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융복합 강의3.0 <한국의 의료문화> 강의 세부내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융복합 강의3.0 <한국의 의료문화> 강의 세부내역"

Copied!
15
0
0

Teks penuh

(1)

융복합 강의3.0 <한국의 의료문화> 강의 세부내역

ㅇ강의자: 지규용(동의대학교), 강신익(부산대학교) 외 3명

1. 주차별 강의 진도표 강의명 한국의 의료문화

강좌 개요

한의학과 서양의학으로 의료제도가 이원화된 한국의 현실에서 많은 사회적 갈등이 노정되고 있 는데, 이에 대해 의료가 있게 된 본질인 생명의 문제부터 의료, 의료인, 건강, 역사, 사회문화와 관련된 제문제를 예비의료인이 의료실천에 대한 인문사회적 교양과 통합적 이해 및 사고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함.

강의 목표

의사 개인과 그에 의한 의료 활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뿐만 아니라 이원화된 의료체계 하에서 상대의료에 대한 이해도 아울러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궁극적으로 보다 나은 의료를 위한 조화적 공존과 융합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형 의료(문화)의 창조를 도모한다.

강의

자명 지규용, 강신익, 여인석, 김남일, 이종찬

강 의 내 용 교 재 비고

1 강의구분: 오리엔테이션 및 1주차 강의 강의주제: 생로병사

2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질병과 고통 3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의학-건강 4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생명-의학 5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의료인 6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체질과 의학 7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역사 8 중간고사 (휴강)

9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만남 10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뇌와 마음

(2)

12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보완대체의학, 민속, 유사의료 13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의료와 사회(질병의 사회학) 14 강의구분: 강의

강의주제: 미래의학 15 기말고사

(3)

2. 차시별 강의 세부 내용

주차 1 주제 생로병사 강의자 강신익, 지규용

학습목표

생명과 의학, 의료, 문화라는 큰 주제를 공부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먼저 인간의 생 로병사라는 구체적인 삶의 과정을 공유, 공감하여 이들 주제가 삶에서 떨어지지 않 는 것이며 동시에 보편적인 주제로 사유할 수 있도록 한다.

강의내용 생로병사에 대한 실제 사례, 개입하고 치료하는 방법의 차이들 교수방법 1) 자료강독을 선행하고 토론 중심

2) 학생들의 질문과 답변

강의자 료

1) PDF: 쪼그려 낳기

2) 관련영상:임윤택의 삶과 죽음 http://youtu.be/Diw319pBcQc 세부내용

1차시

-우리 조상들은 생로병사를 어떻게 경험했을까?

생명이나 의학이라는 우리의 주제에 대한 사고방식과 定義方法은 언제나 생로병사에 대한 실제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경험을 공유하고 확인하는 일부터 시작 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과거 조상들의 출산과 그에 관련된 문화, 믿음, 죽음에 대한 인식 등을 토론 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그리고 이런 경험적 인식이 실질적인 개념형성에 주요 토대가 되기 때문에 한 학기동안 진 행할 소설쓰기의 주제로 부여하고 기말에 발표하도록 한다.

-그 경험은 지금 우리와 어떻게 다른가?

현재 우리가 오감과 몸으로 직접 경험하는, 무심한 관찰자가 아니라, 매 삶의 과정에 참여하 는 사람으로서 과거의 상황을 현재로 재구성하고 비교, 대조하면서 과거와 현재의 생로병사 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2차시

-인간은 어떻게 생로병사에 개입해 왔는가?

과거로 올라갈수록 생로병사에 대한 수용태도는 사회문화적 관습에 지배받게 되므로 심리적 개입이 많게 되고(임윤택의 삶),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이 발달할수록 인위적으로 개입하는 방 법이 증가하게 된다. 인위적 개입은 부득이 시술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출산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생명은 명사일까, 동사일까?

생명을 하나의 정적인 개념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삶의 구체적이고 연속적인 과정 속에서 볼 것인지를 묻는 내용으로 학생들에게 언제나 삶과 유리되지 않은 생생한 경험이자 이러 한 생생함 속에서 의료가 이루어져야 함을 은연중에 시사하게 된다. 수업 중에는 실제 질 문과 답변을 통하여 명확히 하였다.

(4)

주차 2 주제 질병과 고통 강의자 강신익, 지규용 학습목표

“의료”가 존재하는 최초원인은 질병과 고통이 있기 때문인데, 이에 대해 과연 인간 의 숙명인지, 극복해야 할 대상인지, 아니면 인식의 문제인지 등을 근본적으로 질 문하고 사유할 수 있도록 한다.

강의내용 고통과 질병을 수용하는 방식에 대해 과학과 종교에서, 그리고 역사적 변화에 따라 서는 어떤 특징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 포스트휴먼시대의 의 학과 질병경험

세부내용

1차시

-과학은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苦와 痛에 대한 개념 정의, 의학적 생리기전에 대한 간략한 개괄, 플라시보 등 타인의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과 수용태도, share 등에 대해 다룬다.

고통에 대한 실존적 경험의 중요성 -고통은 생명의 필연인가?

고통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과 생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있게 되는 외부자극 에 대한 수용과 반응형식의 하나라는 점을 상기한다. (인지과학)

따라서 고통 자체가 본질일 수는 없으나 일반적인 삶과 상식에 따른 사고방식에서는 고통으 로 간주된다. 따라서 우리가 일반적인 사람의 인식을 전제로 하여 고통으로 인정하고 논의를 전개한다.

2차시

-인간은 왜 고통 받고 죽어야 하는가?

인간을 이루는 마음과 몸이 지향하는 욕망이 다르고, 대상에 대한 욕망과 대상의 른데서 差 跌(cross run)이 발생하고 이것이 몸의 감각과 지각에 부정적인 수용과 반응을 일으키며 이 것이 마음에 각인되는 과정을 여러 사례와 함께 상기한다.

-종교는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불교에서는 감각과 지각의 실체성을 부정하고 단지 현상이 일어나고 사라짐으로만 관찰함으 로써 고통을 주체에 내재하는 것이 아닌 외부대상으로 타자화시킨다. 또한 고통의 발생 원인 은 집착이라는 선행원인에 있다고 본다. 이렇게 함으로써 객관적으로 고통을 바라볼 수 있고 예속을 벗어나 조절이 가능해진다.

-고대/중세/현재, 동양/서양의 질병과 고통은 어떻게 다른가?

고통은 지감각에 속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고통의 경험은 문명의 발전정도와 개인의 건강상 태, 당대 사회 속에서의 부의 정도 등에 따라 상대적이라는 점을 인식한다.

또한 이데올로기나 종교 등의 이념적 태도, 자의식, 죄의식 등의 내적 상황에 따라서도 달라 지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 혹은 주체가 타자의 고통을 어떻게 공감할 것인지 강의한다.

(5)

주차 3 주제 건강 강의자 강신익, 지규용 학습목표 의학, 의료가 타인의 삶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건강과 불건강이라는 상태에 대한 판

단으로부터 출발하게 되므로 건강, 질병 등에 대한 객관적인 개념을 고찰한다.

강의내용

건강의 개념이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과정

건강과 질병의 관계, 연속적인 변화를 단속적 경계로 인식하는 괴리문제 질병발생에 대한 의학에서의 기초적 이론 예시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 건강이 뭐길래 세부내용

1차시

-건강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

건강에 대한 관점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개념을 공유하기 위하여 WHO와 20세기 최신 학 자들의 견해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지금도 모든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투자하고 건강산 업이 유행하지만 건강이라는 객관적이고 충족적인 상태는 존재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건강의 개념은 시대/역사/문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

동양의학, 도교, 불교, 한국전통사상 등에서 다루는 여러 개념들 자연주의모델/생물-심리-사회모델

깡길렘, 르네 듀보, 파브레가 등에 의해 제안된 내용들을 제시하고 건강에 대한 객관적인 정 의가 가능한지 토론을 유도한다.

건강이란 자연-문화-의학의 공진화 결과

또한 유동적인 것이고 보편적 기준이나 실체를 정할 수 없고 개인에 속한 것임을 명확히 이해하고 의료인으로서 환자의 건강에 관한 주도자라는 인식을 갖지 않도록 한다.

2차시

-우리는 왜 병을 앓는가?

일반적인 의학에서 다루는 병은 주로 세포와 조직의 손상과 변성, 염증, 순환장애 등으로 설 명되는 미시적 병리기전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것은 생물학적 반응 이상만을 보여줄 뿐 생 명체의 환경에 대한 능동적 적응과 극복과정 등의 대응전략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한다. 이 를 위해 면역과 진화의 관점에서 건강과 질병을 해석한다. 이것은 한의학의 대우주/소우주사 상과도 상통한다.

-건강과 질병은 연속일까 단절일까?

건강은 없다→건강은 없어도 치유는 있다.

질병의 유무와 정상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명확할 수 없고, 암세포나 염증세포의 존재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통해 개체의 건강을 일관되게 예측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혈 압, 맥박, 호흡, 심박출량과 같은 생리적 변수들은 개체의 생리적ㆍ심리적 상태에 따라 수시 로 오르내린다. 건강을 질병의 부재로 정의하려면 이렇게 불확실한 몸의 현상을 보다 단순화 시킬 필요에서 평균치에 근거한 생물통계학적 건강의 정의가 등장한 것임을 밝힌다.

(6)

주차 4 주제 건강-의학-생명 강의자 여인석 학습목표

의학은 과학의 관계, 동질성과 차별성에 대해 다룬다.

학문으로서의 의학과 인간을 다루는 의료로서의 기술이라는 두 측면, 생명체와 질 병치료에 개입하는 것은 인간의 실존과 관련된 문제임을 명확히 이해한다.

강의내용

과학과 의학의 본질

생명에 개입하는 의학의 속성 정상과 비정상의 문제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DF: 근대의학의 탄생 세부내용

1차시

-의학은 과학인가?

과학은 무엇인가?

과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

포퍼의 반증가능성: 틀릴 수 있는 것이 과학이다. 확실히 틀릴수록 좋은 과학이다.

틀릴 수 없는 것은 과학이 될 수 없다.

과학은 맞고 틀리고, 옳고 그름의 문제

과학적 옳음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백 년 전의 옳음과 백 년 후의 옳음.

특정 내용의 진실성에 집착하면 도그마가 됨. 종교적 도그마 방법적 합리성의 추구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패러다임, 합의로서의 과학

2차시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에 개입하는 의학: 옳고 그름의 문제

: 이론은 틀렸으나 환자가 치료되는 경우, 이론은 맞으나 환자가 치료되지 않는 경우

박완서 선생의 경우: 예후는 틀림이 없었으나 그것이 전부는 아님.

환자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것: 치료, 이해와 공감 -정상과 비정상: 인체, 혹은 생명체의 고유한 문제

- 자연 현상에는 정상과 비정상이 없다. 지진, 해일은 비정상이 아님. 병든 세포는 있어도, 병든 원자나 분자는 없다.

- 질병도 자연적 현상의 하나이다.

- 자연의학의 모순

- 의학은 인위적인 개입행위

- 의학적 비정상이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

-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은 어떻게 형성되고 부과되는가?

- 따라서 의학은 가치의 문제가 된다.

-동・서양의학은 생명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어떻게 다루는가?

(7)

주차 5 주제 의료인 강의자 여인석 학습목표

의료는 국가의 유지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통치수단이며, 일찍부터 동서양의 국가들이 의사인력을 시험에 의해 선발하고 인원을 통제하며, 서양근대에서는 면허제도를 두었던 이유에 대해 고찰한다.

강의내용 동양과 서양에서 의학의 역사적 변천에 따라 의사직업, 전문화과정, 국가주도 의사 선발, 면허 등 의료인력을 선발하고 관리하였던 내용.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세부내용

1차시

-의학, 의사는 어떤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었가?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의사라는 전문직업이 분화되고 학술유파를 형성하며 로마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의사가 형성되는 과정을 일별하면서 현재의 의료인 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성격을 갖는 것인지 역사적으로 이해함에 중점을 둔다.

-자연의 질서와 사회의 질서(몸의 질서와 사회의 질서)

-바람직한 몸의 상태는 동의가 가능하나 어떤 사회가 바람직한 사회인가에 대한 동 의는 불가능하다.

- 천인상응. 사회유기체설

- 사회의 질서를 자연의 질서와 동일시하는 것은 사회의 질서를 변경 불가능한 것 으로 받아들이게 하려는 음모에서 나온 것이다.

2차시

역사 – 정체성

다양한 관점, 국론분열

맥락이나 전체 속에서 바라보도록 Historia - 투키디데스

-의사에 대한 면허는 언제 어떻게 왜 생겼는가?(강의자료) : 근대의학과 국가의 의료관리

-동아시아 3국의 (한)의사 제도는 어떻게 다른가?

: 중국의 중서의결합

일본의 서의일원화, 한의폐지 한국의 의료이원화

(8)

주차 6 주제 체질과 의학 강의자 지규용

학습목표 체질의 개념을 동서양에서 기원한 다양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사해 봄으로써 질병중 심 의학체계와 대비하여 의학적 접근방법이 다양할 수 있음을 인식케 한다.

강의내용

혈액형을 가지고 사람의 특성을 분류하는 일반통념에 대한 비판 동양에서의 체질개념, 이론, 의학

서양에서의 체질개념에 상당하는 이론들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참고자료

세부내용

1차시

-혈액형에 따른 체질 분류는 근거가 있는가?

혈액형이론의 개요

혈액형체질 이론의 형성과정

비판: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합리성 여부 토론, 사회적 유행 배경 분석 -고대 중국과 그리스에서는 체질을 어떻게 분류했는가?

“體質” 용어의 역사(문헌)적 원류

서양의학에서의 체질 개념: 생리학(Kretschmer의 비만형/세장형/투사형), 심리학 (Sheldon의 3가지 내/외/중배엽형), 우생학(Paul Broca의 체질인류학→ 일제 강점 기 일선동조론), 면역학(특이체질) 등에서의 용례에 대한 간단한 소개

2차시

-이제마 사상의학은 어떤 사상적 배경에서 탄생했는가?

중의학에서의 체질과 한의에서의 체질: 이론적 배경

<동의보감>의 목차와 질병관

유학에서의 본체론과 인성론에 근거한 질병관

이제마: 수곡의 寒熱, 性情의 升降, 臟局長短(체형기상) -의학(료), 몸, 인간에서 체질의 의의는 무엇인가?

질병의 경향성, 유형 행동의 패턴, 경향성, 추세

개인별 섭생, 운동, 음식, 영양선택의 기준과 적합한 방법 윤리도덕에 대한 판단의 경향성

의식(무의식) 에너지의 활동패턴

(9)

주차 7 주제 한의학과 서양의학 (역사) 강의자 김남일, 지규용 학습목표 한의학의 탄생과 역사과정에 대한 개괄적 이해

서양의학의 탄생과 발전과정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 강의내용

고대 그리스의학의 형성

고대 중국에서의 의학의 형성과정과 한제국기 한의학

수당 이후 한의학의 송, 금원, 명청대 의학의 대표적인 의학과 특징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없음

세부내용

1차시

-서양의학과 한의학은 어떻게 시작되고 발달되었는가?

고대그리스의 자유로운 학문 분위기와 다양한 사상 및 전문기술자군 등장 선진시대 중국의 자유로운 사상경향과 백화제방의 제자백가 등장

한제국의 탄생과 대일통사상에 영향을 받아 통일, 통합된 의학이론 등장 -당대의 지식체계는 의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기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새로운 의학수요

전쟁과 기아 등 의식주환경 급변에 의한 질병패턴과 의학수요의 관계 송대 性理學과 명대 陽明學의 발달과 한의학이론의 특징

청대고증학 및 서양의학 유입과 온병학/어혈병리학/변증논치 임상의학

2차시

-한의학과 서양의학은 어떤 사회경제적 배경에서 형성되고 발전하였는가?

한의학: 인간의 존재에 필수불가결한 자연의 영향 인식

인간의 질병발생에 필연적 인과관계를 갖는 사회환경의 영향 인식 →자연과 사회와 인간의 유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

→자연(대우주)을 원본으로 하는 整體論과 小宇宙思想

유비론을 학문방법론으로 정립하여 확실성 근거로 삼음→정성적 관찰 정량적 측정과 실증적 관찰이 어려운 의학

서양의학: 근대과학혁명의 영향으로 신체에 대한 실증적 관찰과 상세한 기술 가능 →현미경 발견→신체로부터 자연과 사회, 마음을 분리, 치환

환경오염과 질병의 상관성→위생학

르네상스 이후 해부학의 발전으로 인체에 관한 실증적 기술방법 확립 →기관의 병변 기술, 세포발견, 생명체 구조와 기능의 보편성 인식 세균의 발견→세균학, 감염학

자연물의 약리성분 발견→약리학 정량화, 실증 가능한 의학

(10)

주차 9 주제 한의학과 서양의학2 (만남) 강의자 지규용, 강신익 학습목표

한의학이 조선의 역사와 함께 하는 주류의학이었다가 비틀거릴 때 일본과 서양열강 을 등에 업고 서양의학이 점차 우세를 점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만남과 투쟁을 통해 알아본다.

강의내용 한의학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없음

세부내용

1차시

-한의학이 서양의학을 만났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한의학의 역사과정에서 서양이라는 외부의 문물, 특히 의약관련 지식과 기술이 중 요한 사회적 권력으로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때인 19세기 후엽으로부터 시작 한다.

한의학의 독자적인 의학사를 간략히 설명한 다음 국력의 쇠퇴와 함께 의학도 무기 력하게 쇠퇴하였고, 외세의학과 만날 때 대응력을 상실한 과정을 다룬다.

-동아시아 3국이 서양의학 도입 이후 취한 한의학에 대한 정책은 어떠했는가?

중국과 일본, 특히 일본의 후세파, 고방파의학으로 발전했던 한방의학이 메이지유신 과 함께 망하고 서양의학만 살아남았던 과정. 서양의학이 근대에 우세를 점하게 되 었던 이유를 찾기 위하여 발전과정에 대한 설명, 특히 내과와 외과가 나뉘고 위생 학이 발전했던 내용을 제시한다.

2차시

-첨단 과학 시대의 한의학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한의학이 서양의학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고유의 이론을 유지하면서도 독자적으로 현대과학의 틀 안으로 들어올 수 있기 위해서는 면역과 진화라는 새롭고 큰 시각 (틀)에서 생명현상과 병리현상을 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이 분야는 한의 학과 이론적 친화성을 가지는데, 의학분야에서도 면역과 진화이론은 지속적으로 새 롭게 이론이 개발되고 있는 핫트렌드이다. 또 하나의 트렌드는 서사의학(narrative medicine)인데 이는 한의학이 전통적으로 중시해온 것으로 미래의학에 대한 시사 로서 제시한다.

-동서 협진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어떤 이론이 자신의 도그마에 갇혀 있을 때 독선이 있게 되며 자신의 견지를 벗어 나 객관적으로 自他를 공평하게 바라볼 때 협진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이것은 너무 당연한 귀결이어서 실제 강의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다.

(11)

주차 10 주제 마음의 분석: 진화생물학과 한의학 강의자 강신익 학습목표

다윈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축적된 진화생물학에 대한 개괄적 이해 한의학의 현대적 발전에 필요한 논리, 통찰, 학문적 요소 탐색 한의학이론의 확립과 증명을 위한 예로서의 거울뉴런

강의내용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마음은 몸으로 세부내용

1차시

-마음은 어디에 또는 어떻게 있는가?

뇌와 마음-생물학적 심리학, 인지신경심리학-Antonio Damasio Ted lecture 진화론적으로 해석한 마음의 본질

정신분석학에서의 마음 불교에서의 마음

-마음은 존재인가 현상인가 아니면 환상인가?

존재하는 현상으로서의 마음

존재를 증거할 수 없는 환상으로서의 마음 나와 마음, 나와 신체, 마음과 신체의 관계

2차시

–플라시보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월터 브라운: 저서 <임상에서의 플라시보효과> ““의학치료의 역사는 플라시보 효과 의 연대기에 다름 아니다. 과학적으로 엄밀하게 따져본다면, 대부분의 치료방법들이 치료 자체의 효과보다 플라시보 효과에 의존한 것이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무의식도 플라시보효과를 유발한다.

-거울뉴런은 왜, 어떻게 진화했을까?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등의 多源的 분포

간접경험을 직접경험화하여 신속한 생리반응-생존

수십만년의 진화를 통한 적응과 수십분간의 학습을 통한 적응-모방 사회생활을 하는 생물종에 필요한 공존의 생리기구-공감

→문명과 문화의 탄생

-한의학은 感情浮沈을 중시, 七情內傷

칠정상의 의학적 의의를 실증하기 위한 도구이론

(12)

주차 11 주제 유전과 진화 강의자 강신익 학습목표 새로운 의학이 요구하는 인간관, 세계관: 협동과 공감의 가치

유전과 진화, 면역이론 등의 새로운 연구경향 강의내용

사회생물학의 기본개념

몸해석에 관한 여러 가지 시선(해석방법) 진화에서 자연선택론의 이해방법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 : 몸을 살다 세부내용

1차시

-유전자는 우리의 운명인가?

인류의 긴 진화의 역사를 통하여 형성된 유전자(인간)의 특성을 살펴본다.

진화생물학, 사회생물학을 통해 인간의 사회적 존재로서의 본성을 밝힌다.

과학과 인문학의 두 가지 앎의 방식 두 가지 방식의 통합방법

-유전자는 이기적인가?

몸에 대한 앎의 구조: 기계론적 인식론에서의 경쟁원리 사회생물학에서의 협동원리

면역과 인지이론학에서의 관계적 사유의 구조, 사이(間)의 논리 진화논리와 유전이론의 결합: 비결정성, 협동, 자연선택

인간은 이기적인 유전자에 저항할 수 있는 존재

2차시

-자연선택에서 자연은 무엇을 선택하는가?

경쟁/협동, 변이/선택의 대비

→양자택일이 아닌 동시적이고, 상호배타적이 아니며 공존함

→이형교접과 공감의 중요성

자아/비자아의 대결적 구도→자타통합, 공감의 구도로 -진화를 의학에 적용하면 어떤 변화가 초래될 것인가?

제레미 리프킨의 <공감의 시대>

공감을 통한 시야의 확장

새로운 의학의 인간에 대한 정의: “공감하는 존재 ”

→21세기적 사유양식

(13)

주차 12 주제 보완대체의학과 유사의료 강의자 지규용 학습목표

의료선진국에서 유행하는 보완대체의학, 의학과 비의학의 경계에 있는 여러 의료적 중재기술들, 국가적으로 승인되지 않고 면허나 자격으로 관리되지 않는 이론과 기 술들을 의료인으로서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할 것인지 다룬다.

강의내용

보완대체의학의 발생원인과 전개과정, 유사의료 한의학의 특수성

통합의학의 도입과 한국에서의 패권주의

유사의료와 통합의학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관한 토론 교수방법 1) 강의, 토론

2) 학생들의 참여를 위한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 세부내용

1차시

-서양의학과 한의학에 속하지 않는 치유체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동종요법, 자연요법(naturopathic medicine), 아유르베다, 티벳 의학 등의 독자적인 의학기 술체계

카이로프랙틱, 정골요법, biofeedback 등의 심신조정기법, 요가, 태극권, 명상 등의 심신수련법 등

-과학적 서양의학이 세계를 지배하는 상황 속에서 그런 의학 체계들이 태어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의학의 성과와 함께 한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예시.

질병중심의 연구에 대한 장단점 분석→ 인간의 객체화, 질병이 주체가 되는 기형화 현상 생명체의 본원적 회복력, 질병과정에서 인간주체성의 복원

전지구의 일일생활권 환경에서 생태의학의 필요성 등

2차시

-각국/우리나라의 정책은 그런 의료체계에 대한 어떤 방향을 취하고 있나?

의료를 국가가 관리하는 방식은 보통 나라의 고유한 역사문화적 배경, 피치자로서의 국민을 규정하는 인식방법 등과 관계가 있다.

영국은 NHS방식의 의료보장에서 대체의학을 3그룹으로 나눠 부분적으로 지원 독일은 NHI방식의 보험제도에서 침과 동종요법 등의 대체요법을 포함하여 지원 미국의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는 지원하지 않고, 민간의료보험에서 특약지원 한국에서의 한의학에 대한 보험지원정책

-(한)의학은 이런 체계들을 수용할 수 있는가?

2005년 이후 EBM: 객관적인 효능평가방식에 의한 선별→도입여부 결정 한의학에서의 사례

1) 手指鍼 2) 水針

(14)

주차 13 주제 의료와 사회 강의자 이종찬, 지규용 학습목표

의료의 사회학적 맥락에 대해 여러 측면- 특히 경제요인 고찰 의료의 수요공급 관계 이해

의료와 관련된 이해당사자, 정책당국과 소비자 등의 상호관계 이해 강의내용

건강과 불건강의 사회적 요인-건강불평등의 문제를 통계자료와 함께 분석 의료주체 간 갈등과 분쟁이 생기는 양상과 이유

의료서비스 거래의 특징, 일반적인 재화거래와의 차이 교수방법 1) (예시) 강의를 중심

2) 학생들의 참여를 위한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 세부내용

1차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대륙별, 국가별, 도시와 농촌, 지역별 경제수준의 차이에 따른 의료서비스 차이 및 사망률 차이 등의 경제지리학과 의학의 관련성을 다루는 의료지리학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의료 서비스의 공급은 수요를 창출하는가? (사례와 함께)

정부정책에 의해 좌우되는 국가건강서비스정책과 보험서비스 혹은 민간보험방식 등 은 서로 다른 수요를 창출한다.

의료도 수용공급이 존재하는 경제활동의 하나이지만 일반적인 용역과 달리 정보독 점과 편차가 있어서 공급 요인이 우선되는 차이가 있다.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른 긍정적인 수요창출 외에 다양한, 그러면서도 부정적인 창출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2차시

-의료서비스의 수요-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정책은 어떤 가치에 근거해야 하는가?

정부에 의한 세제정책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균형복지정책 의료효율성 획득, 의료공공성 확보를 위한 방법

-의료서비스의 수요-공급에서 발생하는 이해관계의 충돌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가?

정부(의료비 관리 재정당국)와 국민(의료소비자) 보험회사와 병원

보험회사와 보험가입자

의사와 한의사, 한의사와 치과의사, 의사와 치과의사 병원과 의료소비자

(15)

주차 14 주제 미래의학과 한국의 의료문화 강의자 지규용, 강신익 학습목표 바람직한 의료란 어떤 것이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를 토론하면서

문화와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시사를 주기 위함

강의내용

미래세상의 변화를 이끌 주요한 과학기술 사례

의학기술적인 측면의 미래수요를 예상케 하는 영화의 스토리 메르스 전개 상황 간단한 복기

의료이원화제도 한국, 미래의료의 한 사례 교수방법 1) 강의 중심

2) 질문과 답변 강의자료 1) ppt

2) 관련영상:과학이 바꿀 미래 세부내용

1차시

-100년 뒤 우리 후손들은 어떤 삶을 살게 될까?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명과 생활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주로 미래학자 와 과학자들이 예견하는 내용을 조사한다.

-변화된 세상의 의학은 어떤 모습일까?

과학의 미래, 미래의 과학

“미래의 나”: 공감, 자유의지, 가소성

아일랜드, 인셉션 등 SF영화에 등장하는 미래의학의 양상을 상상하면서 한의학 혹 은 의학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 생각해 본다.

2차시

-또 다른 메르스 사태, 미래의학은 어떻게 대처할까?

메르스사태는 과거의 역병과 현저히 다른 특징을 보이는 전형적인 현대적 전염병이 었다. 이를 검토하고 교통수단이 더 발달하고, 병원이 더 집중화되며, 정보는 더욱 통제될 미래환경에서 의료인 혹은 개인이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지 토론한다.

-한국의료문화의 특질은 어떠하며 강점은 무엇인가?

한국은 반도로써 바다와 대륙의 접경에 있다. 해양문명과 대륙문명이 만나는 지점 이고, 전통적으로 이국문명의 수용과 변형 및 재창조에 능하였다. 이처럼 디지털, genetic code적인 과학기술이 만든 의학을 아날로그, 환경조화적인 한의학의 이념 과 융합하여 새로운 의료문화를 만들 수 있음을 강조한다.

21세기의 새로운 사유양식: Empathy, Embodiment, Enaction, Trans-disciplinary, Feminine

Referensi

Dokumen terkait

• 정보화 사회에서 일상적으로 접하고 있는 멀티미디어란 무엇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