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Copied!
208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6 2 박사학위 논문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송 경 환

[UCI]I804:24011-200000265393

(3)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Self-Growth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nstitutional Adolescents

년 월 일

2016 2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송 경 환

(4)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도교수 김 택 호

이 논문을 이학박사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15 10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송 경 환

(5)

송경환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환 (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남 순 ( ) 인

위 원 전남대학교 교수 노 안 영 ( ) 인

위 원 평택대학교 교수 이 근 매 (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택 호 ( ) 인

년 월

2015 12

조선대학교 대학원

(6)

감사의 글

이제는 긴 여정을 끝내고 새로운 문 앞에 선 느낌입니다. 시설의 한 소년과의 만남 으로 인생의 변화와 성장을 통해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기회를 준 소년에게 감사 합니다. 먼저 새로운 문 앞에 설 수 있도록 모든 과정을 이끌어주신 저의 영원한 스승 님이신 김 택호 지도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교수님의 세심한 지도와 사랑과 격려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했던 과정이었습니다.

그리고 심사과정에서 방향을 제시하고 격려해주신 김 승환 교수님, 부족한 점을 세 심하게 지적해주고 논문의 체계를 바로 잡는데 도움을 주신 김 남순 교수님 과 노 안 영 교수님, 그리고 바쁘신 데도 불구하고 매번 많은 지적과 내용을 제시해주신 이 근 매 교수님의 지도에 감사드립니다. 이 분들의 따끔한 지적과 지도과정을 통해 부족하 나마 작은 결실을 낼 수 있었습니다.

조선대학교에 미술심리치료 석·박사과정을 개설하셔서 학문의 길로 전진할 수 있도 록 안내자가 되어주신 김 정필 교수님, 미술치료의 입문부터 임상지도와 삶의 멘토 로서 지금까지도 저를 과분한 사랑으로 지지해주신 송 진희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쓰는 기나긴 과정 속에서 곁에서 도움 주신 시설 원장님, 사무국장님, 프로 그램을 진행하면서 만나게 된 26명의 청소년들은 저에게 또 다른 힘이 되었습니다. 저에게 지원과 지지를 아낌없이 보내주신 김 경량 선생님과 물구나무심리상담센터 직원들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또한 항상 힘을 주고 응원해준 친구들과 든든한 지원 을 보내주신 박사 동기 및 선후배 선생님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논문이라 는 새로운 성장과 성숙의 길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긴 시간 동안 늘 옆에서 묵묵히 지켜보고 격려해주시 하늘같은 존재 어머님과 가족 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끝으로 세상에서 가장 존경하가는 그리고 고인이 되신 아버 님께 큰 감사를 올립니다.

그리고 이 논문이 시설청소년들의 어려운 삶의 과정에 조그마한 꿈과 희망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년 월 2015 12 송 경 환 올림

(7)

목 차

ABSTRACT

···ⅺ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A.

···1

연구문제

B.

···4

용어 정의

C.

···5 시설청소년

1. ···5 자기성장

2. ···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 ···5 4. 배려···6 5. 적극성 ···6

자원활용능력

6. ···6 책임감

7. ···6

이론적 배경 .

···7

시설청소년의 개념 및 특징

A.

···7 시설청소년의 개념

1. ···7 시설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특성

2. ···9

시설청소년의 입소 및 적응과정

B.

···11 시설입소 유형

1. ···11 적응요인

a. ···13 부적응요인

b. ···16 시설청소년의 적응과정

2. ···18

(8)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C.

···21 자기성장 개념

1. ···21 2. 자기성장 프로그램···24 3. 자기성장 구성요인···28

배려

a. ···28 적극성

b. ···30 자원활용능력

c. ···32 책임감

d. ···37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D.

···39 집단미술치료의 개념 및 특징

1. ···39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 ···42

본 연구의 모형

E.

···44

연구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 :

Ⅲ Ⅰ

프로그램 개발

···46

연구목적

A.

···46

연구절차

B.

···46

프로그램 개발 모형

C.

···47

프로그램 개발 절차

D.

···48 단계 목표수립

1. 1: ···50 단계 예비 프로그램의 구성

2. 2: ···51 단계 예비연구 및 장기적 효과 제고 노력

3. 3: ···58 단계 본 프로그램 개발

4. 4: ···65

연구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 :

Ⅳ Ⅱ

프로그램 효과 검증

···73

연구목적

A.

···73
(9)

연구가설

B.

···73

연구방법

C.

···74 연구대상

1. ···74 연구의 윤리적 고려

2. ···76 연구도구

3. ···76 연구설계

4. ···84 연구절차

5. ···85 자료분석

6. ···87

연구결과

D.

···87 동질성 검증

1. ···87 적응단계 변화

2. ···88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3. ···89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E.

질적 분석

···95 프로그램의 단계별 분석

1. ···95 초기단계

a. ···96 중기 단계

b. Ⅰ ···99 중기 단계

c. Ⅱ ···101 말기단계

d. ···107 자기성장 구성요인별 분석

2. ···110 배려

a. ···110 적극성

b. ···111 자원활용

c. ···112 책임감

d. ···113 개인별 분석

3. ···114 연구대상

a. A ···114 연구대상

b. H ···116 연구대상

c. E ···118 연구대상

d. L ···119

(10)

소감문 분석

4. ···121

프로그램 참여 소감 분석 a. ···121

프로그램 종결 소감문 분석 b. ···123

논의 및 결론 . Ⅵ

···125

논의 A.

···125

연구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1. Ⅰ: ···125

연구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검증 2. Ⅱ: ···127

결론 및 제언 B.

···131

참고문헌

···133

국문초록

···149

부록

···150
(11)

표 목 차

표 시설청소년의 개념 및 범위

< 1> ···8 표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현황

< 2> ···12 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 3> ···25 표 문헌 및 선행연구에 따른 배려 구성요소

< 4> ···29 표 사례 시설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 5> 1 ···33 표 사례 시설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 6> 2 ···34 표 사례 시설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 7> 3 ···35 표 사례 시설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 8> 4 ···36 표

< 9> 연구 Ⅰ의 연구절차···47 표 프로그램의 구성요인 및 하위 구성요소

< 10> ···53 표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예비 프로그램

< 11> ···57 표 예비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수정 보완 사항

< 12> ···61 표 예비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수정 전 후 프로그램 비교

< 13> · ···62 표 자기성장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 14> ···70 표 실험집단 통제집단 일반적 특성

< 15> · ···75 표 시설청소년의 적응단계 도구의 개념적 기틀

< 16> ···77 표 시설청소년의 적응단계 도구 구성 과정

< 17> ···78 표 면담일정 및 대상자 정보

< 18> ···79 표 연구설계

< 19> ···85 표 연구 의 연구절차

< 20> Ⅱ ···86 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 21> ···87 표 적응단계 실험집단 통제집단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2> · · · ···88 표 적응단계 반복측정 변량분석

< 23> ···89 표 배려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4> · · · ···89 표 배려 변량분석 결과

< 25> ···90 표 적극성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6> · · · ···91 표 적극성 변량분석 결과

< 27> ···92 표 자원활용능력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8> · · · ···92

(12)

표 자원활용능력 변량분석 결과

< 29> ···93 표 책임감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30> · · ···94 표 책임감 변량분석 결과

< 31> ···95 표 배려 행동 분이면 행복한 육아원 세부 활동내용

< 32> 1 00 ···97 표 내가 육아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

< 33> 00 ···98 표 내가 생각하는 우리 집 육아원 활동내용

< 34> “ (00 )” ···100 표 졸업 후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 까 무엇이 필요 할까

< 35> ? ? ···101 표 자신 있는 것 자신 없는 것 마법의 문장 활동내용

< 36> , , ···103 표 꿈 목록 활동 내용

< 37> “ ” “ ···104 표 활용가능한 자원탐색 및 활동내용

< 38> ···106 표 육아원에 하고 싶은 것들 활동내용

< 39> 00 ···108 표 육아원 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것 활동내용

< 40> “00 ” ···109 표 성공 문장 만들기 활동내용

< 41> “ ” ···109 표 프로그램 참여 소감문

< 42> ···122

(13)

그 림 목 차

그림 시설청소년의 적응단계 및 과정

< 1> ···20 그림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구성요인

< 2> ···27 그림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모형

< 3> ···44 그림 김창대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 4> ···48 그림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절차

< 5> ···49 그림 프로그램의 내용 배열

< 6> ···53 그림 집단 및 검사 시기에 따른 적응단계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7> · · ····88

그림 집단 및 검사 시기에 따른 배려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8> · · ···90 그림 집단 및 검사 시기에 따른 적극성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9> · · ···91 그림 집단 및 검사 시기에 따른 자원활용능력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10> · · 93

그림 집단 및 검사 시기에 따른 책임감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11> · · ···94 그림 회기 회기 배려단계 미술활동 내용 및 작품

< 12> 1 ~3 ···110 그림 회기 회기 적극성단계 미술활동 내용 및 작품

< 13> 4 ~6 ···112 그림 회기 회기 자원활용 미술활동 내용 및 작품

< 14> 7 ~9 ···113 그림 회기 회기 프로그램 활동사진 및 작품

< 15> 10 ~11 ···114

그림 청소년의 회기 작품

< 16> A 3, 5, 8, 10 ···116

그림 청소년의 회기 작품

< 17> H 3, 5, 8, 10 ···117

그림 청소년의 회기 작품

< 18> E 3, 5, 8, 10 ···119

그림 청소년의 회기 작품

< 19> L 3, 5, 8, 10 ···121

(14)

부 록

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 1> ···151 부록 전문가 집단 내용 타당도

< 2> ···152 부록 일반적 사항 질문지

< 3> ···153 부록 면담 질문

< 4> ···154 부록 시설 적응단계 전문가 내용타당도 설문지

< 5> ···154 부록 전문가 내용 타당도 차 검정 결과

< 6> 1 ···157 부록 전문가 내용 타당도 차 검정 결과

< 7> 2 ···160 부록 전문가 내용 타당도 차 검정 결과

< 8> 3 ···161 부록 시설 적응단계 척도

< 9> ···162 부록 배려 척도

< 10> ···163 부록 적극성 척도

< 11> ···163 부록 자원활용능력 척도

< 12> ···164 부록 책임감 척도

< 13> ···164 부록 관찰 평가

< 14> ···165 부록 프로그램 소감문

< 15> ···165 부록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회기별 계획서

< 16> ···166 부록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회기별 세부 계획

< 17> ···168 부록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회기기록

< 18> ···180

(15)

부 록 그 림 목 차

부록 얼굴 돌려 그리기

< 1> ···180 부록 내 인생의 대 사건

< 2> 5 ···181 부록 도움을 주는 손

< 3> “ ” ···182 부록 과자 집 만들기

< 4> ···183 부록 성공한 미래의 가면 만들기

< 5> ···184 부록 미래의 나의 삶 콜라주 활동

< 6> ···185 부록 꿈 노트 만들기

< 7> ···186 부록

< 8> My Dream, My Story ···187 부록 내게 사장 소중한 항아리 만들기

< 9> ···188 부록 다짐의 목판화 글쓰기

< 10> ···189 부록 꿈을 이룬 나의 옷 만들기

< 12> ···190 부록 전시회 및 경험 나누기

< 13> ···191

(16)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Self-Growth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nstitutional Adolescents

Song, Kyoung Hwan Advisor: Prof. Kim, Tack Ho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successful youth self-growth programs,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and continue to develop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research had two parts, named study I and study II. The outcome of these studies is as follows:

Study I proposed and implement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curriculum on these themes, consideration, positivity, responsibility, and ability to use resources. These themes were chosen in particular for youth living in residential care because they are important for teenagers self-growth.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se themes in mind. The pre-therapy program had 5 participants from the youth residential center. After the pretrial therapy was completed, the outcomes were examined by a group of expert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cusing on self-growth consisted of 12 sessions and was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Study II focused on the also focused on youth that are in residential care.

And it offered group art therapy programs that focused on self-growth.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see how well youth were adapting to residential care, mainly looking for increases in consideration, positivity, ability to utilize resources, and responsibility.

(17)

In Study II the program had 13 participants from B care center, they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youth from C care center, they were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total of 12 therapy sessions. There are two conclusions we can draw from this research.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more meaningful progress in self growth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is is measured by how way the youth were able to go through the 4 steps of adaptation, confused stage, acceptance stage, stable stage, and development stage.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nts were able to successful move from the acceptance state to the stable and then finally the development stage.

Second, the experimental youth also showed much higher self-growth sub-element tes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youth were able to increase their consideration, positivity, ability to utilize resources, and responsibility. These youth’s ability to access resources was especially improved.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self-growth art therapy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the youth in residential care. Therefore, this program is important for at risk adolescents and when implemented can greatly improve their adaptation to residential care facilities.

Key words: Youth(adolescents) in the residential care, Self -growth, Group art therapy

(18)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A.

현대사회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핵가족화와 맞벌이로 인해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인 유대관계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가족기 능의 약화는 이혼 별거 등으로 결손가정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많은, , 아동과 청소년이 시설보호와 공동생활가정에 위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 면 2014년 12월 시설보호아동 현황은 전국 278개 시설에 14,630명, 공동생활가정 보호 현황은 전국 476개 시설에 2,588명의 아동 및 청소년이 생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 이러한 사회복지 서비스는 가정에서의 양육을 받을 수 없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2015).

기본적인 생존권을 보장해주고 있다.

시설 청소년의 시설생활 기간이 평균 10년 이상이라는 점으로 보아 시설생활이 청 소년들에게 인생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시설생활은 매우 중요하다 정선욱 그러나 시설청소년에 대한 대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살펴보면 부정적

( , 2004). ,

자아상, 학습부진, 또래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형성, 따돌림, 충동적이고 폭력적 행 동 등을 보이며, 불안과 열등감 우울 위축 그리고 소외감 등의 심리적 사회적 특성, , · 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신연경( , 2002; 노정현, 2007; 이순형 외, 2001; 권기남 외, 2002; 정선욱, 2002; 이상준, 2008; 현은민, 2005; 최은경 외, 2006). 이러한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설청소년들의 정신건강과 성장 및 심성발달 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다각도로 시도되어 왔으며, 그 중에 자기성장 프 로그램도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기존의 전통적 프로그램에서 일부 요소들을 발췌하거나 인용하여 재구성한 것들로, 기존 프로그램과 크게 다른 점을 발 견하기 어렵고,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고 있지 않아서 그 타당성이 의심 된다 최근 들어 시설청소년들에 대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전문가들에 의해서 실시되. 고는 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타당한 시설청소년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 하다. 또한 실제로 자기성장의 궁극적인 목적이 잘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효과 검증 또한 필요하다.

(19)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 대 인관계 전정화( , 2012; 류경희 외 2013),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 (채선기 2005), 자아 존중감, 자기통제력 불안 공명자, ( 2003), 자아정체감 김여환( 2000), 자아존중감 및 사 회성 향상 강기정( 2003)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자기성장이 프로그램의 그 중요성과 가치가 점차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의 타당성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프로그, 램의 개발절차, 프로그램의 회기 내용 구성, 프로그램의 평가 도구,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 및 절차 측면에서 몇 가지 보완할 점이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절차 면에서 살펴보면,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프로그 램의 연구 류경희 외( 2013; 채선기, 2005; 공명자, 2003; 김여환, 2000; 강기정, 들은 대부분 프로그램 개발 모형 혹은 개발절차를 제시하지 않았으며 이론적 근

2003) ,

거가 미비하여 그 타당성이 의심된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론적 근. 거를 토대로 개발 모형을 설정한 후 이에 따른 절차대로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의 요 인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보다 타당한 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프로그램의 회기 내용 구성에 관한 측면이다. 류경희 외(2013)는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프로그램과 집단미술치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주 회1 12 , 12주 회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고, 채선기(2005)은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주 회’ 1 10 주, 10회기로 구성하였다. 공명자(2003)은 오세덕(2002)이 초등학생을 위해 개발한 걷기명상과 자아성장 프로그램 을 청소년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

‘ ’ .

그램은 주 5회 4주, 총 18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강기정(2003)은 의 인간중심이론을 바탕으로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다른 사람에게

Rogers(1961) , , ,

그대로의 나를 개방하게 되어 합리적인 사고와 생산적인 인간관계를 맺도록 주 2회 4 주, 8회기 프로그램으로 이론에 입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의의는 있다. 그러나 윤홍섭과 이형득(1982)의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은 개발된 지 33년이 지난 최 근에까지 이르러 지금까지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활동중심 진행이 대부분이므로 연 구자의 변인이 크게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각 회기별 기법에 대한 분명한 이론적, 토대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회기 구성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의 근거를 제시하고 전문가 검증 과정을 거친다면 보다 타 당한 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프로그램의 평가 도구 측면에서 살펴보면, 기존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20)

목적 및 목표 달성의 평가를 구체화하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시설.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종속변인인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불안, 자 기통제력 자아정체감, , 사회성의 효과 여부를 검증한 연구가 있으나 자기성장의 종속, 변인으로서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의 대부분이 자기성장 프로그램 회기별 평가와 전체 프로그램 및 자기성장의 결과가 제시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미비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뢰할 만한 자기성 장 척도와 자기성장의 프로그램의 회기별 평가 전체 프로그램 및 자기성장 평가를 실, 시한다면 보다 타당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될 것으로 본다.

프로그램의 평가 도구 측면에서 살펴보면,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프 로그램의 연구에서 류경희 외(2013)은 실험집단의 변화만을 보았다. 또한 측정시기에 있어서 사후검사는 하였으나, 추후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연구들 류경희 외( , 2013; 채 선기, 2005; 강기정 2003)은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검증하지 않은 미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사후 검사뿐만 아니라, , 추후검사를 실시한다면 개발된 자, 기성장 프로그램의 지속성의 효과에 대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프로그램 평가 모형을 설정한 후 이에 따른 절 차대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평가한다면 보다 타당한 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프로그램 실시 방법 및 매체를 살펴보면,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프로 그램의 연구(2013; 채선기, 2005; 공명자, 2003; 강기정 2003)들은 대화를 주로 사용 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는 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 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청소년들이 그들만의. 창의적인 언어를 선호하고, 언어적 상담에서 성인보다 더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기 때 문에 미술치료에서의 은유적인 의사소통은 언어적인 소통보다 더 편안해 할 수 있고, 이미지를 사용하여 접근하는 것은 전통적인 대화치료에서 나타나는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다(Christner & Mennuti, 2009). 그리고 집단미술치료는 또래 집단 내에서 편안 하게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이 가진 문제를 함께 해결 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 김서연( 2010)에서 시설생활과 자기성장이라는 공통된 문제를 갖고 있는 시설청소년 들에게 그 유용성은 클 것으로 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다 타당성이 높은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해서 개발 절차 회기 내용 구성 평가 도구 및 평가 방법 측면에서 문, , 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먼저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평가모형을 구안한 후,

(21)

이를 토대로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개발 및 검증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시 설청소년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B.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설청소년의 시설 적응단계를 알아보고, 자기성 장 관련요인 및 성장에 관한 문제점 그리고 기존의 시설아동의 자기성장과 적응 및 성 장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을 위한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 Ⅰ),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설청소년에게 제공하여 그 효 과를 검증 연구( Ⅱ)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을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 야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개발된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들에 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들의 적응단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들의 배려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들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들의 자원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 2-4.

한가?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들의 책임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5. ?

(22)

용어 정의 C.

시설청소년 1.

시설청소년이란, ‘보호를 필요로 하는 청소년을 시설에 입소 시켜 보호하고 양육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생활시설 을 말한다’ . 시설청소년은‘18세 미만의 자 를 말하’ 며,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 또는 보호자가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 가 청소년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청소년을 뜻한다 전( 정화, 2012). 본 연구에서 시설청소년이란 A시에 위치한 11개 법인시설로 생활시설에 서 생활하고 있는 만 세 에서13 14 (세 중학교 1학년~2학년 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시설청) 소년으로 정의한다.

자기성장 2.

자기성장은 개인이 자신과 주변세계를 지각함에 있어서 있는 그대로의 자기와 타인 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개방하고 주장함으로써 자신의 잠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한다 이혜진( 2013). 본 연구에서는 시설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참모습을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시설생활 과정을 통하여 자기성장을 도모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배려, 적극성, 자원활용능력, 책임감으로 4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관련 활동에 대하여 구체적이, , 고 체계적인 계획의 지침으로 정의한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

집단미술치료는 대상자의 다양한 심리내적 갈등을 미술매체를 활용하여 저항과 방 어를 감소시키고 자신의 변화욕구와 현실 속 행동, 계획 및 변화를 자유롭게 표현하여 스스로 평가함에 있어 객관화된 유형의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미술치료를 집단으로 진 행하는 심리치료이다 김보현( 2014).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시 설 청소년의 자기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전 요구를 반영하여 목적에 합당한 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목표, 내용, 과정, 활동 등으로 총 12회기로 구성된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정의 한다.

(23)

배려 4.

배려(Caring)란 나를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상대방의 입장, 처지, 상황을 생각하고, 상대방에 대한 필요나 감정에 마음을 쓰며, 상대방의 행동에 대하여 정적으로 표현하 고 도움을 주는 정도로 정의한다 하위요소로는 타인고려요인 민감요인. , , 긍정적 반응 요인 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연수 김성희· (2009)가 개발한 초등학생 배려척도를 민정숙(2014)이 중학생용 배려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 보완 한 척도 중 타인고 려요인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시설청소년의 배려 척도로 정의 한다, .

적극성 5.

시설청소년의 적극성이란 사회성 수준이 높거나 대인관계에 적극적인 태도와 미래 의 성공을 위해 열심히 살려는 의지를 말하는 것으로 성취동기“ ”를 포함하고 있다 양( 승연 외 2012). 적극성은 성취동기로서 어울림, 성공에 대한 열망으로 본 연구에서의 적극성은 조기곤(2009)의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서 사용한 성 취동기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시설청소년의 적극성 척도로 정의 한다.

자원활용능력 6.

자원활용능력은 시설에 존재 하거나 시설이 제공하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충분히 또 는 넉넉하게 활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시설 청소년들의 깊은 상처를 치료하. 고 예방, , 자기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시설의 자원관리 및 자기관리기술이 매우 중요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점숙. (2009)이 사용한 자립도 측정 도구 중 자기관리기술 전 체를 사용 하였으며, 이는 시설청소년의 자원활용능력 척도로 정의 한다.

책임감 7.

책임감은 자신이 선택한 것에 대해 인내와 끈기를 발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자신이 선택한 범위를 벗어난 상황에서 자신이 역할과 지위를 인식하여 의무를 다하는 책임을 가지고 이를 해내려는 동기이다 이명준 외( 2011). 본 연구에서는 송한경(2002)의 연구 에서 사용한 책임감 척도 전체점수로 정의 한다.

(24)

이론적 배경 .

시설청소년의 개념 및 특징 A.

시설청소년의 개념 1.

시설보호 청소년의 연령을 아동복지법 제 조3 (2011년 개정 에서는 만) 18세 미만의 자 를 말하며,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 또는 보호자의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 고 있다.

시설보호 청소년은 이처럼 부모가 자녀에 대한 역할을 수행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는 경우, 부모를 전적으로 대리하여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집단 보호하는 시설에서 생 활한다. 이에 시설보호의 개념은 “청소년과 무관한 성인들의 보호 하에 집단의 공동 생활을 위한 하루 24시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시설 로 정의되고 있다” (Kadushin, 1980).

즉, 관련법에 따르면 양육시설의 보호대상 청소년들은 만 18세 미만의 보호자가 없 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 또는 학대받은 청소년들을 말한다 김성경 외( , 2006). 이러한 시설 청소년들은 집단 거주환경 속에서 다수의 청소년들과 동시에 수용 보호를 받음으 로써, 통제된 집단 환경에서 제한된 상호작용과 집단 내에서의 단체 행동 등 일반 청 소년들과 다르게 가정생활을 경험한다 배은숙 외( , 2006).

한편 청소년기본법 제 조에서는 청소년을3 ‘9세 이상 24세 이하인자 로 정의하고’ 있고, 연구대상 대부분의 연령대가 아동보다는 청소년기 전반부에 해당하는 12세에서 세까지인 것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을 시설청소년이 18

라는 명칭으로 지칭하고 있다 강복정( , 1997; 이혜연 외, 2007).

시설 청소년의 선행연구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신혜령(2000)과 손혜옥 외(2008)는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어 가정을 떠나 양육시설에 입소한 세 미만의 자 혹은 학업을 계속하고 있는 세 미만의 자 로 정의하고 있다 다른

18 20 ’ .

연구자들도 ‘시설에 거처를 두고 보호와 양육을 받고 있는 중 고등학교 재학 청소년· 으로 재학 또는 취업 중이거나 취업 준비 중인 자 로 지칭하고 있다 배은숙 외’ ( ,

(25)

김동희 장경희 박순영 정경미 문은숙

2006; , 2011; , 2008; , 2008; , 2009; ,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관련법 아동복지법( , 청소년기본법 등 에 근거하여) 자기성장이 필요한 시설청소년을 ‘부모가 청소년에 대한 역할을 수행할 능력이나 의 사가 없는 경우, 부모를 전적으로 대리하여 청소년을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보호하 는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기의 12세에서 25세 청소년’에 한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시설청소년의 개념 및 범위

< 1>

연구 시설청소년의 개념 및 범위

신혜령, 2000

아동복지법에서 규정한 시설 아동에 대한 정의 중 보호자가 없거나 보

호자로부터 분리되어 아동양육시설에 입소한 18세 미만의자 혹은 학업을 계 속하고 있는 20세 미만의 자 에 해당되는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 · 년”

배은숙 외, 2006

연고자는 있지만 질병 이혼 사별 교도소 수감 별거 경제적인 이유

, , , , , ,

기타 사장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시설양육의 보호 아래 있는 중 고등· 학생”

전은진, 2006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하여 재학 또는 취업 중이거나 취업 준비 중인 18 이상 24세 미만의 자

박순영, 2008

청소년 자체는 정상이고 보호자는 있으나 질병 경제적인 이유 기타 사

, , ,

정으로 보호자의 버림을 받았으며, 다른 요인보다는 경제적인 사정으로 인 해 양육시설 보호 아래 생활하고 있는 중 고등학생을· 시설 청소년 으로 정의함.”

장경희, 2008

아동은 세부터 세까지 청소년은 세부터 자립생활관에서 생활이 가

6 13 , 14

능한 25세까지로 정하고, 시설 청소년은 아동복지법 규정에 의거 보호자 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되는 등 보호자와 분리되어 아동양육시설에 입 소한 자 로 정의하고자 함 .”

정경미, 2009

아동복지법에서 규정한 시설 아동에 대한 정의 중 보호자가 없거나 보

호자로부터 분리되어 가정을 떠나 아동양육시설에 입소한 18세 미만의 자 혹은 학업을 계속하고 있는 20세 미만의 자 에 해당되는 중 고등학교에 재 · 학 중인 청소년 및 학업중단 청소년”

문은숙, 2010 양육시설 청소년이란 함은 14세 이상 19세 미만의 중 고등학교에 재학 해· 당되지만 곧 사회에 나가 자립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함.”

김동희, 2011 아동양육시설 입소된 자로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6)

시설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특성 2.

시설청소년의 심리적 사회특성을 살펴보면· , 현재는 가정의 빈곤, 부모의 이혼, 별 거와 가출 등의 이유로 시설에 거주하며 장기적인 보호를 받는 청소년이 대부분이며, 이 같은 구성원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김통원 외( , 2005; 전재일 외,

또한 여러 연구에서 부모의 양육을 받지 못해 시설로 옮겨지는 청소년의

2000). 56.2%

가 부모의 이혼 또는 양육 거부로 입소하고 있고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

~ 75% ,

들이 겪는 방황 문제도 함께 보고되고 있다 김승권( 2003).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시설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열악 한 실정이다. 일반가정과 시설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우울 최종훈( 외 2012), 대인불안, 특성불안 홍수현 외( 2005; 조정순 외 2009; 김지은 2007), 사회 적 위축 김국진( , 2002; 양점도 외, 2001), 책임감 부족, 소극적 행동 약한 표현력 지( , 나친 수줍음), 주의 산만 도벽 거짓말 감사할 줄 모르는 태도, , , , 의존적인 행동 성취( 동기 부족), 게으름, 물품낭비, 지나친 짜증, 좌절감, 자기 비아감을 나타낸다 이상( 미, 2007; 김국진, 2002). 이에 시설청소년들은 성격형성에 문제가 많고, 부적응적 이 라는 보고가 일반적이다. 시설청소년은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부모로부터 유기된 경험 에 의해 일반청소년들보다 부정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Frank, Klass, 이순형 이혜승 재인용 특 Earls & Eisenberg, 1996; Hodges & Tizard, 1989, , , 2002( ).

히 이러한 성격형성은 시설청소년이 성장하면서 반사회적 성격장애로 발달될 수 있어 다른 심리 행동 문제보다 더욱 위험하다· . 시설 입소 후 6개월 이내에 비행을 저지른 적이 있는 시설청소년의 비율은 13.8%로 비행을 경험한 전체 취약계층 12.2% 보다 더 높았다 이혜연 외( , 2012). 이처럼 대부분의 연구에서 시설생활은 시설청소년에게 부정 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시설청소년들이 시설생활에서 성장하지 못하고 부적응적인 것은 아니 며 적응적으로 잘 성장한다는 보고들이 있다 즉, . , 시설청소년들이 일반청소년들에 비 해 문제행동이 적고 대인관계도 더 좋으며, , 시설청소년이 일반가정의 문제 많은 부모 와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생활하는 청소년들보다 오히려 건강이나 심리사회적 적응 면 에서 우수하다는 것이다 이순형 외( , 2002; 최일경, 1996). 시설아동들이 부모로부터 심리적, 정서적으로 결핍된 점을 시설내의 다른 아동들과의 접촉이나 교육을 통해 보 완할 수 있으며, 아동의 자기충동을 조절하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다고 하였다 김혜( 숙, 1996). 시설아동은 다양한 연령의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일반가정 아동보다

(27)

더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처럼 어려운 환경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발달상의 문제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잘 적응하는 적응유연한 아이들(resillient child)이 있다는 사실이 국외 연구 자들에 의해 밝혀지면서 국내의 적응과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들도 발달상의 불리함에 처해있는 아동의 적응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강문희( , 2005; 송옥선, 자기성장은 개인이 불행한 사건과 위험을 경험하더라도 그것을 극복하고 긍정 2006).

적으로 성장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유연성 있게 회복해 가는 역동 적인 변화의 과정을 말한다 천미영( , 2010). 즉, 위험 상황 속에서도 자기성장 요인을 가지고 있는 개인은 학업적 성취, 자아개념, 대인관계 능력 등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 타낸다고 하였다 이는 개인적 특성. , 가족 및 가족 이외의 환경 속에서 스트레스를 완 화시키는 보호요인에 의해 성공적인 자기성장을 가능케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김혜( 영, 2007).

그러나 어려운 환경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발달상의 문제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잘 적응하는 적응유여한 아이들(resillient child)이 있다는 사실이 국외 연구 자들에 의해 밝혀지면서 국내의 적응과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들도 발달상의 불리함에 처해있는 청소년의 적응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강문희( , 2005; 송옥선, 자기성장은 개인이 불행한 사건과 위험을 경험하더라도 그것을 극복하고 긍정 2006).

적으로 성장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유연성 있게 회복해 가는 역동 적인 변화의 과정을 말한다 천미영( , 2010). 즉, 위험 상황 속에서도 자기성장 요인을 가지고 있는 개인은 학업적 성취, 자아개념, 대인관계 능력 등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 타낸다고 하였다 이는 개인적 특성. , 가족 이외의 환경 속에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에 의해 성공적인 성장을 가능케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김혜영( , 2007).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시설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이 여전히 병리학적 문제에 관심 을 두고 있거나 시설의 내적·외적 요인이 문제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최근 일 반 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이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심리사회적 적응과 자기 성장의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처럼 시설청소년의 정서 행동특성· 에서 적응유연성이 높은 시설청소년이 문제가 적었음을 보고한 연구 김보람 외( , 2007) 에서 보여주듯,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요인에 관심을 갖는다면 시설청소년의 시설적 응과 시설생활에서의 자기성장의 기회를 갖고 긍정적 발달을 돕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 겠다.

(28)

시설청소년의 입소 및 적응과정 B.

시설입소 유형 1.

시설의 보호 대상은 18세 미만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서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 터 이탈된 아동 및 청소년 또는 보호자가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아동복지법 제 조( 3 ).

과 주소희와 이경은

Garvin Tropman(1994), Whittaker(1984), Bullock(2006), (2005) 은 일반적으로 시설보호에서는 다음과 같은 아동 및 청소년을 보살피고 치료해 왔다고 노병일(2012)이 정리하고 있다. 첫째, 심각한 문제를 가진 청소년 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청소년 자신이 심각한 문제를 가지기 때문에 시설 보호에 놓이는 청소년이 많 다. 이런 청소년의 예로 신체장애, 심한지체, 비행에 가담, 행동문제, 정서문제가 있 다 이런 청소년은 더 보호해 주는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설보호에 놓일 수 있다. . 둘째 가족과 격리되어야 하며 집단을 통한 생활경험이 필요한 청소년 이다 입양이나, . 위탁보호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에, 이런 시설보호에 놓일 수 있 다 셋째. , 가족이나 부모의 상황이 매우 좋지 않는 아동 이다 예를 들어 가족이 빈곤. 하거나 부모가 아동을 버리거나 부모가 사망 이혼 가출한 경우에는· · , 시설보호를 받 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근래에 들어서 부모의 사망보다는 부모의 이혼 때문에 시설보호에 놓이는 아동 및 청소년의 수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고 정리하였다.

아동복지시설의 종류는 아동복지법 제52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복지시설 중 청소년이 생활하는 보호 시설의 종류로서 첫째, 아동양육시설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 및 청소( 년을 입소시켜 보호 양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둘째 일시보호시설 보호를, ( 필요로 하는 아동 및 청소년을 일시보호하고, 향후의 양육대책수립 및 보호조치를 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셋째, 보호치료시설 불량행위를 하거나 불량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아동 및 청소년으로서 보호자가 없거나 친권자나 후견인이 입소를 신 청한 청소년 또는 가정법원, 지방법원소년부지원에서 보호 위탁된 청소년을 입소시켜 그들을 선도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넷째, 직업 훈련시설 복지시설에 입소되어 있는 만 세 이상의 청소년과 생활이 어려운 가정의 아( 15 동에 대하여 자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다 섯째 자립지원시설 복지시설에서 퇴소한 자에게 취업준비기간 또는 취업 후 일정기간, (

(29)

보호함으로써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여섯째, 단기보호시설 일반( 가정에 청소년을 보호하기 곤란한 일시적 사정이 있는 경우 단기간 보호하며 가정의 복지에 필요한 지원조치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일곱째, 공동생활가정 그( 룹홈 보호를 필요로 하는 청소년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등이 있다.

시설 보호아동의 발생원인을 보건복지부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현황 <표 2>를 살 펴볼 때, 기아와 미아의 발생원인은 적은 반면에 미혼모아 학대 부모이혼 순으로 가, , 정의 기능적 문제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표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현황

< 2>

출처 : 보건복지통계연보 2015

요보호아동발생시 보호조치 절차에 있어 아동 및 청소년을 발견하거나 보호자의 의 뢰를 받게 되었을 때, 전담공무원 또는 아동위원에게 보호대상 자 또는 보호자의 상담 과 지도를 받게 된다. 이때 개인정보 및 가정환경을 종합하여 보호 대상 여부를 판별 하게 되며, 시설보호가 필요한 입소 대상으로 판별된 경우 대상 자 또는 보호자가 입

년 도 2010 2011 2012 2013 2014 총 아동발생 수 9,960 8,436 8,003 6,834 6,014 귀가 및 연고자 인도 1,370 953 1,077 814 1,020

8,590 7,483 6,926 6,020 4,994

기아 191 218 235 285 282

미혼모아동 등 2,804 2,515 1,989 1,534 1,226

미아 210 81 50 21 13

비행 가출 부랑, , 772 741 708 512 508 학대 1,037 1,125 1,122 1,117 1,105

부모빈곤실직 586 418 448 338 308

부모사망 772 536 533 545 450

부모질병 203 154 166 133 65

부모이혼 둥 2,015 1,695 1,675 1,535 1,037

8,590 7,483 6,926 6,020 4,994

소계 4,842 3,752 3,748 3,257 2,900 양육시설 등 2,445 2,246 2,272 1,731 1,818 일시보호 시설 1,751 862 676 801 566

장애아동시설 23 32 25 39 10

공도생활가정 623 612 775 686 506

소계 3,48 3,731 3,178 2,763 2,094

소년소녀가장 231 128 117 20 13

입양 1,393 1,253 772 478 781 가정위탁 2,124 2,350 2,289 994 1,300

(30)

소신청서를 관할청장에게 제출하며, 관할청장은 복지시설 장에게 해당 보호대상아동의 입소를 의뢰한다 아동복지법( ).

이처럼 아동복지 시설 입소는 관할지역의 입소 절차에 따라 입소대상 판정 후 시군 구의 명의로 해당 관청을 경유하여 대상자를 시설에 위탁하게 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입소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소대상 판정을 위한 개인 정보와 가정환경 상담이 관활 동사무소 내지 시설 관련 상담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시, 설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는 상담자가 아동에게 적절한 시설을 파악한 뒤 아동에게 안 내함과 동시에 시설에 입소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적응요인 a.

시설청소년의 시설적응에 관련하여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구학적 요인, 시 설입소요인 원가족요인 관계적 요인 시설생활 경험요인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 , .

첫째, 인구학적 요인에는 ‘성별’, ‘연령’,이 포함되어 있고, 성별과 관련하여 남영옥 외(2008)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사회적응력이 더 우세함을 보고한바 있고, 남녀 간에 우울성향 유안진( , 2001; 유안진 외, 2001) )과 자아개념 이미혜( , 2002), 학 교적응 성미영외( , 2001)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위탁보호의 경우 남 여· 차이를 보이는데 여아의 경우 일반가정의 아동에 비해 파괴적인 행동경향이 유의하게 더 높은데 반해, 남아의 경우 일반지역사회아동에 비해 파괴적 행동이나 또래관계 면 에서 일반아동과 별 차이가 없다는 Jones와 Morris(2012)의 연구도 주목할 만하다 연. 령 역시 증가할수록 사회적 적응력이 향상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남영옥 외( 2008)시 설 청소년의 가출과 연령은 무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원철 외( 2013).

둘째, 시설입소요인으로 ‘입소연령’, ‘이전시설경험’, ‘부모결혼불화’가 포함 되었다. 시설입소 후 첫 몇 달 동안 부적응 문제가 가장 크다는 Barber와 의 연구와 입소연령이 낮을수록 부모와 분리된 기간이 길고 더 오랫동 Delfabbro(2002)

안 시설에 거주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때 입소연령 역시 시설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지만 정원철 외(2014)의 연구에서 어린 시절부터 시설에 거주한 청소년 이 시설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타 시설로부터의 전원은 이전 시설에서. 의 부적응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는 Barber와 Delfabbro(2002)의 주장을 고려할 때 아 동의 전원경험은 시설부적응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타 시설 경험 을 하지 않은 청소년일수록 시설에 적응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부모가 생존해 있.

(31)

지 않는 경우보다 부모가 생존해 있는 채 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에서 내면화 행동문제 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존하는 부모와의 이별을 사회적 지지원의 상실로 인식하거나 또는 생부모로 부터의 사랑이 철회된 것으로 해석한 결과 굴욕 거, 절 무가치 등의 감정과 함께 버려졌다고 인식한 것과 관련이 있다 이순형 외, ( , 2001).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부모의 이혼으로 입소한 청소년과 부모의 사별이나 경제적 파탄 등의 사유로 입소한 청소년 간에는 시설적응에 차이가 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셋째, 원가족요인으로 ‘시설 내 혈육거주’, ‘가족연락 빈도 가 포함되었다’ . 동 일시설에 형제, 자매가 함께 생활하는 것이 청소년의 가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등 과 정원철 외 의 연구가 있고 동일시설 내 혈육의 거주는 시 Courtney (2005) (2013) ,

설아동의 공격적 행동표출을 감소시키며 이순형 외( , 2001) 시설 내 형제간의 관계가 좋을 경우에도 문제행동은 유의하게 감소된다고 Linares 등(2007)은 보고하였다. 시설 청소년의 원가족과의 관계유지와 관련하여 부모와 연락을 유지할수록 사회적응이 높아 진다는 연구 남영옥외( , 2008)결과가와 구차순 외(2011)은 시설직원과 진행된 면담을 인용하여 원가족이 없는 아동은 시설을 내 집이라고 여기는데 반해 원가족이 있는 아, 동은 시설을 기숙사 정도로 여기는 태도를 인해 시설적응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한편 미국 위탁보호아동 가출사유의 상당부분이 원가족과의 관계유지를 목적 으로 한다는 연구결과(Kerr & Finlay, 2006; Fasulo et al., 2002)를 고려할 때 시설 아동과 원가족과의 관계는 아동의 시설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관계적 요인으로 Hirsh(1969)의 ‘사회유대이론 에서 사회적 관계가 소속체’ 계에 대한 적응수준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Hirsh는 개인은 일탈을 저지를 가능성이 잠재해 있지만 ‘애착’, ‘참여’ 등의 사회적 관계가 이러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하였다. 국내의 선행연구에서도 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적응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김정희( 2007; 남영옥 외, 2008; 박현선, 1998; 정원철, 2009; 정원 철 외, 2013). 특히 부모를 떠나 생활하는 시설청소년의 경우 시설 내의 또래집단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비슷한 슬픔과 고통을 경험한 처지여서 상호의존과 동맹이 가능한 관계이므로 또래집단은 부모의 영향력만큼이나 아동의 심리 정서적 상태에 강 력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래애착이 클수록 위축 불안 우울 등의 정서적, , 문제가 감소된다는 연구 이현옥( 2002)와 시설또래로부터 지지를 받을수록 사회적 적응 수준이 증가한다는 연구 남영옥 외( 2008), 또래와 긍정적 관계, 즉 또래들에 의해 수 용되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관계에 있을수록 위탁보호아동의 심리적 탄력성도 증가한 다는 연구(Trout et al., 2008; Taussing 2002)는 이러한 예측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32)

있다. 학교교사와의 관계가 좋고 지지적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 문성호( , 2001)와 아동 의 사회적 적응수준 남영옥 외( 2008), 학교적응 여은선( , 2005)이 향상되고 시설에서의 가출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 정원철 외( 2013)되었다. 시설직원은 시설청소년의 대리 부모로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모성 및 부성적 기능과 시설운영에 필요한 전반 적인 규율을 제고하는 통제자의 역할이 주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시설청소년과 시설직 원과 애착이 발달할수록 청소년의 외현화문제행동이 감소하며(Osterman et. al., 직원과 청소년의 긍정적 관계는 시설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 2008),

으로 기능한다는 연구(Linares, Li et al., 2007)가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토대 로 할 때 시설직원과 아동과의 관계는 아동의 시설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 되 었다.

다섯째, 시설생활 경험요인으로 이화명 외(2015)의 연구에서는 시설에 입소한 청소 년들은 자신의 속해 있는 낯선 환경이 가정환경이 아니지만 현재의 사설환경에 적응 하고,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이고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여 자아를 찾는 경험을 하였고, 입소해 있는 동안에 시설에서 지원받는 물질적인 서비스 지원과 심리적 치유 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잘 활용하였다. 또한 시설에 입소하면서 자신과 같은 상황의 아이들과 상황을 공유하고, 프로그램 등을 통해 내적인 성숙도가 높아져 진취적인 미 래를 계획하며, 자신의 상황과 환경을 비관하기보다 이 상황을 뛰어넘으려고 하는 강 한 의지를 보였다 윤혜신. (2008)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에게는 또래관계 및 애착은 시설 청소년에게 정서적 지지를 줄 수 있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양승연 외 (2012)의 연구에 서 적응유연성으로는 ‘배려’, ‘적극성’, ‘자원환용능력’, ‘책임감’으로 나타 났다. 배려는 특히 어려움에 처해 있는 다른 아동들이나 사람들을 이해하고 손윗사람 과 어린 사람들을 도와준 경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해 와’ ‘돌봄’이라는 하위 범주들로 구성되었다. ‘적극성’은 사회성 주준이 높거나 대인관계에 적극적인 태도 를 보이는 것과 미래의 성공을 위해 열심히 하려는 의지를 말하는 것으로 ‘어울림’ 과 ‘성취동기’가 포함되었다. ‘자원활용능력 은 시설에 존재하거나 시설이 제공하’ 는 각종 자원들을 충분히 또는 넉넉하게 활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충분함 과 넉넉하게 배움 이 포함된다 책임감 은 혼자서 잘 살아가는 것을

‘ ’ ‘ ’ . ‘ ’

넘어서 다른 사람 가족( , 다른 시설아동들 을 도와주고 싶다는 바람을 담고 있으며 여) , 기에는 ‘같이 살고 싶음 이 포함되었다 이처럼 시설청소년의 배려 적극성’ . , , 자원활 용능력, 책임감이 보완될 경우 시설적응과 성장할 수 있음을 질적연구를 통해 제시 하 였다.

(33)

부적응요인 b.

애초에 아동양육시설은 주로 전쟁고아나 미혼모의 자녀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기관이 었으나 사회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부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정으로 인해 시설 로 옮겨와 생활하는 아동들이 주를 이루는 시설로 변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 동양육시설과 같은 시설보호는 장기적이고 영속적인 서비스를 통해 안정감을 발달시킬 수 있고 보다 많은 교육기회, 소속감, 공동체의식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구차순 외( , 2011; Kadushin, 1980). Jones와 Morris(2012)는 행동적 정서적 문제가 없고 적응적 기능을 소유한 상태 를 시설보호아동의 적

‘ ’ ‘

응 으로 정의하였다’ . 시설보호에서의 아동적응을 시설보호를 받으며 시설환경에 순응 하고 시설을 내 집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상태로 정의한 연구자 구차순( , 2011)도 있다. 한편 Altshuler와 Gleeson(1999)은 가정의보호(foster care)의 성공을 측정하는 요인 으로 보호의 연속성(permanency)과 안정성(safety)을 제시한바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청소년이 시설에서 생활하면서 시설에 원만한 적응과 성장하도록 하는 것은 시 설보호의 일차적인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일부의 연구에서 시설청소년의 부적응 요인으로 성인 지향적이고 또래관계에서 의존 적이며(Hodges & Tizard, 1989; Hoffart & Grinnell, 1994), 학교부적응수준이 높고 문성호 성미영 외 사회기술이 떨어지며 권세은 우울과 불안을 ( , 2001; , 2001) ( , 2002),

포함하는 심리적 문제를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성미영( , 2006; 이강이 외, 2002; 정선욱, 2002; 홍영미, 2010; Courtney et al.,2005). 이처럼 시설보호아동 의 심리정서적인 문제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시설보호 아동이 시설에서의 생활이 힘듦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시설청소년은 다음의 사유로 인해 시설 부적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시설 아동들은 시설 입소 이전의 가족문제로 인해 외상(trauma)과 부정적인 경험을 지니고 있다. 장기간 지속되어 온 가족문제의 결과로 시설에 입소한 경우 아동들은 원가족이 지닌 가족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정선욱( , 2002). 아동양육시설에 맡겨지기 이 전에 부모의 부부간문제, 부모의 경제적 문제, 실직, 아동학대, 약물의존, 문제 등으 로 인해 발생된 가족문제에 노출되어 심리적인 충격과 외상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석주영 외( 2004; 성미영, 2006; 이강이 외, 2002; 이한우 외, 2012; 홍영미, 도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은 원가족과 2010; Courtney et al, 2005). Morrison (1999)

의 이별로 인한 충격으로 인해 애착관계형성이 어렵고, 또래나 시설 직원들과의 신뢰

(34)

와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곤란을 가진다고 지적한바 있다.

둘째, 한국의 아동양육시설은 운영의 편의상 또는 시설의 특성 상 집단생활을 강조 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정원철 외( 2013). 뿐만 아니라 아동양육시설은 우리사회에서 고아원 으로 명칭 되었던 바와 같이 아동양육시설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은 부정

‘ ’

적인 것이 사실이다 정익중 외( , 2012). 이와 같이 아동양육시설에 대한 주위의 부정적 인 낙인은 시설청소년을 위축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시설적응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 될 가능성이 있다(Courtney & Zinn, 2009).

셋째, 양육시설은 일반가정에 비해 청소년의 정상적인 발달에 요구되는 유익한 자 원 이를 태면 심리적지지 정서적 동맹 모델링, , , , 휴식 공간 안전한 경계 공감적 버, , 팀목 등의 요소가 결핍되어 있다 정원철 외( , 2013; Gunnar et al., 2000). Lee와 Seol 등(2010)의 주장과 같이 아동양육시설에 대한 국가로부터의 지원수준이 향상됨으로써 이전에 비해 의복이나 영양 주거조건과 같은 물리적인 자극은 충족되었다고 하더라도, 보육사의 잦은 교체나 정서적 친밀감과 유대감의 결여가 두드러진다는 측면은 아동양 육시설의 주요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의 조건으로 인해 시설청소년의 시설적응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오승환. (2010)은 시설 청소 년의 가출율(59.5%)이 일반 청소년의 가출율(8.1%)에 비해 약 7배 이상 정원철 외( , 이라는 점은 아동의 시설부적응 문제가 큰 것을 직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게 2013)

한다 이는 청소년 가출은 청소년의 적응수준의 지표가 될 수 있다는. Courtney와 Zinn 등(2005)의 주장에서 잘 지지된다.

우리나라와 같이 시설보호(institutional care)를 주로 하는 복지시스템에서 청소년 의 시설 부적응은 궁극적으로 가출이나 심리 정서적 문제· , 대인관계 위축, 학교 및 학습부진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복지시설의 중요한 이슈 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선욱( , 2002). 국내에서는 그동안 시설아동의 사회적 적응 요인 남영옥 이상준( , 2008), 원가족 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 정선욱( , 2002), 시설아동 의 적응유연성 형성과정 양승연( , 외, 2012) 등의 연구가 있었지만 아동양육시설에 생 활하는 아동의 시설적응과 자기성장을 돕는 프로그램은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아직 시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시설청소년의 적응과정 2.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응과정에 관한 국내의 연구로는 양승현, 오정란, 권지성

(35)

의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응유연성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가 유일하 (2012)

다. 이 연구에서는 시설에 입소하여 적응해가는 과정을 인과조건, 중심현상, 촉진조 건, 방해조건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연구의 내용을 보면 첫째 인과 조건의 하 위영역으로 떠밀려남과 불가항력으로 자신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양육시설에 입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시설 청소년들은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시설에 입소하였지만 특히 부 모로부터 유기 되었거나, 부모이혼으로 양육이 거부된 아동, 재혼가정 적응의 어려움 으로 시설에 입소한 아동, 부모의 장애로 인하여 양육이 어려운 아동 등 부모로부터 양육이 거부된 아동들은 시설에 입소하기 까지 심리적으로 감당했어야 하는 일들이 많 았으리라 예상된다.

둘째, 중심 현상의 하위영역으로 속수무책과 받아들임이 있다. 속수무책은 자신이 어떻게 시설에 왔는지, 부모가 누구이고 이름이 어떻게 되는지, 왜 자신을 버렸는지 이유를 알 고 싶어 했고, 자신을 시설에 버린 부모에 대하여 원망스러워 함. 또한 일 정시간 동안 연락이 되었거나, 시설에 입소한 후 갑자지 연락이 안 됨, 같이 살고 싶 다고 말을 했는데도 안 된다고 거절당함을 경험 한 아동들은 속수무책을 경험 하였�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