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 발전전략 수립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 발전전략 수립 연구"

Copied!
78
0
0

Teks penuh

본 보고서는 "울릉도 및 독도 해양과학기지 개발전략 수립 연구" 사업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되었습니다.

개요

연구 필요성

해양과학기술의 진흥을 통한 해양환경변화 및 경제활성화에 따른 관리체계 정비 필요성 새 정부 출범 이후 해양수산부 활성화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해양과학기술 진흥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역할 중요성이 강조됐다. 새 정부 출범 이후 해양과학기술과 해양산업에 대한 VIP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부설기관 신설, 부산청사 이전, 서해연구센터 신설 등으로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

연구목표 및 내용

울릉도 및 독도 해양 연구기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계획 수립 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의 비전 및 목표, 세부 전략 및 방향 설정 울릉도 및 독도 해양연구기지 중장기 개발계획(안) 수립

해양과학기술원 설립의 의의와 마찬가지로 해양과학기술의 경쟁력 확보와 R&D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경 및 역량분석

  • 국외 환경변화 분석
  • 경북 동해안권의 입지 특성 및 장래성
  • 미래이슈분석
  • 국외 동향 분석
    • 국외 유사사례
    • 전략적 방향성 도출

IT, BT, NT와의 융합을 통한 해양 하이브리드 기술. 해양과학기술원 목표실현과제의 주요 적용분야 해양과학기술원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응용 분야 및 핵심 추진 기술

미국 버뮤다해양과학연구소 소개.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 발전전략(안)

일반현황 및 개선방안

  • 일반현황
  • 취약점 개선방안

울릉도 및 독도 해역의 양성자 자원 조사 및 보전. 울릉도 해양자원 관리 및 독도 해양자원 지도 작성. 울릉도 및 독도 해양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육지-울릉-독도 해양산업 네트워크 구축 주요연구_1 울릉도·독도 해양생태계 조사 및 보전. 울릉도 및 독도 해양자원종합지도 및 DB구축

울릉도 및 독도 해양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울릉도 및 독도 실시간 장기관측부이 운영 울릉도와 독도 해양보호구역의 해양생태계 연구 및 사후 모니터링 연구

주요 연구_2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수산자원의 진흥 및 활용. 울릉도 및 독도 해양생물자원을 이용한 신소재 개발 및 바이오에너지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경상북도 울진).

울릉도 및 독도 해양자원 전자지도 제작 및 온라인 해양연구성과

비전 및 목표

연구내용

주요연구과제_3 해양영토교육 활성화. 울릉도/독도 해양생태센터 운영 울릉도/독도 해양생태해설사 ​​교육을 위한 해양과학 및 영토교육 프로그램 활용 청소년을 위한 국토해양과학교육 프로그램 운영(해양학교) 울릉도-독도 해양과학·역사·문화 융합포럼 개최

경북대학교(해양학과), 포항과학기술대학교, 국립수산과학원(발트해수산연구소, 독도수산연구소), 경상북도수산기술원 등 관련 교육 및 연구기관과의 지속적인 연계 연구기지(울릉사무소). 독도박물관, 동국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동북아역사재단 등 발트해 및 독도 관련 인문계 및 대외 인문학 기관과의 활발한 교류를 바탕으로 학제간 융복합 연구를 통한 울릉도 및 독도 연구의 고도화 추구 . 연구거점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 공동연구실 운영

해양 섬의 해양 생물 보전을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국제 해양 관측 프로그램을 위한 울릉도 및 독도 기지 구축.

단계별 R&D 연구전략

중장기 발전계획(안)

  • 발전목표 및 세부발전과제 구조
  • 발전목표별 세부발전과제

공동연구기관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과 김규범 교수 연구팀 등 첨단 연구장비 확충 및 시설 공동이용 인센티브 방안 수립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와 마찬가지로 해양과학체험 프로그램 참가자는 숙박이 필수다.

운영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본부에서 주관하되, 연구기반의 조기 정착과 지역관계 강화를 위해 연구조직인 초대부사장 아래 운영된다. Ÿ 외부기관과의 공동연구과제 추진, 인력 및 시설 공동활용 방안 마련 연구원의 상주를 통한 안정적인 연구기지 운영

울릉고 졸업생 중 해양관련대학 졸업 후 연구거점 채용이 우선이다. 해양생태·생물 관련 연구 인력, 해양수산부 인력 대폭 증원 연구교류 및 KIOST 공공서비스 중심의 기관으로 성장

단체지원, 방문과학자/KIOST 연구원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그룹 친목 프로그램 - 공동 연구 프로그램. Ÿ (대상) 내륙해양 관련 대학생 및 연구인력

Ÿ (내용) 연구거점의 주요 연구분야를 기반으로 한 장기 해양교육훈련 프로그램

단계별 발전전략

  • 단계별 R&D 발전전략
  • 기관운영 및 자원투입 전략
  • 소요예산

울릉도 독도 해양자원 모니터링. 해양과학 기반 해양영토교육 활성화 독도 주민연구 활성화 - 독도해양과학기지 개발

기후변화 대응 해양환경 장기 모니터링 울릉도와 독도 사이의 해양 환경에 대한 장기 계절 모니터링. Operation Ocean School - 수중 과학 다이빙 전문가 교육.

해상하계여름학교 운영 - 한국해양보이스카우트 연계 전력관리체계를 재검토하고 보완해야 한다. 높은 성과 창출을 위한 조직 통합 및 유연성 보장 - 매트릭스 조직 운영 및 유연한 인력 운영.

사업구조 및 시스템 추진을 통한 해양과학기술 발전 기여도 제고 핵심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와 균형 잡힌 창의적 업무 수행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활용방안

기대효과

Referensi

Dokumen terkait

Agenda Ÿ Dasar gaya-gaya sika dan material Ÿ Sambungan dari poros dan naf Ÿ Pasangan gelinding dan pembebanan izin Ÿ Bantalan gelinding dan bantalan luncur Ÿ Pemakaian yang tepat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