② ① ②

10) 경제력(경제적 형편) ① ② ① ②

11) 종교 ① ② ① ②

12) 정치적 성향이나 견해 ① ② ① ②

(12)

ஏࡘ

ॢĶॱ܁ٍĵڙԐধܓԐՅࢢ

211

4. 귀하께서는 다른 사람과 의견대립이나 갈등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십니까?

구 분

전혀 그렇게

하지 않음

그렇게 하지

않음 보통 그렇게

늘 그렇게

1) 되도록 상대방의 의견을 받아들인다 ① ② ③ ④ ⑤

2)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상대방이 내 주장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① ② ③ ④ ⑤

3) 가능하면 논쟁이나 토론을 피한다 ① ② ③ ④ ⑤

4) 서로 양보하여 타협을 시도한다 ① ② ③ ④ ⑤

5) 대화와 토론을 통해서 모두에게 도움이 되

는 해결책을 찾는다 ① ② ③ ④ ⑤

6) 제3자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① ② ③ ④ ⑤

5. 귀하께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음의 각 집단 간 갈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구 분 전혀

심각하지 않음

심각하지

않음 보통 심각함 매우

심각함

1) 잘 사는 사람과 못 사는 사람 ① ② ③ ④ ⑤

2) 강남거주자와 강북거주자(서울) ① ② ③ ④ ⑤

3) 주택소유자와 비소유자 ① ② ③ ④ ⑤

4) 대기업과 중소기업 ① ② ③ ④ ⑤

5) 기업가와 근로자 ① ② ③ ④ ⑤

6) 실업자와 취업자 ① ② ③ ④ ⑤

7) 정규직과 비정규직 ① ② ③ ④ ⑤

8) 고령자와 젊은이 ① ② ③ ④ ⑤

9) 진보와 보수 ① ② ③ ④ ⑤

10) 여당과 야당 ① ② ③ ④ ⑤

11) 환경보전과 개발 ① ② ③ ④ ⑤

12) 남성과 여성 ① ② ③ ④ ⑤

13) 불교와 기독교 ① ② ③ ④ ⑤

14) 한국인과 외국인 ① ② ③ ④ ⑤

15) 고학력자와 저학력자 ① ② ③ ④ ⑤

16) 교사(교원단체)와 학부모 ① ② ③ ④ ⑤

17) 명문대 출신과 비명문대 출신 ① ② ③ ④ ⑤

18) 수도권대학 출신과 지방대학 출신 ① ② ③ ④ ⑤

19) 수도권과 지방 ① ② ③ ④ ⑤

20) 영남지역과 호남지역 ① ② ③ ④ ⑤

(13)

ԐধÄˣ֬ࢗܓԐεڦॢĀę҃ČԴ

212

6. 귀하께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다음의 사안들이 중요한 사회갈등의 원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구 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1) 정부의 일방적인 공공정책(사업) 추진과 합의형성 부재 ① ② ③ ④ ⑤

2) 정부의 지원협조체제 미흡 ① ② ③ ④ ⑤

3) 갈등관련 법․제도․절차의 미비 ① ② ③ ④ ⑤

4) 주민 등 이해당사자의 의사결정 참여기회(구조) 부족 ① ② ③ ④ ⑤

5) 정책결정과정 공개・투명성 미확보 ① ② ③ ④ ⑤

6) 서로 배려하는 성숙한 민주적 시민의식 부족 ① ② ③ ④ ⑤ 7) 환경․안전․건강 등 사회문제에 대한 주민요구 증대 ① ② ③ ④ ⑤ 8) 경제적 이익관계(자산가치, 지가 등)의 충돌 ① ② ③ ④ ⑤

9) 사회발전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 ① ② ③ ④ ⑤

7. 귀하께서는 다음의 집단들이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해소를 위해서 얼마나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구 분 전혀

노력하지 않음

노력하지

않음 보통 노력함 매우 노력함

1) 중앙정부 ① ② ③ ④ ⑤

2) 지방자치단체 ① ② ③ ④ ⑤

3) 대통령 ① ② ③ ④ ⑤

4) 언론 ① ② ③ ④ ⑤

5) 경제계 ① ② ③ ④ ⑤

6) 노동계 ① ② ③ ④ ⑤

7) 법조계 ① ② ③ ④ ⑤

8) 의회 ① ② ③ ④ ⑤

9) 교육계 ① ② ③ ④ ⑤

10) 종교계 ① ② ③ ④ ⑤

11) 시민단체 ① ② ③ ④ ⑤

8.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해 다음의 사안들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구 분 전혀

중요하지 않음

중요하지

않음 보통 중요함 매우

중요함

1) 법과 원칙에 의한 사회운영 ① ② ③ ④ ⑤

2) 갈등 관련법, 제도, 절차 등 시스템 정립 ① ② ③ ④ ⑤

3) 이해관계자의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확대 ① ② ③ ④ ⑤

4) 정보공개 확대 ① ② ③ ④ ⑤

5) 사회보장제도/ 사회복지서비스 확충 ① ② ③ ④ ⑤

6) 사회갈등을 조정/관리하는 전문인력 양성 ① ② ③ ④ ⑤

7) 갈등조정문화 구축 ① ② ③ ④ ⑤

8) 학연, 지연, 혈연 등의 타파 ① ② ③ ④ ⑤

9)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① ② ③ ④ ⑤

10) 시민사회의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14)

ஏࡘ

ॢĶॱ܁ٍĵڙԐধܓԐՅࢢ

213

9. 귀하께서는 사회적 갈등의 해결을 위해서 여러 주체들의 다음 역할들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구 분 전혀

중요하지 않음

중요하지

않음 보통 중요함 매우

중요함

정치인

1) 대화와 타협을 통한 민주주의 발전 ① ② ③ ④ ⑤

2) 갈등을 해결하는 법의 제정 ① ② ③ ④ ⑤

3) 정부에 대한 견제 ① ② ③ ④ ⑤

4) 국민의 힘 결집 ① ② ③ ④ ⑤

정부

1) 갈등해결을 위한 제도 ・ 정책 수립 ① ② ③ ④ ⑤

2) 법과 원칙의 준수 ① ② ③ ④ ⑤

3) 사회적 약자 보호와 배려 ① ② ③ ④ ⑤

4) 국가경제의 성장 ① ② ③ ④ ⑤

5) 교육과 홍보를 통해 갈등조정 ① ② ③ ④ ⑤

언론

1) 국민통합 도모 ① ② ③ ④ ⑤

2) 다양한 정보 제공 ① ② ③ ④ ⑤

3) 견제와 감시 ① ② ③ ④ ⑤

4) 사회갈등 이슈 발굴과 여론 선도 ① ② ③ ④ ⑤

국민

1) 자신의 분야에서 책임 다하기 ① ② ③ ④ ⑤

2) 기초 사회질서 준수 ① ② ③ ④ ⑤

3) 입장이나 의견이 다른 사람의 포용 ① ② ③ ④ ⑤

10. 귀하께서는 다음 중 계층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다음의 해소방안 중에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0-1. 발생원인 10-2. 해소방안

① 국민의 정부신뢰 저하 ① 국가/시장/시민간 신뢰관계 구축 ② 사회지도층의 솔선수범 부족 ② 사회지도층 솔선수범 확대 ③ 대기업 위주의 성장정책과 부의 독점화 ③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④ 소득과 부의 격차 심화 ④ 사회복지정책 확대

11. 귀하께서는 다음 중 지역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며, 해소방안 가운데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1-1. 발생원인 11-2. 해소방안

① 지역주민간의 편견 ① 지역간 교류 증대 ② 정부의 경제발전 정책 ② 지역 간 경제격차의 해소 ③ 고위공무원 지역편중 ③ 인물등용의 지역안배 ④ 정치인의 선거운동 ④ 행정구역개편

(15)

ԐধÄˣ֬ࢗܓԐεڦॢĀę҃ČԴ

214

12. 귀하께서는 다음 중 노사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다음의 해 소방안 중에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2-1. 발생원인 12-2. 해소방안

① 근로자들의 상대적 빈곤감 ① 임금관리의 합리화 및 근로조건의 개선 ② 경영자 측의 무성의한 자세 ② 민주적 노조결성 및 운영

③ 노사관계의 상호불신 ③ 상호존중 상호 신뢰적 인간관계 확립 ④ 정부의 미흡한 노동시장 개입 ④ 효과적인 의사소통경로 활성화

13. 귀하께서는 다음 중 세대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다음의 해 소방안 중에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3-1. 발생원인 13-2. 해소방안

① 연령에 따른 가치관 차이 ① 세대간 대화창구 확대 ② 정치적 권력구조 변화 ② 선거제도 개선

③ 일자리 창출능력 차이 ③ 계약제, 시간제, 임금피크제 등 고용형태 활성화 ④ 정치・행정・경제・사회문화의 관행 및 부조리 ④ 사회의 부조리, 비리, 부패 바로잡기

14. 귀하께서는 다음 중 교육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다음의 해 소방안 중에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4-1. 발생원인 14-2. 해소방안

① 공급자중심 교육 ① 수요자중심 교육 ②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 ② 교육정책 안정성 유지

③ 교육기회와 교육수준의 불평등 ③ 사회적 약자를 우대하는 균등한 교육제공 ④ 획일적・집단적 교육방식 ④ 사회추세에 대응한 교육강화

(산학연계, 국제화된 교육, 온라인교육 등)

15. 귀하께서는 다음 중 이념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다음의 해 소방안 중에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5-1. 발생원인 15-2. 해소방안

① 남북분단, 한미관계, 남북관계 ① 다양한 가치관 배양 ② 급격한 경제성장 ② 정책개발능력 강화 ③ 정권유지를 위한 기득권 세력의 이념 정치화 ③ 언론의 역할 정립 ④ 획일적인 집단가치를 강요하는 풍토 ④ 집회 ・ 시위문화 개선

(16)

ஏࡘ

ॢĶॱ܁ٍĵڙԐধܓԐՅࢢ

215

16. 귀하께서는 다음 중 환경갈등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또한 다음의 해 소방안 중에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6-1. 발생원인 16-2. 해소방안

① 환경개발과 보전에 대한 가치의 충돌 ① 갈등 조정을 위한 법 제도 정비 ② 정부정책의 합리성의 부족 ② 관련 시민단체의 활성화 ③ 집단간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 ③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 ④ 법제도 준수의지 부족 ④ 정책수립시 국민의 의견수렴

17. 귀하께서는 다음의 내용과 관련한 주요 공공갈등 수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구 분 전혀

심각하지 않음

심각하지

않음 보통 심각함 매우

심각함

1) 생활쓰레기 소각장 ① ② ③ ④ ⑤

2) 농촌 및 산업폐기물처리장 ① ② ③ ④ ⑤

3) 기타 혐오/위험물처리장 ① ② ③ ④ ⑤

4) 장묘시설 ① ② ③ ④ ⑤

5) 국방관련 시설 ① ② ③ ④ ⑤

6) 문화체육 시설 ① ② ③ ④ ⑤

7) 공공기관 시설 ① ② ③ ④ ⑤

8) 지역개발사업 ① ② ③ ④ ⑤

9) 위락관광시설 ① ② ③ ④ ⑤

10) 특정토지구역 권한 ① ② ③ ④ ⑤

11) 도로시설(고속, 지하도, 터널 등) ① ② ③ ④ ⑤

12) 철도(지하철, 경전철 포함) ① ② ③ ④ ⑤

13) 공항 및 항만시설 ① ② ③ ④ ⑤

14) 수력 및 화력발전소 ① ② ③ ④ ⑤

15) 원전관련시설(방폐장 포함) ① ② ③ ④ ⑤

16) 댐건설 및 수질보전 규제 ① ② ③ ④ ⑤

17) 상하수도 관련시설 ① ② ③ ④ ⑤

(17)

ॢĶॱ܁ٍĵڙԐধܓԐՅࢢ

175

ࡘܿ

ᇡಾ ᖅྙ᳑ᔍ⢽

ͺ͵

ᔍ⫭☖⧊ᨱ š⦽ ᝅ┽᳑ᔍ

⊠ອ㊰⁅ဠத

╘㓄㊴ૅ㋡╭⍈ૄ␨⌨Ṵ࿬␈ᜄḄ㏤⒰Ḅ㏤⼍㋁⒰ὰ♘⒜つ

⊝㊰ਸ╭᫘╭⦝⌨੘㊴ૅᥔሼ⒰ⓐ‵⒜◈Ḅ㊰⍄ᩌြ⼍㋁╙

ⓐ Ḅ㏤╭⦝⒜ ὰ᜕㊰࿬ ჈ ᄜ ␘⒜ ♔ਸⓨ Ḅ㏤⼍㋁ ‼⸴◈Ḅ ᛔ‼‴㊰৤ᅰ⌠‍ဠြ╘㓄⍈ૄ␨⒘㋡╭⨌╴⒰ᥴ╜ ᥧ㋡

╭╴ᄜ⒰ॴ Ṹ቉⌨੘㊴Ḅ㋅⒜⨌ਜ╙⒔ᖴ⍈ૄ㊰ஈ⑜㋌Ṽ᜕

ᅴ ╭᫘⫴⍈⍈ૄஈ੘ⓝဠြ

ᩐ◈Ḅ⌨⒩၍㋌♔‼⍄ᕄ᫜ሼ⒘੔㊱╙ᦁ᧭⌨⒰㋌␈ᜄ෰

ᓔ⒰╜ૅᥔ⒜ၘㆴ㊰࿬᫜ሼᖴ Ṹ╭ᅴ᫜ሼⓝဠြኈᓔṴ㊴ ᢐ㋅ᄜ ᮸✨⌞Ⓦ ⒩၍㋌ ♔‴⌌ ㊴ૅ Ḅ㏤⒰ ᥴ╜⌨ ஈ⍄㊸ ὰ

ⓠ࿬ஈ⩠ⓨᘤḵḈ⌨㋀ర⦐⍄㋌♔‼৛⒜ड़ਹ㓠᫘⸙ሴ᜕ဠ

ြ✠ᢐ⌨࿬╭၍Ⓦⓠ࿬৛Ⓦ⊜ဠ ᤘᖴㄡỤ⌨ਕ㌰㊰ਸ࿨ු

‸୐ၘᖴᛔ Ử✙㊰৤၍ᨘ㋌♔‴៌ ᆁဠြ ፨㊴⒩၍㋌♔‸

ฌ␁⒘⼍ਜ᧭╴◈ ᮜᥘ⒰ᩌ㎐ ⌨ኈᓔ ╠ၘᮜ ᥘⓌᩌ⓽ᅰ ᤘᖴ ॴⓐ╭ᩌ ⑸⫴⌨ ၘ㋌Ṵ࿬ ⍔ᕼ㊰✘ ⊢⒔Ậᄜᆁဠြ

ଘ㊰⒰ ╙୑╙ⓐ ⦐⍄⌨ ြ‴ ㊴ ᧠ २Ḅሴ᜕ဠြ

(18)

ࡘܿ

ॷฎധ෍ਓ೾୺ॷէր࣪ճছ

176

㶙#Ὼⶾ#♪㱊㝳㬧⮎#ᢾ㬲#⮪ㄆ⭲#⊲቞⡳ᢆᢢ1

ŊॠƍԴəۻъۺڷͿ҇˺ॢĶԐধÀرɗ܁ʪࣀ०ʼرەɰČԦÁॠ֯ɦū ۻঅ

ࣀ०؋ʿ ҃ࣀ ٰۻ০

ࣀ०ʿ

۾ ۾ ۾

ęäțۻ ইۦ ॳ঳ț঳

۾ ۾ ۾

ŊॠƍԴəڍνԐধÀՙսۙ˞قʂ३رɗ܁ʪपڌॠČەɰČԦÁॠ֯ɦū ۻঅ

पڌ؋॥ ҃ࣀ ϔڍ

पڌ॥

۾ ۾ ۾

ŊॠƍԴə؉͒ۆԐ͊˞ںرɗ܁ʪūݓы؉˞ێսە֥ɦū ౖ۩෉ଭෛ૳࣐

଍εश֨ॠيܳ֯֨١ ы؉

˞ێս ػڼ

ڍν ǣ͆ε

ѓЛ ॠəì

ڍν ǣ͆ق Ԑəì

ǣۆ ۋڕۋ ʼəì

ݔۤ

ʴΒÀ ʼəì

ۙșۆ ѕڍۙÀ

ʼəì ҾĎࠗ ÀǦॢԐ͊      

ؙۤۍ      

ʴՁؙۙ      

ՙսܛİۍ      

Ԟࢢл ࢐Қۙ      

Қॢܳл      

ܓԸܔ      

ܼĶۍ      

ێ҆ۍ      

ʴǫ؉֨؉ۍ      

йĶۍ      

ڮͥۍ      

ܼʴۍ      

؉॒νࠢۍ      

(19)

ॢĶॱ܁ٍĵڙԐধܓԐՅࢢ

177

ࡘܿ ŊॠƍԴəݕ܁ॢॢĶۍۋʼşڦ३ԴɰڼۆԐ२˞ۋضυǣܼڅॠɰČԦÁ

ॠ֯ɦū

ۻঅ

ܼڅ ॠݓ

؍ڼ

ܼڅ ॠݓ

؍ڼ ҃ࣀ ܼڅ

॥ ϔڍ

ܼڅ

ॢĶقԴࢗرǣəì     

ҙϿÀॢĶԐ͊ۍì     

ॢĶĶۺںÍəì     

ԦؙۆʂҙқںॢĶقԴԐəì     

֟֟ͿॢĶۍۋ͆ČԦÁॠəì     

ॢĶرεॣսەəì     

ॢĶۆۻࣀęЛজε۞˰βəì     

ॢĶۆ܁࠘܃ʪٮѪںܕܼॠəì     

ًԐқۮۋǣڏʴąşقԴॢĶںݓݓॠəì     

ŊॠƍԴəॢĶقäܳॠəۋлۙ˞قʂ३ر̎óԦÁॠ֯ɦū ۻঅ

Ŕͩ

ݓ

؍ڼ Ŕͩ

ݓ

؍ڼ

҃ࣀ Ŕ͠

॥ ϔڍ Ŕ͠

॥ ۋлۙ˞ۋѩܨڱںȭۍɰ      ۋлۙ˞ڹێъۺڷͿॢĶą܃قʪړںܵɰ      ۋлۙ˞ڹॢĶۍۆݔغںӒؔ؉Âɰ      ۋлۙ˞ڹɰتॢЛজεÀ܋ٮॢĶں҃ɰ

ܞóχ˜ɰ     

ۋлۙ˞ۋٰۻॠóॢĶۍۋʼəìڹҝÀɠॠɰ     

ॢĶ܁ҙəۋлۙ˞ںʲəʚʌψڹʬں

׆آॢɰ     

ŊॠƍԴəڍνԐধÀʌҝرԕşڦ३ɰڼܼÀۤज़څॢìڹИؼۋ͆ČԦ Áॠ֯ɦū

G֨лۆ֩ČࠄG֨лɳߕۆটʴ

GѪę܃ʪۆÒԸG܁ҙܳʪۆ܁޾

Gر̃ॢȤͳʪज़څػɰ

ŊॠƍԴə֟֟ͿॢĶۍۍìقʂ३رɗ܁ʪ͎ۙ֟ͥóԦÁॠ֯ɦū

͎ۙ֟ͥݓۻঅ

؍ڼ ҃ࣀ ϔڍ

͎ۙ֟͠ړ

۾ ۾ ۾

(20)

ࡘܿ

ॷฎധ෍ਓ೾୺ॷէր࣪ճছ

178

ŊॠƍԴəɰڼÁÁقʂ३ԴəॢĶںضυǣ͎ۙ֟ͥóԦÁॠ֯ɦū ۻঅ

͎ۙ֟ͥݓ

؍ڼ

͎ۙ֟ͥ

ݓ

؍ڼ ҃ࣀ ͎ۙ֟

͠ړ

ϔڍ

͎ۙ֟͠

ړ

лܳܳۆۺ܁࠘܃ʪ     

ॢĶۆĶ܃Ԑধۺݓڦ     

ą܃ۺьۻ     

Ԑধ҃ۤ܃ʪ     

ęॡşց     

֟पࠐ     

ٚցęЛॡ     

ķԐͳ     

ۻࣀęًԐ     

ŊॠƍԴə֪ۙۋԕČەəݓًقʂ३ر̎óԦÁॠ֯ɦū ۻঅ

Ŕͩݓ

؍ڼ Ŕͩ

ݓ

؍ڼ ҃ࣀ Ŕ͠

॥ ϔڍ Ŕ͠

॥ ǣəʴȐقԐəۋڕ˞ں۞؉əठۋɰ      ǣəݓŚԕČەəʴȐقԴ١͒ԕČֲɰ     

֟पࠐąşقԴڍνݓًۋݓϸ՚Ԝॠɰ      ڍνݓًԐধÀ۞ʼəìں҃ϸşқۋܞɰ     

ŊॠƍԴəॢĶۍڷͿԴۆۙŝ֮ںȭۋşڦ३ɰڼܼÀۤज़څॢìڹИؼ ۋ͆ČԦÁॠ֯ɦū

Gą܃ۺՁۤGĶ܃şĵقԴۆٖॳͳঝʂ

GŘͿѧۍۦۆتՁGÒÒۍۆ֨лۆ֩Čࠄ

GĶǴşغۆŘͿѧজݓڙGĶ܁ۆ؋܁ۺڏٖ

Gر̃ॢȤͳʪज़څػɰ

ŊॠƍԴəڍνԐধÀۻъۺڷͿرɗ܁ʪмںχॠɰČԦÁॠ֯ɦū ۻঅмں

սػڼ ҃ࣀ ϔڍмں

սەڼ

۾ ۾ ۾

ŊॠƍԴəɰڼۆÁۆþقʂॠير̎óԦÁॠ֯ɦū ۻঅ

Ŕͩݓ

؍ڼ Ŕͩ

ݓ

؍ڼ

҃ࣀ Ŕ͠

॥ ϔڍ Ŕ͠

॥ ʂҙқۆԐ͊˞ڹʂߕͿ֪΋ॣχॠɰ      ǴÀٰۻ০мںսەəԐ͊ڹŕ০ՙսق

ҝęॠɰ     

χأܓ֮ॠݓ؍əɰϸɰδԐ͊˞ڹǣε

ۋڌॠͲ˞ìۋɰ     

(21)

ॢĶॱ܁ٍĵڙԐধܓԐՅࢢ

179

ࡘܿ ŊॠƍԴəܳڅԐধşě˞ںرɗ܁ʪ֪΋ॠ֯ɦū

֪΋ॠݓۻঅ

؍ڼ

֪΋ॠݓ؍ڼ ҃ࣀ ֪΋॥ ϔڍ

֪΋॥

şغ     

Śڵşě     

ܛİɳߕ     

֨лɳߕ     

Ȥʴܓ०     

س΁     

İگşě     

ۆΒşě     

܁ɾ     

ܼؖ܁ҙ     

ݓѓۙ࠘ɳߕ     

Ķধ     

ߔٮʂ     

ʂѪڙ     

ķʂ     

ŊॠƍԴəڍνԐধۆ֪΋εঝ҃ॠşڦ३ɰڼܼÀۤज़څॢìڹИؼۋ͆

ČԦÁॠ֯ɦū

G܁ҙşěۆė܁Ձঝ҃G҃ɰعüॢѪę܃ʪঝς

G֨лɳߕۆًॣÌজGėݔۙۆߔͶՁঝ҃

Gėʴߕۆ֩ۆঝʂGĶл˞ۆۆþսͶঝʂ

Gر̃ॢȤͳʪज़څػɰ

ŊॠƍԴəڍνԐধۆĵՁڙ˞ۋضυǣԐধق޷يॢɰČԦÁॠ֯ɦū

ۻঅ޷يॠݓ؍ڼ ҃ࣀ ؉ܳψۋ

޷ي॥

۾ ۾ ۾

ŊॠƍԴəɰڼęÏڹॱʴںݓǦțʴ؋ওڹŔۋۻقॠ֪ۺۋە֥ɦ ū ػɰϸŔ͠ॢॱʴںॠ֬ÀɠՁۋەəݓϊ׻३ܳ֯֨١

ॢۺەڼ ॢۺػڼ

ݓǦț؋ق Ŕ҃ɰ

ęäق ॣս

ەɰ ॠݓ؍ں ìۋɰ

ݕ܁ԴقԴϼॠş    

࣢܁ԜुںҝϔॠäǣԐܳş    

֨ڦق޷Àॠş    

܁࠘Ͽےۋǣݚধق޷Àॠş     Ԑধ읆܁࠘ۺটʴںڦ३şҙǣϿŚॠş    

܁࠘ۍۋǣėИڙقóǣۆۆþں؎νş     س΁şěقǣۆۆþں؎νş     Ԑধ?????Ò???????܁࠘ۺėÒࢹ΁ق޷يॠş     ۍࢢȖԜۆԐধ읆܁࠘ۺۆþ܃֨ॠş

ٚʈŘ4/4ࢹ΁    

(22)

ࡘܿ

ॷฎധ෍ਓ೾୺ॷէր࣪ճছ

180

ŊॠƍԴəɰڼęÏڹݚɳۋǣϿےɳߕقՙ՚ʼرć֯ɦū ՙ՚ʼرć֪

ɰϸضυǣۺŕۺڷͿটʴॠ֨əݓՙ՚ʼرć֨ݓ؍ɰϸęäقՙ՚ʼؽʏ ۺۋەəݓϊ׻३ܳ֯֨١

ইۦՙ՚ʼرەڼ ইۦՙ՚ʼرەݓ؍ڼ ۺŕۺ

টʴ ՙŕۺ টʴ টʴ

؋॥

ęäق ՙ՚ʽۺ

ەڼ

ॢѥʪ ՙ՚ʽۺ

ػڼ

܁ɾۋǣ܁࠘ɳߕ     

Ȥܓۋǣݔغܓ०     

ܛİɳߕ     

֨лɳߕ     

Ķ܃şĵ ڮɦՃ॒ˣ     

֟पࠐфЛজɳߕ     

ʴ޻ধॳڍধˣࠚЀɳߕ     

ۍࢢȖʴ঒ধ     

ŊॠƍԴəڍνԐধĵՁڙ˞ۆԐধ޷يεɚνşڦॠيɰڼܼÀۤज़څॢ

ìڹИؼۋ͆ČԦÁॠ֯ɦū

GԸä܃ʪۆÒԸGÒÒۍۆ܁࠘ۆ֩ॳԜ

G܁ɾĵܓۆÒԸG֨лɳߕۆۺŕۺটʴ

GۍࢢȖࢹ΁ЛজۆঝԓGݓѓۙ࠘܃ʪۆ؋܁ۺۍ܁޳

Gر̃ॢȤͳʪज़څػɰ

ŊॠƍԴəڍνԐধقԴʪړۋज़څॣ˺ыںսەəݓڙۋرɗ܁ʪ͆Č ԦÁॠ֯ɦū

ۻঅʪړں

ыݓЇ॥ ҃ࣀ ϔڍψڹ

ʪړںыڼ

۾ ۾ ۾

ɰڼęÏڹԜডۋьԦ॰ں˺ŊॠƍԴəɀĵقóÀۤϤ۹ʪړںߔॠ֨ù

֥ɦū տԴʂͿՃқχϊ׻३ܳ֯֨١

տڦ տڦ տڦ Ѕۋ؉ࣷݚ؋ێںʂ֪ҙࢎॣ˺

Èۙşψڹʬۋज़څॣ˺

Ǥ֮ॠäǣڍڐ३ԴɀķÀٮۋآşεॠČֲں˺

ѕڍۙ ࠚߍ ࠚЀধˣۙܓݚɳ

҆ۍۆҙϿ ࠚॢࠚĵ ڹॱ̚əşࢍŚڵşě

ѕڍۙۆҙϿ ۋڕ Ԑ޽غۙ

ۙș ˳ۋǣ؉˞ ݔۤʴΒ ܁ҙ̚əėėşě ۙșۆѕڍۙ ϶ɗνǣԐڦ ÀԐʪڍй ۆԐ ܁֪ęфʴȐۆڙ ҆ۍۆ঍܃ۙϔ Ԑধ҄ݓɳߕ ٣͆ۍԜۆࠚĵ ѕڍۙۆ঍܃ۙϔ ܛİɳߕ ػڼ

(23)

ॢĶॱ܁ٍĵڙԐধܓԐՅࢢ

181

ࡘܿ ŊॠƍԴəʪړۋज़څॣ˺ÀܔۋǣۋڕˣԐۺۍݓڙęԐধ҄ݓԴҼ֟ˣ

ۆėۺۍݓڙܼرɗޅۋڍԸʼرآॢɰČԦÁॠ֯ɦū

GԐۺۍݓڙۋڍԸGėۺۍݓڙۋڍԸ

ŊॠƍԴəԐধۺݓڙϐںÌজॠşڦॠيɰڼܼÀۤज़څॢìڹИؼۋ͆

ČԦÁॠ֯ɦū

Gݓѓۙ࠘ɳߕۆًॣÌজGܼؖ܁ҙۆًॣÌজ

GԐধ҄ݓٚԓۆݒÀGԐধ҄ݓۻɵߕćۆÒԸ

GݓًԐধėʴߕۆÌজGڮΒԴҼ֟ۆটՁজ

Gر̃ॢȤͳʪज़څػɰ

ŊॠƍԴəڍνԐধۆܳڅॢÀ࠘˞ۋضυǣ۞०ۆʼرەɰČԦÁॠ֯ɦū ۻঅ

०ۆʼر ەݓ؍ڼ

҃ࣀ ϔڍ۞

०ۆ ʼرەڼ

۾ ۾ ۾

ŊॠƍԴəɰڼęÏڹܳ܃˞قʂ३Ԑধۺۍ०ۆÀʼرەɰČԦÁॠ֯ɦū ۻঅ

Ŕͩݓ

؍ڼ

Ŕͩݓ

؍ڼ ҃ࣀ Ŕ͠॥ ϔڍ Ŕ͠॥

ՙ˛қѕٮą܃Ձۤ     

şغąٖęȤܓটʴ     

Қॢقʂॢݓڙ     

ঞą҃঒     

ȤʴęيÀ     

ԦϼۆÀ࠘     

ėńͳںࣀॢԐধݗԴڮݓ     

ėİگęԐİگ     

ŊॠƍԴəڍνԐধÀܳڅॢۋ֙˞قʂॢ०ۆεÌজॠşڦ३ɰڼܼÀۤ

ज़څॢìڹИؼۋ͆ČԦÁॠ֯ɦū

G܁࠘޷يۆşধঝʂGėʴߕۆ֩ۆঝԓ

Gлܳܳۆ܃ʪقʂॢۍ֩ÒԸG֨лۆ֩ۆČࠄ

Gæۻॢࢹ΁Лজۆ܁޳G٣͆ۍ޷ي܃ʪۆ܁޳

Gر̃ॢȤͳʪज़څػɰ

ইۦϿ˜ԜডںČͲ३҇˺څ݋ڼŊॠۆԦটۻъقʂ३رɗ܁ʪχܔॠ

֯ɦū ϔڍ

ҝχܔ ҃ࣀ ϔڍ

χܔ

۾ ۾ ۾

(24)

ࡘܿ

ॷฎധ෍ਓ೾୺ॷէր࣪ճছ

182

ؘڷͿțۋǴقŊॠۆԦটۻъقʂॢχܔڹرɗ܁ʪȭ؉ݓäǣ̚ə ǰ؉ݗìۋ͆ČԦÁॠ֯ɦū

GԜɾ০ȭ؉ݗìۋɰGɰՙȭ؉ݗìۋɰ

G޲ۋÀäۆػںìۋɰGɰՙǰ؉ݗìۋɰ

GԜɾ০ǰ؉ݗìۋɰ

ইۦϿ˜ԜডںČͲ३҇˺ŊॠƍԴəɰڼۆÁԐ؋قʂ३ضυǣχܔॠ

֯ɦū

ϔڍ

ҝχܔ ҝχܔ ҃ࣀ χܔ ϔڍ χܔ

Àܔ˞ęۆěć     

ĀঔԦট     

ǣۆą܃Ԝࢗ     

ǴÀॠČەəێ ݔغ     

يÀটʴ     

ǴÀ՚३ەəՙőϿėʴߕ     

ǴÀԕČەəݓًԐধ     

ǴÀԕČەəĶÀ     

ŊॠƍԴəڍνԐধۆۻъۺۍχܔʪεȭۋşڦॠيɰڼܼر̃ॢȤͳۋ Àۤज़څॠɰČԦÁॠ֯ɦū

Gą܃ۺՁۤG܁࠘ۺ؋܁

GНÀ؋܁GЛজٚցսܵॳԜ

GĶлÒÒۍۆȤͳGԐধ҄ݓۆঝʂ

Gر̃ॢȤͳʪज़څػɰ

ŊॠƍԴəই܁ńۆĶ܁ڏٖۋԐধࣀ०قضυǣşيॠČەɰČԦÁॠ֯ɦū

GϔڍşيॠČەɰGʂߕͿşيॠČەɰ

G҃ࣀۋɰGʂߕͿşيॠČەݓЇॠɰ

GϔڍşيॠČەݓЇॠɰ

ŊॠƍԴəڍνԐধÀࣀ०ʼşڦ३ɰڼęÏڹԐ२˞ۋرɗ܁ʪज़څॠɰ ČԦÁॠ֯ɦū

ۻঅ ज़څ ػڼ

ज़څ

ػڼ ҃ࣀ ज़څ

॥ ϔڍ ज़څ॥

ڍνԐধۆɰتॢԐ͊˞ںपڌॠəì      ǴÀॢĶۍۋ͆əۙŝ֮ںÍəì      ڍνԐধقʂॢ֪΋εÍəì      Ԑধق޷يॠəì      ʪړۋज़څॣ˺ݓڙںыəì      ԐধÀ࠘قʂॢۆþۋ०ۆʼəì     

֪ۙۆԗقʂ३χܔॠəì     

(25)

ॢĶॱ܁ٍĵڙԐধܓԐՅࢢ

183

ࡘܿ ŊॠƍԴəɰڼۆ܁ҙ܁޾ۋǣ܁࠘ۺĀ܁ۋڍνԐধۆࣀ०قضυǣşي

॰ɰČԦÁॠ֯ɦū

ۻঅ şي ॠݓ

؍ڼ şي ॠݓ

؍ڼ ҃ࣀ ş ي

॥ ϔڍ şي

॥ Ȭرߥݓڙ܁޾

ַٚսś؋܁ʂ޾Ȭرߥ࣢ѻʂ߻ˣ      ݓѓۦ܁æۻՁ܃Č܁޾

ٚۦ܁ڦşԐۻą҃֨֟ࢰˣ      ݓًą܃টՁজεڦॢ܁޾

ٚݓѓşغܛ०ݓڙ֨֟ࢰˣ     

҃گ܁޾ ٚ҃گΒݓڙ҃گۍ॒͆Ìজˣ      يՁČڌঝʂ܁޾

ٚѕڍۙ߻ԓ্À܃گ؉্ݔśيˣ      Čͺজ܁޾

ٚ ۤşڅت҃঒܃ʪ ےŚक़ࡾ܃ şߣȤͺٍ

Śˣ     

҃æۆΒ܁޾

ٚæÌ҃ॹ঎࢘ঝʂۆΒԓغŘͿѧজˣ      Ҽ܁őݔ܁޾

ٚ޲ѻ֨܁܃ʪˣ     

֬غʂ޾ ٚ֬غśيČڌ؋ۻݓڙŚ֬غۙݔغ঵ʹˣ      ՙ˛ۦқѕ܁޾

ٚՃŚ܃ʪˣ     

۹ՙ˛ࠗʂॡԦۦ܁ݓڙ܁޾

ٚ۹ՙ˛ࠗۤॡŚݓڙˣ      Դлܳä܁޾

ٚ҃Śۙνܳ࢘ےʂ҃ݒŚݓڙˣ      ҾĎ܁޾ ٚڍԸʮ҈޲Ԝڦćࠗ҃঒ۆǴ֬জˣ     

ܼՙşغݓڙ܁޾

ٖٚՃՙşغۙŚݓڙˣ      ߔțێۙνʂ޾

ٚߔțৠϐێۙνχÒ޻߻ˣ      ٽĶۍȤʴۙěʹ܁޾

ٚČڌॴÀŖͿۙҝѪߕΪѓݓˣ      Āঔۋлۙݓڙ܁޾

ٚĀঔۋлۙÀܔݓڙՅࢢڏٖˣ     

܁҃ü޲Çՙ܁޾

ٚࠄأćࠗقʂॢ܁҃জݓڙˣ     

࢐Қۙěʹ܁޾

ٚ࢐ҚۙࠄغÌজٚҼॡİˣ     

ؙۤۍۙςݓڙÌজ܁޾

ؙٚۤۍٍŚؙۤۍۆИČڌ܃ʪˣ     

(26)

ࡘܿ

ॷฎധ෍ਓ೾୺ॷէր࣪ճছ

184

㶙#ⷓ㐖⶿#ⵃⵣ⮎#ᢾ㬲#⮪ㄆ⭲#⊲቞⡳ᢆᢢ1

ŊॠƍԴəرɗ܁ɾںݓݓॠ֯ɦū

Gॢǣ͆ɾGлܳɾGۙڮԸݕɾ

Gй͒ৠϐٍʂGлܳȤʴɾG޻ܓॢĶɾ

Gݕ֪҃ɾGşࢍ܁ɾGݓݓ܁ɾػڼ

ŊॠƍԴəই܁ҙۆۋȝՁॳۋر̃ॠɰČԦÁॠ֯ɦū

Gϔڍݕ҃ۺGɰՙݕ҃ۺGܼʪ

Gɰՙ҃սۺGϔڍ҃սۺ

Ŕͩɰϸɰڼ܁ҙۆۋȝՁॳڹر̃३آॢɰČԦÁॠ֯ɦū

Gϔڍݕ҃ۺGɰՙݕ҃ۺGܼʪ

Gɰՙ҃սۺGϔڍ҃սۺ

ŊॠƍԴəɰڼęÏڹۆþ˞قʂॠير̎óԦÁॠ֯ɦū ۻঅ

Ŕͩ

ݓ

؍ڼ Ŕͩ

ݓ

؍ڼ ҃ࣀ Ŕ͠

॥ ϔڍ Ŕ͠

॥ ڍνǣ͆əķԐۺڷͿʌÌ३܋آॢɰ      ڍνԐধÀঔ͈֟͠ڏìڹńڦÀИ֨ʼş˺Лۋɰ      عॢѪۋܞڹՃԜںχ˜ɰ     

۞ԕČЇԐəìڹĀĶࣻۙՙěۋɰ      ۍԦڹʪчęÏ؉ڏق˰͆ɵ͆ݕɰ      ǫںʪٮܽҌآĀĶʮ؉١əìڹѕ֪Ӽۋɰ      ҙεथˣॠóǣɀşڦॢۻъۺۍÒআۋज़څॠɰ     

҃ɰथˣॢԐধÀʼرآψڹЛ܃À३Āʾսەɰ      ԐধۆܼڅॢĀ܁ڹۻЛÀ҃ɰێъ֨лۋǴͲآ

ॢɰ     

ۙşÀѥʬڹۙşÀڙॠəʂͿ׸սەرآॢɰ      Ìॢۙχۋԕ؉ǫəìۋۍԦѪ࠙ۋɰ      Ԑ͊˞ۋÀǦॢۋڮə߿қ০Ȥͳॠݓ؍ş˺Лۋɰ      Ըä˺əъ˚֨࣊श३آॢɰ      Ѫęő࠙ڹ२Ԝݓࡈ܋آॢɰ      Ԑধ읆܁࠘ɳߕقԴۺŕۺڷͿটʴ३آॢɰ      ɰδۆþںÀݕԐ͊ںۋ३ॠͲČȤͳ३آॢɰ      ǣ҃ɰЇԐəԐ͊ڹʪٮآॢɰ     

(27)

ॢĶॱ܁ٍĵڙԐধܓԐՅࢢ

185

ࡘܿ

ॢĶԐধεÒۆćࠗڷͿǣɀؽں˺ŊॠۆÀܔڹʂߕͿرɗ܁ʪۆڦ࠘

قەəݓϊ׻३ܳ֯֨١

߯ॠࠗ ॠࠗ ܼࠗ Ԝࠗ ߯Ԝࠗ

ՙ˛սܵ          

҃ڮۦԓ           Ԑধۺݓڦ           Лজսܵ İگ읆İت          

ۋѥقəÀ܁ԦটقʂॢǴڌۓɦɰŊॠƍԴəɰڼۆۆþ˞قʂ३ر̎óԦ Áॠ֯ɦū

ۻঅ Ŕͩ

ݓ

؍ڼ Ŕͩ

ݓ

؍ڼ ҃ࣀ Ŕ͠

॥ ϔڍ Ŕ͠

॥ À܁قԴ؉ѣݓۆńڦəر̅ąڍقʪܕܼʼرآ

ॢɰ     

ۙ֩ڹҙϿقóϼٚÀʼʪ΀Ȥͳ३آॢɰ     

ۤǫڹۦԓںʌψۋԜ՚ы؉آॢɰ      ҙϿε۞ҙتॢۙ֩ڹʌψۋԜ՚ы؉آॢɰ      Àćε۔şڦ३؉˞ۋۺرʪॠǣəەرآॢɰ     

ۙșۆՁۤںݓࡈ҃əìۋۍԦقԴࢀݎäړۋɰ     

ۙșÀەڷϸҙϿۆۙڮəȃИψۋ܃أʽɰ     

ۙșÀەɰϸҙҙəԐۋÀǣԃʌ͆ʪ॥ƍԕ؉

آॢɰ     

ҙҙəԐۋÀܞݓ؍ČۙșÀػʌ͆ʪ॥ƍԕ؉

آॢɰ     

(28)

ࡘܿ

ॷฎധ෍ਓ೾୺ॷէր࣪ճছ

186

㶙#ᾆ⽾ᾇ⳺Ḛ#㝳ኂ㉖ὪἺ#Ⳃ㬚#ᇚⴶ♪㬫ⴂ#⮪ㄆ⭲#⊲቞⡳ᢆᢢ1

Ŋॠۆٍͺڹر̎óʼ֯ɦū χ Ճ

ŊॠۆঔۍԜࢗəر̎óʼ֯ɦū

GşঔGйঔGۋঔԐѻˣGşࢍ

Ŋॠۆ߯ܛॡͳڹر̎óʼ֯ɦū

GИॡGߣˣ ࣅܖGܼ ࣅܖ

GČ ࣅܖ GۻЛʂ ࣅܖGʂ ࣅܖ

GʂॡڙۋԜGşࢍ

ŊॠۆÀܔĵՁڹر̎óʼ֯ɦū ߪ ϼ

ڮ঍ ϼս ڮ঍ ϼս

G҆ۍ ϼ G՜ۙș ϼ

Gѕڍۙϼ GܓҙϿ ϼ

Gۙșۙșѕڍۙ ϼ G҆ۍѕڍۙ঍܃ۙϔ ϼ

G҆ۍѕڍۙҙϿ ϼ Gࠚۍߍşࢍ ϼ

ŊॠۆÀܔॢɵथŒՙ˛ڹضυۓɦū

χڙйχ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 GχڙۋԜ

ŊॠۆܛİəИؼۓɦū

GИİ GÒ֪İ Gߎܳİ

Gҝİ Gۋ֢͊ Gşࢍ

ܛİÀەɰϸŊॠƍԴəथԜ֨ٚѕٚҝ̚əйԐˣں˚ν͠ضυǣ

ۙܳÀ֯ɦū

Gێܳێقي͠ѥ Gێܳێقॢѥ Gॢɵق˃Ճѥ

Gॢɵقॢѥ GێțقϽѥ Gێțقॢѥ

Gێțقॢѥйχ GۻঅÀݓ؍əɰ

(29)

ॢĶॱ܁ٍĵڙԐধܓԐՅࢢ

187

ࡘܿ ɰڼۆݔغܼقԴŊॠŊॠۆѕڍۙŊॠۆҙϿɫۆܳڅݔغڹИؼۍݓϊ

׻३ܳ֯֨١

҆ۍۆݔغ ইۦ ęä؉ѣݓۆݔغ ѕڍۙۆݔغ ইۦ ęäرϢɦۆݔغ ۻЛşցݔ ěνÇʫݔ ԐИॱ܁ݔ ࣺϔݔ

ԴҼ֟ݔ Ԧԓݔ ķۍą޶ Ȭرл

ےʂغ ИśÀܔܛԐۙ À܁ܳҙ ॡԦ Иݔ şࢍ @@@@@@@@@@

҆ۍݔغۋ҃şۍąڍ

ইۦܛԐॠ֨əŖИ঍ࢗəر̃ॠ֯ɦū

GԜڌݔ ܁őݔ Gćأݔ Gێڌݔ

Gے֨ݔ Gşࢍ

ইݔۤقԴϿ˃ضυʴ؋ŖИॠՓ֥ɦū ț Òښ

š֨Âঊܓ३ܳՌԴʂɳ০ÇԐ०ɦɰ

Referensi

Dokumen terkait

36개월 이하 영아의 양육을 위해 가장 좋은 양육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부모가 자녀를 직접 보살필 수 없을 때 가장 좋은 대리양육방법은 무엇이라고

귀하는 인권위원회 활동에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 순 위 2가지를 선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