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3.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배려
a.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배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하여 집단 연구집단( , 통제집단 과 검사 시기 사전) ( , 사후, 추후 간의 배려에 대한 평균) 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표< 23>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배려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4> · · · (N=26)
요인 Source SS df MS F
적응단계
집단간
집단 6683.12 1 6683.12 29.90***
오차 5364.15 24 223.50 집단내
검사시기 3018.02 2 1509.01 79.92***
집단 검사시기× 3686.33 2 1843.16 97.61***
오차 906.30 48 18.88
구 분
사전 사후 추 후
M (SD) M (SD) M (SD)
실험집단(n=13) 26.30 (1.60) 39.69 (2.09) 40.07 (4.23) 통제 집단(n=13) 28.15 (1.99) 29.69 (1.31) 29.84 (1.34)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적응유연성에 대한 집단별 사전, 사후, 추 후 점수 변화는 그림< 8>과 같다.
20 25 30 35 40 45
사전 사후 추후
28.15 29.69 29.84
26.3
39.69 40.07
실험집단 통제집단
그림 배려
< 8> 사전 사후 추후· · 평균
시설청소년의 배려에 대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4>와 같다. 시설청소년에 게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시설청소년의 배려 집단의 주 효과 (F=109.46, p<.05), 검사 시기의 효과(F=105.35, p<.001)와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 호작용 효과 (F=65.26,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배려 변량분석 결과
< 25>
결론적으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추후 에서도 적극성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시설청소년, . 들로 하여금 시설생활에 있어 시설직원 및 동료, 타인을 이해할 뿐 아니라 동생들을 돌보는 행동 등 자기성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요인 Source SS df MS F
배려
집단간
집단 732.32 1 732.32 109.46***
오차 160.56 24 6.69
집단내
검사시기 1001.10 2 500.55 105.35***
집단× 검사시기 620.17 2 310.09 65.26***
오차 228.05 48 4.751
적극성 b.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 연구집단( , 통제집단 과 검사 시기 사전) ( , 사후, 추후 간의 적극성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표< 26>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적극성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6> · · (N=26)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적극성에 대한 집단별 사전 사후 추후 점수· · 변화는 <그림 9>과 같다.
20 25 30 35 40
사전 사후 추후
28.3 28.61 28.46
25.46
30.92 31
실험집단 통제집단
그림 적극성
< 9> 사전 사후 추후· · 평균
시설청소년의 적극성에 대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6>와 같다 시설청소년. 에게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시설청소년의 적극성 집단의 주 효과 (F=.802, p<.05), 검사 시기의 효과(F=26.72, p<.001)와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F=22.6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사전 사후 추 후
M (SD) M (SD) M (SD)
실험집단(n=13) 25.46 (2.47) 30.92 (1.93) 31.00 (2.64) 통제 집단(n=13) 28.30 (2.71) 28.61 (1.98) 28.46 (2.02)
표 적극성 변량분석 결과
< 27>
결론적으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추후 에서도 적극성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시설청소년, . 들로 하여금 시설생활에 있어 시설직원 및 동료 타인을 대함에 있어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할 뿐 아니라 자신의 꿈과 목표를 이루기 한 성취동기에 향상을 보였고, 이는 시 설청소년의 자기성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자원활용능력 c.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자원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 증하기 위하여 집단 연구집단( , 통제집단 과 검사 시기 사전) ( , 사후, 추후 간의 자원활) 용능력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표< 28>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자원활용능력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28> · · · (N=26)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자원활용능력에 대한 집단별 점수 변화는 그림 과 같다
< 10> .
요인 Source SS df MS F
적극성
집단간
집단 8.66 1 8.66 .802
오차 259.385 24 10.80
집단내
검사시기 142.33 2 71.16 26.72***
집단× 검사시기 120.48 2 60.24 22.61***
오차 127.84 48 2.66
구 분
사전 사후 추 후
M (SD) M (SD) M (SD)
실험집단(n=13) 38.84 (2.47) 49.23 (4.12) 49.92 (3.98)
통제 집단(n=13) 40.07 (3.61) 41.07 (3.12) 39.69 (3.61)
30 35 40 45 50 55
사전 사후 추후
40.07 41.07 39.69
38.84
49.23 49.92
실험집단 통제집단
그림 자원활용능력
< 10> 사전·사후·추후 평균
시설청소년의 자원활용능력에 대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1>와 같다 시설. 청소년에게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시설청소년의 자원활용능 력 집단의 주 효과 (F=28.55, p<.05), 검사 시기의 효과(F=34.95, p<.001)와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F=31.99,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표 자원활용능력 변량분석 결과
< 29>
결론적으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자원활용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시설청소년들로 하. 여금 시설생활에 있어 시설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이 충분함과 활용방법에 대한 인 식을 변화에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에 효과적으로 작용. 하였다.
요인 Source SS df MS F
자원활용 능력
집단간
집단 637.55 1 637.55 28.55***
오차 535.89 24 22.32
집단내
검사시기 529.56 2 264.78 34.95***
집단× 검사시기 484.79 2 242.39 31.99
오차 363.64 48 7.57
책임감 d.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책임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 연구집단 통제집단 과 검사 시기( , ) 사전 사후 추후· · 간의 책임감에 대한 평 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표 30>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책임감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30> · · · (N=26)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책임감에 따른 책임감에 대한 집단별 사전 사후 추후 점수· · 변화는 <그림 11>과 같다.
20 25 30 35 40 45
사전 사후 추후
30.23
29.46 28.53
32.07
37.69 37.92
실험집단 통제집단
그림 책임감 사전 사후 추후 평균
< 11> · ·
시설청소년의 책임감에 대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1>와 같다 시설청소년. 에게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시설청소년의 책임감 집단의 주 효과 (F=66.01, p<.05), 검사 시기의 효과(F=12.53, p<.001)와 집단과 검사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F=30.07,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사전 사후 추 후
M (SD) M (SD) M (SD)
실험집단(n=13) 32.07 (2.81) 37.69 (2.23) 37.92 (3.52) 통제 집단(n=13) 30.23 (2.86) 29.46 (1.66) 28.53 (1.50)
표 책임감 변량분석 결과
< 31>
결론적으로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에서도 책임감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시설청소년, . 들로 하여금 시설생활에 있어 어려운 상황들을 극복하고 미래에 대한 굳은 의지와 자 신의 삶에 대하여 성공이라는 열망을 같게 갖게 되었다. 즉 이러한 결과는 시설청소년 들로 하여금 자기성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시설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E.
질적 분석
프로그램의 단계별 분석 1.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하여 개인의 내적·외적 자기성장이 얼마만큼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평가는 통계적인 분석결과만으로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완적 분석 자료로 연구자와 보조연구자가 회기별로 아동들 이 보이는 행동 및 태도 언어, , 비언어적 행동들을 관찰일지에 작성하였다 그리고 프. 로그램이 끝난 후 아동 개인별로 관찰 내용을 회기순서별로 정리하고 표출된 특징들을 정리 하였다.
요인 Source SS df MS F
책임감
집단간
집단 820.62 1 820.62 66.01***
오차 298.35 24 12.43
집단내
검사시기 89.30 2 44.65 12.53***
집단× 검사시기 214.33 2 107.16 30.07***
오차 171.02 48 3.56
초기단계 a.
초기단계를 통하여 자신의 시설에서의 생활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생각하게 되었 고 또한 주변 환경과 삶의 과정에서 대해서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나눔 활동을 통해서 순간순간 다양한 정보들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프로그램을 시작하며 가지는 기대를 이야기 활동에서 시설퇴소라는 막연한 불안감을 함께 나누게 되었다.
또한 시설에서 생활하면서 시설과 자신에 대해서 생각할 시간이 없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서 그런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전반적으로 자신과 시설 및 상항에 대한 이. 해를 하고 프로그램 시작 전 변화에 대한 필요성과 가능성을 긍정하는 결과가 나타났, 다.
경험 보고를 통하여 집단구성원 자신과 시설에 함께 살고 있는 구성원들에 대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어서 좋았다고 하였다. 또한 시설에서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모 친구 동생들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 되었다고 하였다. 워크북을 이용하여 글을 쓰거나 매체를 활용하여 작업한 과정에 대 해서는 흥미롭고 많은 정보를 알게 되었다. 개인 작업을 하고 발표하는 과정이 조금 쑥스러웠다는 의견도 있었고, 또 함께 하는 활동 및 개임이 재미있었다는 의견도 있었 다. 특히 시설에서 생활하면서 경험한 집단구성원들과 나누는 시간을 통하여 다른 친 구들의 생각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 기억나지 않는 과거의 일을 다시 떠올리게 되는 계기가 되어 동생들을 조금은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의견도 있었 다.
다음은 프로그램 활동 내용 분석으로 첫째 배려행동분석 내용으로는 시설 생활적 측 면, 시설 직원들 측면, 시설 구성원들 측면으로 집단원의 배려 측면의 부분을 분석하 였다. 프로그램 참가자 들은 00육아원에서의 생활하면서 할 수 있는 배려행동으로 운 동 할 때 양보, 컴퓨터 게임 양보 칭찬해주기 인사하기, , , 다처 을 때 도움주기 빨래, 돌리기, 더럽히지 않기, 웃음주기, 쓰레기 줍기, 신발정리, 고양이 밥 주기로 나타났 다 두 번째 시설 직원들에게 할 수 있는 배려행동으로 심부름 들어주기 이모에게 화. , 내지 않기, 도와주기, 설거지, 무거 운거 들어주기, 빨래 널어주기, 우유 가지고 오 기, 숟가락 놓기, 이모 말 들어주기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함께 살고 있는 구성원들 에게 할 수 있는 배려 행동으로는 모르는 문제 알려주기, 깝치지 않기 및 깝쳐도 참 기, 새로 입소한 아이들에게 00육아원 특징 알려주기, 놀아주기, 싸우지 않기, 가방 들어주기 물건 주어주기 힘내라고 말 건네주기, , , 칭찬해주기 울 때 도와주기로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