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A Study on Topography and Pla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Baramarye Special Protection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A Study on Topography and Pla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Baramarye Special Protection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Copied!
9
0
0

Teks penuh

(1)

태안해안국립공원 바람아래 특별보호구역의 지형 및 염생식물 분포특성 연구

박정원1*·서종철2·김진석1·오선관1·박정원1

1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2대구가톨릭대학 지리교육과

A Study on Topography and Pla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Baramarye Special Protection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Jeongwon Park

1

*, Jongchul Seo

2

, Jinseok Kim

1

, Sunkwan Oh

1

and Jungwon Park

1

1Oil Pollution Research Center, No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aean-gun, Chungcheongnam-do 357-914, Korea

2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 712-702, Korea

요 약 :본연구는바람아래할미섬특별보호구역의자연해안복원연구를위하여현재의해빈의높이, 면적, 해안 의길이, 사구정상의높이 등 정확한지형의현황을분석하고 지형특성에 따른사구·염생식물분포를분석하고자 하였다. 할미섬 지형의 최고높이는 17m이며 제일 낮은 높이는 평균 3m에서 5m로 섬 남단 만입에서 남동쪽 니질 조간대 지역이다. 연구지역내총 소산식물은 17목 23과 40속 49종 3변종 8외래종이 생육하고 있으며 곰솔군락, 갈 참나무군락, 보리장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등 5개 목본군락과 띠군락, 갯그령군락, 갯잔디군락, 나문재군락, 왕잔디군락, 갯메꽃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등 10개염생·사구 식물군락이분포하고 있으며갯그령-띠군락, 띠-갯메꽃군락, 띠-갯그령군락, 띠-은백양나무군락등 4개의혼합군락이 분포하고있다. 식물의공간적 분포특성은 곰솔(Pt1), 갯그령(Em2,3,4), 갯잔디(Zs5)를 제외한식생군락의 대부분이 10m2에서 500m2의 작은 패치형태를 띄고 있으며높이는평균 4m에서 6m 사이, 해안선으로부터 거리는 100m에서

150m 사이에분포하고잇는것으로분석되었다.

주요어 :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 태안해안국립공원, 사구식물, VRS/RTK GPS, 식물공간분포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act current status of the topography such as the present beach elevation and area, coastline and the height of the dune crest, wit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and dune·halophytes on geomorphic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ation of natural coast in the protection zone of Baramarye Halmi-island. Halmi-island has the maximum height of 17m and the lowest height of average 3m to 5m, which is the muddy tidal flat area located southeast of the embayment on the southern tip of the island. The total distribution of plants in the research sites are 17 orders, 23 families, 40 genus, 49 species and 8 exotic species: 5 arbors communities including Pinus thunbergii, Quercus aliena, Elaeagnus glabra, Robinia pseudo-acacia, Vitex rotundifolia etc., 10 halophytes and sand dune plants communities including Calystegia soldanella, Suaeda maritima, Carex scabrifolia, Ischaemum anthephoroides, Carex kobomugi etc and 4 mixed communities including Elymus mollis-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Calystegia soldanella,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Elymus mol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Populus alba etc.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s are identified that the most plant community are distributed in the distance of between 100m to 150m from the coastline, with the small-scale patch structure of 10m2 to 500m2 and the height of average 4cm to 6cm except Pinus thunbergii (Pt1), Elymus mollis (Em2,3,4) and Zoysia sinica (Zs5).

Key words :Korea National Park Specially Protected Area, Taeanhaean National Park, VRS/RTK GPS,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s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서 론

연안지역(Coastal zone)은 해안선을 기준으로 해양생태계 와 육상생태계가 만나는 전이지역을 의미한다(Clark et al.,

1980). 이러한 연안지역은 다양한 형태의 해안지형, 즉 갯벌,

해안사구, 석호, 육계도, 파식대, 시스텍 등이 분포하여 생태 적·환경적으로 다양한 가치와 기능 및 독특한 자연경관을

제공한다(장동호와 박지훈, 2009). 연안지역은 백두대간, 비

무장지대(DMZ)와 더불어 한반도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3대 핵심 생태축이며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를 연결해주는 중 요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며 한반도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 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환경부, 2007).

우리나라 연안지역 중 모래해안이 발달하기 위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는 태안해안국립공원 바람아래 지역은 위치하고 있으며 산지와 사구, 사빈을 포함하는 사 빈해안의 전형적인 경관이 나타난다. 이 중 해안에 형성된 산지 및 사구와 사빈은 대표적인 지형요소로서 연구지역의 해안 환경을 구성하는 주요소들이다. 이들은 서로 유기적으 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일시적으로 한 요소가 커 지면 그에 맞추어 다른 요소들이 변해감으로써 역동적인 안 정성을 유지하며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연안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지역 중 하나이다(태안해안국립공원 2007).

근래에 들어 연안지역은 해안도로, 호안벽, 경성호안구조 물, 해사채취 행위들은 해안선을 고정시킴으로서 해안 환경 시스템의 역동성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특히 해안사구에서의 과도한 토지이용 역시 해안생태계의 단절을 가져와 해안 환 경의 건강성을파괴하며해안과육역이가지고있는 에너지 의 흐름을 단절시키기때문에 해안이라는특수한 지형여건 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바람아래 해변 또한 1990년 대부터 약 15년 동안 대규모 해사채취가 이루어져 사구지형 의 훼손이 있었고 장곡리 주민들의 이매패류 채취 지역과 인접하여 할미섬 일부를 이동경로로 이용하고 있어 사구·염 생식물군락과 조간대 생물의 훼손이 있었던 지역이다.

그러나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 자연공원의보호를 위 하여 일정기간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탐방 객수를 제한하여 공원자원을 보전·관리하는 국립공원 특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현장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국 립공원관리공단에서 2013년 8월 할미섬 남단 호안을 제거하 는 등 자연해안으로 복원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바람아래할미섬특별보호구역의 자연해안 복원을 위하여 현재 해빈의 높이, 면적, 해안의 길이, 사구 정상의 높이 등 정확한 지형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형특성에 따른 사구·염생식물분포를 분석하여 바람아래 특별보호구 역의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2년 9월 11일, 2013년 7월 24~26, 8월 11~15일까지 총 9일 동안 그림 1의 범위로 바람아래 해변에서 할미섬으로

이어지는 육계사주와할미섬의 둘레를 VRS/RTK GPS로정 밀 측량하였으며 할미섬에 피복된 식물상과 식생의 구조와 분포면적 및 높이를 분석하였다.

1. 지형변화

지형변화는 바람아래 해변과 할미섬이 이어지는 육계사주 부터최남단을 대상으로측량하였으며해변의해빈전체면,

1차사구 마루, 식생분포선, 할미섬 정상부인 곰솔군락 내부

를 1초 단위로 이동측량하였다. 측량 장비는 GS15+GNSS set VRS/RTK GPS(Leica)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ArcGIS

9.1 version(ESR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rid 파일로부터 표

면 아래의 체적이나 두 표면 사이의 체적들을 계산하여 기 준면위·아래의체적계산, 표면적또는표면의투영면적의

계산, 절단면에 대한데이터파일 만들기, Grid 파일과데이

터 파일 사이에 있는 차이 계산 등 여러 가지 수학적 계산 을 수행하여 표현하였다.

2. 식생과 식물상

조사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속식물 이상을 대상으로채집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는 Muller-Dombobis and

Ellenberg(1974)의 방법에 의거하여 군집조성표를 작성하였

다. 식물의 학명은 이영노(2002)의 원색한국식물도감, 이창 복(2006)의 원색대한식물도감 등을 따랐으며, 귀화종은 박수 현(2009)의 한국의 귀화식물과 김종원과 이율경(2006)의 식 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방법에 의해 동정하였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산림청(2012)의 지정목록을 참고하여, Engler(Melchior, 1964)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

식생조사는 조사지역내의 군락의 종조성과 구조를 알아보 기 위하여 균일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1×1m 방 형구로 조사하였으며, 피도값을 Braun-Blanquet 계급(1964) 으로 환산하여 기록하였다. 현존식생도와 식생분포면적 산 출은 조사지역의 수치지형도(1/5000)와 인공위성사진을 이 용하여 기본도를 제작하고 기본도에 격자를설정하여 현장 조사를 통해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고 현존식생도를 이용하

그림 1. 연구지역(범위: 324,391.52m2)

(3)

여 ArcGIS Ver.9.1을 이용하여 면적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1. 지형 특성

바람아래 해변은 행정구역상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에 위 치한다. 바람아래 해변이 위치한 태안반도 남단의 지형은 고도가낮은완경사의구릉성산지와평지부로구성되어있

는데, 구릉지는 대체로표고 80m 이하인선캠브리아기의변

성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지부의 대부분은 만입부의 간 석지가 간척된 것이다(장동호 외 2003). 해안지형은 리아스 식 해안의 모습을 닮아서, 굴곡이 있고 간석지가 잘 발달되 어 있다. 이곳은 전면에 할미섬, 섬옷섬 등의 시스텍, 파식 대 및 해안사구 등이 발달하면서 파랑을 막아주어 대규모 간석지로서발달할수 있었다(김장수·장동호 2011).

바람아래 주변 해역은 조차가 4m 이상인 대조차 환경에 속하며, 천수만의 입구에 해당되어 조류 속도가 비교적 빠 른 편이다. 또한 안면도의 서쪽 해안이 외해 방향으로 노출 되어 있는 것에 비해, 이 지역은 전면에 장고도, 고대도, 원 산도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규모의 섬으로 파랑의 접근이 차

단되어있고, 수심이 10m 내외로낮은편에속하기때문에,

전체적으로 파랑의 영향과 조석의 영향이 공존하는 환경으 로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안면도의 해변이 서쪽을 향해 있는 것과는 달리 바람아래 해변은 남쪽을 향해 발달해 있다. 이것은 안면도 남단에 위치한 바람아래 해변의 지정학적 특징 때문이다.

바람아래해변 전면해역은오래전부터해사 채취가이루어 져오던지역인데, 이것은 다른어느 지역보다도이 부근에 모래가 많이 퇴적될 수 있는 환경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바람아래와 인접한 장삼포 해변과 장곡 해변은 북북서 남남 동 방향으로 발달해 있다. 해안선의 방향은 연안류의 방향 에 영향을 주므로, 해안선의 방향이 갑자기 바뀌는 바람아 래 서쪽의 돌출부에서는 연안류를 따라 안면도의 북쪽에서 이동되어온퇴적물들이북서-남동방향으로퇴적된다.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이러한 퇴적체는 초기에는 해저에 바(bar) 의 형태로 머물러 있지만, 점차 성장하면 수면위로 드러나 는 사취(spit)와 사주(island)의 형태로 발달한다. 또한 더 성 장하면 사취와 사주 상부에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현재의 할 미섬과 같은 단계에 이르게 된다.

바람아래해변 부근에서안면도의끝인영목을잇는중간 부분은 크게 보면 만입부에 해당되고, 할미섬과 섬옷섬을 경계로 동쪽 해역은 수심 2m 미만의 미사와 점토가 쌓여 있는 내만환경을 보인다(장동호 외 2003). 이에 비해 할미섬 의 남서쪽 해안은 수심이 5m 미만이지만 북서쪽에서 유입 되는 파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질 퇴적물이 주를 이루 는사취, 사빈, 해안사구가잘 발달한다.

할미섬 일대의지형변화는 항공사진과 인공위성 등을통 해 장기적인 변화 양상이 보고된 바 있다(김장수·장동호

2011; 장동호 외 2003). 이번 측량 결과 해사 채취 허가가

종료된 후 할미섬 서쪽 해변을 중심으로 모래톱이 다시 발 달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고, 항공사진과위성사진을통해 관측한 결과 아직까지 수면 위로는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현재의 사취보다 약 300m 전면에 대규모 사취 형태의 퇴적 체가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람아래 할미섬은 모래로만 이루어진 일종의 사주섬 (barrier island)이다. 섬의 최고 높이는 약 17m로 섬 중앙부 에 형성되어 있으며 곰솔군락이 분포하고 있다. 섬 전체의 고도는 5m 이상인 곳이 많지만 남단 부근에서는 고도가 3m에 불과해 할미섬의 북서쪽 입구보다 낮아 만조(high

tide)시기에 파랑에너지를 가장 크게 받는다. 이 때문에 이

지역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1990년대에 시멘트 호안 시설 을 건축하였으나 할미섬의 자연적인 복원을 위해 2013년에 콘크리트 호안시설을제거하였다.

할미섬의 형태는지속적으로변화해왔는데, 현재의할미 섬은 장축의 길이가 약 450m, 단축이 약 80m인 피침형을 띠며 북서-남동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할미섬의 서쪽 전 면에는 약 4m의 고도의 소규모 사주섬이 발달하고 있는데, 할미섬 북서단 부근에서 수로에 의해 두 개로 분리되어 있

그림 2. 할미섬의 등고선도

그림 3. 할미섬의 수치표고 모델(DEM)

(4)

다. 또한 사취의 꼬리 부분이 비교적 넓고 길게 발달하는 점으로 보아현재 퇴적작용이활발하게진행되는것으로판 단된다.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사주섬은 고도가 낮아 사리 때에는 많은 부분이 침수되어 아직까지는 할미섬으로 공급 되는 모래를 전면적으로 차단하고 있지는 못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되면 새로운 사주섬으로 분리되고 할 미섬과의 사이에 있는 저지대는 저습지화될 것으로 판단된 다. 앞으로도 할미섬일대는전술한 바와같이 다량의퇴적 물이 공급되고 있는 지역이고 해사 채취가 중단되었으므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그림 2, 3).

2. 식물분포 특성

할미섬을 중심으로 형성된 바람아래 특별보호구역은 할미 섬내 곰솔군락분포지역과할미섬둘레 사구지역으로나눠 조사를실시 하였다. 조사된총 소산식물은 17목 23과 40속

49종 3변종 8외래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외래식물은 4과 8

종이 조사되었다. 또한 본 연구지역의 기존문헌에 조사되지 않고 2008년 길지현과 이규송에 의해 동해안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외래종 배추과의 서양갯냉이(Cakile edentula

(Bigelow) Hook.)가 조사되어 외래식물에 대한 조사가 면밀

히필요하다.

가. 곰솔분포지역

곰솔(pinus thunburgii)은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주요 수종 으로 우리나라 남한전역의 해안가와 섬지역에 분포하고 있 으며 남해안에서 가장 넓은 분포지를 갖고 있다. 또한 해안 가에위치하고 염분과 바람에 의한영향을 많이 받아 특이 한 임분 구조를형성한다. 또한방풍 및비사방지 등의역 할을 하며 휴양림으로서의 기능과 염해의 저감시키는 효과

가 있다(천광일외 4명 2011). 그러나 최근들어 곰솔림이 해 안선부근까지 과도한 전진으로 인해 해안침식이 나타나고 정선이 후퇴될 경우 완충지대의 소실이라는 문제점(우다 다 카아키 2006)과 곰솔군락의 전진함에 따라 해안사구식생의 분포면적의 축소되어 해안 사구생태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진다(명현호 2010)는 부정적인 의견들이 있다. 바람아래 할 미섬 남쪽사면의 곰솔군락 이미 고사되어 해수와 모래퇴적 물이가져다준 염분의영향이 심한것으로판단된다.

곰솔군락지역의 식생은 대부분 곰솔이 우점하여 섬북쪽, 중앙, 남쪽으로 나눠 방형구법 조사사를 실시하였다. 비교적 고도가 높은 섬 중앙부의 곰솔군락이 흉고직경(DBH)이 높 고 수고가 높았으며 섬 북쪽, 섬 남쪽 말단부 순으로 훙고 직경과 수고가 낮아졌다. 이는 고도가 비교적 높은곳이 염 해를덜입어염분스트레스에대한영향을덜영향을덜받 았을것으로판단되나조금더 면밀한조사가필요하다. 섬 중앙부 곰솔군락은 곰솔 피도 90%, DBH 평균 46 cm, 수고 평균 11m, 수반종은 보리수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억새, 선 밀나물, 소엽맥문동, 풀솜대, 그늘사초가 조사되었고 섬북쪽 사면은 곰솔피도 80%, DBH 평균 13.5 cm, 수고평균 7m, 수반종 졸참나무, 뽕나무, 순비기나무, 청미래덩굴, 주름조개 풀, 갈퀴꼭두서니, 맥문동등이 조사되었고섬남쪽사면은곰 솔피도 80%, DBH 평균 16 cm, 수고평균 7m, 수반종 갈참 나무, 졸참나무, 좀보리사초, 인동, 쑥, 소엽맥문동, 띠, 나문 재, 억새 등이 조사되었다(표 1, 그림 4).

나. 사구지역

사구지역은태안군의본토와모래톱으로연결되어있으며 모래퇴적물의 유동이 심하여 사구식생에영향을 주어땅속 기는줄기의 통보리사초, 갯그령군락이 우세하며 갯메꽃, 곰

그림 4. 할미섬의 현존식생도

(5)

솔(유생), 명아주, 갯쇠보리, 갈퀴꼭두서니, 갯완두 등 염생·

사구식물은 9과 13종이 출현하였다. 이중 외래식물은 달맞 이꽃, 큰달맞이꽃, 서양갯냉이 등 3종이 출현하였다. 사구지 역의 식생은 띠군락, 갯그령-띠혼합군락, 갯쇠보리군락, 우 산잔디군락, 왕잔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왕잔디군락, 갯그령군락, 나문재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 초군락, 띠-갯그령 혼합군락, 띠-갯메꽃 혼합군락, 갯잔디군 락등 16개 군락으로조사되었다(표 1, 그림 4).

3. 식물의 공간적 분포

표 1. 바람아래 할미섬의 소산식물 목록

학 명 국 명 비고

Order Salicales 버드나무목

Family Salicaceae 버드나무과

Populus alba L. 은백양

Order Urticales 쐐기풀목

Family Moraceae 뽕나무과

Morus alba L. 뽕나무 식

Order Centrospermales 중심자목

Family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orispermum stauntonii Miq. 호모초 Suaeda asparagoides (Miq.) Makino 나문재

Suaeda maritima Dum. 해홍나물

Order Papaverales 양귀비목

Family Cruciferae 십자화과

Cakile edentula (Bigelow) Hook. 서양갯냉이 귀

Order Rosales 장미목

Family Leguminosae 콩과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식,귀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식,귀

Order Myrtales 도금양목

Family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glabra Thunb. 보리장나무 Ⅰ

Family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lamarckiana Ser. 큰달맞이꽃 귀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귀

Order Umbellales 산형화목

Family Araliaceae 두릅나무과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음나무

Family Umbelliferae 산형과

Glehnia littoralis Fr. Schm. 갯방풍 Ⅰ

Order Ericales 진달래목

Family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Order Primulales 앵초목

Family Plumbaginaceae 갯질경이과

Limonium tetragonum (Thunb.) A.A.

Bullock. 갯질경

Order Ebenales 감나무목

Family Symploa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paniculata Miq. 검노린재나무

Order Gentianales 용담목

Family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wilfordii (Max.) Hemsl. 큰조롱

표 1. 계속

학 명 국명 비고

Order Tubiflorales 통꽃식물목

Family Convolvulaceae 메꽃과

Calystegia soldanella Roem. et Schult. 갯메꽃 Ⅰ

Family Borraginaceae 지치과

Messerschmidia sibirica L. 모래지치 Ⅰ

Family Verbenaceae 마편초과

Vitex rotundifolia L. Fil. 순비기나무 Ⅰ

Order Plantaginales 질경이목

Family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Order Rubiales 꼭두서니목

Family Phrymaceae 꼭두서니과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Max. 갈퀴꼭두서니

Family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

Viburnum erosum Thunb. 덜꿩나무

Order Campanulales 초롱꽃목

Family Compositae 국화과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Artemisia fukudo Makino 큰비쑥

Artemisia princeps Pampan. 쑥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귀

Erigeron annuas (L.) Pers. 개망초 귀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귀

Eupatorium lindleyanum DC. 골등골나물

Order Graminales 벼목

Family Gramineae 벼과

Cynodon dactylon (L.) Pers. 우산잔디 Ⅰ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Durand

et Schinz 띠

Ischaemum anthephoroides (Steud.) Miq. 갯쇠보리 Ⅰ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억새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Rcem.

et Schult. 주름조개풀

Phragmites communis Trin. 갈대

Zoysia macrostachya Fr. 왕잔디

Zoysia sinica Hance 갯잔디

Order Cyperales 사초목

Family Cyperaceae 사초과

Carex humilis Leyss. 산거울

Carex kobomugi Ohwi 통보리사초 Ⅰ

Carex lanceolata Boott 그늘사초

Carex pumila Thunb. 좀보리사초

Order Liliales 백합목

Family Liliaceae 백합과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Lilium tigrinum Ker-Gawl. 참나리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맥문동 Ophiopogon japonicus Ker-Gawl. 소엽맥문동

Smilacina japonica A. Gray 풀솜대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Family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japonica Thunb. 참마

Dioscorea quinqueloba Thunb. 단풍마

(6)

해안사구 지역의 토양은 지형과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를 반영하는 특성을 지니며 공간적인 분포를 보인다. 또한 연 구지역에서 공간적 변이를 보이는 각 식생종들의 분포에는 내재된 요인이 존재할 것이며 이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 질 및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와 연관을 보인다(김대현

2004). 바람아래 할미섬의 지대 식생의 공간적인 분포양상

을 지형·거리·면적요소들과의 관계속에 종합적으로 고찰 하여 이들사이에내재된생태지리학적 관계를분석하고자 하였다. 바람아래 할미섬에서 조사된 식물군락의 수는 곰솔 6개 군락, 띠 5개, 갯그령 12개, 갯잔디 5개, 나문재 2개, 순 비기나무 4개, 아까시나무 2개군락, 왕잔디, 갈참나무, 해홍 나물, 천일사초, 갯쇠보리, 갯그령-띠, 띠-갯메꽃, 띠-갯그령, 보리장나무, 통보리사초, 띠-은백양나무군락이 각 1개씩 그 리고곰솔고사체 2개부분으로 총 20개 군락 51 patch가조 사되었다. 조사군락 지형 중 최고높이는 곰솔군락 pt1이

17.41m로 바람아래 전체 지형 중 가장높은곳에 위치하고 있

다. 최저높이는 갯잔디군락 zs4로 할미섬과 사주(sand bar) 사이의 갯골에 형성되어 해수의 영향을 직접 받는 비교적 가장 낮은 곳에 생육하고 있다. 해안선과 식물군락 사이가

가장 가까운 곳은 순비기나무군락 vr1으로 할미섬 북동쪽 퇴적층분포하고있으며해안선과의거리는 58.07m이다. 가 장 먼 군락은 나문재 sa1으로 곰솔고사지역 안쪽에 형성되

그림 5. 곰솔군락의 수치표고 모델

그림 6 갯그령 군락의 수치표고모델

그림 7. 갯잔디군락의 수치표고 모델

그림 8 띠군락의 수치표고 모델

그림 9. 갯쇠보리, 왕잔디, 띠-은백양나무, 보리장나무, 갯메꽃군 락의 수치표고 모델

(7)

어 있어 해안선과의 거리가 214.36m로 가장 큰수를 보였다 (표 2, 그림 5~11).

바람아래 할미섬은 일반적인 다른 사구와 달리 섬 전체가 모래퇴적물로 둘러쌓여 있다. 그래서 사구식생 대부분이 섬 전체를 둘러싼 모래퇴적물에 분포하고 있고 모래퇴적물의 이동량이상당히많은것으로판단되어식생의공간적인변 화 또한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곰솔(Pt1), 갯그령(Em2,3,4), 갯잔디(Zs5)를 제외한 식생군락의 대부분이 10m2에서 500 m2의 작은 패치형태를 띄고있으며 높이는 평균 4m에서 6m 사이, 해안선으로부터 거리는 100m에서 150m 사이에 분포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2, 그림 12).

연구 결론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안면도 바람아래 해변 을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식물분포특성 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아래 해역의 할미섬은 연안류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쌓여 형성된 일종의 사주섬(barrier island)으로, 최고

높이가 약 17m이고 장축이약 450m이며단축이 약 80m인

피침형을띠고 있다.

둘째, 이 일대 해역은 다량의 모래가 퇴적될 수 있는 환경 을 갖추고 있고, 이 일대 해역의 지형을 크게 교란시켰던 해사 채취가 중단되었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형변화를 고려할 때, 향후 바람아래 해빈과 해안사구를 비롯한 퇴적 체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측된다.

셋째, 총출현종수는 17목 23과 40속 49종 3변종 8외래종 이 조사되었고, 곰솔군락, 갈참나무군락, 보리장나무군락, 아 까시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등 5개 목본군락과 띠군락, 갯그령군락, 갯잔디군락, 나문재군락, 왕잔디군락, 갯메꽃군 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등 10개 염생·사구식물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갯그 령-띠군락, 띠-갯메꽃군락, 띠-갯그령군락, 띠-은백양나무군 락 등 4개의 혼합군락이 분포하고 있다.

넷째, 식물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곰솔(Pt1), 갯그령

(Em2,3,4), 갯잔디(Zs5)를 제외한 식생군락의 대부분이 10m2

에서 500m2의 작은 패치형태를 띄고 있으며 높이는 평균

4m에서 6m 사이, 해안선으로부터 거리는 100m에서 150m

사이에 분포하고잇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러한바람아래특별보호구역의자연해안복원을위하여 현재의 지형현황 그리고 그에 따른 식물분포 특성을 조사한 후, 지형에 따른 맞춤형 식생 복원, 연안습지 침식/퇴적 변 화연구, 침식방지연구 등 다양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 사

본 연구는 2013년 국립공원연구원의 연안습지 침식/퇴적 변화 모니터링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림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태안해안국립공원해안사구훼손지복 원사업추진보고서, Pp. 1-13.

그림 10. 천일사초, 순비기나무군락 수치표고 모델

그림 11. 나문재, 아까시나무군락, 곰솔고사체 지역의 수치표고 모델

그림 12. 식생 패치의 거리, 높이, 면적의 공간적 분포

(8)

표 2. 식물군락별 지형특성 데이터

순번 코드 군락명 최소높이 최대높이 평균높이 거리 넓이

1 Ic1

띠군락

3.77 8.46 5.43 115.02 270.31

2 Ic2 3.73 7.88 5.44 117.69 525.38

3 Ic3 4.31 7.2 6.29 135.17 48.92

4 Ic4 3.66 5.1 4.23 129.2 71.34

5 Ic5 4.04 7.3 4.69 122.05 149.3

6 Pt1

곰솔군락

4.42 17.41 6.47 101.46 8465

7 Pt2 5.57 7.56 6.65 135.7 89.69

8 Pt3 4.41 5.94 5.02 119.18 163.87

9 Pt4 3.65 5.13 4.59 115.44 139.75

10 Pt5 3.5 3.81 3.61 118.34 32.37

11 Pt6 3.17 4.76 3.99 94.75 579.75

12 Em1

갯그령군락

3.89 7.87 4.13 111.06 765.56

13 Em2 3.14 4.58 3.89 77.13 1134.42

14 Em3 3.51 4.55 3.99 75.82 1551.13

15 Em4 3.37 6.43 4.21 118.6 640.3

16 Em5 4.46 7.01 5.58 159.37 99.79

17 Em6 3.35 7.57 4.94 70.61 363.97

18 Em7 3.37 3.93 3.56 128 471.26

19 Em8 3.42 5.33 4.53 101.41 284.06

20 Em9 3.75 4.52 4.1 107.64 87.02

21 Em10 3.22 4 3.59 73.22 207.07

22 Em11 3.9 4.46 4.25 120.73 23.59

23 Em12 3.81 4.45 4.08 118.96 15.11

24 Zs1

갯잔디군락

2.48 4.38 2.95 107.86 150.09

25 Zs2 3.27 3.83 3.5 115.1 147.66

26 Zs3 3.41 4.08 3.61 113.47 307.49

27 Zs4 1.29 4.58 2.55 106.3 492.67

28 Zs5 3.21 3.96 3.5 61.44 905.63

29 Sa1

나문재군락 3.44 4.66 3.88 214.36 142.41

30 Sa2 3.26 3.86 3.49 101.59 261.78

31 Zm1 왕잔디군락 3.47 4.12 3.66 124.45 70.38

32 Cs1

갯메꽃군락 3.53 4.91 4.14 112.59 28.87

33 Cs2 4.31 5.26 4.85 105.28 33.21

34 Qa1 갈참나무군락 3.71 11.94 6.27 126.12 853.01 35 Sm1 해홍나물군락 3.16 3.69 3.48 137.28 307.14 36 CsS1 천일사초군락 2.3 4.37 2.68 119.64 365.52 37 Ia1 갯쇠보리군락 4.05 6.53 5.24 127 93.31

38 Em-Ic1 갯그령-띠군락 2.87 5.23 3.9 133.85 292.75

39 Ic-Cs1 띠-갯메꽃군락 3.89 5.51 4.53 127.91 97.6

40 Ic-Em 띠-갯그령군락 4.31 5.33 4.85 120.71 389.3

41 Eg1 보리장나무군락 4.48 5.94 5.25 126.24 76.03 42 Ck1 통보리사초군락 3.65 5.2 4.42 113.28 70.38

43 Vr1

순비기나무군락

2.54 5.86 3.97 58.07 396.72

44 Vr2 5.82 11.13 8.68 104.57 162.87

45 Vr3 3.3 4.57 3.64 209.27 149.76

46 Vr4 3.81 8.91 5.59 126.01 189.14

47 Rp1

아까시나무군락 3.48 5.22 4.53 162.04 247.25

48 Rp2 3.03 5.09 4.23 136.72 380

49 Ic-Pa1 띠-은백양나무군락 4.2 9.31 5.82 132.57 319.95

50 Pt-Dt1 곰솔고사체지역 3.27 3.77 3.47 200.66 409.147

51 Pt-Dt2   3.41 4.47 3.75 115.75 166.51

(9)

김대현. 2004. 식생의공간적분포와토양·지형·거리요소들사 이의관계에대한연구, 신두리해안사구지대를사례로. 서울 대학교지리학석사학위논문, 4p.

천광일, 정성철, 양희문, 김석관, 변준기, 주성현. 2011. 경북동해 안곰솔림의군집구조. 산림과학공동학술대회, 228-232.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식생조사와평가방법. 월드 사이언스, 서울.

길지현, 이규송. 2008. 미기록귀화식물: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한국동물학회지, 한국통합생물학회 38(2): 179.

명현호. 2008. 건강성평가를통한해안사구생태계보전·관리방안

연구. 목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p 217.

박수현. 2009. 세밀화와사진으로보는한국의외래식물. 일조각, 서울.

산림청. 2012. 희귀및멸종위기동·식물, 산림청고시. 우다다카아키. 2006. 해안침식-실태와해결책, p 241.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환경부. 2007. 광역생태축구축을위한연구.

이창복. 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장동호, 김만규, 김광훈. 2003. 안면도바람아래해수욕장주변의 퇴적환경체계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0(2): 143-145.

장동호, 박지훈. 2009. 충남연안생태네트워크구축을위한해안 지형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1): 73-95.

Clark J, J Banta, J Zim. 1980. Coastal environmental management:

Guidelines for conservation of resources and protection against storm hazard, The Conservation Foundation.

Meller-Dobois 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york: 547p.

Melchoi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mttttreger, Berlin: Band II.

Broun-Br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 tionskude, Springer-Verlag, Wien: 865.

(2013 12 16접수; 2013 12 20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Rice field area was identified using growth curve recognition of EVI2 MODIS data based on rice plant temporal dynamic characteristics.. The rice field distributions in Bali that were

The paper presents a mathematical model of distribution the discharged heat water from thermal power plant under various operational capacities on the aquatic environment.. It was

In consequence, they have a mind to carry out conservation efforts for rattan for improving rattan productivity on an ongoing basis; iv There are a number of forms of rattan

A genomic study on distribution of human leukocyte antigen HLA-A and HLA-B alleles in Lak population of Iran☆ Farhad Shahsavara, Ali-Mohammad Varzia,⁎ , Seyyed Amir Yasin Ahmadib,c

Distribution Channel for Local Farm-based Produce: A study On Small Farmers During Pandemic Crisis ABSTRACT It has been contended in many studies that small enterprises are more

Investigation on Ganoderma Infection in Oil Palm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matic Compatibility: A Case Study in Sandakan, Sabah ABSTRACT Sustainability of the oil

A checklist was drawn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space analyz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care facility were

1 | 2021 | DOI: 10.21776/ub.biotropika.2021.009.01.04 Dewi & Kurnianto 27 BUFFER ZONE MANAGEMENT IMPACT ON BIRDS ASSEMBLAGE IN THE HIGH NATURE VALUE FARMLAND HNVf: A STUDY CASE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