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한산국립공원내 진관동습지의 조류현황과 보호관리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북한산국립공원내 진관동습지의 조류현황과 보호관리방안"

Copied!
10
0
0

Teks penuh

(1)

북한산국립공원내 진관동습지의 조류현황과 보호관리방안

황보연1* ·손수곤2,3·이기태2·지형우4·정상욱5

1국립공원관리공단 국가지질공원사무국

2경희대학교 생물학과

3배재중학교

4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5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Management Plans for the Avifauna Conservation of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Bo-Yeon Hwang

1

* , Su-Gon Son

2,3

, Ki-Tae Rhie

2

, Hyung-Woo Ji

4

and Sang-Wook Jung

5

1National Geoparks Secretariat,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21-803, Korea

2Dept. of Biology, KyungHee University, Seoul 130-701, Korea

3BaeJae Middleschool, Seoul 134-878, Korea

4Odae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angwon 232-941, Korea

5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36-855, Korea

요 약 :본조사는서울시은평구진관동북한산국립공원내진관동습지와주변지역에대해 2005~2009년, 2011년과 2013년 조류현황, 조류 종 및 개체수의 연간 변화추이, 방해요인을 파악하여 진관동습지의조류 보호를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7차년도조사기간동안 진관동습지와주변지역에서관찰되는 조류는 총 105종, 694최대개체수로조사되었다. 우점종조류는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nis webbianus)였으며, 번식을했거나번식가 능성이 높은조류는 62종으로조사되었다. 천연기념물 조류는 11종으로북한산국립공원전역에서 관찰되는 13종의 천연기념물 중 84.6%,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II급 조류는 8종으로 북한산국립공원에서 관찰되는 14종의 멸종위기

II급 조류중 57.1%가 진관동습지와주변지역에서관찰되고 있다. 조사기간동안군집분석결과조류종다양성이 지

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습지와 주변지역에서다양한형태의훼손과 개발이진행된데 기 인한 것으로판단된다. 진관동습지의효율적보호를위해서는 사유지매수나토지 장기임대를통한국가의직접관 리가 필요하며, 습지보호지역지정 같은 강력한제도적 보호방안이시급할 것으로판단된다. 또한향후 조류상 변 화를 면밀히모니터링하고, 조사자와 공원현장관리자간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통한효율적 보호관리시스템 도입이 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주요어 :진관동습지, 조류현황, 보호관리방안, 방해요인, 조류다양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anagement plans for the avifauna conservation in and near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We surveyed bird species and its numbers from 2005 to 2009, 2011 and 2013, the period of Bukhansan National Park monitoring, and looked for disturbance factors influencing bird diversity. Total 105 species and 694 individuals (peak count)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s, where dominant species was Paradoxonis webbianus and sixty two species were possible breeders. Eleven species of natural monument were observed in Jingwan-dong wetland, which is comprised of 84.6% of total thirteen species observed in the whole Bukhansan National Park region. Also, eight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category II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al were found in this wetland, where these species are composed of 57.1% of total fourteen speci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region. The bird diversity indices have been continuously declined during the study periods maybe because several habitats have been damaged by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by humans. For effective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prolonge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Jingwan-dong wetland, we suggest 1) to reduce various human disturbances or to control this wetland by purchasing or long renting private lands, so that Jingwan-dong wetland must be directly managed by the National Park; 2) to register this area as ‘Wetland Protection Region’ by local government; 3) to survey population trends of bird species continuously; 4) to introduce cooperation systems with researchers, managers and civilians for wetl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Key words :Jingwan-dong wetland, Avifauna,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Disturbance, Bird diversity

서 론

서울시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국립공원내 위치한 진관동습 지는 면적 16,639m2로 과거 경작을 위해 사용해왔던 경작지 였으나, 경작이 멈춘 후 고마리, 갈대, 부들, 버드나무 등 습 지 식물의 유입으로 형성된 묵논습지이다(북한산국립공원

2013). 묵논습지는 환경부습지 기능평가를 통해 생물종 다

양성 유지와 야생동식물을 위한 서식처 제공, 오염 및 수질 개선, 지하수 유지와 보충의 측면에서는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윤 2007). 서울시는 비오톱현황조사(서울시정개발연구 원 2001), 우수생태계 정밀조사(서울특별시 2001)를 통해 서 울시내 생태계가 양호한후보지중 하나로진관동습지를 선 정하였으며, 2002년 12월 30일 생물다양성이 높은 이 지역 에 대해 서울시 생태계 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였다(서울 특별시 2003). 하지만 진관동습지는 북한산국립공원 공원경 계에 위치해 인위적인 훼손 위험성과 개발압이 클 뿐 아니 라 인근 북한산성분소 지역은 북한산국립공원 내에서도 연 중탐방객이집중되는지역임에 따라유무형의탐방객에의 한 영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특히 진 관동습지가포함된 토지는 개인사유지로 경작과 개발에따 른 훼손 위협이 상존함에 따라 습지를 포함한 주변지역 생 물종다양성 위협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이에 따 른 보호관리노력이 필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진관동 습지지역에 대한 조류 선행연구는 유와 최(2007) 에 의해 2003~2005년 35종 215 최대개체수가 기록되어 있 으며, 북한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2001)와 북한산국립공 원 자원모니터링(2002~2009, 2011~2013)을 통해 북한산국립 공원 전역에 서식하는 조류는 149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북한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2005~2009년과 2011~

2013년)기간동안 진관동습지와 공원내 인근지역에 대한조 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진관동습지 지역의 조류현황, 연간 조류 종 및 개체수 변동추이 등을 파악하고, 조사기간동안 발생한 훼손, 개발행위 및 방해요인 등을 분석하여 진관동 습지 보호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지역 및 방법 1. 조사지역 및 일정

진관동습지는 행정구역상 서울시 은평구 진관동 287-3,

282-1, 276-2번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국립공원자원모니

터링 조사지침(2002)에 따라 북한산국립공원 전역을 2×2 km 인총 31개의격자로구분하였을때 17번격자 내에속한다.

2005년~2009년까지 진행된 제 1기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

니터링 조사결과에 수록된 진관동습지 조류현황은 진관동습 지를 포함한 17번 격자 전역과 공원밖에 위치한 창릉천 수 계지역, 17번 조사격자와 인접한 조사격자가 모두 포함된

Figure 1. Map and survey area of the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Left. −; boundary of wetland area, …; survey area in 2011 and 2013, Right. The survey grids showing bird monitoring sit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3)

자료가분석되었다. 반면에 2011년과 2013년조류현황은 17 번격자내창릉천수계지역이일부 포함된조사범위내에서 만 조사가진행되었다(Fig. 1). 조사기간동안 연도별 조사횟 수와 조사시기는 연도별 시행되는 자원모니터링 조사지침에 따라 최소 2회에서 최대 5회에 걸쳐 조사가 진행되었다 (Table 1).

2. 조류상 조사

조사는탐방로를따라 시속 2 km로 도보로보행하여실시

되었으며, 2005~2009년의 주변 격자지역 조사시에는 차량을 서행으로 운행하며 조사하는 조사방법이 병행되어 사용되었 다. 조사경로를 따라 쌍안경(10×40)으로 주변에서 관찰되는 조류를 기록하는 선상조사기법(Line transect)을 이용하였다.

탐방로 좌우(25m 이내)에서 관찰되거나소리가청음되는조

류를기록하였으며, 유관관찰이 용이하거나연못이 조성된 습지지역 내에서는 일정시간동안 머물면서 주변에서 관찰되

는 종, 울음소리, 방문하거나경유하는조류를확인, 기록하 는 정점조사법(point count)을 병행하였다(Hutto et al. 1986;

Ralph et al. 1993; Ralph et al. 1995). 개체수의 중복 산정 을 피하기 위해 조사지점을 당일 재차 방문하는 경우는 해 당지점에서 관찰되었던 종의 최대개체수(peak individuals)를 기록하였다.

3. 도래현황, 법정보호종 표기 및 번식가능성 조사

관찰 조류는 도래현황에 따라 텃새(Res), 여름철새(SV), 겨울철새(WV), 나그네새(PM), 미조(Vag) 등의 항목으로 구 분하여 시기별 서식지 이용실태를 파악하였다. 각 종의 번 식가능성은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2003)을 따라 기 록, 정리하였으며, 직접 번식이 확인된 종은 별도 표기하였 다. 법정보호종(멸종위기야생조류(환경부 2012)와 천연기념 물) 조류는 별도 표기하였고, 조류종의 한국명과 영명, 학 명 및 분류체계는 한국조류학회(2009) 조류목록에 따라 기 재하였다.

4. 군집분석 및 통계

조사결과는출현종수, 개체수및 군집분석을통하여비교 분석하였다. 우점도(dominance, %)는해당종의최대개체수

/관찰지역 총 개체수×100(McNaughton 1967)으로 계산하였

으며, 종다양도(Biodiversity Index, H')은 Shannon & Weaver function(Pielou 1966)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H' = −Σ(ni/N)×ln(ni/N)

여기서 ni는 각 종의 개체수, N은 총 개체수, ln은 자연로그 로 계산하였다.

종균등도(Evenness Index, J')는 Pielou(1975)의 식을 이용 하여계산하였다.

J' = H'/ln(S)

여기서 S는 관찰된 전체 종수, H'; 종다양도지수, ln: 자연로 그로 계산하였다.

종 풍부도(Richness Index, eH')는 Margalef(1958)의 지수 를 사용하여계산하였다.

eH' = (S−1)/Ln(N)

여기서 S는 전체종수, N은 총개체수로 계산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dows ver.18을 사용하였으며, 조 사연도별 조류 종수 및 개체수 변동추이는 스피어만 선형회 귀분석(Spearman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진관동습지 조류현황

2005~2009년, 2011년, 2013년 7차년도 조사기간동안 진관 동습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05종, 694개체(최대개체수) Table 1. The dates and grids of bird monitoring at the Jingwan-

dong wetland in 2005-2009, 2011 and 2013.

Year Season Survey dates Monitoring grid Number of survey

2005

winter −  

5 spring 15, April 17, 22, 23

2, May 13, 14, 17, 18 summer 3, June 17, 18, 22, 26, 30 autumn 22, Sept. 13, 17, 18, 22

25, Nov. 17, 18

2006

winter −  

4 spring 13, April 17, 18, 23

summer 23, June 13, 14, 17, 18 30, August 5, 6, 9, 13, 17, 18 autumn 24, Sept. 13, 17, 18, 22

2007

winter −  

spring 11~12, May 17, 18, 23 3 summer 18, June 17, 18 autumn 5, Sept. 17, 18

2008

winter −  

spring 19, April 17, 18, 23 2 summer 28~29, June 17, 18, 23

autumn −  

2009

winter 26~27, Feb. 17, 18, 23

4 spring 29, May 17, 18, 23

summer −  

autumn 23~24, Sept. 17, 18, 23 30, Oct. 17, 18, 23

2011

winter 16, Feb. 17

spring 13, April 17 4 summer 6, August 17

autumn 25, Sept 17

2013

winter −  

spring 15, May 17 2 summer 15, August 17

autumn −  

(4)

Table 2. The results of bird survey at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in 2005~2009, 2011 and 2013.

Scientific name Korean Name Migrant

status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3 Peak count

Dom.

(%)

Breeding status

Nycticorax nycticorax 해오라기 SV 2 3 2     1   3 0.43 −

Butorides striatus 검은댕기해오라기 SV 3 2 1 1 1     3 0.43 ●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SV 3 3 4 2 3 2 2 4 0.58 −

Egretta garzetta 쇠백로 SV 8 4 3 3 1 3   8 1.15 −

Ardea cinerea 왜가리 Res 1 2 3 2 2 2 1 3 0.43 −

Aix galericulata 원앙* Res 9 4 4 3   2   9 1.30 ○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Res 3 7 6 8 3 6 2 8 1.15 ● 

Accipiter gentilis 참매*,Ⅱ WV   1     1     1 0.14 −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Ⅱ SV 2 1 1 1 1     2 0.29 ○ 

Accipiter nisus 새매*,Ⅱ WV 1 1 1   1     1 0.14 −

Buteo buteo 말똥가리 WV 2 1   2 1 1   2 0.29 −

Aegypius monachus 독수리*,Ⅱ WV 3       1 2   3 0.43 −

Falco subbuteo 새호리기 SV 1 2 1     1   2 0.29 ○ 

Falco vespertinus 쇠황조롱이 WV 1       1 0.14 −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Res 2 1 2 1 1 1 1 2 0.29 ○ 

Tetrastes bonasia 들꿩 Res 2       2 0.29 ○ 

Phasianus colchicus 꿩 Res 6 7 4 4 1 8 1 8 1.15 ●

Charadriusdubius 꼬마물떼새 SV     4 6 2 2   6 0.86 ● 

Charadriusplacidus 흰목물떼새 Res     2 2 2 1   2 0.29 ○

Tringa glareola 삑삑도요 PM 2 2 3 3 4 4   4 0.58 −

Actitis hypoleucos 깝작도요 SV 1 1     1     1 0.14 ○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Res 21 12 11 13 14 13 4 21 3.03 ● 

Cuculus fugax 매사촌 SV 1       1 0.14 ○ 

Cuculus micropterus 검은등뻐꾸기 SV 3 3 2 2 3 1 1 3 0.43 ○ 

Cuculus canorus 뻐꾸기 SV 1 3 2 2 2 1 1 3 0.43 ●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SV 1   1   1 1   1 0.14 ○ 

Cuculus poliocephalus 두견이* SV   2 1         2 0.29 ○

Bubo bubo 수리부엉이*,Ⅱ Res   1       1 0.14 −

Otus scops 소쩍새* SV 3 1 1 1 3 1   3 0.43 ○

Ninox scutulata 솔부엉이* SV   1 1 1 1     1 0.14 ○

Caprimulgusindicus 쏙독새 SV 1 1 1 1 1     1 0.14 ○

Alcedo atthis 물총새 SV 2 2 1 2 1 2   2 0.29 ● 

Eurystomus orientalis 파랑새 SV 2 4 6 3 3 2 2 6 0.86 ● 

Upupa epops 후투티 SV 1 1 1 1       1 0.14 ○

Picus canus 청딱다구리 Res 3 4 4 3 3 1 1 4 0.58 ●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Res 4 2 2 2 2 2 1 4 0.58 ● 

Dryocopus martius 까막딱다구리*,Ⅱ Res   1   2   1   2 0.29 ○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Res 2 2     2     2 0.29 ● 

Dendrocopos nanus 아물쇠딱다구리 Res   1       1 0.14 ○ 

Dendrocoposkizuki 쇠딱다구리 Res 4 3 6 4 4 2 1 6 0.86 ● 

Hirundo rustica 제비 SV 5 4 8 6 2   3 8 1.15 −

Hirundo daurica 귀제비 SV   2       2 0.29 −

Dendronanthus indicus 물레새 SV     1         1 0.14 −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SV 4 2 2 4 5 4 1 5 0.72 ●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SV 4 1   2   1   4 0.58 ●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WV 6       6 0.86 −

Anthus rubescens 밭종다리 WV 6       1 2   6 0.86 −

Anthus hodgsoni 힝둥새 PM 3 3 5 3   4   5 0.72 −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Res 12 18 8 14 12 8 7 18 2.59 ● 

Lanius tigrinus 칡때까치 SV   1       1 0.14 ○ 

Lanius bucephalus 때까치 Res 2 2 2 2 1 1   2 0.29 ○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Res 1 1     1     1 0.14 ○ 

Prunella montanella 멧종다리 WV 2 1     3     3 0.43 −

Erithacus cyane 쇠유리새 SV   2     1     2 0.29 −

Erithacus sibilans 울새 PM 4   5         5 0.72 −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PM 8 5 5 3 4     8 1.15 −

Phoenicurus auroreus 딱새 Res 5 4 5 4 3 6 1 6 0.86 ● 

Saxicola torquata 검은딱새 SV 2   1     2   2 0.29 ○ 

(5)

Table 2. Co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Migrant

status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3 Peak count

Dom.

(%)

Breeding status

Lanius bucephalus 때까치 Res 2 2 2 2 1 1   2 0.29 ○ 

Turdus dauma 호랑지빠귀 SV 2 1 2   1 2   2 0.29 ○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SV 2 5 3 1 2 1 2 5 0.72 ○ 

Thrdus cardis 검은지빠귀 PM 1       1 0.14 −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SV 3 1   2 1   2 3 0.43 ○ 

Turdus naumanni eunomus 개똥지빠귀 WV 3       3     3 0.43 −

Turdus naumanni naumanni 노랑지빠귀 WV 8 3   1 2     8 1.15 −

Paradoxornis webbiana 붉은머리오목눈이 Res 120 40 30 60 90 110 36 120 17.29 ● 

Cettia squameiceps 숲새 SV   1 1 1 1     1 0.14 −

Phylloscopus inornatus 노랑눈썹솔새 PM       1   1 0.14 −

Phylloscopus proregulus 노랑허리솔새 PM       2       2 0.29 −

Phylloscopus borealis 쇠솔새 PM 2   2 2       2 0.29 −

Phylloscopus tenellipes 되솔새 PM     1         1 0.14 −

Phylloscopus occipitalis 산솔새 SV 5 2 6 4 8 2 3 8 1.15 ○ 

Regulus regulus 상모솔새 WV 4       4 0.58 −

Ficedula zanthopygia 흰눈썹황금새 SV 3 2 1 1 1     3 0.43 ● 

Ficedula mugimaki 노랑딱새 PM 5 3 2   1     5 0.72 −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SV 3 3 2 3 2   1 3 0.43 ○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PM 3 4 1 2 2     4 0.58 −

Muscicapa latirostris 쇠솔딱새 PM 1 3       3 0.43 −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Res 7 5 6 8 6 10   10 1.44 ○ 

Parus palustris 쇠박새 Res 17 11 6 12 10 7 2 17 2.45 ● 

Parus ater 진박새 Res 3 3 2 2 1     3 0.43 ○ 

Parus varius 곤줄박이 Res 6 5 3 3 3 4 2 6 0.86 ● 

Parus major 박새 Res 29 18 10 16 19 13 5 29 4.18 ● 

Sitta europaea 동고비 Res 3 2 2 3 2 1 2 3 0.43 ● 

Certhia familiaris 나무발발이 WV   1       1 0.14 −

Emberiza cioides 멧새 Res   1   1       1 0.14 ○ 

Emberiza tristrami 흰배멧새 PM 1 3 3   1 3   3 0.43 −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PM         1     1 0.14 −

Emberiza rustica 쑥새 WV 16 3   6 9 8   16 2.31 −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Res 20 11 13 15 10 15 1 20 2.88 ○ 

Emberiza rutila 꼬까참새 PM 1 2       2 0.29 −

Fringilla montifringilla 되새 WV   20   5   19   20 2.88 −

Carduelis sinica 방울새 Res 1 2 2     3   3 0.43 ● 

Carduelis spinus 검은머리방울새 WV         6     6 0.86 −

Carpodacus roseus 양진이 WV 2 5       5 0.72 −

Uragus sibiricus 긴꼬리홍양진이 WV   2     2     2 0.29 −

Coccothraustes coccotharaustes 콩새 WV 2     1 2     2 0.29 −

Eophona migratoria 밀화부리 SV 1   1   1     1 0.14 ○ 

Passer montanus 참새 Res 32 29 23 40 36 60 35 60 8.65 ●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SV 8 3 4     2   8 1.15 ○ 

Oriolus chinensis 꾀꼬리 SV 6 5 2 4 5   2 6 0.86 ○ 

Garrulus glandarius 어치 Res 8 4 2 4 2 2 1 8 1.15 ○ 

Cyanopica cyana 물까치 Res 5 6   6 4 6   6 0.86 ○ 

Pica pica 까치 Res 28 22 12 21 14 11 6 28 4.03 ● 

Corvus corone 까마귀 Res 10 13 5 5 11 4 1 13 1.87 ○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Res 10 7   7 9   4 10 1.44 ○ 

Number of species   83 82 66 63 72 54 32 105  

Number of individuals   546 383 270 351 367 375 135 694

Diversity index(H')     3.582 3.837 3.742 3.461 3.356 2.915 2.564 3.853 Evenness index(J')     0.811 0.871 0.893 0.835 0.785 0.731 0.740 0.828 Richness index(eH')     13.010 13.618 11.610 10.579 12.023 8.942 6.320 15.900 1. Res; resident, SV; Summer visitor, WV; winter visitor, PM; Passage migrant

2. *; Korean Natural monument, II; Endangered species category II by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3. ○; The possible breeding species, ●; The identified breeding species

(6)

로 조사되었다(Table 2). 관찰된 조류를 도래현황에 따라 분 류하면 텃새(Res) 35종, 여름철새(SV) 37종, 겨울철새(WV) 15종, 나그네새(PM)가 18종으로 분류될수 있다(Fig. 2). 우

점종 조류는 120개체(17.29%)가 관찰된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nis webbianus)였으며, 그 다음으로 참새(Passer montanus)가 60개체(8.65%)가 관찰되어 아우점종으로 구분 되었다. 그 외에 박새(Parus major) 29개체(4.18%), 까치 (Pica pica) 28개체(4.03%), 멧비둘기(Streptopelia orientalis) 21개체(3.03%)순으로 관찰되었다(Fig. 3).

연도별진관동습지와 주변지역 조류종수의 분포는 32종 (2013년)~83종(2005년)으로 조사되었다. 조류종수는조사기 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추이를 나타내었으나(Rs

=−0.868, p < 0.01), 이는 진관동습지에서 일어난 다양한 방 해요인에 의한 영향 뿐 아니라 연도별 조사지역의 변화와 조사일수의 차이에 의한 영향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조사연도별최대개체수의 분포는 135개체(2013년)~546개체

(2005년)로 조사되었는데, 연도별 관찰된 조류 최대개체수의

변동추이는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Rs=−0.540, p = 0.06). 최대

개체수의 연도별 변화는 다소유동성을 보이나, 2013년 개

체수가급감한 것은연간 2일진행된조사일수의 감소와습 지 상단부 주말농장 운영에따른경작인구의방문, 둘레길 탐방객의 방문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 다(Fig. 4).

7차년도 조사기간동안 매년 관찰된 조류는 27종이었으며,

과(Family)별 분포를 살펴보면 백로과 2종(중대백로, 왜가리), 오리과(Family Anatidae) 1종(흰뺨검둥오리), 매과(Family Falconidae) 1종(황조롱이), 꿩과(Family Phasianidae) 1종(꿩), 비둘기과(Family Columbidae) 1종(멧비둘기), 두견이과(Family Cuculidae) 2종(검은등뻐꾸기, 뻐꾸기), 파랑새과(Family Cor- aciidae) 1종(파랑새), 딱따구리과(Family Picidae) 3종(청딱다 구리, 오색딱다구리, 쇠딱다구리), 할미새과(Family Motacilli- dae) 1종(노랑할미새), 직박구리과(Family Pycnonotidae) 1종 (직박구리), 지빠귀과(Family Turdidae) 2종(딱새, 되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과(Family Panuridae) 1종(붉은머리오목눈 이), 휘파람새과(Family Sylviidae) 1종(산솔새), 박새과(Family Paridae) 3종(쇠박새, 곤줄박이, 박새), 동고비과(Family Sittidae) 1종(동고비), 멧새과(Family Emberizidae) 1종(노랑턱멧새), 참새과(Family Ploceidae) 1종(참새), 까마귀과(Family Corvi- dae) 3종(어치, 까치, 까마귀)으로 18과를포함하고있다. 진 관동습지에서 조사기간동안매년관찰된조류의특징은습 지주변에서 많이 관찰되는 백로과, 할미새과, 오리과 조류 뿐 아니라 삼림성 조류, 삼림 임연부 주변 및 개활지 주변 에서 관찰되는 조류 등이 다양하게 관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진관동습지는 산악 인접지역에 위치하고, 공

원경계가대도심과직접연결되어조류서식지의질(quality)

저하가 우려되는 북한산국립공원에 다양한 조류가 서식할

수 있는서식지다양성(habitat diversity)을 제공하여 생물종

다양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2. The number of species and percentage of migrant status of birds at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for 2005~2009, 2011 and 2013.

Figure 3. The percentage of dominant bird species observed at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for 2005~

2009, 2011 and 2013.

Figure 4. The fluctuation of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at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for 2005~

2009, 2011 and 2013.

(7)

2. 법정보호종(천연기념물 및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조류종) 출현현황

조사기간 7차년도 동안 진관동습지에서 관찰되는 천연기 념물에 해당하는 조류는 총 11종으로 원앙(천연기념물 327 호, Aix galericulata), 참매(천연기념물 323호, Accipiter gentilis),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323호, Accipiter soloensis), 새매(천 연기념물 323호, Accipiter nisus), 독수리(천연기념물 243호, Aegypius monachus), 황조롱이(천연기념물 323호, Falco tin- nunculus), 두견이(천연기념물 447호, Cuculus poliocephalus), 수리부엉이(천연기념물 제324호, Bubo bubo), 소쩍새(천연기 념물 324호, Otus scops), 솔부엉이(천연기념물 324호, Ninox scutulata), 까막딱다구리(천연기념물 242호, Dryocopus martius) 가 관찰되고 있다. 이는 2002년~2009년과 2011~2013년 북 한산자원모니터링 기간동안 북한산국립공원 전역에서 관찰 되는 천연기념물 총 13종 중 84.6%가 진관동습지와 그 주 변지역에서 관찰됨에 따라 진관동습지를 포함한 인근지역에 대해 세밀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기간동안 가장 많은 천연기념물조류가 관찰된 조사연도는 2006년으로 10종의 천연기념물조류가 관찰되었으며, 2013 년 1종의 천연기념물 조류가 관찰되어 가장 적은 천연기념

물 종이 관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연도별 매 년 관찰되는 천연기념물 조류는 황조롱이 1종이었으며, 소 쩍새는 조사연도중 6회, 붉은배새매와 솔부엉이는 조사연도 중 5회관찰이 되고있다. 조사기간 중가장많은개체수가 관찰된 천연기념물은원앙으로 2005년 1회 관찰시최대 9개 체가관찰되고 있다. 원앙은 진관동습지내부뿐아니라창 릉천 수계, 북한산성계곡 수계 지역에서도 관찰되고 있다 (Table 3).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조류 I급에 해당하는 조류는 관 찰되지 않았으며, II급에 해당하는 조류는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독수리, 새호리기(Falco subbuteo), 흰목물떼새(Chara- drius placidus), 수리부엉이, 까막딱다구리총 8종이 관찰되 고 있다. 조사기간 중 2006년에 6종의 멸종위기 II급 조류 가 관찰되어 가장 많은 종수가 관찰된 반면, 2013년에는 멸 종위기조류종이 관찰되지 않아 연도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7차년도 조사기간 중 붉은배새매는 2005년~2009년까지 5년

연속 관찰되고 있으며, 수리부엉이는 2006년 1개체가 관찰 된 이후 관찰되지 않고 있다. 2002년~2009년과 2011~2013 년 북한산자원모니터링 기간동안 북한산국립공원전역에서 관찰되는 멸종위기 II급 조류는 14종이었으며, 이중 진관동 Table 3. The bird species and their number of natural monument observed at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in 2005~2009, 2011 and 2013.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3

Aix galericulata 원앙 9 4 4 3   2  

Accipiter gentilis 참매 1     1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2 1 1 1 1    

Accipiter nisus 새매 1 1  1   1    

Aegypius monachus 독수리 3       1 2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2 1 2 1 1 1 1

Cuculus poliocephalus 두견이   2  1        

Bubo bubo 수리부엉이   1      

Otus scops 소쩍새 3 1 1 1 3 1  

Ninox scutulata 솔부엉이 1  1 1 1    

Dryocopus martius 까막딱다구리   1 2   1  

No. of species each year 6 10 7 6 7 5 1

Total number of species 11

Table 4. List of endangered species and their numbers observed at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in 2005~2009, 2011 and 2013.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3

Accipiter gentilis 참매 1     1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2 1 1 1 1    

Accipiter nisus 새매 1 1  1 1    

Aegypius monachus 독수리 3       1 2  

Falco subbuteo 새호리기 1  2  1     1  

Charadrius placidus 흰목물떼새   2 2 2 1  

Bubo bubo 수리부엉이   1      

Dryocopus martius 까막딱다구리   1    2   1  

No. of species each year 4 6 4 3 5 4 0

Total number of species 8

(8)

습지와 그 주변지역에서 관찰되는 멸종위기 II급 조류는 8 종으로 북한산국립공원 전역에서 관찰되는 멸종위기 II급 조류 중 57.1%가 조사지역에서 관찰되고 있다(Table 4).

진관동습지에서 관찰되는 법정보호종 중 천연기념물 조류 종은 2005년~2009년 사이에 6종~10종이 관찰되었지만, 2011 년 5종, 2013년 1종으로 종수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멸종위기 II급 조류는 2005년~2009년과 2011 년에 3종~6종이 매년 관찰되었으나, 2013년 멸종위기 조류 가 관찰되지 않아 향후 모니터링시 종수 변화추이를 면밀히 관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군집분석 결과

7차년도 군집분석 결과 종다양도지수(H')는 3.853, 종균등

도지수(J')는 0.828, 종풍부도지수(eH')는 15.900을각각 나타 내고 있다. 연도별 종다양도지수의 분포는 2.56(2013년)~

3.84(2006년)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조사연도에 따라 종

다양도가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Rs=

−0.804, p < 0.01)(Fig. 5). 연도별 종균등도지수(J')의 분포는 0.73(2011년)~0.89(2007년)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조사연 도에 따라 종균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추세 를 나타내었다(Rs=−0.610, p < 0.05)(Fig. 6). 연도별 종풍부 도지수의 분포는 6.32(2013년)~13.62(2006년) 수치를 나타내 었으며, 조사연도에 따라 종풍부도의 감소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s=−0.873, p < 0.01)(Fig. 7).

조사연도별 군집분석 결과 진관동습지의 조류 종다양성이 뚜렷하게 감소하는 이유로는 사유지(진관동습지) 소유주의 농경지 이용을 위한 잦은 훼손과 개발, 주말농장 경영을 위 한 농작지 경작에 따른 경작인구의 증가, 2011년 진관동습 지와 약 400~500m이격된 지역에서 진행된 북한동마을 이주 단지(약 27,000m2) 조성 및 상업시설 건축공사, 2010년둘 레길 개소이후진관동습지와 그 주변을 찾는 탐방객의 증 가 등이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연도별 조사일수 및 조사범위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4. 번식조류 현황

조사기간동안 진관동습지에서 번식둥지 및 유조관찰 등으 로 번식이 확인된조류는 검은댕기해오라기, 흰뺨검둥오리, 뻐꾸기 등을 포함한 25종이었다. 집단번식을 하는 백로과 (Family Ardeidae) 일부 조류(해오라기, 중대백로, 쇠백로, 왜 가리)를 제외하고, 번식기 song의 청음 등을 통해 이 지역에 서 번식했거나 번식가능성이 높은 조류는 진관동습지 전체 관찰조류 105종 중 62종으로 추정되었다(Table 2 breeding status 참조, Fig. 8).

5. 진관동습지와 주변지역에 대한 인위적 방해요인 조사기간동안 진관동습지와 인근지역에서는 인간의 활동 Figure 5. The trend of biodiversity index (H') of birds at Jingwan-

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tudy periods.

Figure 6. The trend of evenness index (J') of birds at Jingwan- 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tudy periods.

Figure 7. The trend of richness index (eH') of birds at Jingwan- 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tudy periods.

(9)

에 의한 훼손과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방해요인이 발 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물총새, 할미새류, 백로류 등의 조 류가 잦은 빈도로 방문하던 채식지인 용출수를 모아두던 약

400m2크기의연못이 흙으로메워져 육상화된후 조경수목

이식재되었으며, 습지내 작은관목및초본류가자라는지 역을 복토한후 조경수목을식재하는서식지교란행위가발 생하기도 하였다. 습지내 인가 주변은 버드나무(Salix koreensis)

가 습지로 유입되어 오랜 시간이 경과해 점차 육지화 되어 가는 서식지로 삼림성 조류의 번식과 피난처 역할을 하였으 나, 수십본의 버드나무가 벌목이 되어 기능을 상실하였고, 현재는 나대지화되어 초본류 식생지역으로 남아있다. 또한

습지상단부는조사를 시작하던 2005년부터나대지로 장기

간 닭의 배설물을 적치해 침출수의 우려가 있었고, 현재는 주말 농장(약 8,500m2)으로 개발되어 일반인들을 위한 주말 농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습지 상단지역은 2010년 개통한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인 내시묘역길이 경유하는데, 둘레길 탐방객의 증가에 따른 조류 서식지내 인간의 침입행동 증가 는 조류의 분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시묘

역길을 경유하는 탐방객은 둘레길 개통 첫해인 2010년 약

13만명이 방문했던 것이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1년~2012

년 약 25만명의 탐방객이 습지와 그 인근 지역을 경유하고 있다. 북한동 마을 주민 이주단지 조성을 위해 2011년 이후 조성되고 있는 상가지역은 진관동습지와 인접해 있어 공사

에의한영향이발생할가능성이매우높은지역이다(Fig. 9).

6. 조류 종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관리방안

진관동습지는 북한산국립공원내 속하고, 서울 대도심에 위치하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북한산국립공원 2013)이 나, 습지를 포함한 인근 토지 대부분이 개인 사유지이며 지 목상 전(田)에 포함되어 있어농경지경작을 위한 복토, 수 목의 식재를통한 농원의운영 등에대해 자연공원법상특 별한제재를할수 없어국립공원 관리적측면에있어 취약 한 지역이기도 하다. 아울러 공원경계에 위치해 접근성이 Figure 8. The breeding species of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eggs of Charadrus dubius on 2005 (Upper left), the chicks in nestbox of Ficedula zanthopygia on 2006 (Upper right), the nest of Sitta europaea on 2008 (Lower left), and the feeding of female Phoenicurus auroreus on 2007 (Lower right).

Figure 9. The human disturbance in and near Jin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tudy periods.

Red line; boundary of wetland, A; the pond with filling up soils, B;

the cultivation of scenic tree species by digging and putting soil, C; the trees with cutting down, D; The cultivation of field farming, E; the formation of horizontal visiting road, Dulrae-gil, in Bukhansan Natl. Park, F; the construction of commercial area for migration of a native people in Bukhan-dong.

(10)

용이해 개발압력이 높아 향후 훼손과 형질변경 등 인위적 방해요인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북한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북한산국립공원 2001년)와 자원모니터링(북한산국립공원 2002년~2009년, 2011년~2013 년)을 통해 북한산국립공원에서 관찰되는 조류는 149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관동습지와 그 인근지 역에서 관찰되는조류 종은 105종으로 북한산국립공원전역 에서 관찰되는 조류 종의 약 70.5%가 이 지역에서 관찰됨 에 따라 북한산국립공원내에서도 조류의 종다양성이 높은 지역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국립공원내 생물종다양성 유지 를 위한 체계적인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특히 북한산국립공원내 관찰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약

84.6%에 해당하는 11종의 천연기념물과 관찰되는 전체 멸

종위기 II급 조류의 약 57.1%에 해당하는 8종의조류가 진

관동습지와 그 인근지역에서 관찰되고 있고, 2011년을 기준 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한 조사기간 조류 종수의 감소 추이가 뚜렷함에 따라 조류 종 다양성 감소를 줄여주기 위한 보호 방안 수립과 관리가 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습지와 인근지역의변형 및 훼손을 통한조류서식지 질 저하를 막기 위해 우선적으로 사유지 매수 여부를 지속적으 로 검토하고, 장기적인 계획 하에 토지 매입을 추진하는 것 이 진관동습지의 보호관리를 위한 효율적 방안일 것으로 판 단된다. 토지 매입이 힘들 경우 토지의 장기 임대 방법도 고려할필요성이 있다. 습지상단부의주말농장에서는농작 물경작을 위한농약살포 방지, 농사 폐기물의 적치와소각 행위가일어나지않도록순찰 등을강화할필요성이있으며, 주말농장 초입부에 토지주와 상의 후 조류 보호를 위한 안 내판 등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생태계 경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향후 지자 체와 협의를 통한 습지보호지구 지정등 강력한 보호 방안도 고려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아울러 진관동습지지역에 대해매년 진행하는 자원모니 터링시 분류군별로 고정된 조사구간내에서 모니터링을 지속 적으로 실시해 생물상 변화양상을 지속적으로 예측, 분석하 고, 생물다양성 및 생물 서식지 질 저하를 야기하는 각종 방해요인 발생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시스 템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현장모니터 링 시 관찰한 각종방해요인에 대해즉각적인 제언과 피드 백을 통해 조사자와 현장관리자의 유기적 협력체계 유지가 필요하며, 사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방해요인의 영향을 면밀 히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 링사업(2002년~2009년과 2011년~2013년)의 일환으로 진행 되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 북한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조사지침. 도시조성지침수립(2차년도). 서울특별시.

북한산국립공원. 2001. 북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북한산국립공원. 2002-2009. 북한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보고 서(제 1기자원모니터링).

북한산국립공원. 2011-2013. 북한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보고 서(제 2기자원모니터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도시생태개념의도시계획에의적용을 위한서울시비오톱현황조사및생태

서울특별시. 2001. 서울시우수생태계지역정밀조사연구. 서울특별시. 2003. 서울의환경(2003 환경백서).

유정칠, 최유성. 2007. 진관내동생태경관보전지역의조류현황

(2003-2005). Bull. Kor. Inst. Orni. 10: 21-28.

윤광성. 2007. 묵논습지의토양및식생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 129-142.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pp. 133 환경부. 2003. 제 2차전국자연환경조사조류지침서. 환경부. 2012. 야생동식물보호법시행규칙.

Hutto RL, SM Pletscet, P Hendricks. 1986. A fixed-radius point count method for nonbreeding and breeding season use. Auk.

103: 593-602.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 7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44-168.

Pielou E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sue. Am. Nat. 100: 463-46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Ralph CJ, GR Geupel, P Pyle, TE Martin, DF DeSante. 1993.

Handbook of field methods for monitoring landbirds. USDA For. Serv. Publ., PSW-GTR-144. Albany. CA.

Ralph CJ, S Droege, JR Sauer. 1995. Monitoring bird populations by point counts. USDA For. Serv. Publ. Gen. Tech. Rep. PSW- GTR-149, Albany. CA.

(2014년 1월 22일접수; 2014년 2월 19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we examined the following questions: i are there differences in epiphytic orchid abundance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richness the number of

Table 5 Shannon diversity index for bee flora species in FC and SFC management systems Bee flora diversity Index Forest types FC SFC Number of individuals N 5331 4455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