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13호 2015.4.10
43
북미
□ 미 정부, UN 기후변화협약에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 제출
ㅇ 미 정부는 2015년 11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될 ‘UN 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 회의에 앞서 미국이 2025년까지 온실가스배출량을 2005년 대비 26~28%를 감축하겠다는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을 UNFCC에 3월 31일 제출함.
※ 2014년 11월에 페루 리마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회의에서 참가국들은 2015년 1분기까지, 늦어도 2015년 11월에 회의가 열리기 전까지 각국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을 제출하기로 합의하였음.
- 미국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은 ‘기후변화 대응 행동계획(Climate Action Plan)’에 따 라 신규 및 기존 화력발전소의 탄소배출 규제안(Clean Power Plan) 시행, 대형차량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기준 제시, 에너지효율 대책을 통한 탄소배출 감축, 메탄, HFCs 등 기타 오염물질 감축하는 것 등을 포함함.
※ EPA는 2014년 6월 기존, 신규, retrofit 화력발전소의 탄소배출을 2030년까지 2005년 탄소 배출량의 30%까지 감축하는 '탄소배출 규제 가이드라인'의 초안을 발표하였음. 이 규제안은 2015년 여름 최종안이 발표될 예정임(인사이트 제15-2호(1.16일자) p.37 참조).
・ 오바마 정부는 2013년 6월에 ‘기후변화 대응 행동계획’을 수립한 이후, 국제적으로 주 요 온실가스 배출 국가들의 감축 합의를 이끌어 내고자 노력하여 왔는데, 2014년 11 월에 중국과 202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에 대해 공동선언 하였고, 2015년 3월 27일에 멕시코와도 공동선언 하였음.
- 미국은 2005~20년에 탄소배출을 연평균 1.2% 가량 감축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번 온 실가스 감축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 2020~25년에 연평균 2.3~2.8%를 감축해야 할 것으로 예상됨.
ㅇ 그러나, 공화당은 미 환경보호청(EPA)의 화력발전소 탄소배출 규제안이 시행되더라 도, 차기 정부가 공화당이 된다면 규제안이 취소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 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은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함.
※ 화력발전소 탄소배출 규제안을 포함한 ‘Clean Power Plan’은 대통령의 권한으로 시행되는
‘대통령 행정 명령(Executive Order)’에 해당하며, 의회의 입법과정 없이 사법검토만 거친 후 시행될 수 있음. 차기 대통령이 역대 대통령의 행정 명령을 취소할 수 있으며, 의회가
‘해당 행정명령을 무효화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켜서, 행정 명령을 취소할 수 있음.
- 웨스트버지니아州를 포함한 12개州는 2014년 8월에 EPA를 상대로 해당 규제안이 적법 하지 않기 때문에 시행될 수 없다며 소송을 제기하였고, 현재까지 규제안의 적법성 여부 에 대해서 대법원의 판결이 내려지지 않았음.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13호 2015.4.10- 그러나, EPA는 화력발전소 탄소배출 규제안이 청정대기법(Clean Air Act)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규제이기 때문에, 12개州는 소송에서 이길 수 없을 것이라 주장하며, 규제안 에 대한 사법부의 검토도 어려움 없이 통과할 것이라고 언급함.
(Reuters, 2015.3.31~4.2; 미 백악관 홈페이지)
□ EIA, 미 연간 원유생산 증가세 둔화 전망
ㅇ 미 에너지정보청(EIA)은 2015년 4월 ‘단기에너지전망(Short-Term Energy and Summer Fuels Outlook)’을 통해 미 연간 원유 생산량이 2014년에 약 870만b/d에서 2015년에 약 920만b/d, 2016년에 약 930만b/d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증가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함.
- 미 에너지정보청은 시추활동의 급속한 감소세를 고려하여 3월 대비 4월에 연간 원유생 산 전망치를 감소시켰으며, 3월 단기에너지전망에서 2015년 약 930만b/d, 2016년 약 950만b/d로 전망한 바 있음.
- 또한, 미 분기별 원유 생산량이 2015년 2분기에 약 940만b/d에 도달하지만, 2014년 10 월 이래 지속적인 시추활동 감소로 인해 3분기에 21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 미 에너지정보청은 2015년 2분기에 WTI 가격이 평균 48달러일 것으로 예상하는데, 기
존·신규 매장지 중 일부 지역은 이 가격으로 충분한 이윤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2015년 2분기부터 내륙 원유 생산량이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함.
・ 저유가로 인해 석유기업들은 2015년에 탐사·시추 투자를 연기하고, 타이트오일 지 대의 핵심지역에만 투자를 집중해 왔음. 2015년에 예상되는 유가 수준을 고려할 때, Bakken, Eagle Ford, Niobrara, Permian basins와 같은 주요 셰일 지역에서 시 추활동을 지속하는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함.
ㅇ 미국 내 유정 개발을 위한 시추리그 수가 2014년 10월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 으나 2015년 하반기에 WTI 원유가격이 평균 57달러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시추활동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석유서비스기업 Baker Hughes의 발표에 따르면, 석유 시추리그 수가 2014년 10월 1,609개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주 평균 60개가 감소하여, 2015년 4월 1주차에 802개를 기록하였음.
・ 그러나, 감소 수로 볼 때 2015년 3월 4주차에 12개, 4월 1주차에 11개가 감소함으 로 감소세가 둔화되는 움직임을 보였음.
- Simmons & Company 투자은행은 2분기 말까지 시추리그 수가 약 100개 더 감소할 것 으로 전망함. 현재 석유 생산량을 석유 시추리그 수 1,000~1,200개 정도에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석유 시추리그 수가 앞으로도 800개 이하로 계속 유지된다면 2015년 하 반기에는 석유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13호 2015.4.10
45
자료 : 미 에너지정보청
< 미 원유생산량 추이와 전망 (2013~16년) >
(PennEnergy; Reuters, 2015.4.2; 미 에너지정보청 홈페이지)
□ 캐나다 Energy East 프로젝트, 퀘벡州 원유수출터미널 부지 변경으로 지연 예상
ㅇ TransCanada社는 Energy East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의 원유수출터미널을 캐나다 퀘벡州
Cacouna에 건설하기로 결정하였으나, 해당 부지가 멸종위기동물 서식지임이 드러나 해당
부지를 취소하고 재검토에 들어감. 이로 인해 Energy East 프로젝트가 최소 1년 이상 지 연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TransCanada가 4월 2일에 발표함.
※ Energy East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는 캐나다 동-서를 횡단하는 오일샌드 수송 파이프라인 건 설 프로젝트이며 120억 캐나다달러 규모에 달함. 캐나다 서부에서 생산되는 110만b/d의 원유 를 캐나다 동부의 정제시설과 뉴브런즈윅州, 퀘벡州에 위치한 원유수출터미널로 수송할 계 획임(인사이트 제14-31호(2014.9.5일자) p.44 참조).
- 캐나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상황위원회(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가 2014년 12월에 TransCanada의 원유수출터미널 부지로 선정된 Cacouna 주변이 멸종위기동물인 흰돌고래 서식지라고 발표하였음.
・ 이에 TransCanada는 2014년 12월 1일부터 Cacouna 부지에 대한 계획을 중단하고, 2015년 4월 2일에 Cacouna가 원유수출터미널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림.
・ TransCanada는 원유수출터미널 부지를 퀘벡州에 선정할 당시, 환경, 선박 항로조건 등을 고려하여 Cacouna, East Levis, Baies-des-Sables 등 3곳을 적정부지로 조사하였으나, East Levis는 수출터미널 앞 해협이 좁아서 항구에 정박할 수 있는 선박의 크기가 제한되고, Baies-des-Sables은 수출터미널까지 연결하기 위해 160km의 송유관을 추가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문제가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Cacouna로 추진하였음.
- TransCanada는 원유수출터미널 부지변경에 따른 향후 프로젝트 진행계획을 2015년 말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13호 2015.4.10에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함. 이로 인해 2018년 완공예정이었던 Energy East 프 로젝트는 2020년경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 : Globe and Mail
< 캐나다 Energy East 송유관 프로젝트 >
ㅇ 이와 관련하여, Wood Mackenzie社는 현재와 같은 저유가 상황에서 석유기업들이 투자를 감축하고, 장기 투자계획을 연기하고 있기 때문에 Energy East 프로젝트의 필요성이 감소 하고 있다고 언급함.
- 또한, Energy East 송유관과 경쟁구도에 있는 자사의 ‘Keystone XL 프로젝트’나 Enbridge社의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가 먼저 완공된다면, Energy East 프로젝트의 필요 성이 더욱 약화될 것이라고 주장함.
- 그러나 TransCanada는 Energy East 송유관이 Keystone XL 송유관과는 판매시장이 다 르기 때문에 타 송유관 건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주장함.
・ TransCanada는 캐나다 앨버타州~네브라스카州를 연결하는 Keystone XL 송유관 건 설 프로젝트가 난항에 부딪히자 2013년 8월부터 Energy East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 를 추진해왔음.
・ Energy East 송유관으로 공급되는 원유는 단기적으로 캐나다 동부지역 원유 수요의
약 40%를 충당하고 있는 수입원유를 대체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유럽지역을 포함
한 외국으로 수출될 것임.
・ Energy East 송유관 예정구간(4,400km) 중 서스캐처원州~퀘벡州는 기 건설된 가스관 (3,000km)을 송유관으로 전환하게 되며, 나머지 구간(1,400km)은 신규 건설할 예정임.
(Globe and Mail; Bloomberg, 20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