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in Travel Agents on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1)양재영* Yang, Jae-You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f travel agents on their job satisfaction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r an empirical test, travel agencies were individually visited during 15-day survey period to directly distribute and collect questionnaires.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nd 261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named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accep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st satisfaction were accepted among leisure satisfaction variabl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bodily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were rejected. Second, job satisfaction of travel agents was accept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effect of increased job satisfaction of travel agents about their workplac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ccordingly, administrators of travel agencies can contribute to profitable management of the agencies by providing strategic supports on agents to work with maximal satisfaction about their job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Key Words : Leisur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ravel Agent.
* 국제대학교 호텔관광경영계열 겸임교수, (주)여행천하 대표이사, e-mail: [email protected]
Ⅰ. 서 론
최근의 기업들은 효과적인 조직 관리를 위해서,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 원들의 일과 생활의 균형에 힘쓰며, 조직원들의 여 가를 통해서 일상생활의 만족도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이영면․백승규, 2010). 특히 현대를 살아가는 직장인들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과도한 업 무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자신들만의 다양한 방 법을 통해서 여가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여가는 생활의 활력소를 불 어 넣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근무태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직장인들의 여가 만족은 개인의 기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여가 활동을 통해서 얻어지게 되는 주관적인 감정(김유 식․이솔잎․김아름, 2012)으로서, 여가만족은 생활 에서의 만족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이 되고 있다(김성혁․김용일․오재경, 2010). 특히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은 그 기업의 기업분 위기나 근무환경을 비롯해서 직원들의 사기와도 관련 이 있기 때문에 직장인들의 직장만족과도 밀접한 영향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직후원인식은 조직원들 스스로가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조직에 공헌한 내용에 대해서 물질적이든 비물질적이든 간 에 조직에서의 어떠한 포상이나 보상을 해주는 지 원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서 조직구성원들이 인지 하고 있는 조직후원의 정도를 의미한다(임현철․서
광열, 2011). 따라서 조직후원인식은 자신이 그 조
직에서 얼마나 필요로 하는 존재인지를 간음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조 직후원인식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의 입장에서도 조직후원인식에 긍정적 인 사고를 가진 직원들이 많이 근무하게 된다면, 궁 극적으로 그 기업의 경영성과에도 이바지 하는 바 가 높기 때문에 역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행사 직원들은 고객과의 접점에서 영업하는 환
대산업으로서, 여행성수기에는 과다한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업이다 보니, 이직이 상대 적으로 많은 직업이다(박영진, 2013). 이에 여행사 직원들의 이직률을 줄이고, 보다 더 전략적으로 조 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직원들 스스로가 자신의 직장에 만족하게 하고,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조직 에 대한 조직몰입을 의미하는 조직후원인식도를 높 여야 할 것이다. 이에 기업의 입장에서 조직원들의 조직후원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여가가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 히 직장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 스 해소를 위해 수행하는 여가활동에 대한 여가만 족 연구와 직장에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형 성되는 직장만족 그리고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조 직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이 높아지게 되면, 직장 상 사와 동료들과의 대인관계를 비롯해서 이직도 줄 어들 것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영성과 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직장만족 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여가만족과 직장만족 그리고 조직후원 인식에 대한 연구는 호텔과 외식 기업을 비롯해서 다른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져 왔다(이동욱․이행 순․이수범, 2008; 이재형, 2012). 그러나 여행사 직 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만족과 직장만족을 비롯 해서 직장만족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 를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여행사 직원들은 업무특성상 고객과의 접점에서 영업하며 순간순간 고객들을 유치하기 위해서 자기 스스로 결정해야 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 기 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에 비해서 재량권이 많아야 할 것이다(양재영․한사비나․박영진, 2013). 그러 므로 여행사 직원들의 높은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 식은 신규고객 창출을 위한 동기부여가 되고, 여행
사의 경영수익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자주 시도되지 않 았던 여행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첫째, 여행사 직원 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만족이 조직후원인식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여행사들이 조금 더 전략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직을 관리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II. 이론적 배경
1. 여가만족
여가만족은 ‘여가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긍정적 감정으로서, 개인의 여가경험이나 상황에서 발생하 는 주관적인 생각’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양재영,
2012), 각 개인이 수행한 여가활동의 결과에 의해서
형성되는 긍정적인 느낌이나 인지의 정도라고 정의 하고 있다(이려정, 2013; Beaed & Regheb, 1980). 또 여가만족은 개인이 특정 여가활동을 통해서 느끼는 긍정적인 인식과 주관적인 만족감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이귀옥, 2005), 개인의 여가활동 경험에 따라 얻어지는 주관적인 감정으로써, 개인의 기대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김유식 외, 2012).
여가만족은 특정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감으로써, 여가만족의 결정요인은 여가활동을 통해서 형성되 는 것이며, 여가활동 참가자의 긍정적인 만족감 혹 은 생각이나 인지의 정도라고 하고 있다(이재형,
2012). 여가활동은 크게 스포츠 및 교외 활동과 교
양 및 휴식과 같은 여가활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
다. 조명환 (2005)은 여가활동 유형으로서 스포츠
활동, 교양문화 활동, 관광 활동, 오락사교 활동, 사
회 활동 등으로 구분 하였으며, 류재숙․박연옥․
이승곤 (2005)의 연구에서는 여가활동이 교양문화
여가, 관광위락 여가, 쇼핑오락 여가, 건강스포츠 여 가, 휴식 여가, 신체 여가, 온라인 여가 활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오늘날 직장인들은 복잡 하고 과중한 업무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를 찾으 려고 노력하며, 짧은 시간에 업무 스트레스를 해소 하기 위해 새로운 여가활동을 추구하고, 재충전의 일환으로 여가스포츠 활동을 선호한다(김유식 외, 2012).
다음으로 여가만족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크게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생리적, 휴식적, 환경적 요 인으로 구성하고 있으며(Beard & Ragheb, 1980), 국 내외의 수많은 연구자들이 Beard & Ragheb (1980) 가 개발한 설문지를 인용하여 여가만족에 대한 연 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도 여행사 직 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여가활동 시설에 대한 만족을 의 미하는 환경적 만족과 여가활동을 통해서 휴식을 취하고 또 스트레스 해소와 정서적 안정을 취하고 자 하는 휴식적 만족 그리고 여가에 대한 다양한 지 식과 성취감을 습득하고자 하는 교육적 만족과 여 가를 통해서 체력을 증진시키며, 건강을 지켜주는 신체적 만족과 대인관계를 비롯한 사회적 교류를 넓힐 수 있다는 사회적 만족으로 여가만족 변수들 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여가만족을 ‘개인이 수행하고 경험한 여가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긍정적인 인지의 정도’ 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2. 직장만족
직장만족과 직무만족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개념 으로써, 직장만족은 직무만족 보다 포괄적인 개념 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직장만족에 대한 용어의 사용도 직무만족과 동일하게Job Satisfaction 이라고 사용하고 있다(강은나, 2011; 박영진, 2013; 박정주,
2011; 최현정, 2010). 그리고 직장만족이란 직무만족 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직장만족을 직무만족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오성욱․이승구, 2009;
정홍주․김종원․오태영, 2004). 따라서 이 연구에 서도 직장만족과 직무만족을 넓은 의미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용어를 정리하여 사용하고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직장만족이란 직장인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형 성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 및 정서 상태를 의미한다(박영진, 2013). 직장만족의 특징으로서 만 족도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직무에 긍정적인 태도 를 보이고, 만족도가 낮은 사람은 자신의 직무에 부 정적인 경향을 뛰며, 자신의 직장에 만족이 높은 사 람은 늘 긍정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에 조직에 적응 을 잘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여 조직발전에 기여하 는 바가 높다고 할 수 있다(박영진, 2013; 양재영․
정삼권․박영진, 2012; 최현정, 2010; Hartline &
Ferrell, 1996). 또 직장만족 요인 중 교육수준, 교육
훈련여부, 월평균임금, 직장 내의 부당한 경험, 고용 불안정, 직무요구, 사회적 미션 지향성이 직장인들 의 직장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강은나, 2011), 일반적으로 직장 규모가 크고 임금이 높을수 록 직장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자신의 전공과 교 육 내용 및 업무수준이 비슷할수록 직장에 대한 만 족도가 높아진다(박정주, 2011). 그리고 직장인들의 직장만족은 대고객 서비스로 이어지기 때문에 기업 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하고, 직원들의 애사심 고 취로 인해 조직발전에도 기여하는 바가 높아지게 된다(박영진․윤지환․양재영, 2012; 양재영․한 사비나․박영진, 2013) 이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직장만족을‘직무만족과 동일한 개념으로써, 직장인들이 직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형성되는 긍정적인 감정 및 정서 상 태’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3. 조직후원인식
조직후원인식은 넒은 의미에서 조직몰입과 유사
한 몰입의 개념이다. 다만 개인이 조직에 충성하고 조직을 위해 기여하려고 하는 몰입을 조직몰입이라 고 한다면, 개인이 조직에 기여하는 기여도를 인정 하고, 조직원들에게 몰입하게 하는 지원에 대해서 조직원들이 스스로 느끼는 감정 즉, 조직원들이 지 각하는 개념을 조직후원인식이라고 하며, 조직후원 인식은 조직과의 일치적 관계인 정서적 관계와 조 직과의 보상관계를 의미하는 계산적 관계를 포함하 고 있다(Eisenberger et al., 1986). 또한, 조직후원인 식은 개인에게 조직을 위해 몰입할 수 있도록 긍정 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조직과 조직원들 간 의 신뢰성 구축으로 인해 근면성과 성실성 및 충성 심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해서 열심히 근무하게 하 여 책임감을 형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Eisenberger
et al., 2002). 그리고 조직후원인식은 조직이 직원
복지에 관심을 보이는 정도에 따라 조직원들의 자 율성과 혁신성을 끌어 올리게 하는 역할을 하며, 권 한 위임과 기업정보 공유를 통해 조직원들에게 힘 을 전달하는 의미를 지닌다(임현철․서광열, 2011).
일반적으로 조직후원인식이 강한 조직원들은 직장 상사와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게 지각하기 때문에 직무성과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Akin & Hopelain, 1986). 따라서 조직후원인식은 조 직원들이 조직에 대해서 느끼는 기대의 정도를 의 미하므로 조직후원인식이 높은 직원이 많은 기업일 수록 효과적인 조직 관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직후원인식은 이직의도에도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기 때문에(Wayne et al., 1997) 특히 이직이 많은 여행사 직원들의 높은 조직후원인식은 이직률 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 에서는 조직후원인식이란 조직몰입과 유사한 개념 으로서, 노사 간의 입장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할 수 있겠지만, 조직이 조직원들의 기여도를 가치 있게 여기며, 조직이 그에 따른 보상을 비롯해서 관심을 보이는 정도에 대해서 조직원들이 느끼는 믿음과 애사심의 정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그림 1] 연구모형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설정
이 연구는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 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해 보고
자<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2. 연구가설 설정
가.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연구가설
연구가설을 설정하기 위해서 여가만족이 직장만 족과 유사개념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로써, 이재형 (2012)은 호텔직원의 여가만 족이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여가만족은 직무만족에 정(+) 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검정 결과를 도출하였으 며, 고동욱․부석현․함석종 (2011)의 카지노 종사 원의 욕구단계적 여가만족과 직무만족 간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여가만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 향을 미치고 있다는 검정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외 여가만족이 직장만족과 유사개념인 직무만족에 영 향을 미치고 있다는 다수의 선행연구결과(김유식 외, 2012; 박진영․구본기, 2010; 이귀옥, 2005; 이영 면․백승규, 2010; 최영순․조병준, 2012)에서도 나 타나고 있듯이 여가만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고 있다는 검정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 이 선행연구자들의 검정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 서도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하고자 연구가
설H1을 설정하였다.
H1 :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H1-1. 여행사 직원들의 교육적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H1-2. 여행사 직원들의 휴식적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H1-3. 여행사 직원들의 환경적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H1-4. 여행사 직원들의 신체적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H1-5. 여행사 직원들의 사회적 여가만족은 직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나. 직장만족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가설
연구가설을 설정하기 위해서 직장만족이 조직후 원인식과 유사개념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로서, 최현정(2010)은 호텔에서의 직장만족 을 조절변수로 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직장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검정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직 장만족의 유사개념인 직무만족이 조직후원인식과 유사개념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서, 이종학․신규희․이수범 (2012)의 카지노 종사 원의 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 향을 미치고 있다는 검정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 종욱․고재윤(2013)의 특급호텔에서 시장지향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에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 고 있다는 검정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자들의 검정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도 직 장만족은 조직후원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정 하에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만족이 조직 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하고자 연구가 설H2를 설정하였다.
H2 :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만족은 조직후원인 식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가. 여가만족
여가만족은 ‘여가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긍정적 감정으로서, 개인의 여가경험이나 상황에서 발생하 는 주관적인 생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양재영,
2012). 여가만족은 선행연구(노동인․차지원․문동
규, 2012; 이귀옥, 2010; Beard & Ragheb, 1980)들을 토대로 변수들을 도출하였으며, 이 연구를 수행하 기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변수 명을 각각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 환경적 만족, 신체 적만 족, 사회적 만족으로 명명하고, 총18개의 측정항목 들을 사용하여 리커트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
다. 3=보통이다. 5=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진행하
였다.
나. 직장만족
직장만족이란 직장인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형 성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 및 정서 상태를
의미하며(박영진, 2013), 이 연구에서 직장만족이란
‘직무만족과 동일한 개념으로써, 직장인들이 직장에 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형성되는 긍정적인 감정 및 정서 상태’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직장만족은 선행 연구(박영진, 2013; 박영진 외, 2012)들을 토대로 변 수를 도출하였으며, 이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하 도록 수정․보완하여 변수 명을 직장만족이라고 명
명하고, 총5개의 측정항목들을 사용하여 리커트5
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5=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 조직후원인식
조직후원인식이란 조직원들이 조직에 대한 기여 도를 가치 있게 여기는 것으로서, 조직원들 스스로 에게 형성되는 총체적인 믿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동욱 외, 2008), 이 연구에서 조직후원인식이란
‘조직이 조직원들의 기여도를 가치 있게 여기며, 조
직이 그에 따른 보상을 비롯해서 관심을 보이는 정 도에 대해서 조직원들이 느끼는 믿음과 애사심’이 라고 정의하였다. 조직후원인식은 선행연구(박진 영․구본기, 2010; 장혜란, 2007; Eisenberger, 1986) 들을 토대로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이 연구를 수행 하기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변수 명을 조직 후원인식이라고 명명하고, 총 6개의 측정항목들을 사용하여 리커트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5=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4. 설문지 구성과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이 연구의 실증분석은 여행사에서 정규직으로 근 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표1>와 같이 설 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4월1일부 터4월15일까지2013년 기준 매출실적 상위권 안 에 들어가는 여행사들 중에서 일반인들에게 지명도 가 높은 여행사(교원여행, 노랑풍선, 레드캡투어, 롯 데관광개발, 모두투어, SM C&C, 온라인 투어, 인터 파크 투어, 자유투어, 참좋은레저, 하나투어)들을 대 상으로 총 261부의 설문지들을 선별하여 SPSS와
AMO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구통계학
적 특성과 신뢰성검정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확인적요인 분석을 통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 였다.
<표 2>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분 내용 빈도 비율% 구분 내용 빈도 비율%
성별 남성 99 37.9
여가유형
스포츠/레저 105 40.2
취미/교양활동 50 19.1
여성 162 62.1
관람/감상활동 81 31.1
연령
25세 이하 23 8.8
사교/오락활동 21 8.1
26-30세 68 26.1
기타 4 1.5
31-35세 90 34.5 36-40세 58 22.2
여가비용
10만원 이내 154 59.0
41세 이상 22 8.4 20만원 이내 75 28.7
여가횟수
주1회 146 55.9 3-50만원 이내 28 10.8
주2회 65 24.9 기타 4 1.5
주3회 이상 35 13.5
학력
전문대졸업 72 27.6
못한다 15 5.7
대학교졸업 181 69.3
총 합 계 261 100 기타 8 3.1
<표 1> 설문지 구성
구성 내용 내 용 자료원
인구통계특성 성별, 나이, 여가유형, 여가횟수, 여가비용, 최종학력 저자 구성(6문항) 교육적 만족 관련된 지식, 자신을 안다, 새로운 시도 기회,
다른 사람 이해, 성취감느낌
여가만족(18문항) 노동인 외 (2012), 이귀옥 (2010),
Beard & Ragheb (1980) 휴식적 만족 휴식을 취함,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정
환경적 만족 보기 좋은 시설, 흥미 있는 시설, 잘 꾸며진 시설, 신선한 시설
신체적 만족 건강 지켜 줌, 신체적 활력 되찾음, 신체적 능력 시험 사회적 만족 밀접한 관계, 사람들은 친절함, 사회적 교류한다.
직장만족 담당하는 업무에 만족, 보수 수준은 적당하다, 보수에 전반적으로 만족, 승진에 만족, 승진기회에 만족
직장만족(5문항) 박영진 (2013), 박영진 외 (2012) 조직후원인식
우리 회사는 나의 업무 성과를 인정, 목표와 가치 인정, 회사발전에 공헌을 인정, 내 의견에 관심인정, 복지에
관심기울임, 나의 업무에 관심을 기울임
조직후원인식(6문항_) 박진영․구본기 (2010), 장혜란 (2007), Eisenberger (1986)
문항 합계 전체 35문항 (Likert 5점 척도)
IV. 연구 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표2>과 같이 나타 났다. 전체 응답자수는261명으로서, 남성이99명, 여
성이162명으로 나타났다. 연령은31-35세가90명으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26-30세가68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유형은 스포츠/레저105명, 관
람/감상활동 81명, 취미/교양활동 50명 순으로 나타
났으며, 여가비용은10만원 이내가154명, 20만원 이
내가75명으로 순으로 나타났고, 여가횟수는 주1회
가146명, 주2회가65명, 주3회 이상이35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행사 직원들의 학력 수준은 대학 졸업 자가181명, 전문대 졸이72명 순으로 대졸자들이 여 행사에서 많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 및 신뢰성 분석
변 수 환경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휴식적
만족 직장
만족 조직후
원인식 Cronbach 알파
보기 좋은 시설 .873
0.862
흥미 있는 시설 .835
잘 꾸며진 시설 .819
신선한 시설 .795
관련된 지식 .753
0.900
자신을 안다 .748
새로운 시도 기회 .680
다른 사람 이해 .669
성취감 느낌 .633
밀접한 관계 .840
0.894
사람들은 친절함 .781
사회적 교류 .765
체력증진 .809
0.873
건강 지켜 줌 .784
신체적 활력 되찾음 .712
신체적 능력 시험 .648
휴식을 취함 .833
0.813
스트레스 해소 .762
정서적 안정 .720
담당하는 업무에 만족 .887
0.848 보수 수준은 적당하다 .884
보수에 전반적으로 만족 .850
승진에 만족 .841
승진기회에 만족 .402
나의 업무 성과를 인정 .890
0.926 목표와 가치 인정 .889
회사발전에 공헌을 인정 .869
내 의견에 관심 인정 .848
직원 복지에 관심 기울임 .824
나의 업무에 관심을 기울임 .818
고유값(eigen value) 3.162 3.143 2.548 2.489 2.228 3.160 4.406 각 분산설명력(%) 17.565 17.458 14.156 13.830 12.376 63.192 73.436
전체 분산설명력(%) 75.386 63.192 73.436
전체의 Cronbach 알파 0.925 0.848 0.926
KMO 값 .904 .776 .898
2. 측정항목의 탐색적 요인분석
이 연구의 측정항목인 여가만족과 직장만족 그리 고 조직후원인식 변수들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파악 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탐색적 요
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여Cronbach's α 계수 들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요인 적재량은0.4 이상인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아이겐 값(eigen value)은1 이 상인 요인만으로 이 연구를 구성하였다.
가. 측정항목인 여가만족과 직장만족 그리고 조직후원인식에 대한 신뢰성 분석결과 이 연구에서 측정항목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는<표 3>과 같이 나타났다. 검정결과 여 가만족, 직장만족, 조직후원인식 각각의 표준형성
<표 4> 측정항목에 대한 상관관계 및 타당성 분석
교육만족 환경만족 신체만족 사회만족 휴식만족 직장만족 조직후원
교육만족 1
환경만족 0.531 1
(0.281)
신체만족 0.621 0.5 1
(0.385) (0.250)
사회만족 0.711 0.421 0.605 1
(0.505) (0.177) (0.366)
휴식만족 0.687 0.444 0.521 0.579 1
(0.471) (0.197) (0.271) (0.335)
직장만족 0.098 0.247 0.091 0.138 -0.021 1
(0.009) (0.061) (0.008) (0.019) (0.000)
조직후원 0.186 0.263 0.144 0.217 0.091 0.572 1
(0.034) (0.069) (0.020) (0.047) (0.008) (0.327)
CR 0.972 0.989 0.981 0.975 0.961 0.979 0.99
AVE 0.876 0.959 0.946 0.927 0.894 0.921 0.94
[그림 2] 최종 연구결과 모형
적절성인KMO 값이.904, .776, .898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값이 2930.675,
713.584, 1195.035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의 분석
설명력도 모두60% 이상으로 높게 검정되어, 이 연 구 표본에 대한 설명력은 충분히 확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한 신뢰도 분 석 결과, 전체의Cronbach's α 값도 모두.800 이상으 로 높게 나타나, 채서일(2007)이 제안하고 있는 최
소Cronbach α 값이0.6 이상이므로, 본 연구의 측정
변수들에 대한 신뢰성 또한 확보되었다.
나. 측정항목인 여가만족과 직장만족 그리고 조직후원인식에 대한 타당성 분석결과 이 연구에서는 다 항목으로 구성된 측정 변수들의
타당성에 대한 검정은 평균분산추출 값(AVE)과 합성 신뢰도(CR)를 이용하였는데, 검정결과는<표4>와 같 이 잠재요인의 평균분산추출 값과 합성신뢰도 값이 각각 기준치인0.5와0.7을 상회함으로서, 잠재변수에 대한 집중타당성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별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평균분산추출 값을 통해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는데, 상관계수의 제곱 값보다 크게 나타나, 평균분산추출 값을 통한 판별타 당성 또한 만족할만한 수준인 것을 확인되었다.
4. 연구가설 검정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 수용가능 수준과 연구가 설 검정결과는<그림2>와<표5>와 같이 자세하게
<표 5> 가설 검정 결과
연구가설 연구 경로 모형 비표준
화계수
표준화 계수
표준 오차
C.R 값
유의 확률
검정 결과
H1
H1-1 환경적만족 → 직장만족 .300 .304 .133 3.521 .000*** 채택 H1-2 교육적만족 → 직장만족 .007 .007 .085 .0510 .959 기각 H1-3 신체적만족 → 직장만족 -.038 -.047 .080 -.470 .639 기각 H1-4 사회적만족 → 직장만족 .150 .178 .096 1.574 .115 기각 H1-5 휴식적만족 → 직장만족 -.253 -.230 .119 -2.135 .033** 채택 H2 직장만족 → 조직후원인식 .577 .512 .063 8.184 .000*** 채택
카이제곱 DF p값 CMIN/DF RMSEA IFI TLI CFI RMR
731.110 361 .000 2.025 .063 .926 .917 .926 .043
*p<0.1, **p<0.05, ***p<0.001(***p<0.001)
요약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정결과 χ²값은 731.110(df=361, p=0.000, CMIN/DF 2.025)로 나타났 으며, 적합도 지수는 RMSEA=.063 RMR=.043, IFI=.926, TLI=.917, CFI=.926으로 나타나, 연구모형 에 대한 적합도와 타당성은 인정된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연구가설에 대한 가설검정결과는<표 5>와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인H1은 환경적 만족과 휴식적 만 족이 유의수준 p<0.05내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채택 되었으며, 나머지 변수들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기각이 되어, 연구가설H1은 부분 채택되었다. 이는 호텔직원들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이재형, 2012; 이귀옥,
2005) 결과와 비슷하게 전체적으로는 부분채택 되
었지만, 환경적 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검정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앞으로도 여러 대상들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이라 고 사료된다. 둘째,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만족이 조 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인 연구가설 H2는
유의수준p<0.001내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채택되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해석해 보면, 환경적 만족
이 직장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적 만족이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들에 대한 항목들이기 때문에 여행사 직원들이 직장생활과 여가활동을 병행하면서, 편안한 시설과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는 여가활동 공간을 이용해 서 업무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 문에 환경적 만족이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 이다.
다음으로 휴식적 만족이 직장만족에 부(-)의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휴식적 만 족에 대한 항목들이 여가활동을 통해서 휴식을 취 하고 스트레스 해소와 정서적 안정에 관한 항목들 이고, 직장만족에 대한 항목들이 보수수준을 비롯 해서 직장에서의 전반적인 승진에 대한 만족을 의 미하는 항목들이기 때문에 승진을 하고, 급여도 많 이 받기 위해서는 더욱더 열심히 근무해야 하기 때 문에 직장만족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적 만족과 신체적 만족 그리고 사 회적 만족은 기각되었다. 이는 교육적 만족 항목이 여가활동을 통해서 여가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습 득하는 것이고, 신체적 만족에 대한 항목이 여가를 통해서 체력을 증진시키며, 사회적 만족에 대한 항
목이 대인관계를 비롯한 사회적 교류를 넓힐 수 있 다는 항목들이다. 그리고 직장만족에 대한 항목들 이 자신의 업무와 보수 및 승진에 관한 내용들이다. 따라서 여행사 직원들은 자신들도 여행성수기가 되 면, 여가활동을 통해서 과다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부터의 해방과 자유롭게 쉬는 것을 원하지만, 업무 특성상 고객들의 여가를 책임져야 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고객과의 접점에서 상담을 통해 영업하며, 잦은 야근과 잔무에 시달리는 직업이다 보니 기각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만족이 조직후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채택되었다. 이는 직장만족 이 조직후원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V. 결론 및 시사점
이 연구는 환대산업으로써, 고객과의 접점에서 영업하고 있는 여행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 을 대상으로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 악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가설 검정을 위한 실증 연구는 여행사에서 근무하는 정규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에 대한 검정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설은 환경적 만족이 채 택되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휴식적 만족이 채택되어 부(-)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사 직원들 의 직장만족이 조직후원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 연구의 검정결과에 대한 해석과 실무적인 시 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적 만족이 직장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적 만족 이 여가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시설에 대한 내용들 이기 때문에 여행사 직원들이 직장생활과 여가활동 을 병행하면서, 편안한 시설과 여가환경이 잘 갖추 어져 있는 공간에서 여가활동을 수행하므로 인해서, 과다한 업무와 직무 스트레스로부터 잠시라도 해방 되어, 여가활동을 즐기고 직장으로 다시 돌아가 긍 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 기 때문에 환경적 만족이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행사의 관리자들은 보다 더 효과적으로 여행사 조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자유롭게 자신들이 추고하고자 하는 여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간과 경제적인 지원을 해 주는 것이 궁극적으로 직원들의 직장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 였다.
둘째, 휴식적 만족이 직장만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휴식적 만족 이 여가활동을 통해서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스 해 소와 정서적 안정에 관한 내용들이고, 직장만족이 보수수준을 비롯해서 직장에서의 전반적인 승진에 대한 만족을 의미하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직원들이 승진도 하고, 급여를 많이 받기 위해서는 더욱더 열 심히 근무해야 하기 때문에 휴식적 만족이 직장만 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 이는 여행사 직원들이 고객들과의 접점 에서 상담하며, 환대하는 사업이다 보니, 다른 서비 스 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보다도 여가활동의 중요성에 대해서 너무나도 잘 인지하고 있지만, 직 무 특성상 고객들의 여가를 책임져야 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진급도 하고 급여도 많이 받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휴식적 만족을 제대 로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행사의 관 리자들은 직원들의 이러한 심리상태를 잘 활용하여 여행 성수기가 끝나게 되면, 그에 따른 보상과 휴식
혹은 진급을 당연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심 어주는 전략적인 조직관리가 결국 여행사경영에 도 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셋째, 교육적 만족과 신체적 만족 그리고 사회적 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기각되었다. 이 러한 이유는 교육적 만족이 여가활동을 통해서 여 가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고, 신체적 만족은 여가를 통해서 체력을 증진시키며, 사회적 만족은 대인관계를 비롯한 사회적 교류를 넓힐 수 있다는 항목들이다. 그리고 직장만족은 자신의 업 무와 보수 및 승진에 관한 내용들이다. 따라서 교육 적 만족과 신체적 만족 그리고 사회적 만족이 기각 된 이유를 종합해 보면, 여행사 직원들은 자신들도 여가활동을 통해서 과다한 업무와 직무스트레스로 부터의 해방과 자유롭게 쉬는 것을 원하지만, 여행 사 직원들의 업무 특성상 시도 때도 없이 고객들의 여가를 책임져야 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 에 현실적으로 고객과의 접점에서 상담을 통해 영 업하며, 잦은 야근과 잔무에 시달리는 직업이다 보 니, 체계적으로 그리고 꾸준히 여가활동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교육적, 신체적, 사회적 만족에 대 한 요인들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기각된 것이라 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만족이 조직후원인식 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행사 직원들이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면, 직장상사 혹은 동료 들과의 대인관계도 향상되고, 자신의 업무를 비롯 해서 조직에 대한 믿음과 신임 그리고 애사심이 생 기게 되기 때문에 조직후원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게 되어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 이다. 따라서 여행사의 관리자들은 직원들에게 자 신이 근무하고 있는 직장에 대해서 최대한 만족하 며 근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해 주는 것이 조직후원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이 되는 것이다. 결국 조직후원인식이 높은 직원
들이 많이 근무하는 여행사일수록 이직도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조직 관리로 이어지게 되 어, 궁극적으로 여행사의 경영수익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여행서비스를 기반으로 고객과의 접점 에서 영업하는 여행사 직원들은 대상으로 여가만족 이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그동안 연구되어지지 않 았던 여행사직원들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을 통해서 직장만족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결과를 도출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높은 연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일부 여행사를 대 상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설문지를 이 용한 편의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응 답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해서 신뢰성이 결여 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차후 연구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연구 혹은 질적 연구방법이 병행되 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여가만족과 직장 만족 및 조직후원인식에 대한 변수들만을 이용해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보다 더 깊이 있는 연구결 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여가태도와 여가몰입 변수 들을 비롯해서 경영성과와 고객지향성과 같은 다양 한 성과변수들을 추가하여 진행하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은나
(2011).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고 용불안정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미션 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보건사회연 구학회
』, 31(2), 237-269.고동욱
․부석현
․함석종
(2011).카지노 종사원의
욕구단계적 여가만족과 직무만족 간 관계
.『
관광연구저널
』, 25(5), 79-97.김성혁
․김용일
․오재경
(2010).온라인 오락 여가 활동이 여가만족
,고독감 및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호텔경영학 연구
』, 19(1), 73-88.김유식
․이솔잎
․김아름
(2012).직장인들의 여가만 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인과관계
.『
한국체육학회지
』, 51(6), 401-410.노동인
․차지원
․문동규
(2012).이벤트
MC의 여가 몰입이 여가만족도 사회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학연구
』, 9(3), 39-59.류재숙
․박연옥
․이승곤
(2005).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
. 『관광 연구저널
』, 19(1), 31-47.박정주
(2011).청년여성 임금근로자의 첫 직장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교육연구
』, 30(2), 213-229.박영진
(2013).여행기업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직장 내에서 직원들의 직업존중감과 직장만 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영진
․윤지환
․양재영
(2012).여행사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여행사 종사원의 조직시민 행동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호텔경영학연구
, 21(3), 153-168.박진영
․구본기
(2010).여행사 종업원의 조직후원 인식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관광연구
, 25(2), 65-82.양재영
․정삼권
․박영진
(2012).여행사
CEO의 리 더십 유형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행사를 중심으로
-. 『관광연구저널
』, 23(1), 223-238.양재영
(2012).여가가 일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행사 직원의 여가태도 수준을 중심으로
.경 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재영
․한사비나
․박영진
(2013).여행사 관리자들 의 리더십 유형이 종사원들의 심리적 임파워
먼트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 호텔경영학연구
, 22(5), 99-117.오성욱
․이승구
(2009).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교육연구
, 22(2), 1-19.이종욱
․고재윤
(2013).특급호텔의 시장지향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관광연구
, 28(2), 77-93.이종학
․신규희
․이수범
(2012).카지노 종사원의 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1(3), 103-118.
이귀옥
(2005).호텔 종사원의 여가만족이 직무만족 에 미치는 영향
. 『관광서비스연구
』, 5(3), 23-38.이귀옥
(2010).노인들의 여가활동에서 여가몰입이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경영학연구
』, 19(6). 117-133.이려정
(2013).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대학생활만 족 연구
:대학생의 일상적 여가활동을 중심으 로
. 호텔경영학연구, 22(5), 119-135.이동욱
․이행순
․이수범
(2008).호텔주방 공조환경 과 레이아웃이 주방작업환경만족
,조직후원 인식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호텔경영학연구
, 17(1), 89-105.이영면
․백승규
(2010).조직구성원의 여가만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과 인사관리연구
』, 34(1), 25-62.이재형
(2012).호텔직원의 여가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관 광
․레저연구
』, 24(1), 391-408.임현철
․서광열
(2011).호텔직원의 조직후원인식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관광연 구저널
』, 25(2), 159-174.장혜란
(2007).여행업 리더십 유형과 조직후원인식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복지행정연 구
』, 23, 85-101.정홍주
․김종원
․오태영
(2004).종업원의 직장만족
도 결정요인 실증연구
-보험회사 중심으로
-.『
해양비즈니스
』, 4, 169-183.조명환
(2005).현대인의 라이프스파일과 여가활동 유형에 관한 연구
.『관광
․레저연구
』, 17(4), 7-23.채서일
(2007). 『사회과학조사방법론
3판
』,서울
:비앤엠북스
.최영순
․조병준
(2012).여가태도가 여가만족과 직 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를 중심으로
-.『
관광연구저널
』, 26(1), 249-266.최현정
(2010).호텔 조리부 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장 만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 16(5), 64-78.Akin, G., and Hopelain, D. (1986). "Finding the culture of productivity, organization dynam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 19-32.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Eisenberger, R., Armeli, S., Rexwinkel, B., Lynch, P. Rhoades, L. (2002). "Reciproca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1): 42-51.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and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500-507.
Hartline, M. D. & Ferrell, O. C. (1996). "The management of customer-contact service employe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J Marketing, 60(4): 52-70.
Rousseau, D. M. (1989). "Psychological and implied contracts in organization."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2: 121-139.
Wayne, S. J., Shore, L. M. & Liden, R. C. (1997).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In R.
Cropanzano & K. M Kacmar(Eds),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upport Managing social climate of the workplace 149-164, Westport, CT; Quorum Press.
2014년 5월 13일 1차 수정본 접수 2014년 7월 24일 2차 수정본 접수 2014년 8월 15일 최종 수정본 접수 3인 익명심사 畢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in Travel Agents on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2)양재영* Yang, Jae-Young
국문초록
이 연구는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실무적인 시사 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서 총 15일간의 조사기간에 걸쳐서 국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여행사들을 개별 방문하여 설문지들을 직접배포하고 수거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들은 제외하고, 최종 261부를 SPSS와 AMO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가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분 채택되었다. 여가만족 변수 중에서 환경적 만족 과 휴식적 만족이 채택되었으며, 교육적 만족, 신체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기각되었다. 둘째, 여행사 직원들의 직장 만족은 조직후원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는 여행사 직원들이 자신이 근무하는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면, 조직후원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택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행사의 관리자들은 효과적인 조직 관리를 위해서 직원들이 업무를 진행하면서 자신의 직 장과 조직후원인식에 대해서 최대한 만족하며 근무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지원을 해 주어야 여행사의 경영 수익에 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핵심용어 : 여가만족, 직장만족, 조직후원인식, 여행사 직원
* 국제대학교 호텔관광경영계열 겸임교수, (주)여행천하 대표이사,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