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양서류 현황 및 분포
송재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Amphibian in North Korea
Song Jae-Young *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si 26441, Korea
요 약 :북한의양서류분포 및현황을조사하기위하여문헌조사를하였으며, 양서류가확인된지점을파악한후 분포도를 재작성하였다. 또한남북한에서 사용되는 양서류국명을비교하였으며, 분류학적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북한에 서식하는 양서류는 총 2목 6과 17종이며, 일부 종의 경우 남북한의 국명이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물두꺼비의북한명을확인할수 없었으며, 삼방두꺼비, 아무르산개구리, 기름개구리, 북개구리의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주요어 :북한, 양서류, 분포
Abstract :I investigated reference data to survey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amphibian in North Korea and we made distribution maps by using reference data. I compared common names of South- and North Korea, additionally. As a results, I conformed amphibian lists as 2 orders, 6 families and 17 species in North Korea and it's different with south and north korean name. Also, I couldn't searched common name of Bufo stejnegeri, and needs re-taxonomy such as Bufo sambangi, Rana amurensis, Rana ornativentris and Rana temporaria.
Key words : North Korea, Amphibian, Distribution
서 론
한국산 양서류는 1880년대 Boulenger(1882, 1887a, b)에 의해국외에알려지기시작하였으며, 1990년대초에는 Stejneger
(1907)에 의해 일본 및 인근지역의 양서류가 소개되면서 한
반도의 양서류가 종합적으로 기록되기 시작하였으며, Okada
(1928)는 조선산 양서류상을 정리하였고, Schmidt(1931)는
한국산 물두꺼비를 신종으로 발표하였다. 한국인으로는 처 음으로 Suk(1934)에 의해 백두산지역의 동물채집기를 통해 양서류 목록을 발표하였다. 남북 분단이후 Dixon(1956)은 남한의 중서부지역의 양서·파충류상을, Shannon(1956)은 한반도의 양서·파충류상을 기재하였다.
남·북한 학자들에 의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 로 시작되었는데, Won(1971), Kang and Yoon(1975)에 의해 남·북한 각각 동물지 형식의 도감이 제작되었으며, 그 이 후 남한에서는 양서류 분류, 형태, 유전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제공은 미비한 실 정이다. 또한 남·북한의 정치적 이유로 학문적인 교류가 차단된상태이며, 북한사회의폐쇄성에 의해북한내부에서 연구된자료를획득하는것은거의 불가능한상태이기때문 에 북한지역의 양서류상을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록 적은 양의 정보이지만, 북한지 역의 양서류 분포현황을 파악하고, 남북한의 국명비교, 보호 현황 등을 파악하여, 한반도 양서류 현황을 작성하고자 하 였다.
재료 및 방법
북한지역에 대한 양서류를 대상으로 위치가 표기된 문헌 을 대상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확인된 지명을 바탕으로 네이버지도 또는 구글지도를 이용하여 ‘군’ 또는 ‘지역명’을 검색하여 위치좌표를 획득한 후, QGIS(ver. essen 2.14.1)를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이용하여분포도를작성하였다. 또한, 남·북한의 양서류국 명을비교하기 위해한국양서·파충류학회의 기준국명및
Kim(2009)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양서류 천연기념물
현황 및 적색목록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북한 보호지역의 양서류상을 정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북한산 양서류 목록
북한에 서식하는 양서류는 총 2목 6과 17종으로, 도롱뇽
과(Hynobiidae)의도롱뇽(Hynobius leechii), 발톱도롱룡(Ony- chodactylus fisheri), 합수도롱룡(Hynobius keiserlingii), 비단 개구리과(Discoglosidae)의 비단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과(Bufonidae)의 두꺼비(Bufo bufo), 삼방두꺼비(Bufo sambangensis), 작은두꺼비(Bufo raddei), Bufo stejnegeri, 맹 꽁이과(Micro hylidae)의 맹꽁이(Kaloula borealis), 청개구리 과(Hylidae)의 청개구리(Hyla arborea), 참개구리과(Ranidae) 의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금개구리(Rana chosenica), 옴개구리(Rana rugosa), 애기개구리(Rana coreana), 아무르 산개구리(Rana amurensis), 기름개구리(Rana ornativentris),
Table 1. Amphibian list in North Korea.
Order Family Genus Korean name Scientific name
(Caudata)유미목 도롱뇽과 (Hynobiidae)
도롱뇽속 (Hynobius)
도롱룡 Hynobius leechii
합수도롱룡 Hynobius keiserlingii 발톱도롱뇽속
(Onychodactylus) 발톱도롱룡 Onychodactylus fisheri
무미목 (Anura)
비단개구리과
(Discoglosidae) 비단개구리속
(Bombina) 비단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ufonidae)두꺼비과 두꺼비속 (Bufo)
두꺼비 Bufo bufo
- Bufo stejnegeri
삼방두꺼비 Bufo sambangensis 작은두꺼비 Bufo raddei (Microhylidae)맹꽁이과 맹꽁이속
(Kaloula) 맹꽁이 Kaloula borealis
청개구리과
(Hylidae) 청개구리속
(Hyla) 청개구리 Hyla arborea
참개구리과
(Ranidae) 참개구리속
(Rana)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금개구리 Rana chosenica
옴개구리 Rana rugosa
애기개구리 Rana coreana 아무르산개구리 Rana amurensis 기름개구리 Rana ornativentris
북개구리 Rana temporaria
Table 2. The amphibian list of North Korea by reference data.
Common name of NK
Shannon (1956)
Slevin (1925)
Szyndlar (1984)
Lim (1996)
Suk (1934)
NKHG (2016)
Schmidt (1931)
Kim et al.
(2002)
Lee and Gil (2007)
Kim and Han (2009)
Okada (1928)
Song et al.
(2011)
Hynobius. leechii ○ ○ ○ ○
Onychodactylus fischer ○ ○ ○ ○
Hynobius keiserlingii ○ ○ ○
Bombina orientalis ○ ○ ○ ○ ○ ○ ○ ○ ○
Bufo gargarizans ○ ○ ○ ○ ○ ○ ○
Bufo sambangi ○
Bufo stejnegeri ○ ○ ○ ○
Kaloula borealis ○ ○
Hyla japonica ○ ○ ○ ○ ○ ○ ○
Rana nigromaculata ○ ○ ○ ○ ○ ○ ○ ○
Rana chosenica ○ ○ ○
Rana rugosa ○ ○ ○ ○ ○ ○
Rana amurensis ○
Rana coreana ○ ○ ○ ○ ○ ○
Rana ornativentris ○ ○ ○ ○ ○ ○ ○
Rana temporaria ○ ○ ○ ○ ○ ○ ○
북개구리(Rana temporaria)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s 1, 2).
2. 북한 양서류 분포
1) 도롱뇽(Hynobius leechii) 평양특별시, 개성특급시
(강원도) 법동군, 세포군, 안변군, 원산시, 창도군, 철원군,
통천군, 판교군, 평강군, 회양군 (량강도) 갑산군, 김정숙군,
Figure 1. A distribution map of amphibinas in North Korea (A, Hynobius leechii; B. Onychodactylus fisheri; C. Hynobius keiserlingii; D.
Bombina orientalis; E. Bufo gargarizans; F. Bufo sambangi; G. Bufo raddei; H. Kaloula borealis; I. Hyla arborea; J. Rana nigromaculata;
K. Rana chosenica; L. Rana rugosa; M. Rana coreana; N. Rana amurensis; O. Rana ornativentris; P. Rana temporaria
보천군 (평안남도) 양덕군, 회창군(Figure 1A)
2) 발톱도롱룡(Onychodactylus fisheri)
(강원도) 문천시, 법동군, 세포군, 원산시 (량강도) 백암군
(자강도) 동신군 (평안남도) 강동군, 양덕군 (평안북도) 향산
군 (함경남도) 정평군 (함경북도) 명천군 (황해남도) 해주군 (황해북도) 연탄군(Figure 1B)
3) 합수도롱룡(Hynobius keiserlingii)
(량강도) 대택노동자구, 백암군, 보천군, 삼지연 (함경북도) 장진군, 연사군 (함경남도) 부전군, 백두산(Figure 1C)
4) 비단개구리(Bombina orientalis)
(강원도) 철원군 (량강도) 혜산시 (자강도) 동신군, 송원군 (평안북도) 향산군 (함경남도) 영광군, 경성군, 무산군, 청진 시, 회령시 (황해남도) 개성시, 은률군 (황해북도) 곡산군, 금 천군, 연탄군, 금강산, 묘향산, 수양산(Figure 1D)
5) 두꺼비(Bufo bufo)
평양직할시, 남포특별시, (강원도) 원산시 (자강도) 동신군 (평안남도) 북창군, 순천시, 안주시, 회창군 (평안북도) 운전 군, 의주군, 천마군 (함경남도) 영광군, 정평군 (함경북도) 경 성군, 명천군, 금천군, 연탄군, 토산군(Figure 1E)
6) 삼방두꺼비(Bufo sambangensis) (강원도) 세포군(Figure 1F)
7) 작은두꺼비(Bufo raddei)
(평안북도) 곽산군, 삭주군, 염주군, 용천군, 의주군, 향산
군(Figure 1G)
8) 국명없음(Bufo stejnegeri) 개성특급시
9) 맹꽁이(Kaloula borealis)
평양직할시, 남포특별시, 개성특급시 (평안북도) 의주군
(황해남도) 봉산군, 해주군 (황해북도) 연탄군, (함경남도) 영
광군(Figure 1H)
10) 청개구리(Hyla arborea)
평양직할시, 개성특급시 (강원도) 원산시 (함경남도) 함흥 시, 흥남시 (함경북도) 경성군, 명천군, 청진시, 회령시 (황해 북도) 곡산군, 금천군, 연탄군, 토산군(Figure 1I)
11)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평양직할시, 개성특급시 (강원도) 고성군, 원산시 (자강도) 동신군 (평안남도) 순천군, 신양군, 용강군 (평안북도) 향산 군, 정주시 (함경남도) 영광군, 정평군, 함흥시 (함경북도) 무 산군, 청진시, 회령시, 경성군 (황해북도) 연탄군, 토산군 (Figure 1J)
12) 금개구리(Rana chosenica)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대동군, 문덕군, 온천군, 용강군,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군(Figure 1K)
13) 옴개구리(Rana rugosa)
개성특급시 (강원도) 원산시 (자강도) 낭림군, 동신군 (평 안북도) 천마군, 향산군 (함경남도) 영광군, 정평군, 흥남시 (함경북도) 명천군, 부령군, 청진시, 회령시 (황해남도) 삼천 군 (황해북도) 곡산군, 연탄군, 토산군(Figure 1L)
Table 3. A comparison of Korean name with South and North Korea.
South Korea North Korea
도롱뇽(Hynobius leechii) 도롱룡(Hynobius leechii)
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koreanus) 발톱도롱룡(Onychodactylus fisheri) 네발가락도롱뇽(Hynobius keiserlingii) 합수도롱룡(Hynobius keiserlingii)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비단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Bufo gargarizans) 두꺼비(Bufo bufo)
물두꺼비(Bufo stejnegeri) 국명없음(Bufo stejnegeri)
삼방두꺼비(Bufo sambangensis) 삼방두꺼비(Bufo sambangensis) 작은두꺼비(Bufo raddei) 작은두꺼비(Bufo raddei)
맹꽁이(Kaloula borealis) 맹꽁이(Kaloula borealis)
청개구리(Hyla japonica) 청개구리(Hyla arborea)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금개구리(Rana chosenica) 금개구리(Rana chosenica) 옴개구리(Rana rugosa) 옴개구리(Rana rugosa)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애기개구리(Rana coreana) 아무르산개구리(Rana amurensis) 아무르산개구리(Rana amurensis)
산개구리(Rana ornativentris) 기름개구리(Rana ornativentris)
중국산개구리(Rana chensinensis) 북개구리(Rana temporaria)
14) 애기개구리(Rana coreana)
평양직할시, 개성특급시 (평안남도) 개천시, 평원군 (함경 남도) 함흥시 (황해남도) 삼천군, 은률군 (황해북도) 금천군, 백두산(Figure 1M)
15) 아무르산개구리(Rana amurensis) (함경북도) 청진시(Figure 1N)
16) 기름개구리(Rana ornativentris)
(강원도) 고성군 (자강도) 낭림군, 동신군 (평안북도) 천마
군, 향산군 (함경남도) 영광군, 정평군, 흥남시 (황해남도) 삼 천군, 은률군 (황해북도) 곡산군, 연탄군 (함경북도) 회령시, 외금강(Figure 1O)
17) 북개구리(Rana temporaria)
(강원도) 원산시 (량강도) 백암군, 보천군, 삼지연, 혜산시
(함경남도) 강진군, 흥남시 (함경북도) 무산군, 부령군, 연사
군, 청진시, 회령시, 백두산(Figure 1P)
남·북한의 양서류 국명은 다소 차이가 있다. 도롱뇽류의 경우, 남한에서는 ‘도롱뇽’, 북한은 ‘도롱룡’으로불린다. 이 러한 차이는문법상표기의차이로남·북한이다르다고할 수 없다. 하지만, 꼬리치레도롱뇽의 경우 북한에서 발톱도롱 뇽으로, 네발가락도롱뇽은 합수도롱뇽으로 불리며, 무당개구
리는 비단개구리로, 한국산개구리는애기개구리, 산개구리는 기름개구리, 중국산개구리는북개구리로명명되어, 남·북한 에서 사용되는 국명이 다소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속명의 경우도 무당개구리속을 비단개구리속으로, 개구리속 을 참개구리속으로 명명되어 있다(Table 3).
3. 북한 보호지역의 양서류 목록
북한의 107개 보호지역 중 문헌조사를 통해 21개 보호지 역에서 양서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지역에서 확인 된 양서류는 총 2목 6과 11종으로, 전체 양서류 17종 중
64.7%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4. 분포 및 분류학적 재검토
꼬리치레도롱뇽속은과거에발톱도롱룡(O. japonius)과발 톱도롱룡번티기(O. fischeri) 2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 었으나, 리(1970)은 두 종간의 형태적 차이를 변이수준으로 판단하고, 북한에서는 서식하는 종을 O. fischeri로 정리하였 으며, 국명을 발톱도롱룡으로 명명하였다. 남한의 경우, 이 도롱뇽을 꼬리치레도롱뇽(O. fischeri)으로 명명하였다. 하지 만, 최근분자계통학적 연구를통해남한에있는집단을 O.
fischeri에서 O. koreanus로 재분류하였다.
물두꺼비의 경우 Schmidt(1931)에 황해남도 개성(송도)에 서 채집된 1개체를 기록되었으며, 강과 윤(1975)에 의해
Table 4. An amphibian list of protected area in North Korea.
Protected Area Scientific Name
Suryeongsan Chibo Kumsu Baeksan Cheonmasan Daegaksan Daehung Shinjeon Kumsuk
Hynobius leechii ● ●
Onychodactylus fiseri ● ●
Hynobius keiserlingii ●
Bombina orientalis ● ● ● ●
Bombina gargarizans ● ● ● ● ●
Kaloula borealis ●
Hyla japonoca ● ● ● ●
Rana rugosa ● ● ● ● ● ●
Rana nigromaculata ● ● ●
Rana coreana
Rana temporaria ●
Protected Area Scientific Name
Youngam Cheonbulsan Seolryeong Donggye sasusan Myeohyang Ogasan Guwolsan Soryeongsan
Hynobius leechii ● ● ●
Onychodactylus fiseri ●
Hynobius keiserlingii ●
Bombina orientalis ● ●
Bombina gargarizans ● ● ●
Kaloula borealis ●
Hyla japonoca ●
Rana rugosa ● ● ●
Rana nigromaculata ● ● ● ●
Rana coreana ●
Rana temporaria ● ●
Bufo kanggi로 명명하였으나, 이 종은 Bufo stejnegeri와 동 일종인 것으로확인되었다. 북한에서는림(1996)이물두꺼비 와 유사하지만 별종인 삼방두꺼비를 기재하면서 두꺼비속에 1종이 추가되었다. 또한, 림(1996)은 삼방두꺼비 연구를 통 해 물두꺼비의 존재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하지만, 기재논문에서도 러시아과학원에 보관 중인 물두꺼비 표본과 삼방두꺼비와 매우유사하다는 점과, 북한에서 원기재에 사 용된표본의 수가 너무적다는 점(2개 표본), 삼방두꺼비의 원기재 지역이 강원도 세포군의 내린천 주변으로, 이 수계 는 남한과 연결과에 있고 내린천 주변은 물두꺼비의 수 서 식지 중 하나라는 점, 북한에서는 물두꺼비 존재를 삼방두 꺼비 기재시 처음 확인했다는 점 등으로 볼때, 북한에서 발 표한 삼방두꺼비는 물두꺼비가 동일종일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Okada(1928)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한국산개구리
를 아무르지역에 서식하는 아무르산개구리의 아종(Rana temporaria coreana)으로 분류하였으며 분포지역을 경성, 수 원, 개성 등으로 기재하였다. 동시에 아무르산개구리(Rana amurensis)도 함경북도 라남에 서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하지만 Shannon(1956)은 Rana temporaria coreana를 Rana amurensis coreana로기재하였으며, Okada(1964), 송등(2005) 은 Rana amurensis coreana를 Rana coreana로기재 후한반 도 고유종으로 발표하였다. 한편, Lu and Li(2002)는 중국에 서식하는 한국산개구리를 Rana kunyuensis라는 신종으로 기 재하였으나, Zhou et al.(2015)에 의해 Rana kunyuensis가 Rana coreana와 동일한 종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 산개구리는남한과북한황해도지역, 중국산동지역에분포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함경북도 라남에 분포하는 Rana amurensis의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뤄지지 않아, 북한 에 분포하는 아무르산개구리가 Rana amurensis인지 또는 Rana coreana인지 판단할 수가 없다. 하지만, 북한은 양서류 구계를 ‘조선고지아구’와 ‘조선저지아구’로 구분하고 있으며, 함경북도 라남은 조선고지아구에 포함되고, 북한에서도 황 해도일대에 서식하는 점과희귀성을 고려하여 보호종으로 지정한점, 중국흑룡강성일대에 Rana amurensis가 서식하 는 점으로 볼 때, Rana coreana가 아닌 Rana amurensis가 서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남한의 경우 산개구리(Rana ornativentris)가 서식하 지 않고 북방산개구리(Rana dyvowskii) 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북한에서는 기존대로 산개구리(Rana ornativentris)가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또한 북개 구리의 학명을 유라시아 대륙에 서식하는 Rana temporaria 와 같은 종으로 보고 있으나, 북한과 중국동북부 지역의 집 단은 유전적, 형태적 차이로 인해 Rana chensinensis group 에 속하는 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Rana chensinensis group은 분류하기 매우 까다로운 종으
로 알려져 있으며, 김과한(2009)은 북개구리가 ‘고막의 크
기가 눈 직경의 2/3이며, 주둥이가 둥글고, 뒷다리가 짧다’ 는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는 북방산개구리와 계곡산개구리 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북한에 서식하는 Rana
chensinensis group(Rana chensinensis, Rana dybowskii, Rana ornativentris)에대한비교연구가필요하다.
5. 양서류 보호활동
북한은 IUCN의 Red Data Book(적색목록집) 기준을 북한 특성에 맞게 4가지 카테고리(I 전멸종, II 전멸위기종, III 위
기종, IV 희귀종)로 구분하여 적색목록집을 작성하였다. 북
한산양서류중합수도롱룡과애기개구리를각각 위기종(III 등급)으로, 작은두꺼비와금개구리를 각각희귀종(Ⅳ등급)으 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Kim et al. 2002). 또한 양서류 서식지를 천연기념물로 관리하고 있는데, 황해남도 은률군 에 있는 구월산애기개구리살이터(등록번호 제146호) 및 량 강도 백암군에 위치한 합수도롱룡살이터(등록번호 제360호) 를 천연기념물로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Boulenger. 1882. Catalogue of the Batrachia gradientia of the British Museum. 2nd. p. 8-127.
Boulenger. 1887a. Description of an new tailed batrachian from Corea. Ann. Mag. Nat. Hist. (5), XIX. pp. 67-86.
Boulenger. 1887b. On a new species of Hyla from Port Hamilton Corea based on an example living in the society's garden. Proc.
Zool. Soc. London. pp. 578-579. Arthur Adams(1820-1876).
Cho BS. 1949. The fauna of Korea (3) Vertebrate (Reptilia &
Amphibia). p. 13.
Dixon JP. 1956. A collection of amphibiams and reptiles from West central Korea. herpetologica. 12: 50-55.
Kang YS and Yoon IB. 197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7. Amphibia·Reptilia. Th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im KC, Kim MS, Kim RT, Kim KN, Kim TS, Rim CY, Pak UI, Han KH. 2002. Red Data Book of DPRK. MAB national committee of DPR Korea.
Kim LT and Han GH. 2009. An encyclopedia of Amphibia- Reptilia in Korea. Gwahakwon press. Pyeongyang.
Lee HG. 1970. Re-taxonomy of several amphibia and reptilia of Korea. Kwahakwon Tongbo. 4: 28-31.
Lee SD and Gil JW. A study of mammal and amphibians-reptile species around Shin-Po area, Hamkyungbuk-do, North Korea.
Korean Wetlands Society 9(1): 13-20.
Lee SD and Lee KC. 1994. The yearbook of natural monument in North Korea. Agriculture press. Pyeongyang.
North Korean Human Geography. 2016. http://www.cybernk.net Okada Y. 1928. Frogs in Korea. Journ. Chosen Biol. Soc. 6: 15-46.
Rim CH. 1996. On new species Bufo sambangi sp. n. discovered in Korea. Gwahakwon Tongbo. 258: 39-41.
Schmidt KP. 1931. A new Toad from Korea. Copeia 3: 93-43.
Shannon FA. 1956.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Korea.
Herpetologica. 12: 22-49.
Slevin JR. 1925. contributions to oriental herpetology II. Korea or
Chosen.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115(5): 89-100.
Stejneger. 1907. Herpetologt to Japan and adjacent territory. Bull.
U.S. Nat. Mus., No 58: 47-161.
Suk JM. 1934. Collection record of animal in Mt. Baekdusan area.
Journ. Chosen Biol. Soc. 18: 129-136.
Szyndlar Z. 1984. A description of a small collection of amphibians and reptiles from the peaple's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with not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herpetofauna in that country. Acta. Zool. Cracov. 27(1): 3-18.
Won HG. 1971. An encyclopedia of Amphibia-Reptilia in Korea.
Gwahakwon press. Pyeongyang. p. 170.
(2016년 8월 29일접수; 2016년 9월 19일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