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국립공원 갈론계곡 망개나무의 생장환경 및 분포특성 연구
김태헌
1*·이한웅
1·조선국
1·이주형
1·김용훈
1·황보연
1·김창환
2·이남숙
31국립공원관리공단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 2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3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 at Gal-non Valley in Songnisan National Park
Tae-heon Kim
1* , Hwan-woong Lee, Sun-kook Jo, Ju-hyeung Lee, Yong-hun Kim, Bo-Yeon Hwang, Chang-hwan Kim
2and Nam-sook Lee
31Songnisan National Park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oeun, Korea
2Departmen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Departmen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design,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요 약 :속리산국립공원갈론계곡에서새롭게발견된망개나무 개체군은총 2,035본으로확인되었다. 우리나라 망 개나무 군락 중 최대 규모이며 분포면적은 80 ha, 해발고는 200~900 m, 경사도 10o~40o의북사면에 위치하고 서식 밀도는 25본/ha이었다. 망개나무의 평균직경은 17.6 cm, 평균수고 11.7 m, 평균분지수는 0.8개이며, 덩굴피압, 산림병 해충 감염 및 고사된 가지를 갖는 개체수가 전체의 43%를 차지하였다. 고정조사구내의 관속식물상은 28과 37속 40종 3변종 1품종의 총 44종류로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Ⅴ등급인 망개나무를비롯하여 개비자나 무, 굴참나무, 회리바람꽃등이며, 특산식물에는병꽃나무, 점현호색, 참갈퀴덩굴과 IUCN 평가기준에따른희귀식물 로는두메닥나무가확인되었다.
주요어 :망개나무, 서식밀도, 흉고직경, 관속식물
Abstract :The population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was newly found at Gal-non valley in Songnisan Nation Park and was distributed 2,035 individuals. It is supposed that the population is the largest until now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area and density was about 80ha and average 25 individuals/ha, respectively. The population was located in from 200 to 900 m altitude, 10~40o in northern slope. The average DBH, height and number of branching stems was 17.6 cm, 11.7 m and 0.8/individual, respectively. The individuals of oppressed with vines, infection of forest disease and dead branches were occupied 43% of total individuals. The vascular plants of two fixed investigation squares were included in 44 taxa; 28 families, 37 genera, 40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s.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Berchemia berchemiaefolia in class Ⅴ, Cephalotatus koreana, Quercus variabilis, Anemone reflexa etc.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endemic plants of Weigela subsessilis, Corydalis maculata, Galium koreanum and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rare plants (IUCN) of Daphne pseudomezereum.
Key words :Berchemia berchemiaefolia, Distribution density, DBH, Vascular plant
서 론
망개나무는갈매나무과망개나무속으로수고가 15 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망개나무속(Berchemia)은세계에 약 31종으로구성되며 아시아동남부의 열대 및 온대지역
에 분포하고, 망개나무속으로는 덩굴성 낙엽수인 청사조와 먹넌출 2종이 더 있다(국가표준식물목록 2012). 1935년 충 북 속리산의법주사계곡에서처음 발견되어한국의특산식
물로 취급되어 왔으나, 1959년 경북 청송군 주왕산과 내연
산보경사계곡, 1970년 충북제천군한수면송계리월악산,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1979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의 솟봉, 남산, 덕가산, 그리고조령의전석지등에 자생하고있는 것으로밝혀졌다 (이창복 1979).
갈매나무과 망개나무는 소나무, 박달나무, 사시나무 등의 수종과 마찬가지로 내음성(shade tolerance)이 약한 양수이며, 망개나무 치묘 및 어린나무는 임분내 낙엽 및 낙지가 쌓여 있지 않고광물질토양이그대로드러나있는곳그리고상 층임관이열려 햇볕이잘들어 올수 있는환경조건 하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이준혁 등 2005).
망개나무는 주로 계곡부의 전석지와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어 천연갱신이 어려우며(송정호 등 2008), 토양형성이 빈 약하고 강수로 공급된 물의 유출이 심한 특수조건을 갖는 지역에 주로 서식하고 있다(강상준 등 1991). 열악한 환경에 서더디게생장하는망개나무의재질은결이곧고 단단하며, 불에 잘타기 때문에과거 농촌에서는연료목으로 사용하거 나 농기구를 만드는 재료로 활용되었다고 한다(이창복 1979).
하지만, 사용가치가 높은 우량한 망개나무는 벌채되고 잔류 목에 의해 세대 갱신이 이루어지면서 열등한 유전자군에 의 해 형성된 소군집 안에서의 근친교배가 군집의 활력을 저하 시키거나 자손세대의 유전적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있다하 였다(이석우 등 2003).
현재 속리산국립공원 내에는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의 망 개나무림이 천연기념물 제266호로 보은군 속리산의 망개나 무가 천연기념물 제20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생 지는 국립공원에 의해 특별보호구로 보호받고 있다. 특히, 망개나무가속리산의 깃대종으로 선정된 2007년 이후망개 나무의 분포상과 생장에대한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발견된 속리국립공원 북부 망개나무림 의 생장환경과 분포특성을 조사하여 자생지 보전을 위한 기 초자료를 제공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요본 조사지 갈론계곡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 면 사은리 일원으로 속리산국립공원 쌍곡지구에 위치하 며, 지리좌표상으로는 북위 36o43'00''에서 36o45'00'', 동경 127o50'00''에서 127o55'00''사이에해당한다. 사은리마을에서 시작되는갈론계곡은지역에서갈은구곡이라고도불리나엄 밀히 말해 갈은구곡은 작은군자산과 옥녀봉 사이의 남북계 곡을 한정하며, 망개나무는 큰군자산과 작은군자산을 연결 하는 도마재 기점의 동서계곡에 주로 분포한다.
2. 망개나무 분포상
분포상 조사는 2010년 4월부터 2011년 4월까지 13개월 동안 갈론계곡에 분포하는 망개나무 전수에 대해 수고, 흉 고직경, 분지수를 측정하였다. 낙엽발생 이전 망개나무 군락 의 분포범위를 예비조사하고 본 조사에서는 망개나무 각 조
사목마다 알루미늄 인식(번호)표를 부착한 후 위치좌표를 기록하였다. 그 외 망개나무의 덩굴 피압정도, 외부상흔, 고 사목 발생현황, 주변 경합목과의 접합 생장, 치수갱신 상황 을 조사하고 기상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식지 인근 지역인 충북 괴산지역의 최근 10년간의 기후상을 알아보았다.
3. 식물상 식생 조사 가. 식물상
본 조사지역의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2012년 6월, 8월 2 회 현지답사를 통하여 확인된 모든 관속식물의 출현종을 기 록하고 일부 종은 사진촬영 및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미확 인 식물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동정하였다. 식물의 분류와
동정은 이창복(1980)의 대한식물도감, 이우철(1996)의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그리고 이영노(1996)의 한국식물도감을 참조하였다. 조사된 소산식물은 Fuller & Tippo 법식에 따라 정리하여 목록을 작성하였고, Raunkiaer(1934)의 생활형을 구분 집계하였다. 조사된 식물 중 귀화식물은 박(2009)의 세 밀화와사진으로보는한국의귀화식물목록을이용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백(1994)에, 희귀식물과멸종위기식물은환
경부(2005)의자료를이용하였다. 또한식물구계학적특정식
물종은 환경부(2006)의 자료를 이용하여 등급을 판정하였다.
나. 식생
식생조사는국립지리원 발행 1:25,000 지형도와 1:5,000지 형도를 이용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임 등
1984; 임 등 1990). 각 방형구에서 얻어진 자료로표조작법
을 이용하여 우점종과 식별종을 구분하여 식생단위를 분류 Figure 1. The Study area.
하였다(Kim and Yim 1988; Muller-Dombois and Ellenberg
1974). 표본구(標本區)의 설치는 표본 추출 대상지가 균질
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의 가장 전형적인 곳에 하였다. 표본 구의 크기는 교목림, 관목림, 초지를 구분하여 최소면적(最 小面的, minimal area) (김 등 1995)에 따라 설치하였고, 표 본구 내에서 출현하는 식물종의 기록은 관속식물에 한 하였 으며, 교목림의 경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등 계층별로 종의목록을 식생조사표에기재하였다. 이러한각 계층에서 출현하는 종에 대하여 브라운 브랑케(Braun-Blanquet
1964)의 전추정법(全推定法)에 따라 피도(cover)와 군도(soci-
ability)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Werger 1974).
결과 및 고찰
1. 망개나무 생육환경조사지는 속리산국립공원 쌍곡지구 사은리 마을의 갈론계 곡에서 도마재로 이어지는 동서계곡의 북사면에 위치하며, 망개나무 군락은 계곡으로부터 이격거리 약 200 m, 해발고
200~900 m에 분포하였다. 서식지의 경사도는 10~40o이며 조
사지와 인접한 충북괴산군 지역의 최근 10년 동안의평균 기온은 11.5oC, 최고기온 35.8oC, 최저기온−20.5 oC 및 평균 강수량은 1,457 mm를 기록하였다. 온량지수는 90.2으로 온 대중부림의 낙엽활엽수혼합림의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조사지역내에서 망개나무와 경합하여 생장하는 큰키나무 로는 참나무류, 고로쇠, 산벚나무, 물푸레나무 등이며 하층 식생으로는개비자나무가우점하고 있다. 이지역의 지층은 고생대 황강리층으로 주된 암석은 천매암으로 암회색내지 회색, 담회색을띠고 있다.
망개나무군락의 임상은 크고 작은 바위가 펼쳐진 전석지 형으로 개엽이 완전히 진행된 이후에는 울폐된 수관층에 의 한 바닥면까지의 투광율이 매우 낮으며, 서식지가 주로 계 곡 주변이라 지면 습도가 다소 높게 유지되면서 대부분의 암석 표면에는 지의류와 이끼류가 덮여 있었다. 포개진 바 윗틈에는강우의유출이빠르게진행되면서쌓아놓은낙엽 퇴적물이 걸치거나 박혀있고, 바위를 들춰보면 흑갈색의 윤 기 있는 얇은 유기물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다.
강 등은 망개나무가 토양형성이 빈약하고 강수로 공급된
물의 유출이심한특수조건을갖는 지역에주로 서식한다고 하였지만, 이는 성숙목의 서식현황을 대변할 뿐 망개나무 치수의 발생과 생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후대 갱신 이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음을 의미한다.
2. 망개나무 개체군의 구조와 생육특성
괴산군칠성면사은리마을입구부터도마재일원까지확 인된 망개나무는 총 2,035본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타지역 개체군보다 월등히 높은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서식면 적은 약 80 ha로 단위면적(ha)당 25본의 밀도 분포를 나타내 었다. 그 중 약 10%에 해당하는 194본은 덩굴식물에 의해 피압을 받고 있었으며, 13.2%인 269본은 현재 산림병충해 감염에 의해 수간이나 가지가 썩고 있으며, 이미 맹아지 일 부가 고사된망개나무는 20%에 해당하는 408본으로조사되 었다(Figure 3).
평균 흉고직경은 17.6 cm이며, 최대 DBH는 58 cm급 3본 이었고, 최소 DBH는 4 cm로 전체의 3%에 해당하는 72본이 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는 흉고직경 범위는 15~20
cm로 총본수의 36%를 차지하고 있었다(Figure 4).
망개나무의 수고는 대체적으로 4~18 m 사이에 분포하며,
수고 10~15 m 중심으로정규분포형을나타내었다(Figure 5).
망개나무 군락은 계곡으로부터 이격거리 약 20 0m, 해발고 200~900 m에 분포하였다. 망개나무의 분지수는 최고 12개까 지 조사되었으나, 대체적으로 3분지 이하이며 분지를 발생 하지 않는 조사목은 56%에 해당하는 1,138본이이고 분지수
Figure 2. Landscap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est.
Figure 3. Oppressed statu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가 4개 이상은 7.5%인 152본 이었다(Figure 6).
망개나무의개엽시기는중부온대림의타수종보다 그시기
가 1~2주늦은 5월초순으로 조사되었고개엽시기에맞추어 서식지바닥면에서종자의발아가 왕성하게진행되었다. 전 석지로 이루어진 불리한 생육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암석 사 이의 낙엽부식물과 빈약한 토양층에서 일제히 발아하는 망 개나무 치수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관찰되 어 발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망개 나무 종자를채집하여 노천매장 후 파종실험 한 결과발아 율은 약 20%임을 확인하였다. 상당한 결실량을 갖는 망개 나무 종자는 새의 먹이자원으로 이용되어 원거리 산포가 가 능하며, 바닥에 떨어진 열매는 개미에 의하여 주변 지역으 로 확산되기도 하며, 유수에 의하여 아래 계곡방향으로 무 수히 휩쓸려 내려가다가 한곳에 무더기를 쌓여 있다가 집단 발아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이에 다양한 경로로 종자산포가이루어진다는 것은망개나무의자체 산포능력이 높다고 볼 수 있을것이다. 그럼에도 2~5년생 어린 망개나 무를 생육지내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는데 5월에 발아 한 수천의 치수가 그 해 8월 전후로 현지에서 모두 고사하 였다. 어린 망개나무 치수를 채집하여 식물원에서 생육실험 을 한 결과 모두 활착도 잘되고 양호하게 생장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이 자생지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순하게생육환경차이를비교하면 식물원은반음 지 조건하에 일정하게 물관리를 해주었다는 점과 모래 토양 에 이식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한 점 뿐이었다.
유묘나 치수개체군의 발육을 제한하는 요인이 광(光)과 토양수분(Kozlowski 1949; Bourdeau 1954; Good 1972)이라 면, 망개나무의 서식지가 주로암반 경사지로 수분 공급이 원활치 않다는 점과 5월 이후주변목의개엽이 진행되면서 숲 바닥까지도달하는 광부족은 치명적인 고사의원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빈약하게 형성된 토양층은 더 이 상 어린 나무의 뿌리가 뻗을 공간을 확보해 주지 못하는 점 도 치수의 생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며, 발아 당년을 견디어 낸다고 해도 어린 유묘가 바윗틈 사이 나 토심이 옅은 지소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때문에 겨울과 다음해 봄의 한랭과 건조를 견디고 살아남을 확률은 아주 낮을 것이다.
Figure 4. DBH distribution.
Figure 5. Height distribution.
Figure 6.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branching stems.
Figure 7. Seedling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그럼에도 망개나무가 이 지역에 넓게 퍼져 있는 이유는 과거열악한 서식환경에서 타수종이 정착하기 이전에 서식 지를 선점하여 광을 충분히 받으면서 발달했다고 볼 수 있 을 것이며, 경쟁수종이 없는 가운데 미소하게 형성되는 토 양수분까지도 독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일 것 이다. 따라서, 망개나무의 관점에서는 수관이 울폐되어 내음 성이강한 수종으로 주변환경이뒤바뀐 현재의 서식환경은 과거보다 더혹독하게작용한다고볼 수있다(Figure 7).
3. 식물상, 식생 가. 식물상
조사대상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28과 37속 40종 3 변종 1품종의총 44종류로조사되었고, 이중에서귀화식물 은조사되지 않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Ⅴ등급인 망개나무를 비롯하여 개 비자나무, 굴참나무, 회리바람꽃 등이 조사되었으며, 특산식 물에는 병꽃나무, 점현호색, 참갈퀴덩굴, 희귀식물에는 두메 닥나무, 망개나무 등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을 살펴보면 양치식물이 전체의 0.00%, 나자식물이 2.27%, 피자식물이 97.73%를 차지하고있어대 부분이 피자식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의 생활형을 살펴보면(이우철 1996) 휴면형은 대형지 상식물(MM)이 15종 34.09%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다음으로 미소지상식물(N)이 12종 27.27%, 소형지상식물
(M)이 8종 18.18% 등의순으로분포하고 있는것으로조사
되었다. 관속식물의번식형을살펴보면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지하나 지상에 연결체를 전혀 만들지 않는 단립식
물(R5)의 비율이 35종 79.55%로 가장 많았으며, R3은 6종
13.64%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번식형 중 종자나 과실의
산포를 유형화한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중력산포 형(D4)이 18종 40.91%, 동물산포형(D2)이 12종 27.27% 등의 순으로분포한다. 또한이 지역식물의생육형을보면직립
형(e)이 33종 75.00%로 가장높은비율을차지하고 있는조
사되었다. 이러한 식물의 생활형의 분포비율을 조사함으로 써 식물 군락에서 종조성 뿐만 아니라 환경요소에 대한 군 집의 반응 또는 공간의 사용, 군락 내에서의 가능한 경쟁관 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활형은 생육형, 영아의특징여부, 휴면아의 위치그리고생활형의계절현상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나. 식생
① 망개나무군락(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1 교목층의 종조성으로는망개나무가우점하고, 그 외졸참 나무, 개벚나무등 아교목층에는당단풍, 피나무, 고로쇠등
Table 1. The status of plant species by each taxonomic group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분류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Race Total
Pteridophyta 0 0 0 0 0 0 0
Gymnosperm 1 1 1 0 0 0 1
angiosperms Monocotyledoneae 1 2 2 0 1 0 3
Dicotyledoneae 26 34 37 0 2 1 40
Total 28 37 40 0 3 1 44
Table 2. The list of the specific plants decid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 nisan National Park.
Korean name Scientific name Class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I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I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IV
점현호색 Corydalis maculata IV
산조팝나무 Spiraea blumei I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efolia V
두메닥나무 Daphne kamtschatica II 올괴불나무 Lonicera praeflorens I
Table 3. Dormancy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 folia Community in Songnisan National Park.
G H M MM N Th(w)
종 수 6 2 8 15 12 1
% 13.64 4.55 18.18 34.09 27.27 2.27
*Th(w): 동형1년초 G: 지중식물(Geophyte)
H: 반지중식물(Hemicryptophytes) N: 미소지상식물(Nanophanerophytes) M: 소형지상식물(Microphanerophytes) MM: 대형지상식물(Megaphanerophytes)
Figure 8. Dormancy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National Park.
관목층에는 당단풍, 작살나무, 생강나무, 개비자나무, 조록싸 리 등 초본층에는 개비자나무, 둥굴레, 박쥐나무, 생강나무, 청가시덩굴 등이나타났다. 층위구조는 4층구조로교목층의 높이는 15 m, 아교목층은 7 m, 관목층은 1.7~1.8 m, 초본층 은 0.5~0.6 m이며, 식피율은교목층이 85%, 아교층이 65~70
%, 관목층 35~40%, 초본층 15~20%로 나타났다.
② 망개나무군락(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2 교목층의 종조성으로는 망개나무가 우점하고, 그 외 물푸 레나무, 개벚나무, 졸참나무가 조사되었으며, 아교목층에는 물푸레나무, 당단풍, 산뽕나무 등 관목층에는 당단풍, 국수 나무, 비목나무, 고로쇠등초본층에는 족도리, 산수국, 노루 귀, 박쥐나무, 개비자나무 등이 나타났다. 층위구조는 4층구 조로 교목층의 높이는 12 m, 아교목층은 7 m, 관목층은 1.7
~1.8 m, 초본층은 0.4~0.6 m이며, 식피율은 교목층이 80%, 아
교층이 50~70%, 관목층 10~15%, 초본층 20%로 나타났다.
1998년 발표된 망개나무 유전다양성연구 보고에 의하면 망개나무림은 과거 100년간 인간의 극심한교란에 의해유 전적인 다양성을 소실하여 속리산, 주왕산, 내연산, 월악산
4곳 중 유일하게 속리산집단만이 약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일 뿐, 나머지 집단의 유전적 유사도는 100% 일치함에
따라 망개나무 집단내개체수와 유전적다양성을 볼 때 이 미 멸종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하였다. 2000년대 후반 속리산국립공원지역에서만 이전 서식지보다 큰 대규모 의 망개나무 자생지 3곳을 추가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식물종의 자생지가 갖는 중요한 의미는 세대를 거 쳐 유전적다양성을 보전할 수있어야함에도불구하고현 재 모든 망개나무 서식지는 집단을 유지하기 힘든 열악한 환경으로 치닫고 있음이 본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천 연림으로의 자연천이를 지향하는 국립공원 정책상 향후 100 년 전후로 대규모의 망개나무 자생지를 관찰하기는 요원해 보이며 작아진 집단에서 유전변이가 없는 식물종이 외부의 교란에의해 일시에절멸되는것을 방지하기위해서라도속 리산국립공원망개나무군락에 대한보전전략이 반드시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4. Propagation-Radicoid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R(s) R2-3 R3 R5
종 수 1 2 6 35
% 2.27 4.55 13.64 79.55
*R2: 근경이 옆으로 벋고 약간 넓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것 R3: 근경이짧게분지하고가장좁은범위의연결체를갖는것 R5: 지하나지상에연결체를전혀만들지않는단립식물 R(s): 다육근
Figure 9. Propagation-Radicoid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Table 5. Propagation-Disseminule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D1 D2 D2,4 D3 D4
종수 6 12 6 2 18
% 13.64 27.27 13.64 4.55 40.91
*D1: 풍수산포형, D2: 동물산포형, D3: 자동산포형, D4: 중력산포형
Figure 10. Propagation-Disseminule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Table 6. Growth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e e,b l ps r
종수 33 4 4 1 2
% 75.00 9.09 9.09 2.27 4.55
*e: 직립형, b: 분지형, r: 로제트형, l: 넌출형, ps: 로제트직립형
Figure 11. Growth form of Species at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Table 7. The list of vascular plant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Famlly Name Scientific Name Life Form
L R D G
Taxaceae 주목과 Cephalotaxus koreana 개비자나무 M R5 D2 e
Liliaceae 백합과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둥굴레 G R3 D2,4 e
Smilax nipponica 선밀나물 G R5 D4 e
Smilax sieboldii 청가시덩굴 N R5 D2 l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serrata 졸참나무 MM R5 D4 e
Quercus variabilis 굴참나무 MM R5 D4 e
Ulmaceae 느릅나무과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느릅나무 MM R5 D1 e
Zelkova serrata 느티나무 MM R5 D1 e
Moraceae 뽕나무과 Morus bombycis 산뽕나무 MM R5 D2 e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Asarum sieboldii 족도리 G R3 D4 r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Anemone reflexa 회리바람꽃 G R3 D4 e
Hepatica asiatica 노루귀 G R5 D4 r
Lauraceae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생강나무 N R5 D2 e
Lindera erythrocarpa 비목나무 N R5 D2 e
Fumariaceae 현호색과 Corydalis maculata 점현호색 G R(s) D3 ps
Saxifragaceae 범의귀과 Deutzia glabrata 물참대 N R3 D4 e,b
Deutzia uniflora 매화말발도리 N R3 D4 e,b
Hydrangea serrata for.acuminata 산수국 N R5 D4 e
Rosaceae 장미과 Prunus leveilleana 개벚나무 MM R5 D2 e
Spiraea blumei 산조팝나무 N R5 D4 e,b
Stephanandra incisa 국수나무 N R5 D4 e,b
Leguminosae 콩과 Lespedeza maximowiczii 조록싸리 N R5 D4 e
Maackia amurensis 다릅나무 MM R5 D3 e
Cornaceae 층층나무과 Cornus controversa 층층나무 MM R5 D2,4 e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쪽동백나무 MM R5 D4 e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raxinus rhynchophylla 물푸레나무 MM R5 D1 e
Fraxinus sieboldiana 쇠물푸레 M R5 D1 e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zollingeri 큰구슬붕이 TH(w) R5 D4 e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trichocarpa 개옻나무 M R5 D4 e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Euonymus oxyphyllus 참회나무 M R5 D2,4 e
Aceraceae 단풍과 Acer mono 고로쇠나무 MM R5 D1 e
Acer pseudo-sibolianum 당단풍 MM R5 D1 e
Rhamnaceae 갈매나무과 Berchemia berchemiaefolia 망개나무 MM R5 D2,4 e
Vitaceae 포도과 Parthenocissua tricuspidata 담쟁이덩굴 M R5 D2,4 l
Vitis amurensis 왕머루 MM R3 D2 l
Tiliaceae 피나무과 Tilia amurensis 피나무 MM R5 D4 e
Actinidiaceae 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다래 M R5 D2 l
Thymelaeaceae 팥꽃나무과 Daphne kamtschatica 두메닥나무 N R5 D4 e
Alangiaceae 박쥐나무과 Alangium platanifolium var. macrophylum 박쥐나무 M R5 D2 e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작살나무 M R5 D2 e
Rubiaceae 꼭두선이과 Galium koreanum 참갈퀴덩굴 H R2-3 D2 e
Galium pogonanthum 산갈퀴 H R2-3 D2 e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praeflorens 올괴불나무 N R5 D2,4 e
Weigela subsessilis 병꽃나무 N R5 D4 e
사 사
본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깃대종보호및 관리」,「멸 종위기식물증식복원」및 「자연자원모니터링」사업에의 해 수행됨.
참고문헌
강상준, 김홍은, 이창석. 1991. 망개나무림의분포·구조및유기기 작. 한국생태학회지 14(1): 28-36.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nature.go.kr/kpni/
김종원, 이득임, 김원. 1995. 소나무림및신갈나무림의최소면적 과군락구조. 한국생태학회지 18451-462.
박수현. 2009. 세밀화와사진으로보는한국의귀화식물. 일조각.
575p.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실체와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
회연구보고서. 13: 5-84.
송정호, 이정주, 강규석, 허성두. 2008.희귀수종망개나무자생집 Table 8. Vegetation tabl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 Songnisan.
조사시기 춘계조사 하계조사
망개나무군락 No. 1 2 1 2 표고 280m 289m 280m 289m
방위 N N N N
경사 35o 7o 35o 7o
면적 20m×20m 20m×20m 20m×20m 20m×20m
출현종수 30 29 27 28
군락구분종
망개나무 T1 3.3 3.3 3.4 4.5
H + + · ·
군락수반종
당단풍 T2 2.3 2.2 3.3 3.3
S · + + 1.1
H +.2 + + +
졸참나무 T1 2.2 + 3.3 +
T2 + · + ·
H + · · ·
물푸레나무 T1 · +.2 · 1.1
T2 + 1.1 + 2.2
S · + · +
H + + · +
개비자나무 S 1.1 · 1.1 +
H 1.1 1.1 2.2 2.2
조록싸리 S 1.1 · +.2 ·
피나무 T1 + · + ·
T2 · · 2.2 ·
박쥐나무 S + + + +
H 1.1 + + 1.1
고로쇠나무 T2 + + 1.1 ·
S · · · +
피나무 T2 1.1 · · ·
올괴불나무 S + + 1.1 +
H · · + +
쪽동백나무 T2 + + +.2 +
둥굴레 H +.2 + + +
산수국 H · +.2 · +
노루귀 H · +.2 · +
작살나무 T2 · + · +
S +.2 + + +
H · · + +
생강나무 T2 · + · +
S +.2 · + +
H + + + +
산뽕나무 T2 + + · +
S + + + +
H + · + ·
개벚나무 T1 + + + +
T2 · · + ·
H · · · +
굴참나무 T1 + · + ·
T2 + · + ·
층층나무 T2 + · + ·
국수나무 S + + + +
산조팝나무 S + · + ·
Table 8. Continued.
조사시기 춘계조사 하계조사
망개나무군락 No. 1 2 1 2 표고 280m 289m 280m 289m
방위 N N N N
경사 35o 7o 35o 7o 면적 20m×20m 20m×20m 20m×20m 20m×20m
출현종수 30 29 27 28
물참대 T2 · + · +
S + + + +
느릅나무 T2 · + · +
쇠물푸레 T2 · + · +
느티나무 T2 · + · +
다래 T2 · · + ·
다릅나무 T2 · · · +
참회나무 T2 · · · +
매화말발도리 S + · + ·
H · · + ·
두메닥나무 S · + · ·
H · + · ·
병꽃나무 S · · · +
담쟁이덩굴 H + · + +
청가시덩굴 H + · · ·
점현호색 H + · · ·
참갈퀴덩굴 H + + · ·
왕머루 H + · + ·
비목나무 S · · · +
H + + + +
큰구슬붕이 H + + · ·
족도리 H · + · ·
선밀나물 H · + · +
회리바람꽃 H · + · ·
개옻나무 H · + · +
산갈퀴 H · · + ·
단엽형변이. 한국임학회지 Pp. 432.
이석우, 김영모, 김원우. 2003. Lack of allozyme and ISSR variation in the rare endemic tree species, Berchemia berchemiaefolia (Rhamnaceae) in Korea.INRA, EDP Sciences. Ann. For. Sci. 60:
359.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p.
이영노.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1239p.
이준혁, 윤충원, 홍석천. 2005. 망개나무군집구조와개체군구조. 한국임학회지제94권제4호. 274p.
이창복. 1979. 망개나무의분포와이의보존을위한조사. 식물분
류학회지 9: 2-5.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
임양재, 이은복, 고재기. 1984. 주왕산의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375-86.
임양재, 김정언, 이남주, 김용범, 백광수. 1990. 한라산국립공원식 물군집의식물사회학적분류. 한국생태학회지 13(2): 101-130.
환경부. 2005. 한국의법정관리동식물. http://nre.me.go.kr
환경부. 2006.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제3차전국자연환경조
사조사지침. 환경부.
Bourdeaw, P. 1954. Oak seedling ecology determining segregation of species in Piedmont oak-hickory forests. Ecol. Monog. 24:
297-320.
Braun-Blanquet, J. 1964. Planzen Soziologie, 3. Auf, Springer, Wein, New York. 865p.
Good, N. F. 1972. Population dynamics of tree seedling and saplings in a mature eastern hardwood forest.Bull.Torrey Bot.
Club. 99: 172-178.
Kim, J. U. and Y. J. Yim, 198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or. J.
Bot. 31(1): 1-31.
Kozlowski, T. T. 1949. Light and water in relation to growth and competition of Pied-mont forest tree species. Ecol. 35: 262- 263.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 Inc. 547p.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Werger, M. G. A. 1974. On concepts and techniques aplied in the Zurich-Montpellier method of vegetation survey. Bothalia. 11:
309-323.
(2012년 10월 22일 접수; 2012년 11월 15일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