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유기지화학 추적자를 이용한 메탄방출 기록복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유기지화학 추적자를 이용한 메탄방출 기록복원"

Copied!
93
0
0

Teks penuh

유기지구화학적 추적자를 이용한 메탄 방출 기록의 재구성. 메탄하이드레이트가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 또 다른 이유는 환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메탄가스를 영양성분으로 하여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유기화합물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메탄수화물을 석유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면 자원과 환경이 직면한 위기를 크게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메탄하이드레이트 매장지를 개발하고 가스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해결하고 고려해야 할 문제가 많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과 관련된 환경 문제나 개발 및 탐사를 위한 지구화학, 유기화학 문제를 중심으로 위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은 지층에 묻힌 메탄이 대기 중으로 대규모로 방출되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며, 실제로 과거 연구에서는 해저에서 메탄이 대규모로 방출되어 그에 따른 저서생물의 대량 멸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질학적 시간 척도. )은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예: Kennet and Stott., 1991; Hesselbo et al., 2000). 이 분야는 국내에서는 학문적으로 실천되지 않고 있으며, 메탄하이드레이트의 안정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동해 퇴적물에서 유기지구화학적 방법으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화물 방출 기록을 복원하고, 메탄이 풍부한 지역을 간접적으로 표시하거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2.

메탄 배출이 지구화학적으로 입증된다면 이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탄하이드레이트 탐사 및 개발 평가와 함께 자원 활용을 목표로 하는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미국보다 R&D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일본에서는 메탄하이드레이트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캐나다는 또한 메탄 수화물 연구의 최전선에 있습니다. 2차년도 샘플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받았다.

Fig.  1.  Vostok  time  series  and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s  of  CH 4 ,  dD,  and  CO 2   for  the  last  4  glacial  cycles  (423  kyr)
Fig. 1. Vostok time series and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s of CH 4 , dD, and CO 2 for the last 4 glacial cycles (423 kyr)

Amount Ratio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플로펜을 해외에서 실험적으로 분석하였고, 디플로펜의 탄소동위원소 분석을 의뢰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코어 중 가장 많이 검출된 그룹은 후보 구간 JS1이었으며, 상위 계층보다 중간 또는 하위 계층에서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6).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Chloroflexi는 주로 해저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만 검출되는 종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습니다.

이 그룹은 지금까지 해양 퇴적물에서 rRNA 서열로만 검출되었으며 주로 무산소 지역에 서식하는 미확인 그룹이다(Harris et al., 2003). core 06GHSA P1-2의 상층과 중층에서 검출된 Deltaproteobacteria군은 Desulfuromus 또는 Desulfovibrio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하층에서는 Syntrophus속과 가까운 것으로 보였다(도 31, 32). 섹션 TM6의 후보는 해양 퇴적물의 DNA와 코어의 최상층에서만 검출된 원유 그룹으로만 알려져 있습니다.

후보 디비전 WS1, WS5 및 Firmicutes는 상위 및 중간 계층에서는 감지되지 않았지만 하위 계층에서는 감지되었습니다. 그러나 난카이 해구와 오호츠크해 등 가스하이드레이트 매장지에서는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eed et al., 2002). Crenarchaeota에 속하는 MBGC(Marine Benthic Group C)는 상층과 중층에서 각각 5%, 2% 검출되었으나, 하층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전체 클론의 7%를 차지하는 MHVG(Marine Hydrothermal Vent Group)는 Crenarchaeota 간선에 속하며 중간층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최하층에서 19%, 상층에서 2%로 많이 검출되었다. 층. Euryarchaeota 문에 속하는 Methanosarcinales는 상층의 1%에서 검출되었으나 중층과 하층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TMEG 및 Methanosarcinales 그룹은 중간층과 하위층에서 검출되지 않았고(표 7), MHVG는 중간층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MBGC는 하위층에서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추퇴적물에서 발견되는 유기화합물을 연구하여 유기화합물 분석기법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탄 배출량 기록을 복원하는 것이다. 국내 최초로 유기화합물(디플롭텐) 분석에 성공하여 실험방법 및 실험을 위한 기본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Table  1.  Analytical  result  of  organic  matters  for  core  07GHSA  P02
Table 1. Analytical result of organic matters for core 07GHSA P02

Gambar

Fig.  5.  Comparison  of  species-species  benthic  and  planktonic  foraminiferal      δ 13 C  values  (Kennett  et  al.,  2000)  with  high  resolution  TOC  δ 13 C  values  across  one  of  the  brief  foraminiferal  δ 13 C  excursion  in  Santa  Barbar
Fig.  6.  Records  of  (A)  carbon  isotopic  composition  of  benthic  (left)  and  planktonic  (right)  foraminifera  in  comparison  to  (B)  abundance  (left)  and  carbon  isotopic  composition  (right)  of  molecular  biomarker  diploptene  (Accordin
Fig.  8.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stadial-interstadial  mode  of  CH 4   flux  for  Santa  Barbara  Basin
Fig.  9.  Distribution  map  of  Methane  Hydrate  around  Japanese  Island  (Map  Courtesy  of  Tokuyama  H.,  Tokyo  University).
+7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No spatial and / or temporal studies of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macrofauna associated with benthic drift algal ma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Baltic Sea.. The aim

Clumped isotope analy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mperature and fluid composition during precipitation of the soil carbonates, we analyzed clumped isotopic ratios in bulk carbonate

Stable isotopic investigation of the feeding ecology of wild Bornean orangutans ABSTRACT Objectives We applied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analyses to wild Bornean orangutans

[i] Oxygen isotope data for upper Turonian planktonic foraminifera at Deep Sea Drilling Project Site 511 Falkland Plateau, 60°S paleolatitude exhibit an ~2%o excursion to values as low

The carbon isotope 588 record of leaf lipids demonstrates that bulk soil organic matter records do not capture the 589 full magnitude of the carbon isotope excursion in plants at th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bundance of benthic foraminifera as an indicator of the waters of the coral reef area around the waters of the East Penjaliran Island, Seribu Islands,

The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 of mantle derived basalts and nominally anhydrous mineral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systematics of the hydrogen isotope geochemistry of the mantle

• Magma ocean melting – different major element chemistry – no or little change in the heavy isotope composition  Similarity in the isotopic composition  Dissimilarity in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