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상병별 진료비의 최근 5개년 추이 - HIRA OAK Reposito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상병별 진료비의 최근 5개년 추이 - HIRA OAK Repository"

Copied!
14
0
0

Teks penuh

(1)

진료경향분석

1. 들어가며

건강보험 총진료비 증가액은 최근 5개년(2008-2012년)동안 3조2,996억원(연평균 증 가율: 8.3%)이었고, 이를 입원/외래/약국 진료비로 구분해보면 입원진료비는 연평균 1 조3,667억원(13.7%) 증가, 외래진료비는 1조3,667억원(8.3%), 약국진료비는 5,661억원 (5.5%) 증가하였다. 입원진료비의 증가수준은 다른 부문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약국진 료비는 제일 낮은 증가수준을 보이고 있다.

표 1. 최근 5년간 입원/외래/약국 진료비 현황(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 증감액

(연평균 증가율)

총진료비 350,366 394,296 436,570 460,760 482,349 32,996

- (12.5) (10.7) (5.5) (4.7) (8.3)

입원 109,722 124,020 144,926 153,312 164,391 13,667

- (13.0) (16.9) (5.8) (7.2) (10.6)

외래 145,034 163,204 176,696 186,638 199,703 13,667

- (12.5) (8.3) (5.6) (7.0) (8.3)

약국 95,610 107,071 114,948 120,810 118,255 5,661

- (12.0) (7.4) (5.1) (-2.1) (5.5)

건강보험의 진료비 증가추이는 건강보험의 급여정책과 환자의 의료이용행태, 공급자의

상병별 진료비의 최근 5개년 추이

신현철

부연구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전략분석팀

(단위: 억원, %)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2)

진료행태에 따라 그 양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행성 질환 및 계절성 질환의 발 병, 암질환자의 의료이용 증가, 노인성질환의 증가 등에 기인하여 진료비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약가 일괄인하와 같은 건강보험 급여정책은 약국진료비의 증가를 둔화시키 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환자 증가는 노인성질환 진료비를 증가 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건강보험 정책과 관련되는 상병 중심으로 상병별 진료비 추 이를 분석해 보고, 그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번 분석에서는 건강보험 정책관련 상병 분류를 만성질환, 노인성질환, 중증질환, 감염병질환, 호흡기 질환, 기타 질환 등으로 구분 하여 검토하였다.

2. 분석방법

분석자료는 건강보험 심사결정기준으로 200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자료를 연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상병정보가 누락된 약국자료는 제외하였으며, 양방상병 중심으로 분 석 진행을 위해, 한방청구 실적도 제외하였다. 그리고 외래의 경우 총진료비 중 약품비 비 중이 크므로, 원외처방약제비를 의료기관 진료비에 합산하여 총진료비를 계산하였다. 다만, 원외처방약제비는 실제 조제내역 금액과 다를 수 있다.

양방상병의 경우, 표준질병·사인 분류표의 상병·중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2. 건강보험정책관련 질병분류 기준

구분 질병명 질병코드

상병-중분류기준 분석 코드

상병-중분류 해당 질병코드

만성질환

가. 대사성 질환

고혈압 I10-I15 A093 I10-I15

당뇨 E10-E14 A047 E10-E14

고지혈증 E78 A053 E70-E90

나. 근골격계질환 - 관절염 M00-M19,

M22-M25 A129-A132

M00-M03 M05-M14 M15-M19 M20-M25

노인성 질환

가.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F00 A054 F00-F09

나. 혈관성 치매 F01 A054

다.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F02 A054

라. 상세불명의 치매 F03 A054

(3)

진료경향분석 노인성

질환

마. 알츠하이머병 G30 A068 G30-G32

바. 거미막밑 출혈 I60 제외 제외

사. 뇌내출혈 I61 (중증질환으로 옮김) (중증질환으로 옮김)

아. 기타 비외상성 머리내 출혈 I62

자. 뇌경색증 I63

차. 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중풍 I64

카. 대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뇌전동맥의 폐색 및 협착 I65

타. 대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대뇌동맥의 폐색 및 협착 I66

파. 기타 뇌혈관 질환 I67

하.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뇌혈관 장애 I68 질병코드사용 질병코드사용

거. 뇌혈관 질환의 후유증 I69 질병코드사용 질병코드사용

너. 파킨슨병 G20 A067 G20-G26

더. 속발성 파킨슨병 G21 A067

러.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파킨슨증 G22 A067

머. 기저핵의 기타 퇴행성 질환 G23 A067

중증질환

가. 뇌질환 I60-I67, I72.0, I77.0,

I28.0-28.3, S06 질병코드 사용 질병코드 사용

나. 심장질환

D15.1, I01, I05-09, I20-25, I26, I28, I30-51, I70.0, I71, I79.0, I79.1, M31.4, Q20-25, Q26.0- 26.4, Q26.8, Q26.9, S25-26

질병코드 사용 질병코드 사용

다. 암질환 C00-97, D00-09,

D32-33, D37-48 질병코드 사용 질병코드 사용

감염병질환 가. 감염병 A00-B99 A001-A021 A00-B99

호흡기계 질환

가. 인플루엔자 J10, J11 질병코드 사용 J10,J11

나. 폐렴 J09-J18

(J10,J11제외) A102 J09-J18

(J10,J11제외) 다. 호흡기계통의 질환

(인플루엔자 제외)

J00-J99 (J09-18 제외)

A101, A103-A110

J00-J99 (J09-J18 제외)

3. 분석결과

가. 건강보험 정책관련 질환별 진료비 현황

건강보험정책관련 질환별 진료비를 만성질환, 노인성, 중증질환, 감염성, 호흡기, 기타

주. 노인성질환 진료비에서 I60-I67은 제외하였다. 질병코드 I60-I67가 중증질환(뇌질환)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중증질환으로 분류하 여 진료비를 산출하였다.

(4)

등으로 구분해 보면, 2012년 주요 질환별 진료비 규모는 기타질환이 23조3,844억원(비 중: 48.8%)으로 가장 컸으며, 중증질환 8조5,104억원(비중: 18.8%), 만성질환 5조7,192 억원(비중: 12.6%), 호흡기질환 4조6,778억원(비중: 10.3%), 노인성 1조5,699억원(비중:

6.2%) 감염병 1조4,861억원(비중: 3.3%)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개년 간 연평균 진료비 증가율이 전체상병진료비 증가율 9.6%보다 높은 질환은 노 인성질환(22.8%), 중증질환(10.1%) 기타 질환(10.6%) 이었으며, 전체상병진료비 증가율보 다 낮은 질환은 감염병질환(6.8%), 만성질환(6.7%), 호흡기질환(6.2%) 이었다.

진료비 점유율관점에서 보면, 5개년(2008-2012년)간 진료비 점유율이 늘어난 질환은 노인성질환(3.9% → 6.2%), 중증질환(18.4% → 18.8%), 기타질환(50.3% → 52.0%) 이 었으며, 진료비 점유율이 줄어든 질환은 감염병질환(3.6% → 3.3%), 만성질환(14.1% → 12.6%), 호흡기질환(11.7% → 10.3%) 이었다.

3%

(14,861억원)

19%

(82,104억원) 3%

(15,699억원)

13%

(57,192억원)

52%

(233,844억원)

10%

(46,778억원)

만성질환 노인성질환 중증질환 감염병질환 호흡기질환 기타질환

그림 1. 정책관련 질환별 진료비 규모(2012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기타질환 호흡기질환 감염병질환 중증질환 노인성질환 만성질환 500,000

450,000 400,000 350,000 300,000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그림 2. 정책관련 질환별 진료비 추이(억원)(2008-2012년)

(5)

진료경향분석 표 3. 정책관련 질환별 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감액

(연평균증가율)

만성질환 44,199 49,627 54,087 57,087 57,192 3,248

- (12.3) (9.0) (5.5) (0.2) (6.7)

노인성질환 6,903 8,516 10,692 13,029 15,699 2,199

- (23.4) (25.5) (21.9) (20.5) (22.8)

중증질환 57,900 65,144 75,109 80,611 85,104 6,801

- (12.5) (15.3) (7.3) (5.6) (10.1)

감염병질환 11,408 12,558 13,788 14,564 14,861 863

- (10.1) (9.8) (5.6) (2.0) (6.8)

호흡기질환 36,794 42,930 45,482 45,497 46,778 2,496

- (16.7) (5.9) (0.0) (2.8) (6.2)

기타 156,865 174,157 208,840 222,242 233,844 19,245

- (11.0) (19.9) (6.4) (5.2) (10.5)

전체 314,068 352,933 407,999 433,031 453,478 34,852

- (12.4) (15.6) (6.1) (4.7) (9.6)

전반적인 상병별 진료비 추이는 중증질환 및 노인성질환 진료비가 전체증가율을 상회하 여 그 점유율이 늘고 있고, 호흡기 질환 및 감염성질환 진료비는 계절성을 반영해 등락을 하 고 있지만 진료비 증가율이 낮아 그 점유율은 줄어들고 있다. 만성질환 진료비의 경우, 진료 비 규모는 크지만 그 증가 양상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정책관련 질환별 진료비 비중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만성질환 14.1

-

14.1 (-0.0)

13.3 (-0.8)

13.2 (-0.1)

12.6 (-0.6)

노인성질환 3.9

-

4.3 (0.4)

4.7 (0.4)

5.4 (0.7)

6.2 (0.8)

중증질환 18.4

-

18.5 (0.0)

18.4 (-0.0)

18.6 (0.2)

18.8 (0.2)

감염병질환 3.6

-

3.6 (-0.1)

3.4 (-0.2)

3.4 (-0.0)

3.3 (-0.1)

호흡기질환 11.7

-

12.2 (0.4)

11.1 (-1.0)

10.5 (-0.6)

10.3 (-0.2)

기타 48.2

-

47.5 (-0.7)

49.1 (1.6)

48.9 (-0.2)

48.8 (-0.1)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단위: 억원, %)

(단위: %)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p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6)

나. 개별 질환별 진료비 현황

1) 만성질환

2012년 만성질환진료비는 5조7,192억원(비중: 12.6%)으로 최근 5개년 간 연평균 3,248 억원(6.7%)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추이는 전체상병별 진료비 5개년 연평균증가율 9.6%

보다 낮게 나타났다. 2012년 만성질환 내 진료비 규모는 고혈압 2조3,450억원, 관절염 1조 7,862억원, 당뇨 1조3,190억원, 고지혈증 2,690억원으로, 최근 5개년 간 각각 1,047억원 (5.0%), 1,290억원(8.9%), 629억원(5.4%), 283억원(14.6%) 증가하였다.

2012년 만성질환 내 진료비 점유율은 고혈압 41.0%, 관절염 31.2%, 당뇨 23.1%, 고지 혈증 4.7% 순으로 점유하고 있으며, 최근 5개년 간 -0.65%p, 0.63%p, -0.25%p, 0.3%p 증감하였다.

표 5. 만성질환관련 총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감액

(연평균증가율)

고지혈증 1,560 2,009 2,250 2,694 2,690 283

- (28.8) (12.0) (19.7) (-0.1) (14.6)

고혈압 19,264 21,511 23,157 23,903 23,450 1,047

- (11.7) (7.7) (3.2) (-1.9) (5.0)

관절염 12,702 14,288 15,849 16,862 17,862 1,290

- (12.5) (10.9) (6.4) (5.9) (8.9)

당뇨 10,674 11,820 12,831 13,628 13,190 629

- (10.7) (8.6) (6.2) (-3.2) (5.4)

합계 44,199 49,627 54,087 57,087 57,192 3,248

- (12.3) (9.0) (5.5) (0.2) (6.7)

표 6. 만성질환관련 총진료비 비중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고지혈증 3.5

-

4.0 (0.5)

4.2 (0.1)

4.7 (0.6)

4.7 (-0.0)

고혈압 43.6

-

43.3 (-0.2)

42.8 (-0.5)

41.9 (-0.9)

41.0 (-0.9)

관절염 28.7

-

28.8 (0.1)

29.3 (0.5)

29.5 (0.2)

31.2 (1.7)

당뇨 24.1

-

23.8 (-0.3)

23.7 (-0.1)

23.9 (0.2)

23.1 (-0.8)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점유율 14.1 14.1 13.3 13.2 12.6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주 1. ( )는 전년 대비 증감%p이다.

2. 점유율은 상병별 전체진료비 중 해당질환의 진료비 점유율이다.

(단위: 억원, %)

(단위: %)

(7)

진료경향분석

특이적으로, 고혈압 진료비 점유율은 43.6%(2008년)에서 41.0%(2012년)로 지속 감소 하고 있으며, 당뇨 진료비 점유율도 24.1%(2008년)에서 23.1%(2012년)로 감소추이를 보 이고 있다. 반면에, 관절염 진료비 점유율은 28.7%(2008년)에서 31.2%(2012년)로 늘어나 는 추세이다. 고혈압 및 당뇨 진료비 증가율이 감소한 것은 2011년 10월에 실시한 경증질환 약제비 차등제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관절염의 진료비 증가는 노인환자의 입원 의료이 용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표 7. 만성질환관련 입원/외래 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입원진료비

고지혈증 111 139 163 183 230

- (24.7) (17.6) (11.7) (25.9)

고혈압 848 1,109 1,332 1,366 1,465

- (30.8) (20.2) (2.5) (7.2)

관절염 4,271 5,148 6,104 6,338 7,079

- (20.5) (18.6) (3.8) (11.7)

당뇨 1,403 1,551 1,724 1,867 1,973

- (10.5) (11.1) (8.3) (5.7)

소계 6,634 7,947 9,323 9,754 10,746

- (19.8) (17.3) (4.6) (10.2)

외래진료비

고지혈증 1,448 1,870 2,086 2,511 2,460

- (29.1) (11.6) (20.4) (-2.0)

고혈압 18,416 20,402 21,825 22,537 21,985

- (10.8) (7.0) (3.3) (-2.5)

관절염 8,431 9,139 9,746 10,524 10,783

- (8.4) (6.6) (8.0) (2.5)

당뇨 9,270 10,268 11,107 11,761 11,217

- (10.8) (8.2) (5.9) (-4.6)

소계 37,565 41,680 44,764 47,334 46,446

- (11.0) (7.4) (5.7) (-1.9)

총계 44,199 49,627 54,087 57,087 57,192

- (12.3) (9.0) (5.5) (0.2)

2) 노인성질환

2012년 노인성질환 진료비는 1조5,699억원(비중: 3.5%)으로 최근 5개년 간 연평균 2,199억원(22.8%)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추이는 전체상병별 진료비 5개년 연평균증가 율 9.6%보다 높은 수준이다. 2012년 노인성질환 진료비 규모는 치매 9,401억원, 뇌질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단위: 억원, %)

(8)

환 3,093억원, 파킨슨 2,792억원, 알츠하이머 413억원 순이며, 최근 5개년 간 1,393억원 (25.2%), 405억원(20.4%), 365억원(20.3%), 35억원(11.0%) 증가하였다.

2012년 노인성질환 진료비 점유율은 치매 59.9%, 뇌질환 19.7%, 파킨슨 17.8%, 알츠하이 머 2.6% 순으로 점유하고 있으며, 최근 5개년 간 1.1%p, -0.4%p, -0.4%p, -0.3%p 변화하였다.

특이적으로, 치매질환 진료비 점유율은 55.5%(2008년)에서 59.9%(2012년)로 늘어났으 며, 뇌질환 진료비 점유율은 21.3%(2008년)에서 19.7%(2012년)로 감소하였다. 이는 요양 병원 진료비 증가와 관련되어, 치매관련 입원진료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 8. 노인성 질환관련 총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감액

(연평균증가율)

뇌질환

1,473 1,889 2,225 2,642 3,093 405

- (28.3) (17.7) (18.8) (17.0) (20.4)

알츠하이머

272 288 324 385 413 35

- (6.1) (12.3) (18.9) (7.4) (11.0)

치매

3,828 4,767 6,141 7,632 9,401 1,393

- (24.5) (28.8) (24.3) (23.2) (25.2)

파킨슨

1,331 1,572 2,003 2,370 2,792 365

- (18.1) (27.5) (18.3) (17.8) (20.3)

합계

6,903 8,516 10,692 13,029 15,699 2,199

- (23.4) (25.5) (21.9) (20.5) (22.8)

표 9. 노인성질환 관련 총진료비 비중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뇌질환 21.3

-

22.2 (0.9)

20.8 (-1.4)

20.3 (-0.5)

19.7 (-0.6)

알츠하이머 3.9

-

3.4 (-0.6)

3.0 (-0.4)

3.0 (-0.1)

2.6 (-0.3)

치매 55.5

-

56.0 (0.5)

57.4 (1.5)

58.6 (1.1)

59.9 (1.3)

파킨슨 19.3

-

18.5 (-0.8)

18.7 (0.3)

18.2 (-0.5)

17.8 (-0.4)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점유율 2.2 2.4 2.6 3.0 3.5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단위: 억원, %)

(단위: %)

주 1. ( )는 전년 대비 증감%p이다.

2. 점유율은 상병별 전체진료비 중 해당질환의 진료비 점유율이다.

(9)

진료경향분석 표 10. 노인성질환 관련 입원/외래 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입원진료비

뇌내출혈 1,017 1,186 1,421 1,877 2,299

- (16.6) (19.8) (32.1) (22.5)

알츠하이머 142 143 162 195 209

- (0.8) (13.1) (20.1) (7.3)

치매 3,081 3,845 5,006 6,197 7,819

- (24.8) (30.2) (23.8) (26.2)

파킨슨 542 682 994 1,266 1,661

- (25.9) (45.7) (27.4) (31.2)

소계 4,783 5,856 7,583 9,534 11,988

- (22.4) (29.5) (25.7) (25.7)

외래진료비

뇌내출혈 455 703 803 766 794

- (54.5) (14.2) (-4.7) (3.7)

알츠하이머 129 145 162 190 204

- (12.0) (11.6) (17.7) (7.4)

치매 746 923 1,134 1,436 1,582

- (23.6) (22.9) (26.6) (10.2)

파킨슨 789 890 1,010 1,104 1,130

- (12.7) (13.5) (9.3) (2.4)

소계 2,120 2,661 3,109 3,495 3,710

- (25.5) (16.8) (12.4) (6.2)

총계 6,903 8,516 10,692 13,029 15,699

- (23.4) (25.5) (21.9) (20.5)

다. 감염병

2012년 감염병 진료비는 1조4,861억원(비중: 3.3%)으로 최근 5개년간 연평균 863억원 (6.8%)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추이는 전체상병별 진료비 5개년 연평균증가율 9.6%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표 11. 감염병 관련 총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감액

(연평균증가율)

감염병 11,408 12,558 13,788 14,564 14,861 863

- (10.1) (9.8) (5.6) (2.0) (6.8)

점유율 3.6 3.6 3.4 3.4 3.3

(단위: 억원, %)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단위: 억원, %)

주 1.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2. 점유율은 상병별 전체진료비 중 해당질환의 진료비 점유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10)

표 12. 감염병 관련 입원/외래 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입원진료비

감염병 3,201 3,626 4,108 4,038 4,249

- (13.3) (13.3) (-1.7) (5.2)

외래진료비

감염병 8,207 8,932 9,680 10,527 10,612

- (8.8) (8.4) (8.7) (0.8)

합계 11,408 12,558 13,788 14,564 14,861

- (10.1) (9.8) (5.6) (2.0)

라. 호흡기 질환

2012년 호흡기질환 진료비는 4조6,778억원(비중: 10.3%)으로 최근 5개년 간 연평균 2,496억원(6.2%)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추이는 전체상병별 진료비 5개년 연평균증가율 9.6%보다 낮게 나타났다. 2012년 호흡기내에서 진료비는 호흡기(기타)질환 4조342억원, 폐렴 5,937억원, 인플루엔자 438억원 순이며, 최근 5개년 간 각각 1,826억원(5.1%), 565 억원(12.7%), 90억원(54.4%) 증가하였다.

표 13. 호흡기질환 관련 총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감액

(연평균증가율)

인플루엔자 77 844 966 156 438 90

- (999.2) (14.5) (-83.8) (180.7) (54.4)

페렴 3,679 4,136 4,882 6,083 5,937 565

- (12.4) (18.0) (24.6) (-2.4) (12.7)

호흡기(기타) 33,038 37,231 38,891 39,186 40,342 1,826

- (12.7) (4.5) (0.8) (3.0) (5.1)

합계 36,794 42,930 45,482 45,497 46,778 2,496

- (16.7) (5.9) (0.0) (2.8) (6.2)

표 14. 호흡기질환 관련 총진료비 비중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인플루엔자 0.2 2.0 2.2 0.3 0.9

- (1.8) (0.2) (-1.8) (0.6)

페렴 10.0 9.8 10.9 13.4 12.7

- (-0.2) (1.1) (2.5) (-0.7)

호흡 89.8 86.7 85.5 86.1 86.2

- (-3.1) (-1.2) (0.6) (0.1)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점유율 11.7 12.2 11.1 10.5 10.3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단위: 억원, %)

(단위: 억원, %)

주 1. ( )는 전년 대비 증감%p이다.

2. 점유율은 상병별 전체진료비 중 해당질환의 진료비 점유율이다.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단위: 억원, %)

(11)

진료경향분석

특이적으로, 인플루엔자 진료비는 2012년에 438억원으로 그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최 근 5개년 연평균 증가율이 54.4%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009-2010년 신종플루 유행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기타) 관련 진료비 증가율이 낮 게 나타나고 있어, 계절성 질환의 진료비 증가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표 15. 호흡기질환 관련 입원/외래 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입원진료비

인플루엔자 24 111 131 69 256

- (366.9) (18.3) (-47.1) (269.6)

페렴 2,847 3,271 3,952 4,898 4,832

- (14.9) (20.8) (23.9) (-1.3)

호흡 4,467 4,936 5,538 5,609 6,008

- (10.5) (12.2) (1.3) (7.1)

소계 7,338 8,506 9,797 10,636 11,138

- (15.9) (15.2) (8.6) (4.7)

외래진료비

인플루엔자 53 733 835 87 182

- (1282.0) (14.0) (-89.6) (109.8)

페렴 832 865 930 1,186 1,106

- (4.0) (7.4) (27.5) (-6.8)

호흡기 28,571 32,295 33,353 33,577 34,334

- (13.0) (3.3) (0.7) (2.3)

소계 29,456 34,423 35,686 34,861 35,640

- (16.9) (3.7) (-2.3) (2.2)

총계 36,794 42,930 45,482 45,497 46,778

- (16.7) (5.9) (0.0) (2.8)

(단위: 억원, %)

주.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

2008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2009 2010 2011 2012

인플렌자 폐렴 호흡기 감염병

그림 3. 호흡기질환 및 감염병 진료비의 월별 추이(2008-2012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12)

마. 중증질환

2012년 중증질환 진료비는 8조5,104억원(비중: 18.8%)으로 최근 5개년간 연평균 2,496 억원(10.1%)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추이는 전체상병별 진료비 5개년 연평균증가율 9.6%

보다 높은 것이다. 2012년 중증질환 진료비는 암질환 4조6,451억원, 심장질환 1조9,842 억원, 뇌질환 1조8,812억원 순이며, 최근 5개년 간 3,840억원(10.6%), 1,488억원(9.3%), 1,475억원(9.9%) 증가하였다.

2012년 중증질환 내 진료비 점유율은 암질환 54.6%, 심장질환 23.3%, 뇌질환 22.1% 순 이었으며, 최근 5개년간 0.22%p, -0.17%p, -0.05%p 증감하였다. 중증질환 내 암질환, 심 장질환, 뇌질환의 점유율은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며, 특별한 추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16. 중증질환관련 총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감액

(연평균증가율)

뇌질환 12,914 14,267 16,402 17,561 18,812 1,475

- (10.5) (15.0) (7.1) (7.1) (9.9)

심장질환 13,892 15,333 17,499 18,886 19,842 1,488

- (10.4) (14.1) (7.9) (5.1) (9.3)

암질환 31,093 35,544 41,208 44,165 46,451 3,840

- (14.3) (15.9) (7.2) (5.2) (10.6)

합계 57,900 65,144 75,109 80,611 85,104 6,801

- (12.5) (15.3) (7.3) (5.6) (10.1)

표 17. 중증질환관련 총진료비 비중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뇌질환 22.3 21.9 21.8 21.8 22.1

- (-0.4) (-0.1) (-0.1) (0.3)

심장질환 24.0 23.5 23.3 23.4 23.3

- (-0.5) (-0.2) (0.1) (-0.1)

암질환 53.7 54.6 54.9 54.8 54.6

- (0.9) (0.3) (-0.1) (-0.2)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점유율 18.4 18.5 18.4 18.6 18.8

(단위: 억원, %)

(단위: %) 주 1. ( )는 전년 대비 증감율이다.

2. 중증질환 진료비를 특정기호기준으로 산출하면, 2012년도에 뇌질환(V191), 2,950억원; 심장질환(V192), 6,605억원;

암질환(V193), 4조8,046억원이다.

주 1. ( )는 전년 대비 증감%p이다.

2. 점유율은 상병별 전체진료비 중 해당질환의 진료비 점유율이다.

(13)

진료경향분석 표 18. 중증질환 관련 입원/외래 진료비 추이(2008-2012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입원진료비

뇌질환 8,526 9,457 11,161 11,832 12,727

- (10.9) (18.0) (6.0) (7.6)

심장질환 6,642 7,235 8,737 8,896 9,369

- (8.9) (20.8) (1.8) (5.3)

암질환 18,318 20,589 24,269 24,914 25,730

- (12.4) (17.9) (2.7) (3.3)

소계 33,485 37,280 44,168 45,642 47,827

- (11.3) (18.5) (3.3) (4.8)

외래진료비

뇌질환 5,367 5,876 6,338 7,053 7,114

- (9.5) (7.8) (11.3) (0.9)

심장질환 6,272 7,032 7,665 8,665 9,443

- (12.1) (9.0) (13.0) (9.0)

암질환 12,776 14,956 16,939 19,250 20,721

- (17.1) (13.3) (13.6) (7.6)

소계 24,415 27,865 30,941 34,969 37,278

- (14.1) (11.0) (13.0) (6.6)

합계 57,900 65,144 75,109 80,611 85,104

- (12.5) (15.3) (7.3) (5.6)

4. 맺으며

지금까지 건강보험정책 관련 상병(한방제외, 원외처방약제비포함)을 만성질환, 노인성, 중증, 감염병, 호흡기, 기타 질환 등으로 구분하여 진료비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5개년간(2008-2012년) 연평균 증가율 9.6%보다 높은 질환은 노인성질환 (22.8%) 중증질환(10.1%) 기타 질환(10.6%) 이었으며, 전체상병 진료비 증가율 보다 낮은 질환은 감염병 질환(6.8%), 만성질환(6.7%), 호흡기질환(6.2%)이었다. 둘째, 최근 5개년 간 진료비 점유율이 늘어난 질환은 노인성질환(3.9% → 6.2%), 중증질환(18.4% → 18.8%), 기타질환(50.3% → 52.0%) 이었으며, 진료비 점유율이 줄어든 질환은 감염병질환(3.6% → 3.3%), 만성질환(14.1% → 12.6%), 호흡기질환(11.7% → 10.3%) 이었다.

(단위: 억원, %)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자료

(14)

이러한 진료비 비중변화와 관련된 일부 특징들을 살펴보면, 우선, 노인성질환 진료비 비 중이 늘고 있는 것은 노인환자들의 요양병원 이용량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실 제 노인성 질환중 치매관련 진료비는 최근 5개년 간 연평균 1,393억원(25.2%)증가하였고, 진료비의 80%이상이 입원진료에서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반면 만성질환 진료비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경증질환 약제비 차등제와 관련된 것으 로 추정되는데, 만성질환 진료비는 최근 5개년 간 연평균 3,248억원(6.7%) 증가하여 전체 연평균증가율 9.6%보다 낮았으며, 특히 2012년도 고혈압 및 당뇨병의 진료비 증가율은 각 각 -1.9%, -3.2%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감염병 및 호흡기질환 진료비는 계절성을 보이며 등락을 반복하였고, 진료비 비 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예전보다 호흡기질환 진료비 증가가 둔화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증질환 진료비는 2008년 점유율이 18.4%에서 2012년 18.8%로 정체되거나 근소 하게 늘어나고 있어, 그 증가수준이 전체 평균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건강보험 정책관련 상병별 진료비는 정책변화 및 인구고령 화, 유행성질환의 발생 등에 비례하여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의 경우 실제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노인성 질환의 경우 노인환자의 의료이용 증가에 따 라진료비 증가가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만성질환 및 중증질환 진료비의 경우에 는 정책변화와 관련하여 진료비 증감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건강보험에서 보장성강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게 되면, 이와 관련된 상병별 진료비

도 꾸준히 늘어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보장성강화정책이 상병별 관점에서 접근하게 된다

면, 상병별 진료비 추이 분석 자료가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