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 보 선 - 인천광역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시 보 선 - 인천광역시"

Copied!
134
0
0

Teks penuh

(1)

시 보

제1700호

시보는 공문서의 효력을 갖습니다. 2018년 9월 11일 화요일 공 고

입법예고

◦인천광역시공고 제2018-1282호(압류자동차 공매공고)··· 2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8-84호(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 10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8-85호(인천광역시 지방공무원 정원 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 88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8-86호(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113

인천광역시의회공고 제2018-42호(인천광역시 전기자동차 보급 촉진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조례(안) 입법예고)···127

발행 : 인천광역시 편집 : 대변인실

(2)

인천광역시공고 제2018-1282호

압류자동차 공매공고

지방세 체납으로 인하여 압류한 재산(자동차)를「지방세징수법」제71조 및 제78조의 규정에 따라 매각처분하고자 다음과 같이 공매 공고합니다.

2018년 09월 10일

인 천 광 역 시 장

1. 공매대상 재산(자동차) : 09소1259 등 63대 (붙임목록 참조) 2. 공매일정

가. 입찰 신청(등록) 및 보증금 납부기간

: 2018.10.01.(월) ~ 2018.10.08.(월) 14:00

○ 은행 가상계좌 부여하는데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으니, 입찰참여 마감 당일은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최소 30분전에는 입찰참여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공매결과 및 매각결정은 입찰 마감후 오토마트 인터넷공매 홈페이지에 게시

나. 입찰참여 마감 : 2018.10.08.(월) 14:00

※ 14:00 이후에 입찰보증금이 입금된 입찰자는 입찰권한을 부여하지 않음.

다. 입찰결과 발표 : 2018.10.10.(수) 14:00

○ 마감 후 (주)오토마트 인터넷 공매사이트(http://www.automart.co.kr)에 발표

3. 공매방법

가. 일반 전자상거래에 의한 경쟁 입찰 방식 적용 공 고

(3)

나. 공매장소 : (주)오토마트 인터넷 공매사이트

4. 배분요구 종기까지 배분을 요구하여야 배분받을 수 있는 채권

가. 공매공고의 등기(등록)전까지 등기(등록)되지 않은 다음 각 호의 채권 (지방세징수법 제81조)

① 압류재산에 관계되는 체납액

② 교부 청구와 관계되는 체납액·지방세 또는 공과금

③ 압류재산에 관계되는 전세권·질권 또는 저당권에 의하여 담보된 채권 ④「주택임대차보호법」 또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우선변재 권이 있는 임차보증금 반환채권

⑤「근로기준법」 또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라 우선변제권이 있는 임금, 퇴직금, 재해보상금 및 그 밖에 근로관계로 인한 채권

⑥ 압류재산에 관계되는 가압류채권 ⑦ 집행력 있는 정본에 의한 채권

나. 배분요구종기일 : 2018.10.08.(월) 18:00 5. 입찰참가 및 등록방법

가. 인터넷을 통하여 입찰에 참가하되 입찰등록 시 개인정보 입력 및 비밀번호 부여로 본인만 신청가능하며, 입찰 신청 후 [입찰참여]에서 입찰가를 반드시 등록해야만 입찰이 완료됩니다(입찰서와 공매보증금은 기한내 제출하여야 하며 제출된 입찰을 변경하거나 취소 및 반환할 수 없음).

나. 선택 차량에 대한 입찰자격은 다음 계좌에 공매보증금을 매각예정가에 10/100 이상을 입금해야 부여됩니다.

※ 주의 : 은행 업무시간외에는 입금이 안될 수 있으며 은행사정상의 미입 금은 미납처리됩니다.

- 공매보증금 납부(입금)계좌 : 입찰신청 후 입금계좌번호 자동부여 (입찰신청후 [공매+입찰자명]으로 은행의 가상계좌가 자동으로 발급

됩니다)

- 공매보증금은 입찰신청을 최종 완료한 후 보증금의 총합계액을 가상 계좌로 입금하셔야 정상처리 됩니다.

- 입찰 후 입금하기 전까지는 입찰한 공매보증금의 총합계액으로 입금이 가능하며, 입금을 한 후에 추가 입찰할 경우에는 가상계좌가 추가 발급되므로 이 경우에는 새로 발급된 가상계좌로 추가 입찰한

(4)

다. 낙찰되지 아니한 입찰자의 입찰보증금은 입찰서 제출 시 지정된 환불계좌 로 이자 없이 매각결정일 부터 3일 이내(공휴일이면 익일)에 환불됩니다.

라. 낙찰자의 입찰보증금은 계약보증금으로 전환되므로 반환되지 않습니다.

마. LPG자동차는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 제53조의 규정에 열거한 자에 한하여 취득이 가능하므로 입찰시 반드시 취득가능한 자 명의로 입찰하여야 하며, 자동차 인도 시 증빙서류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다만, 제53조 제5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승용자동차로서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승용자동차로 등록 후 5년이 지난 경우는 일반인도 입찰 가능합니다.

바.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자동차는「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26조의4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6조의9 규정에 따른 의무이행 기간

「자동차관리법」제43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구조변경검사를 받은 날부터 2년이 있음을 확인하시고 입찰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사. 입찰자 및 낙찰자가 미성년자일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의 동의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 동의서를 매각결정 일까지 제출하지 아니하면 공매와 관련된 미성년자의 모든 행위는 취소됩니다(제출서류 : 법정대리인의 동의서, 법정대리인의 인감증명서).

6. 낙찰자 결정기준

가. 입찰가격이 매각예정가격 이상 최고가 입찰자(단독입찰 가능) 나. 최고가 입찰자가 2인 이상 있을 경우 입찰가의 선 제출자

다. 체납자 등 「지방세징수법」제77조 및 제87조의 규정에 따라 자격이 제한된 자가 아닌 자

7. 매수대금 납부기한 : 매각결정 일부터 7일 이내

가. 매수대금 납부기한까지 대금을 완납하지 않을 경우 입찰보증금은 1회의 최고 절차(7일 이내)를 거친 후, 해당차량은 재 공매 조치합니다.

나. 매수대금 입금계좌는 입찰보증금 입금계좌와는 상이하며 낙찰시 우리 시 (공매 담당자)에게 입금계좌 확인 후 낙찰자 명의로 입금하여야 합니다.

다. 등록한 입찰자의 주소가 불분명할 경우 매각결정통지서 및 납부최고서는 송달 된 것으로 간주합니다.(예- 아파트 동, 호수가 없는 경우 등)

(5)

8. 매각예정가격 : 감정에 의해 결정된 당해 회차 공매최저가격 9. 공매중지 및 매각결정의 취소

가. 공매진행 중 또는 낙찰 완료된 물건에 대하여 체납자 또는 제3자가 체납 된 지방세 및 체납처분비 등을 은행 등에 완납한 사실이 추후에 확인되고 배분계산서 작성 전 자동차의 인도를 요구하는 경우

나. 매수대금(잔금)을 납부 최고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10. 공매물건의 인도절차 및 권리이전 비용

가. 매수대금 납부 후 우리 시(공매 담당자)에게 공매물건 이전 등록지를 통보 하고 납부 일부터 15일 이내에 이전등록을 하여야 하며, 그 권리이전에 따른 제비용은 낙찰자의 부담입니다.

나. 낙찰 받은 자동차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설정한 압류등록 이외의 저당권, 가압류, 가처분 등의 말소등록에 따른 등록세 등 또한 낙찰자가 부담하여야 합니다.

다. 정기검사를 경과한 자동차를 낙찰 받은 경우 소유권 이전등록일 부터 15 일내 검사를 받는 등 정기검사 또는 정밀검사 해당 여부를 필히 확인 후 조치하여야 합니다.

라. 공매물건은 소유권 이전등록 후 자동차등록원부 등 관계서류를 지참하고 자동차보관소에서 인도되며, 운반과 그 운반비용은 낙찰자가 부담합니다.

마. 직권말소 자동차는 말소부활 → 검사 → 신규 등록 등의 절차 이후 이전 등록이 가능하며, 이전등록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1. 공매물건의 하자책임 및 위험부담의 이전시기 등

가. 공매물건에 대한 제3자의 권리침해, 공부상의 하자나 행정상의 규제, 규격, 품질, 수량 등의 상이에 대하여 우리 시에서는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아니하 므로, 자동차 점검서의 내용에 불구하고 입찰자의 책임아래 각종 공부확인 및 자동차보관소 방문 등의 방법으로 직접 물건을 확인한 후 입찰에 참여 하여야 합니다.

나. 자동차 점검서는 자동차 상태 및 중고차 시세 등을 감안하여 (주)오토마트에서 작성하며, 「자동차관리법」 제13조 제1항 제7호 및 자동차등록령 제31조제3 항의 규정에 의거 차령 10년 초과하는 배기량 2000cc이하 승용자동차에

(6)

다. 매수대금 납부 후 그 매각물건에 생긴 소실, 훼손, 도난, 기능상 이상유, 무 등 위험은 그 물건의 이전등록 여부, 현실의 인도유무에 불구하고 낙찰자의 부담이므로 매수대금을 완납하기 전에 확인하여야 하며, 완납한 때에는 즉시 인수하여야 합니다.

12. 기타 유의사항

가. 공매에 따른 세금계산서는 발행하지 않습니다.

나. 공매물건 점검과정에서 자동차 급발진 등 예측할 수 없는 사고에 대하여 우리 시에서는 책임을 지지 아니하므로 안전조치를 잘 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 낙찰자 소유권이전 시 기존 번호판을 교부해드리지 않습니다. 이에 해당등 록 관청에서 신규(전국)번호판으로 재교부 바랍니다.

라. 낙찰자 소유권이전등록 후 보관소에서 차량인수 시 필히 번호판 부착 및 봉인 후 출고 받으시기 바랍니다.(번호판 미부착 운행시 과태료 부과대상) 마. 개인신용정보보호법 시행령에 따라 개인정보(주민번호 등)는 알려드릴 수

없음을 양지바랍니다.

예) 매각결정통지서의 전 차주의 주민(법인)등록번호 및 주소 등.

사. 차량보관장소 : 오토마트(주) 인천보관소

마.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천광역시청 납세협력당관실 자동차공매 담당주무관 (☏ 032-440-8445, 8444) 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7)

자동차 공매대상 목록

연번 차량번호 차량명 제조사 연식 매각예정

가격(원)

공매

차수 비고

1 09소1259 SM7 르노삼성 2007 350,000 4회

2 51도1628 K7 기아 2010 4,900,000 4회

3 68수4645 SM7 르노삼성 2011 2,400,000 3회

4 96오1520 코란도밴 쌍용 1999 240,000 3회

5 05오5171 레조 대우 2003 180,000 2회

6 31고9566 토스카 대우 2008 360,000 2회

7 42서3923 SM7 르노삼성 2007 1,350,000 2회

8 51오6515 그랜저 현대 2014 12,600,000 2회

9 52도4200 싼타페 현대 2007 900,000 2회

10 60서6081 마티즈 대우 2008 180,000 2회

11 94서9219 포터Ⅱ 현대 2009 900,000 2회

12 96두7993 포터 현대 2009 630,000 2회

13 인천73아9139 BH120 대우 2007 2,000,000 1회

14 인천75바1535 FX116 대우 2008 2,000,000 1회

15 인천75바1536 FX116 대우 2008 2,000,000 1회

16 01구8021 디스커버리 랜드로버 1997 500,000 1회

17 02더8150 쏘나타Ⅲ2.0DOHC 현대 1997 150,000 1회

18 06더3763 렉서스SC430 렉서스 2003 3,000,000 1회

19 07어4647 윈스톰2.0S디젤2WD AT 7

인승 대우 2007 500,000 1회

20 08오3583 쏘나타 현대 2007 1,000,000 1회

21 10나0470 모닝밴 기아 2016 2,000,000 1회

22 11거8397 카이런 쌍용 2007 1,000,000 1회

23 12더4778 에쿠스 현대 2009 3,500,000 1회

24 16더1298 무쏘 쌍용 2004 400,000 1회

25 17다6476 SM520 르노삼성 2001 200,000 1회

(8)

자동차 공매대상 목록

연번 차량번호 차량명 제조사 연식 매각예정

가격(원)

공매

차수 비고

26 19보4522 엑센트 현대 2014 5,000,000 1회

27 20나7705 쏘나타 현대 2010 4,500,000 1회

28 20저9116 제네시스쿠페 현대 2009 3,000,000 1회

29 24두8287 벤츠S280 벤츠 2000 500,000 1회

30 25구1829 BMW735Li BMW 2003 1,000,000 1회

31 25서1164 토스카 2.0 DOHC 대우 2006 400,000 1회

32 26도6834 카니발 기아 2009 4,000,000 1회

33 26서6011 A42.0TFSIQuattro 아우디 2009 4,000,000 1회

34 27러2099 스포티지 기아 2005 500,000 1회

35 27소5785 마티즈1.0DOHC 대우 2010 1,500,000 1회

36 31버9154 SM3 르노삼성 2015 4,000,000 1회

37 32두6097 SM5 르노삼성 2009 2,000,000 1회

38 33모8027 쏘나타 현대 2013 4,000,000 1회

39 33우9272 베라크루즈 현대 2007 3,000,000 1회

40 35거3978 체어맨 쌍용 2010 3,500,000 1회

41 36오2488 체어맨W 쌍용 2011 700,000 1회

42 37러2187 C200K 벤츠 2010 6,000,000 1회

43 39수8621 SM5 르노삼성 2007 1,000,000 1회

44 40무8135 코란도 쌍용 2004 400,000 1회

45 40버3375 마르샤 현대 1997 150,000 1회

46 41누7674 쏘나타 현대 2009 1,500,000 1회

47 41주5676 그랜저 현대 2006 500,000 1회

48 42가6036 싼타페 현대 2013 8,000,000 1회

49 43보2857 ALTIMA3.5 닛산 2010 4,000,000 1회

50 45다1325 렉스턴 쌍용 2005 700,000 1회

(9)

자동차 공매대상 목록

연번 차량번호 차량명 제조사 연식 매각예정

가격(원)

공매

차수 비고

51 48서1669 알티마3.5 닛산 2010 4,500,000 1회

52 50두9579 SM3 르노삼성 2011 1,000,000 1회

53 52허7518 프라이드 기아 2007 300,000 1회

54 53조7058 벤츠E250 벤츠 2010 6,000,000 1회

55 57무6535 싼타페 현대 2008 1,800,000 1회

56 69다9755 투스카니 현대 2002 200,000 1회

57 70노6239 카렌스LPG 기아 2000 150,000 1회

58 73우9408 대형버스(그랜버드) 기아 2006 1,500,000 1회

59 86누8836 그랜드스타렉스 현대 2010 3,500,000 1회

60 86두4925 포터Ⅱ 현대 2010 2,500,000 1회

61 86부8296 액티언스포츠 쌍용 2008 2,000,000 1회

62 87나1681 봉고Ⅲ 1.2톤 기아 2011 3,000,000 1회

63 인천34더1050 그랜저XG 현대 2001 200,000 1회

(10)

인천광역시 입법예고 제2018-84호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을 개정함에 있어 그 입법 취지와 주요내용을 미리 시민에게 알려 널리 의견을 구하고자「인천 광역시 자치법규 입법에 관한 조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입법예고 합니다.

2018. 9. 11.

인 천 광 역 시 장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

1. 개정이유

민선7기 시정철학을 반영하여 인천형 협치와 혁신, 소통을 위한 조직으로 개편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균형적인 발전, 일자리 창출 기반 강화, 평화도시 조성 등 공약사항 수행을 위한 기능을 재편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가. 정무경제부시장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변경(안 제3조)

나. 전문임기제공무원제(소통협력관, 원도심재생조정관) 도입(안 제3조) 다. 시장 직속 기구로 시민정책, 민관협치, 혁신, 마을공동체 업무

전담부서 편제(안 제3조)

라. 남북교류협력 전담부서 신설(안 제7조)

마. 일자리경제본부 신설에 따른 일자리경제국, 투자유치산업국 체재 재편(안 제8조)

입법예고

(11)

- 청년지원정책 전담부서 신설

- 국제협력담당관과 중국협력담당관을 국제협력과로 통합하고, 일자리경제본부에 편입

바. 원도심 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도시재생건설국, 도시균형 계획국의 업무 조정(안 제16조 및 안 제16조의2)

: 지역개발과+개발계획과+시설계획과 ⇒ 도시개발계획과+시설계획과 사. 기구 명칭변경(안 제4조의2, 안 제6조, 안 제6조의4, 안 제7조의

2, 안 제8조, 안 제9조, 안 제16조 및 안 제16조의2) - 재난안전본부 → 시민안전본부

- 도시균형건설국 → 도시재생건설국 - 도시계획국 → 도시균형계획국 - 브랜드담당관 → 미디어담당관 - 소통담당관 → 시민정책담당관 - 지역공동체과 → 지역공동체담당관 - 창업지원과 → 청년정책과

- 국제협력담당관 → 국제협력과 - 민원실 → 시민봉사과

- 도시재생과 → 재생정책과 - 주거환경과 → 주거재생과

- 고속도로일반화추진단 → 고속도로재생과 - 도시계획과 → 도시균형계획과

- 개발계획과 → 도시개발계획과

아. 직속기관(소방서) 소재지 및 관할구역 변경(안 별표 2) - 남구 ⇒ 미추홀구

- 안전센터별 일부 관할구역 변경 등 3. 의 견 제 출

이 규칙 개정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기관․단체나 개인은 2018년 9월 13일까지 다음 사항을 기재한 의견서를 작성하여 인천광역시장

(12)

(참조 : 정책기획관, 전화 : 440-2152)에게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예고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 (찬․반 여부와 그 사유)

나. 의견제출자의 주소․성명 (단체 또는 법인의 경우에는 단체명 또는 법인명 또는 그 대표자 성명) 및 전화번호

4. 참 고 사 항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

(13)

인천광역시규칙 제 호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 중 “브랜드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으로 하고, “정무경제 부시장”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하며, “소통담당관, 국제협력담 당관 및 중국협력담당관”을 “시민정책담당관, 민관협치담당관, 혁신담 당관 및 지역공동체담당관”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 중 “시민소통”을

“시민정책, 민관협치, 혁신 및 지역공동체”로, “시민소통협력관”을 각 각 “소통협력관”으로 하며, 같은 조에 제3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③ 도시재생 및 균형계획 분야에 대하여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을 보좌 하기 위하여 원도심재생조정관을 두며, 원도심재생조정관은 「지방 공무원 임용령」 제3조의2제1호의2에 따른 전문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제4조의2의 제목 중 “(브랜드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으로 하고, 같은 조 제1항 중 “브랜드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으로 하며, 같은 조 제2항 중 “브랜드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으로 하고, 같은 조 제3 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브랜드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으로 하며, 같은 항 제7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7. 시정메시지 개발․관리․전달

제6조의 제목 중 “(소통담당관)”을 “(시민정책담당관)”으로 하고, 같은 조 제1항 중 “소통담당관”을 “시민정책담당관”으로 하며, 같은 조 제2항 중

“소통담당관”을 “시민정책담당관”으로 하고, 같은 조 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소통담당관”을 “시민정책담당관”으로, “정무경제부시장”을 “균형 발전정무부시장”으로 하며, 같은 항에 제14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14)

14. 공론화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제6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하고, 제6조의3 및 제6조의4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6조의2(민관협치담당관) ① 민관협치담당관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민관협치담당관은 「지방자치단체의 개방형 직위 및 공모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임용되는 개방 형직위로 임기제공무원 중 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③ 민관협치담당관은 다음 사항에 관하여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을 보좌 한다.

1. 민관협치 기본계획 및 실행계획 수립 2.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 조례에 관한 사항 3. 위원회 관리업무 총괄

4. 협치 친화형 제도 신설·개선에 관한 사항 5. 인천형 민관협치 모델 발굴 추진

6. 민간단체 지원 등에 관한 사항(바르게살기운영협의회, 인천사랑 운동시민협의회, 한국자유총연맹 등)

7.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업무 총괄

8. 새마을운동, 새마을장학금, 새마을문고에 관한 사항 9. 출향인사 및 향우회에 관한 업무

10. 시민원로회의 운영

11. 기부금품 모집에 관한 사항

제6조의3(혁신담당관) ① 혁신담당관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② 혁신담당관은 다음 사항에 관하여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을 보좌한다.

1. 혁신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2. 혁신 관련 정책 총괄·조정 및 협업지원 3. 혁신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4. 업무개선 사례 발굴, 도입 및 확산 5. 시민 제안에 관한 사항

(15)

6. 공무원 제안에 관한 사항

7. 인권정책 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

8. 인권보호 및 인권증진 정책 개발에 관한 사항

제6조의4(지역공동체담당관) ① 지역공동체담당관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② 지역공동체담당관은 다음 사항에 관하여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을 보좌한다.

1. 지역공동체 조성․지원에 관한 사항

2. 주민자치 연합회 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사항 3. 주민자치센터 운영․지원에 관한 사항

4. 주민자치제도 혁신에 관한 사항

5.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 및 지원센터에 관한 사항 6. 공동체 공간 조성에 관한 사항

7. 마을공동체 기금 설치에 관한 사항

제7조제1항 중 “법무담당관”을 “법무담당관, 남북교류협력담당관”으로 하고, 같은 조 제5항에 제32호를 제34호로 하며, 같은 항에 제32호 및 제33호를 다음과 같이 각각 신설한다.

32. 시정백서 발간

33. 혁신 성장에 관한 사항

제7조 제9항부터 제17항까지를 각각 제10항부터 제18항까지로 하고, 같은 조 제9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⑨ 남북교류협력담당관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서해평화 관련 업무 총괄 및 기획 2. 서해평화 포럼 구성 및 운영

3. 평화공감사업 추진 및 통일센터지원 업무

4.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및 이북5도사무소 지원 5. 동북아 및 남북교류 협력사업 발굴 및 추진

(16)

6. 남북 경제협력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7. 접경지역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8. 접경지역 지원사업 추진

9. 접경지역개발에 관한 업무

10. 초광역 접경지역개발에 관한 업무

제7조의2의 제목 중 “(재난안전본부)”를 “(시민안전본부)”로 하고, 같은 조 제1항 중 “재난안전본부”를 “시민안전본부”로 하며, 같은 조 제3항 제28호를 제29호로 하고, 같은 항에 제28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하며, 같은 조 제5항 제33호를 삭제한다.

28. 재난관리기금 운용ㆍ관리에 관한 사항

제8조, 제9조 및 제9조의2를 각각 제9조, 제10조 및 제10조의2로 하고, 제8조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8조(일자리경제본부) ① 일자리경제본부에 일자리기획관, 일자리경 제과, 산업진흥과, 신성장산업과, 소상공인정책과, 청년정책과, 사회적 경제과, 투자유치과, 국제협력과, 에너지정책과, 농축산유통과를 둔다.

② 본부장은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하고, 일자리기 획관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하며, 일자리경제과장, 신성장산업과장, 소상공인정책과장, 청년정책과장, 사회적경제과장은 지방서기관으로 각각 보하고, 산업진흥과장, 투자유치과장, 에너지정책과장, 농축산 유통과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각각 보한다.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일자리경제본부장과 투자유치과장은 「지방 자치단체의 개방형직위 및 공모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임용되는 개방형직위로 임기제공무원 중 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④ 일자리기획관은 일자리경제ㆍ산업진흥ㆍ신성장산업ㆍ소상공인정책 ㆍ청년정책ㆍ사회적경제 업무에 관하여 일자리경제본부장을 보좌한다.

⑤ 일자리경제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7)

1. 일자리 총괄․조정․평가 추진에 관한 사항 2. 일자리종합계획 수립 추진에 관한 사항 3. 일자리 협업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4. 경제 비전과 전략 수립

5. 지역단위 경제발전에 관한 종합기획 조정 6. 경제동향 파악, 대책강구 및 경제정책 발굴 7. 군․구 지역경제업무 지도․감독

8.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 금융기관(단체)동행 및 정보 관리

9.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업무 전반 10. 향토자원 사업화 및 국제화 추진업무 11. 지역특화발전특구 운영 사무

12. 경제 관련 포럼(아시아경제공동체포럼, 경영포럼)에 관한 사항 13. 자유무역협정(FTA) 관련 종합조정(분야별 FTA 관련 업무는

해당 부서에서 담당)

14. 상공회의소 지도․감독 및 운영 지원

15. 일자리창출 및 실업대책관련업무 종합 관리 16. 제물포스마트타운 운영지원

17. 지역일자리목표 공시제 추진

18.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사업 19.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인증 추진

20. 고용창출을 위한 시책개발

21. 유관부처(단체)와의 실업관련 업무협의 22. 군ㆍ구 실업대책업무 추진 지도

23. 지역 고용관련 통계 작성 및 관리 24. 일모아 시스템 관리

25. 취업지원(직업훈련 등)관련 사업계획 수립 및 조정 26. 취업박람회 운영에 관한 사무

27. 직업소개(소), 직업지도, 직업정보처리 등에 관한 사항

(18)

28. 지방 및 전국기능경기대회 지원계획 수립 및 조정 29. 취업지원기관 운영에 관한 사항

30. 노사화합 및 지원정책의 수립 및 조정 31. 지역 노사민정협의회 운영

32. 노동관련 단체 지원 및 육성

33. 노사 분규 및 노동쟁의의 예방 등에 관한 사항 34. 근로자 복지시설 확충 및 근로자문화센터 지도감독 35. 노동조합 설립신고 수리 등 노동조합에 관한 업무 36. 비정규직 종합대책 총괄ㆍ조정

37. 생활임금 결정에 관한 사항

38. 상거래 질서 확립과 가격표시제 이행 지도ㆍ감독 39. 소비자보호대책 수립 및 소비자 안전관리(리콜) 업무 40. 특수거래(방문판매, 통신판매, 다단계 등)에 관한 업무 41. 소비생활센터 운영 및 지원

42. 소비자단체 등록 업무

43. 물가종합대책수립 및 조정 총괄, 물가대책위원회 운영

44. 고용노동부 소관사무 중 다른 실ㆍ국ㆍ본부의 사무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45. 그 밖에 공공부문 일자리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46. 국내 공약사항 총괄 관리ㆍ조정 및 추진에 관한 사항 47. 그 밖에 국내 다른 부서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⑥ 산업진흥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중소기업육성종합계획 수립 및 조정 2. 기업 지원기관 협의회 운영

3. 중소기업협동조합 운영 지도감독

4.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관리 운영 지원 5. 기업 애로에 관한 상담 및 지원

6. 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 제조업부회 7. 공예산업 육성지원

(19)

8.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 및 관리 9. 유망 기업 발굴 지원

10. 충무계획 작성 및 자원관리 11. 중소기업 수출 지원

12. 수출관련 단체와의 제업무협의 및 공동사업 추진 13. 박람회 지원에 관한 사항

14. 해외 인천상품 전시회 운영

15. 해외시장 설명회 및 우수 수출상품 해외 홍보 16.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정보 수집

17. 수출동향 분석 및 지표작성 관리 18. 수입공산품 원산지 표시 검사업무

19. 인천단동산업단지 분양 및 입주업체 지원 20. 컨벤션산업 육성 지원에 관한 사항

21. 디자인산업 육성지원

22. 기업분야 자유무역협정(FTA)에 관한 사항 23.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24. 지식서비스산업 지원센터 설립에 관한 사무 25. 디자인센터 운영에 관한 사항

26. 디자인 국제행사에 관한 사무

27. 지역 지식정보산업 지원업무(정보기술연구센터 및 산업기술정보망) 28. 벤처단지 등 벤처기업관련 지원업무

29. 산업기반정책을 위한 종합계획수립 조정 30. 산업기반 육성 정책에 관한 사무

31. 지역산업 진흥ㆍ육성에 관한 조례 제정 및 관리 32. 지역산업육성 위원회 관리 및 운영 업무

33.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34. 노후 산업단지별 구조고도화 계획 수립 및 관리

35. 일반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실행계획 협의 및 승인 총괄

36. 산업단지 관리 및 산업단지 관리 기본계획 수립 승인 및 변경고시

(20)

37. 산업단지 계획수립 및 조성, 개발지원센터 운영

38. 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지정 및 재생(정비)사업 관련 업무 39. 산업입지 공급 계획 수립 및 고시 업무

40. 산업입지 분양 지원 등 관련 업무

41. 개별입지 지역의 종합정비(재생) 계획 수립 추진 42. 준산업단지 개발(정비)관련 업무

43. 공장총량제 및 공장설립정보망(FEMIS) 관리 운영

44. 중소기업육성자금 융자심의위원회 운영 및 중소기업육성자금 사후관리

45. 전기제품 요건 면제 및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관한 업무

46.「계량에 관한 법률」과 관련된 사항 47. 기업 기술지원에 관한 사무

48.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지원 업무 49. 해외 기술교류 및 협력 지원 업무 50. 산ㆍ학ㆍ연 협력 지원 사업

51. 산업표준화에 관한 사무

52. 산ㆍ학ㆍ연ㆍ관 협력체계 구축(지역협력센터, 기술혁신센터, 산학연 컨소시엄 등)

53. 지역특화산업의 육성에 관한 사항 54. 공무원 직무발명 관련 업무

55. 그 밖에 산업단지 관련 사무

⑦ 신성장산업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2. 지역 소프트웨어산업 진흥 지원

3. 소프트웨어 융합 클러스터 지원 및 관련기업 육성 4. 뷰티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5. 화장품 공동브랜드 개발 및 지원

6.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원

(21)

7. 첨단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구축 사업 8. 산업기술단지 거점기관 운영 지원 9. 바이오산업 관련 지원 업무

10.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및 관련 업무 지원 11.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12. 어린이과학관 운영 지원

13. 로봇랜드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업무 14. 로봇산업 육성사업 지원 업무

⑧ 소상공인정책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사항 2. 금융복지상담 지원에 관한 사항 3.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사항

4. 유통산업분쟁조정위원회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 5. 유통업상생협력과 균형발전에 관한 사항

6. 중소상인 경쟁력강화 및 지원에 관한 사항 7.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사항 8. 유통산업발전에 관한 사항

9.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건립ㆍ운용에 관한 사항 10. 지역신용보증재단 운용에 관한 사항

11. 기타 금융지원 업무에 관한 사항 12. 전통시장 정비사업에 관한 사항 13. 전통시장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사항

14. 전통시장과 상점가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경영의 현대화 지원에 관한 사항

15. 대부업, 담배사업, 복권 관련 업무

⑨ 청년정책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및 총괄ㆍ조정 2. 청년 기본 조례 등에 관한 사항

3. 청년정책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22)

4. 청년정책 실행계획 수립 및 추진상황 점검 지원 5. 청년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 창업지원정책의 수립 및 추진

7. 창업교육 및 대학생창업동아리 지원 등 8. 창업 관련 상담 및 정보제공에 관한 사항 9. 창업기업 투자금융 지원에 관한 사항

10. 창업기업 유통ㆍ마케팅 지원에 관한 사항 11. 대학 등 민간창업기관과 협력 추진

12. 청년 고용촉진 인턴사업 13. 대학 창조 일자리센터 지원

14. 청년내일채움공제사업 연계 지원 15. 공공기관 청년 의무고용제 추진

16. 창조경제 정책 개발 및 추진에 관한 사항 17.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업무

18. 창업관련 사무 중 다른 실ㆍ국ㆍ본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⑩ 사회적경제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사회적경제 관련 시책 발굴 및 추진에 관한 사항 2.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ㆍ관리에 관한 사항

3.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및 공공근로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4. 마을기업 육성 및 지원ㆍ관리에 관한 사항

5. 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ㆍ관리에 관한 사항 6. 공정무역에 관한 사항

7. 공유경제 정책 추진에 관한 사항

⑪ 투자유치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기업, 내ㆍ외국인 투자유치 종합계획 수립ㆍ조정 2. 기업, 내ㆍ외국인 투자유치 홍보ㆍ마케팅

3. 개별기업ㆍ외국인 투자유치 프로젝트 추진 4. 투자유치 관련 시책 발굴 및 제도 개선 5. 외국인투자 환경개선

(23)

6. 기업ㆍ투자정보ㆍ자료제공 등 투자유치활동 지원에 관한 사항 7. 기업ㆍ투자 타당성 및 사업성 분석에 관한 사항

8. 기업ㆍ투자관련 유관기관 협조 및 조정에 관한 사항 9. 투자기업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

10. 경제자유구역청 투자유치분야에 대한 지도ㆍ감독 11. 경제자유구역청 소관 자치법규 지원에 관한 사항 12. 구도심 투자유치에 관한 사항

13. 컨택(콜)센터 산업 관련 사항

14. 그 밖에 다른 부서 투자 유치 지원에 관한 사항

⑫ 국제협력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국제화 시책 개발ㆍ연구

2. 국제교류협력 사업 종합계획 수립 3. 해외사무소 관리 및 운영

4. 전국시도지사협의회(국제화지원 기능) 지원 5. 국제관계대사에 관한 사항

6. 해외 시정홍보물 제작 및 관리 7. 국제교류 업무추진

8. 외국도시와의 자매결연 및 교류에 관한 사항 9. 국제 학예, 문화, 예술교류 확대

10. 외국어 문서작성, 번역, 통역 11. 해외정보수집 및 관리

12. 민간단체 국제교류 사업지원 13. 국제단체 가입 및 운영

14. 시민명예외교관 및 국제명예자문관 관리운영 15. 공무원 국외여행 허가 및 관리

16. 국외인사영접 및 안내에 관한 업무 17. 경제단체 해외교류사업 지원업무 18. 유엔기구 유치ㆍ지원에 관한 사항

19. 인천관광공사의 국제교류 관련 업무 지도ㆍ감독

(24)

20. 한중 FTA 지방경제협력 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⑬ 에너지정책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에너지사업기금 운영 2. 지역에너지 보급 사업 3. 신ㆍ재생에너지 관련 업무 4. 스마트그리드 관련 업무 5. 도시가스 관련 업무

6. CDM(청정개발체제) 및 온실가스 감축 등록 관련 업무 7. 전기사업 및 안전관리 대행업, 전원개발 사업 관리업무 8. 전기공사업, 설계업 및 감리업 관리업무

9. 전기차, 수소연료 자동차 등 그린카 보급 및 지원업무 10. 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11. 에너지이용합리화 실시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12. 에너지 및 온실가스 목표관리에 관한 사항

13. 친환경 에너지 건축기준 운영에 관한 사항 14. 에너지 절약 교육ㆍ홍보 등에 관한 사항 15. 산업자원(에너지 분야)동원에 관한 사항 16. 집단에너지사업에 관한 업무

17. 천연가스, LNG자동차 보급 및 지원 업무 18. 고압가스 및 액화석유가스 관련업무

19. 석유 및 석탄 관련 업무 20. 그린마을 만들기 사업

21. 채광계획 인가 및 광산에 관한 업무 22. 친환경 산업 발전 지원에 관한 사항

⑭ 농축산유통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농업행정의 종합기획 조정 2. 농산물 수급 안정

3. 농업단체 업무에 관한 사항 4. 분배농지 관련 업무처리

(25)

5. 농업기반시설(수리시설, 방조제 등) 관리 및 기반정비 6. 축산업육성 및 경쟁력 제고사업

7. 사료제조업(등록) 사료검사 및 품질관리에 관한 업무 8. 가축통계 및 가축사육 지도업무

9. 가축질병예방 및 방역지휘에 관한 업무

10. 동물병원 및 동물의약품 지도감독에 관한 업무

11. 농축산물도매시장의 건립, 관리 및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 관리 사무소와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의 지도ㆍ감독

12. 양정행정의 종합계획

13. 양곡관리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경리 14. 양곡대행기관 및 수탁기관 관리 15. 양곡부산물 처리

16. 양곡 가공공장, 도정업 허가 및 지도감독 17. 정부관리양곡 보관창고 선정 및 지도감독

18. 관광농원, 민박마을 및 휴양단지 조성, 농촌 정주생활권 개발사업 19. 1지역(도서) 1명품 육성

20. 보건환경연구원(가축질병관리 분야에 한한다) 업무 협의 21. 농촌활력 증진사업에 관한 사항

22. 식품산업 및 식품진흥에 관한 사항

23. 농산물 및 그 가공품과 식품접객업ㆍ집단급식소의 원산지 표시 제에 관한 사항

24. 우수농특산물 품질인증제 운영에 관한 사항 25. 친환경농업육성 업무

26. 농산물 학교급식 계약재배에 관한 사항

27. 농업기계화 육성에 관한 업무 및 농업기술센터 업무 협의 28. 농어촌진흥기금 운용

29. 농지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업무

30. 축산물가공업허가(품목제조) 및 위생지도 감독에 관한 업무 31. 도축장 영업허가 및 축산물도매시장 지도감독 업무

(26)

32. 동물보호 및 복지에 관한 업무 33. 도시농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제9조(종전의 제8조) 제1항 중 “자치행정과, 지역공동체과”를 “자치행 정과”로, “민원실, 토지정보과”를 “시민봉사과”로 하며, 같은 조 제2항 중 “자치행정과장, 지역공동체과장”을 “자치행정과장”으로, “민원실장 및 토지정보과장”을 “시민봉사과장”으로 한다.

제9조(종전의 제8조)제5항 중 제7호 및 제10호를 각각 다음과 같이 하고, 같은 항 제16호, 제25호, 제26호, 제28호, 제29호, 제31호, 제32호, 제33호, 제59호, 제61호, 제63호, 제64호 및 제65호를 각각 삭제하며, 같은 조 제6항 및 제9항을 각각 삭제한다.

7. 자원봉사활동 지원․육성에 관한 사항 10. 자원봉사센터 운영․지원

제11조를 제16조의2로 하고, 제10조를 제11조로 한다.

제12조제9항제29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29. 도시공원 부지 개발행위 특례 추진(도시공원 부시 개발행위 특례 추진과 관련한 도시관리계획의 입안 및 결정에 관한 사무 포함) 제14조를 제15조로 하고, 제15조의2를 삭제하며, 제16조를 제14조로 한다.

제14조(종전의 제16조)제2항을 다음과 같이 하고, 같은 조 제5항 제8 호부터 제11호까지를 각각 삭제한다.

② 국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하고, 해양도서정책과장은 지방서기 관으로 보하며, 항만과장과 항공과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 서기관으로 각각 보하고, 수산과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27)

제11조의2를 제16조로 하고, 제16조(종전의 제11조의2) 제목 중 “(도시 균형건설국)”을 “(도시재생건설국)”으로 하며, 같은 조 제1항과 제2항을 각각 다음과 같이 한다.

① 도시재생건설국에 재생정책과, 재생콘텐츠과, 주거재생과, 도로과, 고속도로재생과, 건설심사과를 둔다.

② 국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하고, 재생정책과장 및 건설심사과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각각 보하며, 재생콘텐츠과장, 주거재생과장, 도로과장, 고속도로재생과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각각 보한다.

제16조(종전의 제11조의2)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도시재생과장”을

“재생정책과장”으로 하고, 같은 항 제3호 중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지원”으로 하며, 같은 항 제5호, 제6호 및 제16 호를 각각 다음과 같이 한다.

5. 인천형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6. 도시재생사업 성과관리 및 모니터링에 관한 업무

16. 도시재생사업의 공동체,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지원에 관한 업무 제16조제4항을 제5항으로 하고, 같은 조에 제4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 하며, 같은 조 제5항(종전의 제4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주거환경과장”을

“주거재생과장”으로 하고, 같은 조 제7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고속도로 일반화추진단장”을 “고속도로재생과장”으로 한다.

④ 재생콘텐츠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도시재생사업 시행에 관한 사항

2.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변경)에 관한 사항 3. 도시재생기반시설의 설치 및 정비에 관한 사항

4. 내항재개발(마스터플랜 및 1․8부두) 사업추진에 관한 사항 5. 상상플랫폼 조성사업 업무

6. 인천역·동인천역 복합역사 개발 및 우회고가 정비사업 업무

(28)

7. 신포역 지하공공보도 연장사업 업무 8. 월미 해양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 9. 배다리 우각로 근대문화길 조성사업 업무

10.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에 속한 부처 협업사업 및 지자체사업 업무 11. 석남 파크플랫폼(행정복합센터, 일자리클러스터, 커뮤니티 복합센터,

공영주차장) 조성사업 추진

12. 거북시장 상생경제허브 조성사업 추진

13. 석남역 주변 도시재생사업 건축경관(특화가로 포함)에 관한 사항 14. 석남역 주변 부처협업사업 및 지자체사업 업무

제16조의2(종전의 제11조) 제목 중 “(도시계획국)”을 “(도시균형계획국)”

으로 하고, 같은 조 제1항 중 “도시계획국”을 “도시균형계획국”으로,

“도시계획과, 개발계획과”를 “도시균형계획과, 도시개발계획과”로 하며, 같은 조 제2항 중 “개발계획과장”을 “도시개발계획과장”으로, “도시계획 과장”을 “도시균형계획과장”으로 한다.

제16조의2(종전의 제11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도시계획과장”을

“도시균형계획과장”으로 하고, 같은 조 제4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개발계획 과장”은 “도시개발계획과장”으로 하고, 같은 항 제5호부터 제8호까지를 각각 다음과 같이 하며, 같은 항 제9호부터 제13호까지를 각각 삭제한다.

5.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추진 전반에 관한 사항

6. 검단신도시 조성 및 검단2지구 해제지역 도시개발에 관한 사항 7. 청라국제도시 진입도로 사업 정리(정산 등)에 관한 사항

8. 과 소관 개발사업 보상 및 이주․생활대책 등

제16조의2(종전의 제11조)제5항에 제16호부터 제21호까지를 각각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16. 부평캠프마켓 관련업무(토지취득 등 보상업무, 캠프마켓 내․외 공원․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 전반)

(29)

17.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 운영

18. 산업단지(일반․준산업․도시첨단) 지정 관련 업무 19. 준공된 산업단지 개발행위에 관한 업무

20. 산업단지계획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21. 택지개발․공공주택지구 지정(변경) 관련 업무

제16조의2(종전의 제11조)에 제8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⑧ 토지정보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외국인 토지취득에 관한 업무 2. 부동산중개업에 관한 업무

3. 부동산등기과태료 부과징수 지도감독 4. 부동산 투기단속

5. 토지거래규제 등에 관한 업무 6. 공시지가에 관한 업무

7. 토지 및 지적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조정 8. 도로명주소에 관한 업무

9. 지적측량성과 검사

10. 지적측량수행자 지도감독 11. 측량기준점 관리

12. 토지이동 및 등록에 관한 사항 13. 자치구 지적관리 업무 지원, 지도 14. 지적일반 민원

15. 국토정보시스템 운영 및 관리 16. 지적통계관리

17. 비법인 등의 등록번호에 관한 업무 18. 항공영상 및 위성영상에 관한 업무 19. 개발부담금 부과·징수에 관한 업무 20. 부동산개발업 등록·관리업무

21. 감정평가업자 선정에 관한 업무

(30)

22. 국가공간정보체계(NSDI) 구축 및 운영 23.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운영

24.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PSS) 구축 및 운영 25. 국토정보시스템(NSDIS) 운영에 관한 업무 26. 부동산정보 인터넷 서비스 구축 및 운영 27. 도로명주소위원회 운영

28. 감정평가업자선정위원회 운영 29. 국가공간정보 계획 수립 및 추진

30. 공간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및 운영 총괄 31. 공간정보 보안에 관한 사항

32. 공간정보자료(수치지형도 등) 구축 및 관리 33. 도시기준점 설치 및 관리

34. 공간정보협의회 구성 및 운영

제24조의3제4항제7호를 제8호로 하고, 같은 조에 제7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7. 소방공무원 신규채용 및 승진시험 사무에 관한 사항

별표 2를 별지와 같이 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① 인천광역시 권한대행 및 직무대리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3항 중 “정무경제부시장”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한다.

제3조제1항제1호 중 “정무경제부시장”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한다.

② 인천광역시 조례규칙심의회 운영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 중 “정무경제부시장”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한다.

제3조제2항 중 “재난안전본부장”을 “시민안전본부장”으로 한다.

(31)

제5조제1항 중 “소통담당관, 브랜드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 및 중국협력 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 시민정책담당관, 민관협치담당관, 혁신담당관, 지역공동체담당관”으로 한다.

제8조제1항 중 “소통담당관, 브랜드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 및 중국협력 담당관”을 “미디어담당관, 시민정책담당관, 민관협치담당관, 혁신담당관, 지역공동체담당관”으로 한다.

③ 인천광역시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2항제2호 중 “재난안전본부장”을 “시민안전본부장”으로 하고,

“재난안전본부”를 “시민안전본부”로 한다.

제3조제3항 중 “재난안전본부”를 “시민안전본부”로 한다.

④ 인천광역시 행정정보 공개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한다.

제3조제1항 중 “민원실”을 “시민봉사과”로 한다.

⑤ 인천광역시 지방공기업 회계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항제5호제가목 중 “개발계획과장”을 “도시개발계획과장”으로 한다.

(32)

[별표 2] 119안전센터․119구조대․119구급대·소방정대의명칭, 위치와관할구역(제24조관련)

서별 명칭 위치 관할구역

중앙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중구 인중로 204(항동6가)

중구 : 중앙동, 해안동, 항동1가~6가, 관동, 송학동, 신포동, 도원동, 북성동, 선린동, 유동, 경동, 율목동, 용동, 사동, 답동, 신생동, 신흥동1가~2가, 선화동, 내동, 인현동, 항동7가 1~

26번지 일원, 신흥동3가1~35, 36(36-0제외),39번지 일원 옹진군 : 연평면

송현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동구 방축로 39(송현동)

동구 : 송현동, 송림동 일부(8의10, 8의22, 8의23, 8의26~27, 8의78, 8의80, 8의257, 8의26, 2~263, 8의292, 8의299, 8의 301, 8의309, 8의344, 8의3, 67~370, 8의386, 8의441, 8의445, 8의490, 8의564~568, 10의 6, 11, 12의3, 13 의1, 18의1, 19의1, 20의1~2, 20의4, 20의8, 20의15, 20의31, 264, 266의1, 294~297, 304, 305, 307, 310, 3 12, 318~320, 322, 324~333번지 일원)

송림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동구 샛골로 133(송림동)

동구 : 금곡동, 창영동, 송림동 일부(8의10, 8의22, 8의23, 8의26~27, 8의78, 8의80, 8의257, 8의262~263, 8의292, 8의299, 8의301, 8 의309, 8의344, 8의367~370, 8의386, 8의441, 8의445, 8의490, 8의564~568, 10의6, 11, 12의3, 13의1, 18의1, 19의1, 20의 1~2, 20의4, 20의8, 20의15, 20의31, 264, 266의1, 294~297, 3 04, 305, 307, 310, 312, 318~320, 322, 324~333번지 제외) 만석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동구 제물량로 396(만석동)

동구 : 만석동, 화평동, 화수동 중구 : 전동, 송월동

연안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

118번길 114(항동7가)

중구 : 신흥동3가 36의0, 37~38, 40~84번지 일원, 항동7가 27~126번지 일원

영흥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영흥로

283-32

옹진군 : 덕적면, 자월면, 영흥면

백령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남로 30

옹진군 : 백령면, 대청면

119구조대 인천광역시 중구 서해대로 397(항동7가)

중부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119구급대 인천광역시 중구 홍예문로 60(내동)

중부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소방정대 인천광역시 중구 연연부두로 128번길 16(항동7가)

중구, 동구, 옹진군 지역 항만 일원

(33)

서별 명칭 위치 관할구역

구월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714(구월동)

남동구 : 구월동 만수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백범로 207(만수동)

남동구 : 만수동(만수2․3․4․5동) 간석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경인로 621(간석동)

남동구 : 간석동 담방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매소홀로 1044(만수동)

남동구 : 만수동(만수1․6동), 수산동 서창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670

남동구 : 서창동, 운연동, 장수동 119구조대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714(구월동)

남동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119구급대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714(구월동)

남동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갈산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324(갈산동)

부평구 : 갈산동, 청천동 부평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8(부평동)

부평구 : 부평동(부평1·4·6동, 부평5동 일부(10, 98, 104, 112~113, 11 5~116, 118~119, 124, 126~127, 132, 134, 136, 143~144, 1 56~158, 161, 165~167, 169, 171~172, 174~178, 188~191, 208~209, 364~369, 371, 376, 443 ~450, 452, 453~463, 4 66~510, 512~518, 915~916번지 제외))

십정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원대로 1111(십정동)

부평구 : 십정동 산곡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 198(산곡동)

부평구 : 산곡동, 부평동(부평2․3동) 부개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로 6(부개동)

부평구 : 부개동, 일신동, 구산동, 부평동(부평5동 일부(10, 98, 104, 11 2~113, 115~116, 118~119,124, 126~127, 132, 134, 136, 143~1 44, 156~158, 161, 165~167, 169, 171~172, 174~178, 188~191, 208~209, 364~369, 371, 376 443~450, 452, 453~463, 466~

510, 512~518, 915~916번지 일원)) 삼산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252(삼산동)

부평구 : 삼산동 119구조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324(갈산동)

부평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119구급대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252(삼산동)

부평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연희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서곶로 292(심곡동) 서구 : 연희동, 공촌동, 심곡동 가좌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백범로 678번길

17(가좌동)

서구 : 가좌동(가좌2․3․4동) 신현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 333-1(신현동) 서구 :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세어도 제외) 석남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로 102(석남동) 서구 : 석남동, 가좌동(가좌1동) 검단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완정로 191(왕길동)

서구 : 마전동, 왕길동, 금곡동 일부

(금곡동 31-1∼278-1, 640∼720, 산17∼34) 오류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로 229(오류동)

서구 : 오류동, 금곡동 일부(금곡동 212-2∼237-2, 338-4∼590-12), 원창동 세어도

검암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 474(검암동)서구 : 백석동, 시천동, 검암동, 경서동

(34)

서별 명칭 위치 관할구역

원당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881(원당동) 서구 : 불로동, 대곡동, 원당동, 당하동 청라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

한내로 77 (경서동) 서구 : 청라동 119구조대 인천광역시 서구

서곶로 292(심곡동) 서부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정서진

119수난구조대

인천광역시 서구

정서진로 623(시천동) 경인아라뱃길(인천터미널 ↔ 벌말교) 119구급대 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 474(검암동) 서부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고잔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208(고잔동)

남동구 : 논현고잔동 일부(137, 139∼150, 165∼172, 223∼272, 50 0, 511∼515, 975번지)

옥련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 155번길 7(옥련동)

연수구 : 옥련동, 청학동 도림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비류대로 667(남촌동)

남동구 : 도림동, 남촌동 연수구 : 선학동

동춘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연수구 앵고개로 241(동춘동)

연수구 : 연수동, 동춘동 논현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역로 109(논현동)

남동구 : 논현1동 일부(1, 66∼68, 109∼111, 179, 549, 557, 651∼6 82, 775번지 제외), 논현2동

소래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766-2

남동구 : 논현1동 일부(1, 66∼68, 109∼111, 179, 549, 557, 651∼6 82, 775번지), 논현고잔동 일부(137, 139∼150, 165∼172, 223∼272, 500, 511∼515, 975번지 제외)

119구조대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208(고잔동)

공단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119구급대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208(고잔동)

공단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작전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계양구 장제로 774(계산동)

계양구 : 계산동(계산3․4동), 용종동, 병방동, 서운동, 작전동(작전1동)

계산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계양구 주부토로 557(계산동)

계양구 : 계산동(계산1․2동), 임학동 장기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계양구 장기서로 14(장기동)

계양구 : 방축동, 박촌동, 동양동, 귤현동, 상야동, 하야동, 평동, 노오 지동, 이화동, 오류동, 갈현동, 둑실동, 목상동, 다남동, 선주지 동, 장기동 일원

효성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서로 96-1(효성동)

계양구 : 효성동, 작전동(작전2동) 119구조대 인천광역시 계양구

장제로 774(계산동)

계양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119구급대 인천광역시 계양구

장제로 774(계산동)

계양소방서 관할구역 전역

신기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190(주안동)

미추홀구 : 주안동(주안2․3․7동), 용현동(용현1․4동), 학익동 주안119

안전센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 607(도화동)

미추홀구 : 주안동(주안1․6동), 도화동(도화1동) 도화119

안전센�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그 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 ② 안전관리자는 해당사업장의 안전진단 결과 시정을 요하는 사항 이 있는 경우 지체 없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그 대책을 수립한 뒤 관리책임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관리감독자는 회사의 안전ㆍ보건규칙에 정해진 바에 따라 업무 시작 전 점검을 실시해야

위생관리에 관한 사항의 보고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제70조제2항의 규정에 따른 저장단계 및 출하되어 거래 되기 전단계에서의 위해요소 중점관리기 준의 이행시설로 같은 법 제74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등록한 시설에 한정함 자... ②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조례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의 일부를 관할

도시관리계획의 수립 또는 변경에 관한 사항 가 도시개발구역결정 조서... 용도지역 변경은 추후 실시계획 인가시 확정 결정되는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지역치안협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그 밖의 위원장이 지역사회의 질서 확립과 안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수소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위원 또는 위원이 속한 기관이 자문ㆍ고문 등을 행하고 있는 금융기관 과 이해관계가 있는 사항 ② 위원회 심의ㆍ평가의 이해당사자는 위원에게 공정성을 기대하기 어려 운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에 기피 신청을 할 수 있고, 위원회 는 의결로 기피 여부를 결정한다... ④ 교육감은 심의위원회를 통한 평가 결과, 금고지정에

제2조다른 조례의 개정 인천광역시 119시민수상구조대 설치와 운영 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센토피아송도랜드마크시티 지역주택조합 조합장 백응주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11-1

제7조의2제1항 중 “투자유치담당관, 중소기업지원과, 산업기반과, 일자리창출 과, 신성장동력과”를 “투자유치담당관, 생활경제과, 중소기업지원과, 산업기반과, 일자리창출과, 녹색에너지정책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 중 “경제수도정책관과 일자리창출과장”을 “경제수도정책관, 생활경제과장, 일자리창출과장”으로, “신성 장동력과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