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

Copied!
313
0
0

Teks penuh

(1)

2021. 5

본 계획(안)은 향후 지역주민의 의견수렴, 관계부처 및 관련 지자체와의 협의, 관련위원회의 심의 등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확정될 예정입니다.

(2)
(3)

: 제 1 장 : 계획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계획의 위상과 성격··· 3

2. 계획수립 배경과 목적··· 5

3. 계획대상과 범위··· 8

4. 계획 수행체계··· 10

5.

추진경위 및 기대효과

··· 11

:제2장: 개발여건과 잠재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1.

서해안권 현황과 특성

··· 15

2.

관련법률 및 계획

··· 61

3.

기존사업의 추진실태

··· 76

4.

서해안권 발전에 관한 지역의견

··· 81

5. 미래여건 및 정책환경의 변화··· 87

6. 발전잠재력과 계획과제··· 95

: 제 3 장 : 서해안권 공동발전 기본구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1. 2030년 서해안권의 위상과 역할··· 101

2. 비전과 목표 및 추진전략··· 102

3. 서해안권 공간 발전구상··· 103

4. 계획지표의 도출 및 목표 설정··· 106

(4)

2. 사업의 발굴과 선정··· 117

3. 추진전략별 사업 구상··· 123

4. 핵심사업 추진계획··· 177

: 제 5 장 : 집행 ‧ 관리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3

1. 투자계획··· 275

2. 경제적 파급효과··· 279

3. 사업 추진방안··· 284

(5)

[표1-1] 계획의 위상 및 활용 ··· 3

[표2-1] 서해안권의 해안선 및 도서 현황 ··· 17

[표2-2] 서해안권의 인구 및 세대 현황 ··· 20

[표2-3] 서해안권의 경제활동인구 현황 ··· 21

[표2-4] 서해안권의 지목별 토지 현황 ··· 23

[표2-5] 서해안권의 용도지역(도시지역) 현황 ··· 24

[표2-6] 서해안권의 용도지역(비도시지역) 현황 ··· 25

[표2-7] 서해안권의 재정자립도 현황 ··· 26

[표2-8] 서해안권의 지역내총생산(당해년가격) 현황 ··· 27

[표2-9] 서해안권의 주요 산업분류항목별 입지계수 분석결과 ··· 30

[표2-10] 서해안권의 해양산업 현황 ··· 33

[표2-11] 서해안권의 산업단지 지정 및 가동현황 ··· 34

[표2-12] 4개 시‧도의 상시근로자 500인 이상과 상위 매출액 20개 기업 분포현황 ··· 35

[표2-13] 서해안권의 대학교 분포현황 ··· 37

[표2-14] 서해안권의 지역축제 개최현황 ··· 38

[표2-15] 서해안권의 폐교 분포 및 활용현황 ··· 40

[표2-16] 서해안권 빈집 분포현황 ··· 40

[표2-17] 서해안권 폐선부지 활용현황 ··· 41

[표2-18] 전국 폐조선소 분포현황 ··· 41

[표2-19] 전국 항만재개발사업 추진현황 ··· 42

[표2-20] 서해안권의 관광(단)지 및 관광특구 분포현황 ··· 43

[표2-21] 서해안권의 관광기반시설 분포현황 ··· 44

[표2-22] 서해안권의 관광객 수 변화 추이 ··· 45

[표2-23] 서해안권의 지역 관광경쟁력 현황 ··· 46

[표2-24] 서해안권의 도로 연장현황 ··· 47

[표2-25] 서해안권 공항의 최근 5년간 화물․여객수송량 ··· 49

[표2-26] 서해안권 항만의 최근 5년간 물동량 ··· 51

[표2-27] 서해안권 어항 지정현황 ··· 51

[표2-28] 관련법률의 검토결과 ··· 62

[표2-29] 지역별 도시군기본계획 및 장기발전계획 상 비전과 시‧군정 목표 ··· 75

[표2-30] 1차계획과 변경계획 상 사업 추진계획의 변화 ··· 77

(6)

[표2-33] 4개 시․도 관련부서와 지역연구원 전문가 대상 의견조사 내용 ··· 79

[표2-34] 지역주민 의견조사 결과 ··· 83

[표2-35]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 85

[표2-36] 지역균형 뉴딜의 4가지 추진전략 ··· 91

[표2-37] 초광역협력 프로젝트 발굴·기획 지원과제 선정결과 ··· 92

[표2-38] 코로나-19가 산업과 관광에 미치는 영향 ··· 94

[표3-1] 계획지표별 목표의 설정 ··· 108

[표4-1] 국토교통부 「해안권 발전종합계획 효율화 방안 연구」에서 제시한 개발사업 평가항목 · 114 [표4-2] 핵심사업의 구성과 의미 ··· 116

[표4-3] 추진전략별 사업의 도출 ··· 118

[표4-4] 핵심사업의 선정 ··· 122

[표4-5] 전략1-프로젝트1(첨단기술 기반 신산업 육성)의 주요 사업계획 ··· 127

[표4-6] 전략1-프로젝트2(미래 청정에너지 융‧복합거점 조성)의 주요 사업계획 ··· 130

[표4-7] 전략1-프로젝트3(차세대 이동체 산업기반 강화)의 주요 사업계획 ··· 134

[표4-8] 4차산업혁명의 영향 ··· 135

[표4-9] 전략2-프로젝트1(산업거점 재생‧고도화 및 네트워크 구축)의 주요 사업계획 ··· 139

[표4-10] 전략2-프로젝트2(틈새시장 우위 확보 및 지역특화산업 육성)의 주요 사업계획 ···· 143

[표4-11] 전략3-프로젝트1(해양갯벌‧생태계 복원 및 활용)의 주요 사업계획 ··· 149

[표4-12] 전략3-프로젝트2(글로벌 복합관광휴양지 조성 및 네트워크 구축)의 주요 사업계획 · 152 [표4-13] 전략3-프로젝트3(역사문화ㆍ유휴자산 명소화 및 네트워크 구축)의 주요 사업계획 ·· 156

[표4-14] 새로운 광역 협력사업의 추진방향 ··· 157

[표4-15] 전략4-프로젝트1(남북한 평화적 협력기반 조성)의 주요 사업계획 ··· 160

[표4-16] 전략4-프로젝트2(서해안권 상생협력체계 구축)의 주요 사업계획 ··· 162

[표4-17] 전략5-프로젝트1(도로‧철도망 확충 및 질적 수준 제고)의 주요 사업계획 ··· 170

[표4-18] 전략5-프로젝트2(공항‧항만 인프라 확충 및 배후지역 통합 개발)의 주요 사업계획 ·· 174

[표4-19] 전략5-프로젝트3(도서지역 정주여건 향상)의 주요 사업계획 ··· 176

[표4-20] 국내 바이오산업 투자비 ··· 186

[표4-21]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협력기관별 협력건수(2019년 기준) ··· 187

[표4-22] K-바이오 랩센트럴의 벤치마킹 사례 ··· 188

[표4-23] 서해안권 바이오산업 거점 육성계획 및 연계가능 주변지역 ··· 190

(7)

[표4-27] 서해안권 자동차 튜닝 클러스터 구축 계획도 ··· 203

[표4-28] RE100 이니셔티브의 의미와 RE100 기업 예시 ··· 206

[표4-29]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의 개념 및 사업요소 ··· 207

[표4-30] 국가차원의 재생 및 구조고도화 대상 국가산단 선정현황(2020년 기준) ··· 211

[표4-31]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 214

[표4-32] 세대별 스마트팜 구분 및 특징 ··· 216

[표4-33] 스마트양식의 단계별 특징 ··· 216

[표4-34] 서해안권 스마트 농축수산업 육성거점 대상지 및 연계지역 ··· 218

[표4-35] 농림식품기계시스템 분야와 융복합기술 수준(기술선진국=100) ··· 222

[표4-36] 서해안 해양생태자원 보존 및 활용벨트 구축을 위한 핵심사업 및 연계사업 대상지 · 228 [표4-37] 세계유산 확장 등재기준 ··· 233

[표4-38] 마리나 관련 주요 이슈와 사례 ··· 237

[표4-39] 서해안권 마리나 운영구역 및 마리나항만 예정구역 현황 ··· 238

[표4-40] 서해안권 마리나 융‧복합 산업거점 조성 및 연계루트 개발사업 대상지 및 주요 계획 · 240 [표4-41] 마리나 관련 콘텐츠 확충의 세부내용 ··· 245

[표4-42] 서해안권 내 마리나와 연계가능 개발사업 추진현황 ··· 246

[표4-43] 마리나 전‧후방 연관산업 부문 ··· 248

[표4-44] 서해안권 경관도로 및 아름다운 길 지정현황 ··· 250

[표4-45] 서해안 관광도로(선셋 드라이브) 조성 개념 ··· 254

[표4-46] 서해안 관광도로(선셋 드라이브) 노선 선정기준 ··· 255

[표4-47] 서해안 관광도로(선셋 드라이브) 조성사업의 개요 ··· 255

[표4-48] 서해안 관광도로 선셋전망대(경관포인트) 조성사업 대상지 ··· 256

[표4-49] 서해안 관광도로 유니크베뉴(스토리포인트) 조성사업 대상지 ··· 257

[표4-50] 서해안 관광도로 랜드마크 아이콘 조성사업 대상지 ··· 258

[표4-51] 서해안 관광도로 선셋마켓 조성사업 대상지 ··· 259

[표4-52] 서해안 관광도로 스마트 복합쉼터 조성사업 대상지 ··· 261

[표4-53] 서해안 관광도로(선셋 드라이브) 조성사업비 ··· 262

[표4-54] 「경기도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지원 조례」의 내용 ··· 269

[표5-1] 현재 재수립 중인 SOC 관련 국가계획 현황 ··· 275

[표5-2] 전체 사업비 추정 ··· 277

[표5-3] 핵심사업 사업비 ··· 278

[표5-4] 지역경제 파급효과 평가기준(2008~2015년) ··· 279

(8)

[표5-7] 지역경제 활성화 지수 분석결과 ··· 283 [표5-8] 지역발전투자협약의 개념과 시범사업 추진현황 ··· 285 [표5-9] 현행 「국가재정법」 [별표 1]의 근거법 조항 ··· 286

(9)

[그림1-1] 계획의 성격 및 수립방향 ··· 4

[그림1-2]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의 추진경과 ··· 6

[그림1-3]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 수립의 배경과 목적 ··· 7

[그림1-4] 계획의 공간적 범위 ··· 8

[그림1-5] 계획의 주요 내용 ··· 9

[그림1-6] 계획의 수행절차와 방법 ··· 10

[그림1-7] 계획수립의 추진경과 ··· 11

[그림2-1] 서해안권의 대내‧외 위상과 위치 ··· 15

[그림2-2] 서해안권의 표고 및 경사도 현황 ··· 16

[그림2-3] 서해안권의 하천수계 현황 ··· 17

[그림2-4]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높이 추이 및 지난 30년 해수면 상승률 ··· 18

[그림2-5] 서해안권의 생태‧자연도 현황 ··· 18

[그림2-6] 서해안권의 보존·보호지역 현황 ··· 19

[그림2-7] 서해안권의 인구 추이 ··· 20

[그림2-8] 서해안권의 인구구조 현황 ··· 21

[그림2-9] 서해안권의 순이동 인구 현황 ··· 22

[그림2-10] 서해안권과 타 시‧군 간 인구 전출‧입 현황 ··· 22

[그림2-11] 서해안권의 지역내총생산(당해년가격) 현황 ··· 28

[그림2-12] 서해안권의 산업구조 현황 ··· 29

[그림2-13] 지역별 산업특화도 분석결과 ··· 31

[그림2-14] 서해안권의 제조업 분포현황 ··· 32

[그림2-15] 서해안권의 제조업 사업체당 평균 종사자수 및 평균 매출액 ··· 32

[그림2-16] 서해안권의 산업단지 분포현황 ··· 34

[그림2-17] 서해안권의 대학교 분포현황 ··· 37

[그림2-18] 서해안권의 지역축제 개최현황 ··· 38

[그림2-19] 서해안권의 역사문화권 ··· 39

[그림2-20] 서해안권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유산 ··· 39

[그림2-21] 서해안권의 관광(단)지 및 관광특구 분포현황 ··· 43

[그림2-22] 서해안권의 관광기반시설 분포현황 ··· 44

[그림2-23] 서해안권의 관광객 수 변화 추이 ··· 45

[그림2-24] 서해안권의 도로 분포현황 ··· 48

(10)

[그림2-27] 서해안권의 무역항 및 어항 분포현황 ··· 52

[그림2-28] 한·중·일 교역량 현황 ··· 53

[그림2-29] 한-중·일 간 품목별 무역변화 추이 ··· 54

[그림2-30] 김포국제공항 ~ 중국과 일본 여객 및 화물 추이 ··· 54

[그림2-31] 인천국제공항 항공화물 및 주요 항만 컨테이너 수송실적 추이 ··· 55

[그림2-32] 중국과 일본의 방한 입국객 추이 및 관광목적 비율 ··· 55

[그림2-33] 지역 간 통행 연계성 분석결과 ··· 57

[그림2-34] 지역 간 통행 중심성 분석결과 ··· 58

[그림2-35] 지역 간 산업 연계성 분석결과 ··· 59

[그림2-36] 지역 산업 중심성 분석결과 ··· 60

[그림2-37]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특별법」 상 계획의 수립 및 승인절차 ··· 61

[그림2-38] 인천시 공간 발전구상 ··· 70

[그림2-39] 경기도 공간 발전구상 ··· 70

[그림2-40] 충청남도 공간 발전구상 ··· 71

[그림2-41] 전라북도 공간 발전구상 ··· 71

[그림2-42] 인천 관광권 구분 ··· 72

[그림2-43] 경기 관광권 구분 ··· 72

[그림2-44] 충남 관광권 구분 ··· 73

[그림2-45] 전북 관광권 구분 ··· 73

[그림2-46] 서해안권 발전사업 추진의 한계 ··· 80

[그림2-47] 전문가 자문단 의견에서 나타난 주요 키워드 ··· 86

[그림2-48] 메가트렌드 변화 전망 ··· 87

[그림2-49] 여건의 변화가 서해안권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역량 강화 필요성 ··· 88

[그림2-50] 글로벌 경제협력체계 구상의 주요 내용 ··· 89

[그림2-51]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기본방향 ··· 90

[그림2-52]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및 혁신도시별 특화산업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 ··· 90

[그림2-53] 한국판 뉴딜정책의 개요 ··· 91

[그림2-54] 해양용도구역 지정(안)의 기본개념 ··· 93

[그림2-55] 인천해안권 + 경기해안권 일부 ··· 95

[그림2-56] 경기해안권 일부 + 충남해안권 일부 ··· 95

[그림2-57] 충남해안권 일부 + 전북해안권 ··· 96

[그림2-58] 서해안권의 발전잠재력 종합 ··· 97

(11)

[그림3-3] 공간 발전구상의 개요 ··· 103

[그림3-4] 서해안권의 공간 발전구상 ··· 105

[그림3-5] 계획지표의 도출 ··· 107

[그림4-1] 사업검토의 절차와 방법 ··· 114

[그림4-2] 전체사업의 구성과 의미 ··· 115

[그림4-3] 전체사업 발굴결과 ··· 117

[그림4-4] 국가발전의 동력 ··· 123

[그림4-5] 전략1의 프로젝트와 단위사업의 구성 ··· 124

[그림4-6] 전략2의 프로젝트와 단위사업의 구성 ··· 136

[그림4-7] 방한 외래객의 방문지 및 2040년 수요 전망 ··· 144

[그림4-8] 전략3의 프로젝트와 단위사업의 구성 ··· 145

[그림4-9] 서해안권 10대 ‘보고싶은 섬’ 사업대상지 ··· 155

[그림4-10] 전략4의 프로젝트와 단위사업의 구성 ··· 158

[그림4-11] 한강하구 남북공동수역 평화적 활용 종합도 및 평화경제특구(김포) 조성사업 위치도 · 160 [그림4-12]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도 및 국도77호선 노선도 ··· 163

[그림4-13] 전략5의 프로젝트와 단위사업의 구성 ··· 164

[그림4-14] 철도망 확충 위치도 ··· 169

[그림4-15] 수소경제 개념도 ··· 177

[그림4-16]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주요 내용 ··· 178

[그림4-17]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목표 ··· 179

[그림4-18] 청정수소 생산 및 공급과 연구․개발, 실증을 위한 거점 조성 및 생태계 구축도 · 180 [그림4-19] 평택 수소에너지 융․복합단지 및 수소교통 복합기지 조성사업 대상지 및 계획도 · 182 [그림4-20] 당진 에너지신산업 실증특구 조성사업 대상지 기반시설 현황 ··· 183

[그림4-21] 새만금 그린수소 생산 실증단지 조성사업 및 그린수소 복합단지 조성사업 대상지 및 개념도·· 184

[그림4-22] 청정수소 생산·공급시스템 구축사업의 유사사례 ··· 185

[그림4-23] 글로벌 바이오산업 시장 현황과 전망 ··· 187

[그림4-24] 인천시 송도와 경기도 시흥 바이오헬스산업 거점 육성사업 대상지 및 주변지역 입지현황· 191 [그림4-25] 서해안권 바이오헬스산업 거점과 주변거점 연계구상도 ··· 192

[그림4-26] 서해안권 해양바이오산업 거점과 주변지역 연계구상도 ··· 192

[그림4-27]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구상도(좌) 및 바이오산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활용도(우) ·· 193

[그림4-28] 서해안권 바이오 산업벨트 조성사업의 유사사례 ··· 194

[그림4-29] 도심항공이동체 및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규모 성장 전망 ··· 196

(12)

[그림4-32]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전망과 산업부문‧산업단지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 205

[그림4-33]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조성사업 대상지 ··· 208

[그림4-34]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개념도 ··· 209

[그림4-35] 새만금 그린 산업단지 조상사업 대상지 및 계획도 ··· 210

[그림4-36] 스마트 그린 산단 추진성과 공유체계개념도 ··· 212

[그림4-37]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조성 및 확대사업의 단계별 추진계획 ··· 212

[그림4-38]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유사사례 ··· 213

[그림4-39] 국내 스마트팜 보급현황 ··· 215

[그림4-40] 스마트 농축산업 거점 및 주변거점 간 연계 구축도 ··· 220

[그림4-41] 농기기·장비 개발 및 육성을 위한 역할 ··· 222

[그림4-42] 스마트 농축산업 육성거점 조성사업의 유사사례 ··· 223

[그림4-43] 전국 및 서해안 갯벌 분포현황 ··· 224

[그림4-44] 우리나라 5대 핵심 해양생태축 지정현황 ··· 225

[그림4-45] 세계자연유산 등재 신청현황(‘한국의 갯벌’) ··· 226

[그림4-46] 코로나-19에 따른 국민여행의향조사 ··· 226

[그림4-47] 송도 조류대체서식지 조성사업 대상지 ··· 228

[그림4-48] 화성 매향리 갯벌습지보호지역 지정 대상지 ··· 229

[그림4-49] 천수만(서산·태안) 부남호 하구 및 갯벌 복원 대상지 ··· 229

[그림4-50] 금강하구 생태 복원 대상지 ··· 230

[그림4-51] 소래습지생태공원 활성화 대상지 ··· 230

[그림4-52] 한강하구습지센터 설치 대상지 ··· 231

[그림4-53]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사업 계획도 ··· 231

[그림4-54] 서해안권 세계유산센터 건립 대상지 ··· 232

[그림4-55] 갯벌 세계유산 등재 완성 및 확장 ··· 233

[그림4-56] 서해안 해양생태자원 보존 및 활용벨트 구축사업의 유사사례 ··· 234

[그림4-57] 수상레저 조정면허 취득 및 동력 수상레저기구 등록현황 ··· 235

[그림4-58] 서해안권 마리나산업 선순환구조 개념도 ··· 240

[그림4-59] 서해안권 마리나 조성방향 및 도입시설 예시 ··· 241

[그림4-60] 제부 마리나 대상지 위치 및 조감도 ··· 242

[그림4-61] 시흥 시화호 마리나 대상지 위치 및 조감도 ··· 242

[그림4-62] 보령 해양레저 복합 마리나 대상지 위치 및 조감도 ··· 243

[그림4-63] 궁항 마리나 대상지 위치 및 조감도 ··· 244

(13)

[그림4-67] 서해안권 마리나산업 육성단계 ··· 248

[그림4-68] 서해안 마리나 융․복합 산업거점 조성사업의 유사사례 ··· 249

[그림4-69] 관광도로와 주변자원 연계 개념도 및 관광도로 정비지구 예시 ··· 251

[그림4-70] 최근의 관광패턴 변화 ··· 253

[그림4-71] 서해안 관광도로 표지판 예시 ··· 260

[그림4-72] 아시안 하이웨이 사례 ··· 260

[그림4-73] 권역별 서해안 관광도로(선셋 드라이브) 조성사업 종합계획도 ··· 262

[그림4-74] 서해안 관광도로(선셋 드라이드) 조성사업 유사사례 ··· 263

[그림4-75] 우리나라 해양쓰레기 현황 ··· 264

[그림4-76] 해양쓰레기 관리주체별 주요 역할 ··· 265

[그림4-77] 국제사회 해양쓰레기 대응노력 ··· 266

[그림4-78] 제3차 해양쓰레기 관리기본계획 상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 ··· 266

[그림4-79] 서해안 해양쓰레기 대응 공동협력기반 조성사업의 개요 ··· 268

[그림4-80] 서해안권 국가하천 분포현황 ··· 270

[그림4-81] 해양쓰레기 대응 공동협력기반 조성사업의 유사사례 ··· 272

[그림5-1] 전체사업(신규SOC사업 제외)의 경제적 파급효과 ··· 280

[그림5-2] 사업화 및 재원 확보방안 ··· 287

[그림5-3] 서해안권 4개 시․도 간 협력거버넌스 구축 예시 ··· 288

[그림5-4] 중앙정부·지자체 협력체계 구축 예시 ··· 289

[그림5-5] 서해안권 스마트 관광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 수집과 활용 예시 ··· 290

[그림5-6] 서해안권 스마트 관광플랫폼의 구성 ··· 291

[그림5-7] 서해안권 스마트 모빌리티 조성 예시 ··· 292

[그림5-8] 통합브랜드 개발 사례 ··· 293

[그림5-9] 친환경적 개발 유도장치 예시 ··· 294

(14)
(15)

1. 계획의 위상과 성격 2. 계획수립 배경과 목적 3. 계획대상과 범위

4. 게획 수행체계

5. 추진경위 및 기대효과

제 1 장 계획 의 개요

(16)
(17)

:제1장: 계획의 개요

1 계획의 위상과 성격

1) 계획수립 근거와 활용

◦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서해안권을 동북아의 새로운 경제권 및 국제적 관광지 역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이하 해안내륙 발전법) 제5조 제1항*을 근거로 4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인천시,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가 함께 수립하고 국토부장관이 승인하는 10년 단위 중‧장기 계획임 *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 제5조 제1항 : 해안권 또는 내륙권과 관련된 시‧

도지사는 공동으로 해안권 또는 내륙권 발전종합계획안을 입안하여야 한다고 규정

◦ 국토의 최상위 계획인 국토종합계획과 도종합계획의 중간단계에 있는 지역계획 의 한 유형으로, 해안내륙발전법 상 개발구역 지정(법 제7조) 및 개발계획 수립 과 승인(법 제12조)의 준거가 되는 지침계획이자, 다양한 사업 발굴 및 제시, 투 자 촉진방안 등을 제시하는 사업계획임

◦ 수립·고시되는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중앙정부의 정책 수립 및 재정지원의 근거인 동시에, 관련지자체의 지역개발사업계획 수립, 예산편성과 시행 등을 위 한 지침이자 민간에게는 투자 및 참여 결정을 위한 검토자료로 활용될 것임

계획의 위상 계획의 활용

중앙정부에게는 정책 수립 및 재정 지원의 근거

지자체에게는 지역개발사업계획의 수립, 예산 편 성과 시행 등을 위한 지침

민간에게는 투자 및 참여 결정을 위한 검토자료 [표1-1] 계획의 위상 및 활용

(18)

2) 계획의 성격과 수립방향

□ 광역계획

◦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서해안권이 지닌 다양성을 기반으로 지역-지역, 지역- 자원, 자원-자원을 이어주고 끌어주는, 연결성과 연대를 강화하는 광역계획임

◦ 이를 통해 서해안권이 지닌 공동의 잠재자원을 발굴하고, 관련사업의 시너지효과 를 극대화하며, 자립적 성장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축을 형성함

□ 종합계획

◦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산업, 자연과 환경, 문화와 관광을 비롯해 항만과 물류, 공항, 도로와 철도, 국제교류, 연계·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계획 의 성격을 지님

◦ 또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추진으로 서해안권 발전거점을 육성하는 동시에, 거점 간 네트워크 구축 및 사업 융‧복합을 통해 서해안권 전역과 전국으로 사업 추진 파급효과를 확산시킴으로써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함

□ 협력계획

◦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국토교통부와 4개 시‧도(인천시, 경기도, 충청남도, 전 라북도)가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재원 마련을 위해 노력하는 협력계획임

◦ 사업의 추진력 확보를 위하여 관련 중앙부처, 4개 시‧도, 25개 시‧군‧구가 참여하 는 총괄협의체를 비롯해 「지방자치법」 상 특별지방자치단체(광역지방연합), 초광 역협력 프로젝트별 협의체 등 다양한 협력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이 가능함

광역계획 종합계획 협력계획

[그림1-1] 계획의 성격 및 수립방향

(19)

2 계획수립 배경과 목적

1) 배경

□ 대내‧외 여건의 변화

◦ (인구 감소와 경제 저성장) 저출산과 고령화로 노동력 감소 등 지역위기가 가중되고 있으며, 지역의 전통적인 주력산업 붕괴로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 -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5,178만 명에서 2028년 5,194만 명까지 증가하나, 이후 점

차 감소해 2040년에는 5,086만 명으로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도 2020년 16.1%에서 2030년 25.5%, 2040년 34.3%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통계청, 2020)

- 자동차, 전자, 조선업, 섬유 등 산업거점이 붕괴되면서 지역경기 전체가 동반 하락하 락하고 있는데다, 지난해 WHO 팬데믹 선언은 세계경제활동 둔화와 내수경제 침체 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는 등 산업위기지역은 갈수록 증가

◦ (4차산업혁명시대 도래) 급속한 기술 발달 등으로 기존 산업구조 변화와 새로운 생 태계 형성 등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임

- 4차산업혁명은 공정혁신, 제품혁신, 가치사슬구조 변화와 같은 경로를 통해 우리 지 역경제와 산업공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산업연구원, 2017)

- 단순한 제조업과 핵심기술에 한정된 단편적인 변화가 아니라 산업 전반의 변화를 위한 혁신생태계와 역량으로 국내‧외 지역들과 무한경쟁은 불가피

◦ (자치분권 확대) 행정분권에 이은 재정 및 산업분권으로의 진전은 중앙정부 간섭과 지원 축소와 함께, 지역주도의 자립적 성장기반 마련과 연대 필요성을 증대시킬 것임 - 서해안권 시‧군‧구 평균 재정자립도는 24.4%로 전국 평균(44.9%)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며, 서해안권 내 지자체 간 격차도 심각(각 지자체 홈페이지, 2020) - 분권의 가속화는 지역의 권한 제고와 동시에 재정적 책임성 강화도 의미하는 것으

로, 여전히 열악한 지역재정 기반을 고려한 다양한 생존전략과 방안 마련이 중요

◦ (대도시권 중심의 발달 가속화) 우리나라 국민의 약 80%가 거주하는 대도시권은 주변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성장해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5대 대도시권(수도권, 대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으로의 인구 증가 및 그에

따른 생산노동력 집중과 공간적 광역화가 지속(국토연구원, 2020)

- 대도시권의 기능적·공간적 팽창 및 확대는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반면, 소외 지역 증가와 지역 간 격차 심화도 야기시킬 우려 내재

(20)

□ 법‧제도적 기반의 확보

◦ 2007년 12월, 동‧서‧남해안권을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경제권이자 국제적 관광지역으 로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동‧서‧남해안권 발전 특별법」이 제정됨 - 2010년 4월, 동‧서‧남해안 중심의 대외개방형 미래성장축과 함께 내륙권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과 실행력 확보를 위하여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으로 확대 개정

◦ 건설교통부(現 국토교통부) 하에 동‧서‧남해안권발전기획단이 설치되고, ‘초광역 개발권 기본구상’(2009년)이 마련되었으며, 계획기간을 10년으로 하는‘서해안 권 발전종합계획’(2010년)과 변경계획(2017년)이 수립됨

- 2010년 최초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에서는 4개 추진전략 - 10개 프로젝트 – 99 개 사업이 제시되었으며, 대내‧외 여건변화와 사업 추진현황 등을 고려한 2017년 변 경계획에서는 2010년 계획의 비전과 추진전략, 프로젝트를 그대로 반영시키되 사업 추진실태 분석결과를 종합 검토한 후 모두 80개 사업으로 정리

◦ 2019년 말, 법 개정을 통해 특별법 유효기간이 2020년에서 2030년으로 10년 연장 되면서 해안내륙권 재도약의 기회가 마련됨

- 이에 그동안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추진성과와 과제를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10년 동안의 체계적·종합적 발전을 위한 변경계획 수립 필요성이 제기

[그림1-2]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의 추진경과

(21)

2) 목적

◦ 지난 10년 국가의 정책적 지원에 힙입어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에서 제안된 여 러 사업들이 구체화 되거나 추진되었으며, 이는 환황해경제권의 중심지이자 초광 역 연계‧협력권으로서 서해안권 발전축 형성에 기여함

◦ 다만,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지원 부족이나 경제 저성장에 따른 민간자본 유치의 어려움 등에 기인해 계획수립 대비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이에, 이번 계획에서는 서해안권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과 정책환경의 변화 속에 서 강점을 살리고 약점은 보완하며, 위기는 극복하고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 한 변경계획을 수립하고자 함

◦ 특히 경제ㆍ문화ㆍ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지역산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간 교류 와 협력 증대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와 균형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 이를 위하여 환황해경제권 발전의 선두주자로서 서해안권 발전잠재력을 끌어내 고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4개 시‧도 해안권 공동발전의 미래비전과 전략을 제시 하고, 이를 실현할 사업을 구상하는 것이 이번 변경계획의 목적임

[그림1-3]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 수립의 배경과 목적

(22)

3 계획대상과 범위

1) 공간 대상

◦ 인천광역시·경기도·충청남도·전라북도 4개 시‧도의 25개 시‧군‧구가 대상임 (「해안내륙발전법」 제5조제3항 및 시행령 제3조제1항의2와 제3항 관련 [별표1])

- 인천 8개 지자체 : 중구, 동구, 미추홀 구, 연수구, 남동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 경기 6개 지자체 : 안산시, 평택시, 시

흥시, 화성시, 파주시, 김포시

- 충남 7개 지자체 : 보령시, 아산시, 서 산시, 당진시, 서천군, 홍성군, 태안군 - 전북 4개 지자체 : 군산시, 김제시, 고

창군, 부안군

◦ 계획대상 서해안권의 전체 면적은 9,345㎢이고 인구는 6,922천 명임 - 우리나라 전 국토의 약 9.3%와 전국

인구의 약 13.4%를 차지

2) 시간적 범위

◦ 기준연도 : 2019년

◦ 목표연도 : 2030년 (* 계획의 체계적·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단계 제시) - 1단계 : 2021~2025년

- 2단계 : 2026~2030년

[그림1-4] 계획의 공간적 범위

(23)

3) 주요 계획내용

◦ 「해안내륙발전법」 제5조 제1항에서는 발전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 해안권 발전을 위한 기본시책, 자연환경 보전 및 오염방지, 동북아 관광휴양거점 구 축, 미래형 항만물류산업 육성, 지역주력산업 등 제조업 혁신, 농수산업 구조고도화, SOC 정비와 확충, 투자재원 조달, 국제행사 유치‧개최 및 지원, 연계‧협력사업 등

◦ 이를 기본으로 하여 이번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에서는 크게 개발여건 잠재력, 공동발전 기본구상, 전략별 발전계획, 집행‧관리방안을 구분하여 제시함 - 첫째,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속에서 서해안권이 지닌 개발여건과 잠재력을 발견하

는 동시에, 장점은 살리고 기회요인은 활용하며 단점을 최소화하고 위협요인은 극복 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

- 둘째, 지역의 자립기반 구축, 국가 균형발전정책 등을 주도할 수 있도록 개발여건과 잠재력 및 과제 분석결과를 기초로 2030년 국토공간 상에서 차지할 서해안권 위상 과 역할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서해안권 공동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 및 공간 발전구상을 제시

- 셋째, 2017년 변경계획 상 기존사업 추진현황 검토결과(제외, 변경, 유지 등)와 신규 사업 발굴결과 등을 종합해 서해안권 공동발전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 한 사업을 제시하고, 이들 가운데 지역 간 연계‧협력의 관점에서 중요한 핵심사업을 선정하여 추진계획을 구체화

- 넷째,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 추진을 위한 사업의 투자계획을 비롯해 협력 적 거버넌스 등 추진주체, 사업화 및 재원의 확보, 홍보 및 마케팅 전략, 환경친화적 개발 등 지속가능한 서해안권 발전을 위한 집행‧관리방안을 제안

[그림1-5] 계획의 주요 내용

(24)

4 계획 수행체계

◦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의 수립과정은 크게 3단계(발전잠재력과 과제 도출단계, 구상 설정 및 사업계획 수립단계, 실행방안 제안단계)로 구성됨

◦ 1단계, 발전잠재력 및 과제 도출에서는 지역 특성, 기존사업 추진실태, 관련법률‧

계획, 지역의견, 대내‧외 여건 변화 전망, 서해안권 위상과 역할 등을 문헌조사, 통계자료 및 GIS 분석, 관련자 면담 및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수행함

◦ 2단계, 구상 설정 및 사업계획 수립에서는 1단계 결과를 토대로 서해안권 공동발 전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 및 공간 발전구상과 전략별 사업추진계획을 각 지자 체 제안, 관련 국가정책에 대한 문헌조사, 관련자 면담 및 현지답사, 중앙부처 및 지자체 간 협의와 조정,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제시 및 수립함

◦ 3단계, 실행방안 제안단계에서는 사업비 투자계획 제시부터 이번 계획의 지역경 제 파급효과 분석, 지속가능한 추진방안 등을 중앙정부·지자체 협의, 전문가 자 문, 관련제도 분석 등을 통해 제안함

[그림1-6] 계획의 수행절차와 방법

(25)

5 추진경위 및 기대효과

1) 그동안 추진경위

◦ 국토교통부와 4개 시‧도 간 공동협약 하에 계획 수립 용역 착수(2020년 2월)

◦ 분야별 전문가 19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단 구성(2020년 3월), 1차 회의, 2차 회의 및 3차 회의 개최(2020년 4월과 8월, 2021년 3월)

◦ 계획 수립 보고 및 의견수렴을 위한 착수보고 개최(2020년 4월)

◦ 시‧도별 기존사업 검토결과와 신규사업 발굴결과 제출(2020년 4월~6월) 및 제출된 제안서 검토(2020년 6월~8월)

◦ 계획(안) 마련 및 의견수렴을 위한 중간보고 개최(2020년 4월)

◦ 「국토기본법」 제19조의2를 근거로 국토계획평가협의회 구성(2020년 5월), 1차 국토 계획평가협의회 개최(2020년 7월) 및 2차 국토계획평가협의회 개최(2021년 1월), 국 토계획평가 세부평가기준 및 방법 결정 및 국토교통부 송부(2021년 2월)

◦ 4개 시‧도 관련부서와 지역연구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업무협의 및 면담 추진 및 주요 사업대상지 현지답사 실시(2020년 6월), 4개 시‧도와 업무협의 실시(2020년 9월~10월), 국토교통부 및 4개 시‧도와 워크숍 개최(2021년 3월)

◦ 최종보고 개최(2021년 3월), 지역주민과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 개최 예 정(2021년 6월) 및 국토계획평가 요청서 제출 예정(2021년 6월)

◦ 시‧도지사, 시‧도의회 의장, 시‧도 지방연구원 원장,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서해 안권발전공동협의회 심의 예정(2021년 6월)

◦ 4개 시‧도가 국토교통부에 계획(안) 승인 신청 후, 국토교통부는 관계행정기관 협 의와 국토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고시 예정(2021년 6~7월)

사업 검토

‧계획 수립 (’20.3~’21.2)

전문가‧주민 의견수렴 (’21.3~5)

발전공동 협의회 심의

(’21.6)

계획(안) 승인 신청

(’21.6)

관계행정기관 협의 (’21.6)

국토정책 위원회 심의

(’21.6~7)

계획(안) 승인·고시

(’21.7)

‧도 시‧도 시‧도‧도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그림1-7] 계획수립의 추진경과

(26)

2) 기대효과

□ 광역적 연계‧협력 환경 조성을 위한 기틀 마련

◦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되고 경제 저성장이 지속되며 분권화로 대규모 사업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이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자체 간 경쟁이 아닌 연대와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음

◦ 최근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광역정부연합 또한 이러한 필요를 반증하는 현상 으로, 풍부한 자원을 공유하고 있는 서해안권이야말로 광역적 연계‧협력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지라고 할 수 있음

◦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정책분위기 속에서 2030년을 목표로 시‧도를 넘어서는 다 양한 사업을 제시한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이야말로 4개 시‧도 간 연계

‧협력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 특화발전 정책 구현에 기여

◦ 오랫동안 역대 정부는 지역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간 격차 완화와 균형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는 동시에, 지역이 지닌 고유한 자원 개발과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특화발전을 시도함

◦ 이 모두는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도별 특성과 발전잠재력을 토대로 수립된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은 국가 균 형발전과 지역 특화발전 정책을 실천하는 계기와 발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개방성과 다양성을 지닌 환황해 국토축으로서 위상과 역할 강화

◦ 서해안권은 동해, 남해, 접경지역 등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토축의 하나 이자 북한, 중국 등과 접해 있고, 또한 환황해경제권의 중심지에 입지해 있다는 지리적 이점을 지니고 있음

◦ 이번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계획은 글로벌 경제프론티어로서의 서해안권이 지닌 역량과 잠재력을 기반으로 개방성과 다양성을 기초로 사람과 기술과 자본 이 모이는, 환황해경제권의 중심지대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7)

1. 서해안권 현황과 특성 2. 관련법률 및 계획

3. 기존사업의 추진실태

4. 서해안권 발전에 관한 지역의견 5. 미래여건 및 정책환경의 변화 6. 발전잠재력과 계획과제

제 2 장 개발여건과 잠재력

(28)
(29)

:제2장: 개발여건과 잠재력

1 서해안권 현황과 특성

1) 입지여건

◦ (대외적 입지여건) 서해안권은 환황해경제권의 지정학적·지경학적 요충지로 중국 동부지역과 일본 서부지역을 비롯해 동남아시아 진출의 전초기지이자 해양항로 개척의 중심지임

-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배후시장을 보유한 거대경제권 중심에 위치해 있 으므로 인적·물적 교류거점으로서 역할 수행이 가능한 지역

◦ (대내적 입지여건) 수도권에서 한반도 남쪽으로 해안선 길이는 1,600.6㎞ 길 이(도서 미포함)이며, 4개 시‧도 및 25개 시‧군‧구를 포함하는 광역적 선형의 연안지역으로 수도권, 내륙권 및 호남권과의 연계가 용이함

- 서해안 첨단산업벨트와 서해안 국제관광권으로 이루어져 있어 기존 경제 및 산업기반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 보유

- 특히, 인천공항과 김포공항, 인천항과 평택항, 새만금 등 국제적인 교통과 물류의 관문지역으로서의 기능 확대가 기대되는 지역

[그림2-1] 서해안권의 대내‧외 위상과 위치

(30)

2) 자연환경

◦ (지형·지세) 서해안권 계획대상지는 비교적 평야가 많은 완만한 지형으로 양호한 개발 여건을 지니고 있음

- 표고 50m 미만과 50~100m이 전체 면적의 74.9%와 13.1%를 차지하고 있고, 경사도 5˚이하와 5~10˚이하가 전체 면적의 72.6%와 14.3%를 차지

< 표고 > < 경사도 >

자료 : 국토지리정보원, 지역별 DEM(http://ngii.go.kr) 자료(2014년 기준)를 기초로 작성함.

[그림2-2] 서해안권의 표고 및 경사도 현황

◦ (하천·수계) 서해안권의 하천은 총 636개로 연장은 1,681㎞(인천 80㎞, 경기 786㎞, 충남 475㎞, 전북 340㎞)이며, 이는 전국(21,149㎞)의 7.9%를 차지하는 것임

- 국가하천은 10개소(총연장 141㎞)로 전국 국가하천(132개소)의 7.6%를, 지방하천은 225개소(총연장 891㎞)로 전국 지방하천(2,097개소)의 10.7%를 차지

- 서해안권의 대표적인 하천으로는 우리나라 4대강의 하나인 한강과 금강을 비롯해 만경강과 동진강, 안성천과 삽교천 등이 통과

(31)

자료 : 통계청, 하천 자료(2018년 기준)(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그림2-3] 서해안권의 하천수계 현황

◦ (해안·도서) 서해안권의 해안선 길이는 3,115.1㎞로 전국 해안선(14,267.4㎞)의 21.8%에 달하며, 해수욕장이나 갯벌의 발달로 관광지 개발에 양호한 조건임

- 도서 수와 면적은 567개와 493.8㎢로 전국 도서 수(3,891개)의 14.6%, 전국 도서 면 적(2,670.8㎢)의 18.5%에 해당

구분

해안선(㎞, %) 도서

육지부 도서부 개수(개, %)

면적(, %)

유인도 무인도

전국 14,267.4 (100.0)

7,571.2 (100.0)

6,664.2 (100.0)

3,891 (100.0)

461 (100.0)

3,430 (100.0)

2,670.8 (100.0) 서해안권 3,115.1

( 21.8)

1,620.8 ( 21.4)

1,462.6 ( 21.9)

567 ( 14.6)

98 ( 21.3)

469 ( 13.7)

493.8 ( 18.5)

인천 1,063.5 345.6 686.1 162 35 127 290.2

경기 260.1 217.6 42.6 35 5 30 5.0

충남 1,242.0 808.1 434.0 268 33 235 164.0

전북 549.5 249.5 299.9 102 25 77 34.6

자료 : 통계청, 시‧도별 해안선 및 도서 자료(2018년 기준)(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표2-1] 서해안권의 해안선 및 도서 현황

(32)

◦ (기상·기후) 서해안권의 평균기온(2013~2017년)은 약 12.9℃이고, 연평균 강수량 은 약 953㎜로 온난하고 다습한 온대기후지역임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특히 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에 미치는 영향이 강 할 것으로 우려되는데, 지난 30년(1989~2017년) 간 우리나라 해수면 평균 상승률은 3.0㎜(해안권별로는 제주도 부근 4.6㎜, 동해안 4.3㎜, 남해안 2.7㎜, 서해안 2.0㎜)

자료 : 국립해양조사원, 실시간해양관측정보시스템 자료(2017년 기준)(http://khoa.go.kr).

[그림2-4]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높이 추이 및 지난 30년 해수면 상승률

◦ (생태‧자연도) 서해안권 생태‧자연도는 2 등급 지역(장차 보전의 가치가 있는 지 역 및 1등급 지역의 외부지역)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음

- 멸종위기 동‧식물의 주 서식지로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수려한 1등급 지 역이 적게 분포해 있어서 각종 사업 추진 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

- 반면, 1등급 지역과 2등급 지역을 제외한 개발 또는 이용 대상이 되는 3등급 지역 또한 적게 분포해 있어서 환경친화적 개 발에 대한 고려가 필요

자료 : 환경부, 생태자연도(2019년 기준)(http://me.go.kr).

[그림2-5] 서해안권의 생태‧자연도 현황

(33)

◦ (보존·보호지역) 서해안권에는 자연공원을 비롯해 습지보호지역, 생태‧경관보전지 역, 수산자원보호지역 등이 지정되어 있음

- 자연공원 : 충남 태안해안 국립공원, 전북 변산반도 국립공원, 모악산 도립공원, 선 운산 도립공원 등 모두 4개의 자연공원(면적 617.9㎢)을 보유(전국 86개의 4.7%, 전국 지정면적 16,303.1㎢의 3.8%)

- 습지보호지역 : 서해안권에는 모두 10개의 습지보호지역(인 천 장봉도갯벌·송도갯벌, 경기 시흥갯벌·대부도갯벌, 충남 두웅습지·서천갯벌, 전북 부안줄포만 갯벌·고창 인천강하구·고창갯벌·운곡 습지 등 220.1㎢)이 있는데, 전국 44개의 20.5%와 전국 1,552.8㎢의 14.2%를 차지하 며, 이중 6곳(송도갯벌·두웅 습지·서천갯벌·부안줄포만 갯벌·고창갯벌·운곡습지) 이 람사르등록습지임1)

- 생태‧경관보전지역 : 서해안권 에는 1개의 생태‧경관보전지 역(0.121㎢)이 분포해 있는데, 이는 전국 33개의 3.0%와 전 국 285.7㎢의 0.04%를 차지 하는 비율

- 수산자원보호구역 : 서해안권에는 5개의 수산자원보호구역(평택호, 남양호, 천수만, 아산호, 삽교호 등 195.9㎢)이 지정되어 있는데, 이는 전국 46개의 10.9% 및 전국 3,171.4㎢의 6.2% 수준

1) 람사르등록습지(Ramsar wetlands) : 람사르협회가 독특한 생물지리학적 특징을 가진 곳이나 희귀동식물종의 서식지, 는 물새 서식지로서의 중요성을 가진 곳을 대상으로 지정해 보호하는 습지. 2021년 3월 현재, 우리나라 람사르등록습지는 모두 22곳으로 대암산용늪, 우포늪, 신안장도 산지습지, 순천만·보성갯벌, 물영아리오름 습지, 무제치늪, 두웅습지, 무안갯벌, 물장오리오름 습지,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1100고지 습지, 서천갯벌, 고창·부안갯벌, 제주 동백동산 습지, 운곡습지, 증도갯벌, 한강밤섬, 송도갯벌, 제주 숨은물뱅듸, 한반도습지, 순천 동천하구가 그곳임.

자료 : 환경부, 자연공원 지정현황(2017년 기준), 습지보호지역 및 생태‧경관보전 지역 지정현황(2020년 기준)(http://me.go.kr) 및 해양수산부, 수산자원 보호구역 지정현황(2019년 기준)(www.mof.go.kr)을 기초로 작성함.

[그림2-6] 서해안권의 보존·보호지역 현황

(34)

3) 인문환경

□ 인구

◦ (총 인구수) 서해안권 인구는 매년 조금씩 증가 추세이며, 2019년 현재 692만 2,000명으로 전국의 13.4%를 차지함

- 다만, 인천 및 경기해안권 인구는 매년 증가하는 반면에 충남 및 전북해안권 인구는 약간씩 감소 추세

(단위 : 천명, 세대, %)

구분 인구 비율 세대수 비율 전년대비

인구증가율

전국 51,850 100.0 22,481 100.0 0.05

서해안권 6,922 13.4 2,953 13.1 1.80

인천 2,142 4.1 904 4.0 1.16

경기 3,344 6.4 1,392 6.2 3.27

충남 973 1.9 441 2.0 -0.18

전북 463 0.9 216 1.0 -1.41

주 : 인구증가율은 전년도 대비 당해 연도 증가율임.

자료 : 통계청, 시‧군‧구별 인구수, 주민등록세대수 및 인구증가율 자료(2019년 기준)(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표2-2] 서해안권의 인구 및 세대 현황

[그림2-7] 서해안권의 인구 추이

(35)

◦ (경제활동인구) 전국 경제활동인구 2,818만 6,000명 중 서해안권의 경제활동인 구는 440만 5,000명으로 15.6%를 차지함

- 서해안권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5.6%로 전국 63.3%보다 약간 높고, 실업률은 2.6%로 전국 3.8%보다 낮은 수준

(단위 : 천인, %)

구분 경제활동인구 비경제

활동인구

경제활동

참가율 실업률

소계 취업자 실업자

전국 28,186 27,123 1,063 16,318 63.3 3.8

서해안권 4,405 4,251 154 2,364 65.6 2.6

인천 1,653 1,581 72 876 65.4 4.4

경기 1,933 1,865 68 1,054 64.3 3.6

충남 580 570 10 279 68.5 1.5

전북 239 235 4 156 64.2 1.0

주1 주2 자료

: 인천의 경우 군‧구 단위의 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인천광역시 전체를 기준으로 작성함.

: 각 해안권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실업률은 해당 시‧군의 평균값임.

: 통계청, 시‧도별 경제활동인구 자료(2019년 기준)(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표2-3] 서해안권의 경제활동인구 현황

◦ (인구구조) 서해안권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약 13.4%로 전국 평균 15.5%

보다는 낮은 수준임

- 다만, 인천 및 경기해안권의 고령인구 비율이 각각 13.1%와 10.5%인 반면에 충남 및 전북해안권은 각각 19.1%와 23.6%로 지역 간 큰 차이

자료 : 통계청, 행정구역(읍‧면‧동)별/5세별 주민등록인구 자료(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그림2-8] 서해안권의 인구구조 현황

(36)

◦ (인구이동) 서해안권은 전체적으로 전출인구보다는 전입인구가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으나, 서해안권 내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인천 및 경기해안권의 경우 전출자수보다 전입자수가 많은 반면, 충남 및 전북해 안권은 전입자수보다 전출자수가 더 많아 인구유출에 대한 대책이 필요

- 서해안권과 타 시‧군 간 전출‧입 현황을 보면, 서울지역과 경기지역으로의 인구유출 이 충남지역이나 전북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

자료 : 통계청, 시‧군‧구별 이동자수 자료(2019년 기준)(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그림2-9] 서해안권의 순이동 인구 현황

자료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국내인구이동통계(2019년 기준)(http://mdis.kostat.go.kr)를 기초로 작성함.

[그림2-10] 서해안권과 타 시‧군 간 인구 전출‧입 현황

(37)

□ 토지이용

◦ (지목별 토지이용) 서해안권에서는 전, 답, 대지, 공장용지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 은 반면, 임야 비율은 36.8%로 전국의 임야 비율인 63.5%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서해안권 임야면적은 전국 임야면적의 5.4%에 불과하나, 전과 답은 각각 전국의

12.5%와 20.1%를, 대지와 공장용지도 전국의 14.8%와 25.5%를 차지

(단위 : ㎢)

구분 총면적 임야 대지 공장용지 기타*

전국 99,857.5

(100.0%)

7,548.2 (7.6%)

11,149.2 (11.2%)

63,441.3 (63.5%)

3,127.2 (3.1%)

992.0 (1.0%)

13,599.5 (13.6%) 서해안권 9,314.6

(100.0%)

945.2 (10.1%)

2,238.0 (24.0%)

3,424.2 (36.8%)

463.4 (5.0%)

253.4 (2.7%)

1,990.5 (21.4%)

인천

소계 985.7 74.6 152.8 373.3 92.5 23.5 269.0

중구 140.3 4.7 5.6 31.1 13.2 1.8 83.8

동구 7.2 0.0 0.0 0.1 1.8 2.4 2.9

미추홀구 24.8 0.2 0.0 1.7 10.8 1.2 10.9

연수구 54.9 0.9 0.3 4.0 16.5 1.4 32.0

남동구 57.0 5.7 1.1 10.3 11.9 6.5 21.6

서구 117.1 8.5 10.7 27.1 18.1 9.2 43.5

강화군 411.4 38.9 122.3 177.6 16.1 1.1 55.4

옹진군 172.9 15.7 12.8 121.5 4.0 0.0 18.8

경기

소계 2,396.3 247.4 501.8 768.8 162.6 126.4 589.4

안산시 155.6 12.1 11.1 52.7 19.0 12.7 48.1

화성시 693.9 77.8 150.5 230.5 43.4 46.9 144.9 평택시 458.3 39.7 154.5 78.5 32.4 22.8 130.4

시흥시 138.7 20.6 14.8 37.7 13.8 9.0 42.8

파주시 673.2 72.4 110.3 304.0 31.7 17.0 137.9

김포시 276.6 24.9 60.6 65.5 22.3 17.9 85.4

충남

소계 3,889.6 401.7 951.4 1,627.7 133.3 76.3 699.1 보령시 574.1 41.7 102.9 327.3 16.9 3.6 81.6 아산시 542.8 54.8 125.8 208.3 26.7 23.5 103.7 서산시 741.3 78.6 193.4 289.0 21.4 17.9 141.0 당진시 705.4 70.1 211.3 229.2 23.2 23.4 148.2 서천군 366.1 31.8 108.4 145.7 14.1 2.0 64.2

홍성군 444.1 60.4 97.7 194.4 17.9 3.0 70.7

태안군 515.8 64.3 111.9 233.8 13.2 3.0 89.8

전북

소계 2,042.9 221.6 632.0 654.3 75.0 27.2 433.0 군산시 396.4 20.4 131.7 79.1 24.7 19.3 121.3 김제시 545.8 54.0 217.7 115.5 19.6 5.7 133.4 고창군 607.4 94.0 140.9 261.4 17.0 1.1 93.1 부안군 493.2 53.3 141.6 198.3 13.7 1.1 85.2 주 : 기타는 지목 중 과수원, 목장용지, 광천지, 학교용지, 주차장, 주요소용지, 창고용지, 하천, 제방, 구거, 유지, 양어장,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 등을 포함하는 면적임.

자료 : 통계청, 시‧군‧구 지목별 토지현황(http://kosis.kr/) 자료(2018년 기준)를 기초로 작성함.

[표2-4] 서해안권의 지목별 토지 현황

(38)

◦ (용도지역_도시지역) 서해안권의 도시지역은 2,262.6㎢로 전국 도시지역(17,788.9㎢) 대비 12.7% 수준으로 나타남

- 서해안권 내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이 59.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주거지역 16.7%, 공업지역 11.9%, 상업지역 2.5% 순으로 조사

(단위 : ㎢)

구분 도시지역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미지정지역

% % % % %

전국 17,788.9 2,683.9 15.1 334.6 1.9 1,198.1 6.7 12,628.5 71.0 943.8 5.3 서해안권 2,262.6 377.0 16.7 56.7 2.5 269.7 11.9 1,340.8 59.3 218.4 9.7

인천

소계 502.2 95.6 19.0 20.9 4.2 57.5 11.5 243.0 48.4 85.1 16.9 중구 141.2 12.3 8.7 6.0 4.2 13.2 9.4 109.6 77.6 0.1 0.1 동구 7.6 2.4 31.6 0.5 6.0 3.9 51.4 0.8 10.9 0.0 0.0 미추홀구 24.9 14.9 60.0 3.3 13.1 2.3 9.2 4.4 17.7 0.0 0.0 연수구 123.3 21.7 17.6 4.7 3.8 4.5 3.6 23.5 19.1 68.9 55.9 남동구 68.6 16.2 23.5 2.0 2.9 10.3 15.0 28.5 41.4 11.7 17.1 서구 111.6 26.2 23.5 4.3 3.9 19.2 17.2 61.6 55.2 0.3 0.3 강화군 17.3 1.9 11.3 0.2 1.2 0.5 3.1 14.6 84.1 0.1 0.3 옹진군 7.6 0.0 0.1 0.0 0.0 3.6 47.1 0.0 0.0 4.0 52.8

경기

소계 939.2 180.2 19.2 21.0 2.2 86.1 9.2 647.9 69.0 4.0 0.4 안산시 151.5 23.1 15.2 2.9 1.9 16.7 11.0 108.8 71.8 0.0 0.0 화성시 317.6 52.8 16.6 6.0 1.9 15.2 4.8 240.7 75.8 2.9 0.9 평택시 152.2 40.6 26.7 6.1 4.0 30.3 19.9 74.0 48.6 1.1 0.7 시흥시 135.1 22.7 16.8 1.7 1.3 11.1 8.2 99.5 73.7 0.0 0.0 파주시 80.9 21.9 27.1 2.2 2.7 8.2 10.2 48.6 60.0 0.0 0.0 김포시 101.9 19.0 18.6 2.0 2.0 4.6 4.5 76.3 74.9 0.0 0.0

충남

소계 489.7 62.5 12.8 8.5 1.7 92.5 18.9 270.9 55.3 55.4 11.3 보령시 35.3 4.8 13.7 0.6 1.8 9.0 25.4 19.2 54.4 1.7 4.7 아산시 84.9 18.1 21.4 2.5 2.9 13.9 16.4 50.4 59.3 0.0 0.0 서산시 200.2 12.5 6.2 1.0 0.5 27.3 13.6 107.1 53.5 52.4 26.1 당진시 75.0 9.3 12.4 1.2 1.6 33.6 44.8 30.0 40.0 1.0 1.3 서천군 22.7 4.4 19.3 0.6 2.5 3.7 16.3 13.7 60.3 0.4 1.5 홍성군 36.1 8.7 24.2 0.9 2.5 2.3 6.3 24.1 66.7 0.1 0.3 태안군 35.5 4.6 12.9 1.6 4.6 2.8 7.9 26.4 74.5 0.0 0.0

전북

소계 331.5 38.8 11.7 6.3 1.9 33.6 10.1 178.9 54.0 73.9 22.3 군산시 207.4 18.9 9.1 4.2 2.0 27.9 13.4 83.0 40.0 73.3 35.4 김제시 43.8 7.9 18.1 1.0 2.3 3.1 7.1 31.8 72.5 0.0 0.0 고창군 32.5 4.6 14.3 0.5 1.6 1.1 3.3 26.2 80.8 0.0 0.0 부안군 47.8 7.3 15.2 0.5 1.1 1.5 3.2 38.0 79.5 0.5 1.1 자료 : 통계청, 시‧군‧구 용도지역 현황 자료(2018년 기준)(http://kosis.kr/)를 기초로 작성함.

[표2-5] 서해안권의 용도지역(도시지역) 현황

(39)

◦ (용도지역_비도시지역) 서해안권의 비도시지역은 7,898.4㎢로 전국 비도시지역 (88,496.9㎢)의 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서해안권의 비도시지역 중 관리지역이 54.7%로 가장 큰 비율을 보이고 있고, 그 다음 농림지역이 45.3%를 차지

(단위 : ㎢)

구분 비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 % %

전국 88,496.9 27,222.5 30.8 49,351.0 55.8 11,923.4 13.5 서해안권 7,898.4 3,452.1 43.7 3,464.6 43.9 981.7 12.4

인천 해안권

576.7 315.6 54.7 261.1 45.3 0.1 0.0

중구 - - - - - - -

동구 - - - - - - -

미추홀구 - - - - - - -

연수구 - - - - - - -

남동구 - - - - - - -

서구 19.9 13.8 69.2 6.1 30.8 0.0 0.0

강화군 393.3 152.1 38.7 241.2 61.3 0.0 0.0

옹진군 163.4 149.7 91.6 13.7 8.4 0.1 0.0

경기 해안권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