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해 해역의 지진지체구조 및 단층활동 특성조사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서해 해역의 지진지체구조 및 단층활동 특성조사연구"

Copied!
143
0
0

Teks penuh

공동조사를 통한 잠수함지진계(OBS)를 이용한 심부음파탐사를 통해 서해의 지각 및 상부맨틀구조를 조사하고, (5) 포텐셜자료를 이용한 지각구조 해석. Index Nederlands Seismo tectonics of the Yellow Sea, Quaternary 단층, 심층 지진. 지진의 지각구조와 서해 단층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기존 문헌에서 서해의 지각 구조와 지진 특성에 대한 간략한 분석. 서해 지진구조물 규명 및 해석을 위한 연구과제 및 연구방법 도출. 서해의 지진구조를 연구하기 위한 프로젝트 제안.

서해의 지각 및 상부 맨틀 구조를 이해하고 지진에 의한 지각 구조를 분석한다. 최근 서해에서 지진의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면서 서해의 지진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Suggestions for Applications

활성단층의 구조와 활동성 연구

태평양판과 호주판이 만나는 경계지역에 위치한 국립수질기상연구소(NIWA)는 지진 활동이 강하고 활단층이 발생하며 침하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화카타네 단층에서 지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999년 이후(Lamarche et al., 2000). Whakatane 리프트는 섭입대와 관련된 후방 사슬 확산의 결과로 형성되며 수반되는 확산으로 인해 계속 변형됩니다. 따라서 Whatakane Rift의 바다 쪽에서 수행된 이 조사는 다음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 단층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연결되어 단층 시스템을 형성하는지.

본 조사에서는 다채널 지진 프로파일, 고해상도(3.5KHz) 얕은 퇴적물 프로파일 및 시추공 퇴적물 데이터를 결합하여 각 단층 상부 및 전체 균열 영역을 통한 단층 변위 및 확장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얕은 해저 구조의 단층 활동이 인프라 변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활성 단층이 어떻게 전파되고 언제 작용하기 시작했는지를 보여주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그림 2-1).

지각구조 연구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OBS에 기록된 데이터의 처리 및 해석을 위한 것으로 국제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뉴질랜드 Whakatane Graben의 지질 구조 해석 지도로 주요 활성 단층과 다채널 위치를 보여줍니다. 남중국해의 심층 지진파 측심에서 파생된 지각 P파 속도(Vp) 모델(Qiu et al., 2011).

Fig. 2-1. Interpratation map of geologic structure of the Whakatane Graben, New Zealand, showing the major active faults and the positions of the multichannel
Fig. 2-1. Interpratation map of geologic structure of the Whakatane Graben, New Zealand, showing the major active faults and the positions of the multichannel

The Global Seismic Hazard Assessment Program (GSHAP)

2장에서는 서해의 지진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과제를 도출하고 기술수요 연구논문을 작성하였다. 서해 지진 지각 구조 및 연구 현황에 대한 개요. 서해 A의 지진원 및 지각구조에 대한 연구 현황 A.

모멘트 텐서는 한반도의 지진 특성을 연구하기로 했다. 주제어: 서해, 중규모 지진, 초점 메커니즘, 모멘트 크기. R&D 목표 서해 지진 단층대 탐지 및 특성 규명.

서해 지진 및 지각 연구를 위한 기술적 수요에 관한 연구. 지진조사가 실시될 서해 및 백령도 해상해역(빨간색 사각형)의 지진분포. 서해 지진과 동북아 지각구조에 대한 한·중 국제공동연구.

서해 및 주변지역 지진에 따른 위험/위험성 연구. 지진다발 해저구조물 조사 - 지진다발해역 파악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지진구조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 서해 지각/상부맨틀의 구조공을 이용한 지진구조체 분석. 연구가 부족한 서해의 지진구조모형 제안. 중자기자료를 이용한 서해의 지각변동 및 지진발생에 관한 연구.

지진에 의한 서해안의 지각구조 분석. 서해와 관련된 한반도의 지진과 지각구조를 연구하는 과제. 서해 지진구조물 인명구조 연구과제 제안.

서해의 지진구조와 단층활동특성의 중요성 제안.

Fig. 3-1-1-1. Distribution of s-wave velocity (Vs) at 70 km depth computed from ambient noise tomography (after Kim et a., 2014)
Fig. 3-1-1-1. Distribution of s-wave velocity (Vs) at 70 km depth computed from ambient noise tomography (after Kim et a., 2014)

Gambar

Fig. 1-1. Distribution of earthquakes recorded recentl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ig. 2-1. Interpratation map of geologic structure of the Whakatane Graben, New Zealand, showing the major active faults and the positions of the multichannel
Fig. 2-2. Crustal P-wave velocity (Vp) model derived from deep seismic sounding in the South China Sea (Qiu et al., 2011).
Fig. 3-1-1-1. Distribution of s-wave velocity (Vs) at 70 km depth computed from ambient noise tomography (after Kim et a., 2014)
+7

Referensi

Dokumen terkai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earch data on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in Arabic Language Learning in Students of Ma Ubudiy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