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융복합 강의3.0 <IT융합과학과 창의적인 생활> 강의 세부내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융복합 강의3.0 <IT융합과학과 창의적인 생활> 강의 세부내역"

Copied!
18
0
0

Teks penuh

(1)

융복합 강의3.0 <IT융합과학과 창의적인 생활> 강의 세부내역

ㅇ강의자: 장승주(동의대학교), 류대현(한세대학교)

1. 주차별 강의 진도표

강의명 IT융합과학과 창의적인 생활

강좌 개요

세계는 농업사회와 산업사회를 거쳐 정보사회로 탈바꿈하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통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사회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인터넷이 전 지구적인 인 프라로 자리를 잡고 이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가 출현이 되어 업종과의 상호교류와 융 합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세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본 교과목은 IT기술을 이 용한 융합 과학 기술과 이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생활을 어떻게 이루어나갈 수 있 는지에 대해서 공부한다.

강의 목표

IT 융합기술 개론, 방송·통신과 IT 융합, 민간부문의 그린IT 추진 동향, 스마트그리 드 관련 주요동향, IT 융합기술 개론, 클라우드 컴퓨팅 융합 기술에 대한 앞으로의 전 망 등을 살펴본다. 또한 자동차 분야에서 IT 융합 기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그리고 건설 분야에서의 IT융합 기술 개요와 동향, 3D 컨텐츠 기술 분야에서 IT 융합 과학 기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러한 IT 융합 과학 기술을 통한 미래의 융합 기술 발전 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을 통해서 창의적인 생활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교 육한다.

강의

자명 장승주(동의대학교), 류대현(한세대학교)

강 의 내 용 교 재 비고

1

강의구분: 오리엔테이션 실시 : 학생들에게 본 교과목 수업 방향 등에 대한 상세한 안내

강의주제: 강의소개/교재소개/분야별 강의 진행 방식 소개/평 가방식 안내/ICT융합 과학 기술 개념/기술적인 측면의 IT융합/기 술 융합화 흐름 소개/그린 IT/스마트 그리드 기술 소개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2

강의구분: ICT융합 기술 관련 소개

강의주제: 스마트 그리드 개념 소개/스마트 자동차 소개/건설 분야 IT융합 기술 소개/3D콘텐츠 기술 소개/ICT융합 기술 발 전 동향/벙송통신 융합 기술 소개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3

강의구분: 방송 통신의 융합 기술과 개념

강의주제: 방송통신 융합 개념/방송통신 융합 형태/무선 인터 넷 기술/무선 랜의 장점.단점/Wi-Fi/ZigBee/IPTV정의 및 특징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4

강의구분: IPTV특징/그린IT기술 소개

강의주제: IPTV서비스 분류/방송통신 서비스와 IPTV서비스 특징 비교/케이블TV서비스와 IPTV서비스 특징 비교/그린IT기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2)

술개요/그린IT정의/그린IT의 목표/IT서비스업의 그린화-가상 화 기술

5

강의구분: 그린IT융합 기술 소개 및 추진 방향

강의주제: 그린 데이터 센터/데이터센터 그린화를 통한 에너 지 절감 방안/그린IT융합 기술 방향 및 전망/저장 장치 통합/

고용량의 디스크 사용/보다 적은 수의 디스크로 디스크 실패 대비/

데이터의 보다 효율적인 저장장치 이동/저장장치의 이용률 향상/효 율적인 백업 장치의 사용/테스트와 개발용 저장 장치 사용의 최소 화/저장 장치의 전력 효율성 측정/글로벌 기업의 그린 IT추진 현황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6

강의구분: 스마트 그리드 융합 기술 소개

강의주제: 스마트그리드/스마트그리드 기술 특징/스마트태그 와 스마트박스/스마트그리드 주요기술/AMI기술/스마트 미터 기능 소개/DR장치 소개/스마트그리드 통신 방식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7

강의구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소개

강의주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소개/클라우드 컴퓨팅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클라우드 컴퓨팅 장점.단점/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기술 소개/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종류와 특징 /PaaS, IaaS, SaaS소개/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술 소개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

8 중간 고사

9

강의구분:클라우드 컴퓨팅 융합 기술 개요

강의주제: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주요동향/클라우드 컴퓨팅 수익모델/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클라우드 컴퓨팅 정부 주 요 과제/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앞으로 전망/클라우드 컴퓨팅 가대효과/클라우드 컴퓨팅 문제점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IT융합 기 술 개 론 ( 송 관 호 저)

10

강의구분:자동차 IT 융합 기술 개념

강의주제:자동차 IT융합 기술 개념/텔레메틱스의 정의/지능형 차량에 접목된 IT기술 소개/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소개/충돌 방지 시스템/자동차간 통신 기술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IT융합 기 술 개 론 ( 송 관 호 저)

11

강의구분: 자동차와 IT융합 기술 동향

강의주제:자동차 융합 IT기술 동향/국가별 자동차와 IT융합 기술 정책 동향/자동차 IT융합 기술의 발전 방향/자동차 IT융 합 보안 기술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IT융합 기 술 개 론 ( 송 관 호 저)

12

강의구분:건설과 IT융합 기술

강의주제:건설과 IT융합 기술 소개/u-city구성요소/건설과 IT 융합 기술 개념/스마트 구조물/구조물 실시간 진단 모니터링/

건설현장과 접목된 IT기술/건설 유비쿼터스 요소 기술/u-city 도입시 개선 사항/u-city 도입시 문제점/스마트 홈 시스템 소 개/건설과 IT융합 기술의 앞으로의 전망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IT융합 기 술 개 론 ( 송 관 호 저)

(3)

13

강의구분: 건설과 IT융합 기술/3D콘텐츠와 IT융합 기술 강의주제: 건설과 IT 융합 기술 앞으로의 전망/u-city가치 사 슬/건설과 IT융합 기술의 해결해야 할 과제/3D콘텐츠와 IT융 합/문화 콘텐츠의 중요성/3D콘텐츠 기술 동향/오감 기술 개 발 동향/3차원 디스플레이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IT융합 기 술 개 론 ( 송 관 호 저)

14

강의구분: 3D콘텐츠

강의주제: 3D콘텐츠 기술 동향-촉각/정전식-감압식 차이/3D 콘텐츠 기술 동향-청각/3D콘텐츠 산업동향/3D콘텐츠 방송 서비스 현황/3D콘텐츠 영화 시장/3D TV 시장 현황/3D콘텐츠 정부 정책 지원 현황/3D콘텐츠 게임 산업 현황/3D콘텐츠 앞 으로의 전망

I T 융 합 과 학 기 술 (장승주저)/IT융합 기 술 개 론 ( 송 관 호 저)

15 기말고사

(4)

2. 차시별 강의 세부 내용

주차 1 주제 강의소개 및

1장 IT융합과학 기술 개론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IT융합과학 기술의 정의와 개념을 안다기술의 정의와 개념을 안다

강의내용 IT융합과학 기술 개념, 발전 모습, 응용사례

교수방법 강의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IT융합과학 교과목 소개- IT융합과학 기술을 이해하고 창의적인 생활을 어떻 게 할 것인지에 대한 교양 지식을 습득함

ü ICT 융합 과학 기술 정의-여러 기술이 합쳐져 융합기술이 문제를 해결하고 나 면, 각각의 분야가 없어지거나 흡수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를 융합과학기술이라고 함

ü ICT 융합 과학 기술의 개념-IT, BT, NT 융합 개념도-융합 기술은 이종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서 새로운 제품, 서비스를 창출 하는 것을 말함.

ü ICT 융합 과학 기술의 개념-IIT/NT, IT/BT 분야 등을 중심으로 융합 기술의 개 발을 활발히 진행 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전망.

2차시

ü IT 융합 기술의 발전 모습

ü ICT 융합 과학 기술의 개념-기술적인 측면:/산업적인 측면의 IT융합

ü IT-BT-NT 융합 기술 분야가 보다 더 유기적으로 융합 되는 추세로 기술들 간의 경계가 없어지고 하나로 통합되는 흐름

ü 기술 복합화 /기술융합화

ü ICT 융합 과학 기술의 개념-현 시점에서 기술의 위치와 부가가치 ü ICT 융합 과학 기술의 개념-시기별 융합기술 발전 단계

ü ICT 융합 과학 기술의 개념-산업별 IT융합화

15대 국가 융합 전략 기술 분야에서 4대 기반 기술 분야는 정보 기술, 바이오 기술, 나노 기술, 인지 과학 기술임

3차시

ü ICT 융합 기술의 응용 사례

가. 제품 차원에서의 융합-기존 제품에 ICT적 기능이 접목되어 성능이 비약적으 로 확대되거나,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를 형성

나. 서비스 차원에서의 융합 다. 산업 차원에서의 융합

ü 방송/통신 융합 사례- 대표적 서비스 : IPTV (Internet Protocol TV)

ü 그린 IT 융합 사례- 환경 친화, 성능 개선, 경제성 달성이라는 목표를 함께 달 성하는 에너지 절약 기술.

ü IT 산업의 그린화 필요성-에너지 절감으로 인한 비용 절약, 석유 및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 증대

ü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5)

주차 2 주제 1장 IT융합과학 기술 개론

2장 방송 통신 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ICT 융합 기술의 응용 사례, 방송통신 융합에 대하여 이해한다.

강의내용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자동차, 건설 IT, 3D 콘텐츠, 방송통신 융합 교수방법 강의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개념-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공급자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급량을 탄력적 조절 ü 대한민국:전송망/소비자 분야에서 수준이 높으나 운송/신재생 및 서비스 부문은 제도적 약점과 통합/운영기술 부족 등으로 선진국과 격차가 존재 ü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전망 및 시사점-단계적으로 시장이 조성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순차적인 접근이 필요

ü 스마트 자동차 개념-첨단의 컴퓨터·통신·측정기술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을 말함.

ü 스마트 자동차 적용 기술-지능형 순항제어 (Adaptive Cruise Control : ACC) 차선 이탈방지, 주차 보조(Park Assist), 자동주차(Remote Park Assist)사각지대정보안내 (Blind Spot Information System: BLIS)

2차시

ü 건설 IT 정의-전통적인 건설 산업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T)을 융합하여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서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ü 3D 콘텐츠 개념-실세계의 모습과 동작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눈앞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사실감과 현장감을 제공하는 콘텐츠

ü 3D 콘텐츠 활용 분야입체 촬영 방식-영상 분야의 실사 영상 제작, 방송 분야에서의 드라마, CF 촬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음

ü 국내 3D 콘텐츠 진흥 정책-경쟁력이 있는 부분을 좀 더 집중화 시켜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할 것임

ü ICT 융합 기술 발전 동향-차세대 핵심 연구 개발 분야로 IT 융합 기술을 선정하고 국가적 차원의 자원과 역량을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있음.

3차시

ü ICT 융합 기술 발전 동향- 조선, 자동차, 섬유, 건설, 국방, 의료분야와 IT 의 융합이 국내외에서 경쟁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ü 주요국의 ICT 융합 전략 동향 - (대한민국)차세대 기술혁명을 주도할 융합기술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의료·건강, 안전, 에너지·환경 문제의 해결 뿐 만 아니라 신성장 동력인융합신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ü 방송통신 융합의 정의-디지털 기술 발전과 광대역 통합망의 진전 및

단말기의 융합화로 인해 기존의 방송과 통신의 경계 영역이 허물어지는 현상

ü 방송통신 융합화의 세 가지 흐름

Ÿ 유선과 무선의 융합화(Fixed-Mobile Convergence) Ÿ 음성과 데이터의 융합화(Voice-Data Convergence)

Ÿ 통신과 방송의 융합화(Telecom-Broadcasting Convergence)

(6)

주차 3 주제 2장 방송 통신과 IT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방송통신 융합 관련 기술, 무선인터넷 관련 서비스 기술에 대해 이해한다.

강의내용 무선인터넷 관련 서비스 기술, WI-FI 응용 기술, IPTV 융합 서비스 교수방법 강의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방송통신 융합 개념 -유선과 무선의 융합화, 음성과 데이터의 융합화, 통신과 방송의 융합화

ü 융합 형태-서비스 융합, 네트워크 망 융합, 단말기 융합, 사업자 간 융합 ü 방송통신 융합 관련 기술 및 서비스

ü 무선인터넷 기술-WAP과 Mobile IP 기술

ü 무선인터넷 관련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 서비스(Information), 대화형 서비스 (Communication), 엔터테인먼트 서비스(Entertainment), 이동전자상거래 서비스(Mobile-Commerce), 이동위치기반 서비스(Mobile-Position), 텔레메트리 서비스(Telematery),

ü VOD(Video On Demand)-쌍방향 방송으로 엄청난 양의 부가정보를 실어보낼 수 있어 방송 환경에 큰 변화.

2차시

ü 무선인터넷 관련 서비스 기술-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모바일 방송서비스,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ü 무선인터넷기술-무선 랜

Ÿ 무선 랜의 장점-편의성, 휴대성, 생산성,간단한 설치, 확장성 Ÿ 무선 랜의 단점-보안 취약점, 지원 범위의 한정, 신뢰성, 속도 ü 와이파이 (Wi-Fi : WIreless FIdelity)-인터넷에 AP(액세스 포인트)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간의 통신.

선없이 인터넷이나상호간통신이가능한장점때문에게임기, 프린터, TV 등 다양한 주변 기기들에서도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들이 늘어나는추세

ü WI-FI 응용기술의 진화-기기간 통신기술(Wi-Fi Direct, Wi-Fi TDLS), 스트리밍

3차시

ü WI-FI 응용 기술의 진화

ü 네트워킹단말이 무선 기지국에 연결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무선 기지국 검색 및 보안 설정 과정을 최적화하는 기술들을 개발 중

ü ZigBee-저전력 가정용 무선 네트워크 규격 ‘지그비'(ZigBee)

ü IPTV-광대역 연결상에서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ü 개방형 IPTV 융합 서비스 플랫폼-IPTV를 통해서 원격 의료, 원격 교육, e-비즈니스 등 개인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구조가 되어 있음

ü IPTV는 양방향 서비스로 콘텐츠의 내용이네트워크에남아있기때문에사용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콘텐츠를 골라서 볼 수 있음, 또한 시청과 동시에 웹 서핑, VoIP를 통한 통신을 할 수 있음

(7)

주차 4 주제 2장 방송 통신과 IT융합

3장 그린 IT기술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IP TV 서비스, 그린 IT 기술 정의, 목표,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강의내용 IPTV 서비스, 그린 IT 기술 , 가상화 구축 사례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IPTV 서비스-와이브로망을 이용한 IPTV 서비스를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ü 콘텐츠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 통신 서비스로 나눔 ü 방송과 통신 서비스, IPTV 서비스 특징 상호 비교 ü 케이블 TV 서비스와 IPTV 서비스 특징 비교

ü 방송통신 융합 기술 방향-필요한 인프라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무선 인터넷 혁명에 적극 대응

ü 방송·통신 융합의 단계별 발전 예측 ü 주요국 기술개발 및 현황과 전망

2차시

ü 그린 IT 기술 개요-최근의 그린 IT 제품 및 서비스 시장의 전세계적 급성장 추세를 감안하여 선진국들도 IT를 미래 국가발전 전략으로 “그린 IT 전략”을 적극 추진 중

ü 그린 IT 정의-에너지절약과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지속적인 부가가치와 생산성 향상을 얻고자 하는 IT 산업의 친환경 활동

ü IT 산업의 그린화에 따른 효과

ü 에너지 절감으로 인한 비용 절약, 석유 및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 증대 선진국의 환경 규제에 따른 탄소 배출 감축의 현실적인 필요성

ü 그린 IT 의 목표-환경 친화, 성능 개선, 경제성 달성, IT 서비스업의 그린화

3차시

ü 가상화(Virtualization)-가상화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세부사항을 감추고, 다른 하드웨어처럼 보이도록 함.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기존의 컴퓨터 시 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으로 동작

ü 가상화 구축 사례

Ÿ 시트릭스-XenDesktop, XenServer는 클라우드 시스템, 서버 가상화, 데스크톱 가상화의 플랫폼 역할

Ÿ 마이크로소프트- Hyper-V와 System Center VMM

Ÿ 오라클- Xen 하이퍼바이저와 썬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와 Parallels Virtuozzo Containers

Ÿ Red Hat- KVM6과 RHEV

Ÿ VMware-가상화 시장의 선두기업

(8)

주차 5 주제 3장 그린 IT 기술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그린 IT 관련 기술, 국내 외 동향, 기술 방향 및 앞으로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강의내용 그린 IT 관련 기술, 그린 IT 관련 국내 외 동향,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그린 IT 관련 기술

Ÿ 제품수명연장-IT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은 그린 IT를 위한 좋은 실천 방안. 업그레이드, 모듈화를 포함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방법을 모색.

Ÿ 그린데이터센터-기업 및 개인 고객에게 컴퓨터 및 스토리지 설비를

임대하거나 고객의 설비를 유치하여 유지/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 전력 관리 기능을 활용하고, 소규모 여러 자원을 하나의 자원으로 통합하고, 미사용 서버 전원을 적절히 관리한다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ü 그린 IT 기술 관련 국내 외 동향- IT 융합 시스템을 신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융합 기술 관련 신 산업 및 신 서비스를 발굴하며 융합 기술에 의한 기존 산업의 고도화, IT 기반 융합 기술 및 융합 부품 소재 육성과 인프라 확충, 융합기술의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촉진, 표준화 제도 확립에 주력.

2차시

Ÿ KT의 그린 IT- Green KT프로젝트, 유해물질 배출 저감, 에너지를 효율화 목표 Ÿ 미국-그린 뉴딜 추진, 그린 IT 기술 촉진을 위한 인프라 보급 및 확산에 주력 Ÿ EU-의료, 섬유, 건설, 바이오 등 6대 선도 시장 육성, 부문 간 융합을 촉진 Ÿ 일본-IT 기술 분야 에너지 절약을 추진, 그린IT 추진협의회를 운영

ü 그린 IT 융합 기술 방향 및 앞으로 전망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그린 데이터 센터가 지속적인 관심 예상 -IT 산업의 친환경화(Green for IT) 가상화

서버, 스토리지 등 물리적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분리, 하나의 컴퓨팅 시스템을 분리사용하는 등 컴퓨터 자원을 활용도와 유연성을 높이는 추상화 기술.

3차시

ü 그린 IT 융합 기술 방향 및 앞으로 전망

ü IT 산업의 친환경화(Green for IT) 가상화 기술은 그린 IT를 실현-저장 장치 통합, 고용량의 디스크 사용 , 디스크 실패 대비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장치 이동, 저장장치의 이용률 향상, 효율적인 백업 장 치의 사용, 테스트와 개발 용 저장 장치 사용의 최소화, 저장 장치의 전력 효율성 측정

ü 국내외 IT 기업들의 그린 IT 기술 개발 및 시장 진출도 활발하게 진행-원격 근무, 화상 회의, 지능형 물류 시스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 그린 솔루션 도입을 선도

ü 글로벌 IT 기업 그린 IT 추진현황

Ÿ MS- 가상화 등 SW를 활용한 그린 컴퓨팅을 추진, 서버를 감축, 비용 절감 Ÿ Google-고효율 파워 서플라이 팬속도 자동조절등으로 서버 전력소비를 절감 Ÿ CISCO-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을 위한 그린 네트워크 비전을 제시, 스마트

워크 센터, u-시티 등의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

(9)

주차 6 주제 4장 스마트 그리드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스마트 그리드 개념, 스마트 그리드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강의내용 스마트 그리드 개념, 스마트 그리드 기술 특징, 주요 기술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스마트 그리드 개념-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세계적으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들도 스마트 그리드사업을 진행

ü 스마트 그리드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는 것 뿐 만 아니라 소비자 들 스스로의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을 유도

ü 스마트 그리드 기술특징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여, 분산 전원의 확대와 저장 강화, 새로운 전력 시장 창출고품질 전력, 자산 최적화 및 운영 효율화, 고도 화된 전력망 감시·보호 및 자기치유, 전기차 인프라 제공

2차시

ü 스마트 그리드- 서비스 형태: 스마트 태그와 스마트 박스 ü 스마트 그리드 주요기술

ü 공·수급자 사이의양방향정보전달인프라인AMI가 핵심 기술

ü 스마트 미터링을 가능케 하는 AMI, 분산 에너지원을 관리하는 EMS, 소비자가 전력 가격에 따라 반응할 수 있게 하는 DR, 재생 에너지 및 전기차 등과 관련한 에너지 저장설비, 배전 자동화 시스템 등이 구성 요소.

ü AMI(Advancde Metering Infrastructure) 기술- 오픈 아키텍처(Open

Architecture)를 통하여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정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소비자의 전력 사용 정보 등을 보내주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스마트 미터가 생성한 자료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등으로 구성

3차시

ü 스마트 그리드 주요기술 ü 스마트 미터 기능

ü DCU장치-에너지 요금 정보, DR 정보, 다양한 전력서비스 정보를 에너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

ü DR장치-에너지사용량, 요금제도, 예상 요금 등 다양한 에너지 정보인지 ü 스마트 그리드 통신기술-AMI 구축 필수 요소인 유무선 통신 기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ZigBee 등)을 통해서 데이터 통신

ü AMI 네트워크 구조소비자로부터 운용센터에 이르기까지 HAN(Home Area Network), NAN, WAN으로 구성

ü 스마트 미터기에서 체크하는 전력 사용량을 PLC 기술과 ZigBee 기술, WiFi 기술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

(10)

주차 7 주제 5장 클라우드 컴퓨팅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하여 이해한다.

강의내용 클라우드 컴퓨팅 정의, 주요기술, 서비스의 종류와 특징, 관련된 기술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클라우드 컴퓨팅 정의

ü -컴퓨팅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사용 요금을 지급하는 컴퓨팅 서비스 ü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데이터 저장,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등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컴퓨팅 기술

ü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비용과 시간·인력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절감,안전하게 자료를 보관.이용 편리성이 높고 산업적 파급 효과가 커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

ü 클라우드 컴퓨팅 단점-네트워크/통신 연결을 통한 근무의 특성으로 인해 보안에 취약. 안정성에 대한 불안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

2차시

ü 클라우드 컴퓨팅 주요기술-주문형 서비스, 동적 자원 할당,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 과금 체계 등 클라우드의 특징을 충족하기위한 다양한 기술 솔루션이 요구

ü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의 종류와 특징

ü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SaaS -소프트웨어를 필요한 만큼 대여하여 이용하는 서비스

ü 개발자용 플랫폼 및 개발 툴을 제공하는 PaaS -개발 툴 등의 플랫폼 환경을 대여해주는 서비스.

ü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스토리지와 서버시스템을 대여하는 IaaS-저장 매체와 하드웨어 시스템, 서버 등의 인프라 기반을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3차시

ü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기술

ü 아마존(Amazon) - 특정 기간 외에는 유휴 상태로 방치되는 IT 자산을 활용하 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Amazon Web Service; AWS)를 제공

ü 애플 -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등 iOS 운영체제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 과 Mac, Macbook 등 데스크톱 운영체제를 탑재한 PC 단말간 데이터/콘텐츠 동기화 서비스 ‘MobileMe'를 제공

ü 주요 국외 기업의 상품

ü 구글 - 중앙 서버에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고 이를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웹기반PC 운영체제 ‘크롬(Chrome) OS'를 시범 서비스

ü OnLive-온라인클라우드상에서바로제공하는신개념게임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ü 마이크로소프트-애저 서비스 플랫폼(Azure Service Platform)

(11)

주차 8 주제 중간시험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1~7주차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

강의내용 중간 시험

교수방법 강의자료

세부내용

1차시

중간 시험

2차시

중간 시험

3차시

중간 시험

(12)

주차 9 주제 5장 클라우드 컴퓨팅, 6장 자동차와 IT 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주요동향, 국내외 정책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강의내용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주요동향, 앞으로의 전망, 자동차와 IT 융합기술의 배경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주요동향 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별 사례 ü 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

ü 국내외 정책 현황

Ÿ 영국-정부용 IT 서비스들의 공유 시스템인 웹 스토어 등을 구축, 디지털 통합국을 신설하여 지원할 예정

Ÿ 일본-정부 전산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발표 Ÿ 미국-단계별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계획인 ‘StoreFront’를 발표하고, 민간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계 활용하는 ‘Hybrid Cloud’ 등도 발표

Ÿ 중국-소프트웨어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우시(Wuxi) 소프트웨어 개발단지를 2008년 5월부터 추진

2차시

ü 클라우드 컴퓨팅 앞으로의 전망

ü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급속한 성장 을 전망하고 있으며, 그린 IT, 해외 사업자의 진출 등을 고려하여 국내에서도 대비가 필요한 시점임

ü 클라우드 컴퓨팅은 초기 단계지만, IT 산업 시장을 재편하고 관련 사업자들에 게 새로운 기회 창출 것임

ü Green IT를 실현하는 효과적 방안

ü 해외기술 유입에 대한 Korea IT-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국내기업의 대비 없 이는 차세대 성장 시장에서 해외 사업자들에 주도권 제공 우려

3차시

ü 클라우드 컴퓨팅 실현으로 예상되는 위험-개인 자료의 안전성, 트래픽의 급 증, 정보 집중 우려, 네트워크 장애/파괴 등과 같은 위험에 대한 대비도 지 속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가짐

ü 자동차와 IT 융합기술의 배경-종합 산업으로서의 자동차 산업은 초기 내연 기 관과 구동 중심의 기계 기술에서 경량화 및 기능성 소재 응용 기술로 높은 상 업성을 통하여 시장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진화를 거듭

ü 자동차 산업기술의 시대별 변화

Ÿ 1960-트랜지스터의 출현으로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진화, 제어 시스템이 전자 시스템으로 대체, 안락성과 안정성이 높은 차량의 상용화

Ÿ 1970- Integrated Circuit(IC)의 융합, 다양한 전자 제어 시스템이 적용 Ÿ 1980-Radio Frequency(RF) IC기술과의 융합, 자동차와 무선통신의 융합

Ÿ 1990~-차량과 운전자 및 탑승자 위주로 안전과 편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Telematics가 태동

(13)

주차 10 주제 6장 자동차와 IT 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자동차와 IT 융합의 다양한 기술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강의내용 자동차와 IT 융합의 다양한 기술들, 지능형 차량에 접목된 IT 기술, 텔레매틱스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자동차와 IT 융합의 다양한 기술들

ü 텔레매틱스의 정의-무선 및 음성·데이터 통신과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정보 시스템(GPS)을 기반으로 자동차 내부와 외부 또는 차량 간 통신시스템을 이용 해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차량에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ü 자동차와 IT 융합의 주요기술

ü 지능형 자동차 안전 기술-자동차가 주변 상황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 써 운전자의 판단을 지원하고 ,자동차 스스로 판단, 결정하는 기술

ü 자동차 추돌방지 시스템:

ü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대형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타이어 안의온도 및 압력을 타이어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의 시스템

2차시

ü 지능형 차량에 접목된 IT 기술

ü 차량용 블랙박스-자동차가 주행 중이거나 정차해 있는 경우에 사고가 발생하 면 사고 영상을 저장하고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첨단 영상장비 ü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실시간 차량의 움직임을 모니터하고 차량이 통제 불가

능한 범위로 벗어나는지 측정

ü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차 안에서 하나의 모니터만으로 각종 멀티미디어 기 기는 물론 스티어링 휠, 도어,윈도우, 거울 등 각종 장치를 완벽하게 제어하고 각각의 동작 상태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ü 자동차와 통신-차량 통신 네트워크로 차량간 통신망(V2V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과 차량과 인프라 통신망(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network)으로 분류

3차시

ü 자동차와 통신

ü 긴급 전자 브레이크- 후방차량 및 그 후방차량으로 급브레이크 위험 경고 ü 충돌 전 감지-충돌에 대해 미리 경고함으로써 차량과 운전자가 충격을 완화 ü VADD 프로토콜- 움직이는 차량 간에 에드혹 통신을 할 때, 패킷의 전달과정

에서 최종 목적지까지의 가장 최소의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 ü VADD상황 판단

ü A-STAR-GSR과 동일하게 교차로 마다 시퀀스넘버를 부여하는 도시의 지도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기반 라우팅 방법

ü 텔레매틱스 프로젝트와 관련 표준

ü 텔레매틱스 국내 프로젝트-Mobile Ad-hoc Network에 대한 연구는 시뮬레이션 이나 간단한 테스트베드 상에서의 기능 및 성능 확인 실험실 수준의 연구개발

(14)

주차 11 주제 6장 자동차와 IT 융합

7장 건설과 IT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자동차와 IT관련주요 동향,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강의내용 자동차와 IT관련주요 동향시장동향, 시스템상의 문제점, U-City의 정의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텔레매틱스 프로젝트와 관련 표준

ü 미국DO에서는 5.9GHz 대역의 WAVE기술을 차량 관련 공공 서비스와 일반 서비스에 사용할 계획으로 기술개발을 추진

ü 유럽C2C-CC프로젝트는 V2V 통신기술 개발 컨소시엄임

ü 관련 표준CALMT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누구와 어떤 단말기로도 차량 내에서 텔레매틱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CALM표준화를 추진

ü 관련 표준WAVE-미국의 WAVE시스템은 미국에서는 WAVE-DSRC로 불림 ü 자동차와 IT관련주요 동향시장동향

ü 국내-지능형 자동차 수요와 기술 개발 본격화, 반도체 등 관련 사업 성장기대 ü 국외-자동차와 IT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자동차와 텔레매틱스 시장 성장추세

2차시

ü 자동차와 IT관련주요 동향

ü 기술동향-국내:ETRI에서 추진,개방형 LBS 플랫폼, 개방형 핵심 공통 기술 및 메인 메모리 기반 이동객체 DBMS 기술을 개발

ü 기술동향-국외:미국과 유럽은 E-911과 E-112의 추진을 통해 LBS인프라를 확충, 유럽은 위치정보 및 이동객체 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

ü 정책동향-국내:개인 위치정보의 보호 및 재해/재난 등 위험지역에 대한 예보 등 이 가능하도록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

ü 정책동향-국외(미국):모든 이동전화 사용자들이 911사용시, 무선 사업자가 위치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법안을 통과

ü 자동차와 IT 융합의 앞으로의 전망-자동차 IT 융합기술은 높은 수준의 신뢰성 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보안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3차시

ü 자동차와 IT 시스템상의 문제점-보안 기술 표준화

ü 자동차와 IT 융합 기술의 가능성을 통해 최대한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지 능형 자동차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국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IT 융합 기술에서의 보안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

ü 건설과 IT 융합의 개념

ü U-City의 정의-도시 내에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실시간으로 대처하고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민에게 편리하고 안전하며 안락한 생활을 제공하는 신 개념의 도시

ü 유비쿼터스 기반기술로 서로 연계하고 통합함으로써 도시민들이 쉽고 편리하 게 생활하는 미래형 첨단 기능도시인 u-City가 제안

(15)

주차 12 주제 7장 건설과 IT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건설과 IT 융합의 개념, 앞으로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강의내용 U-City의 구성 요소, 건설현장에서의 IT 기술, Smart Home 서비스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건설과 IT 융합의 개념

ü U-City 전략-한국, 일본, 싱가폴, 대만, EU 등은 정부주도형의 전략을 수립 실천 EU 일부 국가와 미국은 기업과 연구소, 대학중심의 민간주도형 전략 ü U-City의 특성-초기에는 네트워크 등 인프라 구축에 초점, 점차 유시티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네트워크를 질적 양적으로 고도화하려 노력 편리한 도시, 안전한 도시, 쾌적한 도시, 문화적 도시, 생산적 도시, 참여적 도시의 비전을 목표

ü U-City의 구성 요소

ü U-City 추진배경-사람이 중심이 되어 공간과 공간, 공간과 정보, 정보와 사람간의 네트워크가 도시 속에서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 것이 U-City의 기본 개념

2차시

ü 건설과 IT 융합

ü 사회간접자본-SOC 또는 인프라는 경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 ü 스마트 구조물(Smart structure)-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센서와 엑츄에이터, 판

단을 위한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조물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

ü 구조 안전 모니터링-구조물에 센서를 장착하여, 진동원에 대한 구조 응답을 분석하여 구조물의결함을 발견하고, 평가하여 구조물의 건전성과 수명을 예측 ü 건설현장에서의 IT 기술-유비쿼터스 기반에서 건설공간은 지능화된 공간, 사용

자의 현실감 및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보여주는 증강 현실 공간

ü 건설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5단계와 내용

ü 건설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5단계에 따른 요소기술

ü 3차시

ü U-IT 도입시 개선사항 / U-IT 도입시 장애요인

ü Smart Home-가정 내 네트워크의 연결이 아닌 주택(건물)내의 정보기술요소를 구현하는 토탈 홈 정보제어시스템 및 서비스/솔루션을 총칭하는 개념

ü Smart Home 서비스 산업 활성화 / Smart Home 서비스 발전 전망

ü Smart Home 성장 및 저해요인-성장요인:인터넷 통신 보급률, PC 보유가구 확 대,정부의 관련사업 육성, 사업기회 발굴과 사업자 참여의지

ü 저해요인-건설경기에 종속된 구조, 소비자 인식 미비, 인프라 장비 가격,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부족, 컨텐츠 개발 및 공급원 확보 문제

ü 건설과 IT 융합의 앞으로 전망-건설과 정보기술의 결합구조인 U-City가 기존의 도시건설과 운영의 패러다임 변화를 담는 로드맵을 가져야 함

(16)

주차 13 주제 7장 건설과 IT 융합

8장 3D 콘텐츠와 IT 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3D 콘텐츠와 IT 융합 기술과 동향을 알아본다.

강의내용 건설과 IT 융합의 앞으로 전망, 3D 콘텐츠 기술 동향,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건설과 IT 융합의 앞으로 전망

ü 삼성 SDS의 U-City 사업 방법론 체계도

ü 도시 통합운영센터 통합 플랫폼 기술구조, U-City 가치사슬 ü U-City 추진시 판단되는 문제점 / 문제점 조치 방안

ü 3D 콘텐츠와 IT 융합

ü 문화 콘텐츠의 중요성-매체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중심 이동하면서 인간의 삶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3D 기술이 가진 파급효과와 영향력이 큼

ü 킬러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 콘텐츠 생산 프로세스의 변화

2차시

ü 3D 콘텐츠와 IT 융합

ü 매체 발달에 따른 변화- 매스미디어의 거대화, 양방향으로 의사결정 변경, 인 간과 인간, 인간과 매체, 매체와 매체의 상호작용성이 중요해짐

ü 신 성장 동력으로 도약하는 콘텐츠

ü 3D 콘텐츠 기술 동향 - 현재는 삼성, LG, 현대 등의 기업에서 3D TV 및 전자 제품을 앞 다투어 기획 제작하고 있으며, 영화계와 많은 콘텐츠 기업들이 3D 콘텐츠 제작에 집중

ü 3D 콘텐츠와 기술-User Interface 도구를 이용한 UI 터치스크린, 3DUX의 가상 이미지와 District의 3D프리젠테이션, 동작인식 비접촉 컨트롤러, BCI, Brain-Computer Interface, G-tec의 “ItendiX”

3차시

ü 3D 콘텐츠 기술 동향

ü 오감기술의 혁명-인간의 오감을 컴퓨팅 기술에 접목하여 기술을 발전, 음성과 영상을 중심으로 데이터 표현, 전송의 부호화 및 표준화가 널리 사용

ü 시각 -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은 관측자에게 평면 이미지가 아니라 실재감 있 는 3차원 입체로서 영상을 느낄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술

ü 안경식 - 3차원 디스플레이( 편광안경 방식 / 액정셔터 방식 ) ü 무안경식 - 3차원 디스플레이 다시점 양안 시차 디스플레이 방식 ü 공간상에 실제 3차원 이미지를 형성하는 체적형 디스플레이방식, ü 3차원 물체의 파면을 그대로 재현하는 홀로그래피 방식 등

ü 안경방식은 콘텐츠의 제작은 용이하나 사용자의 불편이 따르고, 무안경 방식 은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하나, 콘텐츠제작이 어렵다.

(17)

주차 14 주제 8장 3D 콘텐츠와 IT 융합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3D 콘텐츠 산업 현황 , 3D 콘텐츠와 IT융합의 앞으로 전망을 알아본다 강의내용 3D 콘텐츠 산업, 3D방송 서비스 현황, 3D 콘텐츠와 IT융합의 앞으로 전망 교수방법 강의 중심 강의자료 동영상 강의 및 pdf

세부내용

1차시

ü 3D 콘텐츠 기술 동향

ü 촉각 ž정전식-사람 몸의 미세한 전류를 인식해 작동하는 기술 ü ž감압식-압력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반응하는 구동방식 ü 감압식은 터치 반응속도가 떨어지고 스크래치가 생겨 외관 손상 가능성 높음 ü 청각- 소리를 실감나게 전달하는 사운드 시스템도 현실감에 중대한 역할 ü 3D 콘텐츠 산업 현황 / 3D방송 서비스 현황

Ÿ 한국- 3D관련기술 국가 경쟁력 확보 목표, 3DTV 실험 방송을 추진 Ÿ 유럽- 다양한 연구 과제를 통해 3D영상에 관심과 투자를 유치 Ÿ 영국-유럽 내에서도 3DTV 상용 방송에 대한 가장 활발한 활동 진행

Ÿ 미국- 영화, 방송 등 3D 산업 전반의 기술 개발과 동시에 상용화에 가장 적극 적인 노력

2차시

ü 3D방송 서비스 현황

ü 일본-IPTV 서비스 분야에 새로운 3D 시장을 개척할 것으로 예상

ü 국내 3D 영화 시장-3D 입체영화를 미래 영상으로 보고, 영화진흥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꾸준히 준비

ü 국외 3D 영화 시장-3D영화 '아바타'에 이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흥행으로 3D콘텐츠가 영상산업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메가트랜드를 주도 ü 한국 3D 산업의 현주소-세계 시장 점유율 1, 2위의 국내 3D 디스플레이 생산

기술에 비해 국내 3D 콘텐츠 시장은 턱없이 미미하여 걸음마 수준의 단계 ü 국내 3D 관련 산업전망- 3DTV로부터 3D게임기, 3D휴대폰 등으로 시장이 빠

르게 형성 중

3차시

ü 3D 콘텐츠와 오감 서비스

ü 국산 3D 애니메이션 ‘뽀로로’와 ‘볼치 앤 분립’

ü 게임산업 -3D 인프라가 빠르게 형성, 경쟁력 있는 3D 콘텐츠 개발과 3D 게 임 개발력을 활용해 3D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 ü 영상산업-타산업보다 3D 기술이 일찍 접목됨, 4D 영화가 등장

ü 3D 콘텐츠와 IT융합의 앞으로 전망

ü 3D 산업 응용분야 -전시나 영화의 기술들이 실생활에 접목

ü 홀로그램(디스플레이 기술)과 인터페이스의 변화 등 오감을 자극하여 시청자에 게 사실감과 몰입감을 증가시킬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함

ü 3D와 4D(오감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 대두

(18)

주차 15 주제 기말시험 강의자 장승주 학습목표 9~14주차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측정

강의내용 기말 시험

교수방법 강의자료

세부내용

1차시

기말 시험

2차시

기말 시험

3차시

기말 시험

Referensi

Dokumen terkait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로 활동함에 있어 관련 규정을 철저히 준수할 것이며, 허위 또는 부당 출결처리, 무단 결강 또는 강의 해태 등 운영지침 위반 시 처벌을 감수하겠음.. 상기와 같이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로 등록을 신청하고, 상기 서약사항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서약하며, 귀 기관의 심사결과 강사로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본인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