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보 도 자 료
배포일자 2021년 4월 20일(화) 총 6매 담당 부서 데이터혁신
담당관 담 당 자 ∙데이터정책팀장 채경선 ☎440-2361 ∙담당자 심동보 ☎440-2362
사진 □ 없음 ▣ 있음 참고자료 □ 없음 ▣ 있음 보 도 시 점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시,‘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
3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 평균 95.14점, 광역지자체 평균 69.5점 대비 탁월한 수준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20일 행정안전부가 전국 535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2020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에서 우수 기관(1등급)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는‘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9조에 따라 매년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공공데이터 관리체계·개방·활용·품질·기타(가감점) 등 5개 영역을 평가하는 제도로, 공공데이터 제공 실태를 파악하고 평가 결과를 통해 정책개선에 활용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 인천시의 평균점수는 95.14점으로 광역자치단체 평균 69.5점 대비 높은 수준이며, 지자체에 대한 평가가 시작된‘18년부터
- 2 -
연속 3년간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 우수(80점 이상), 보통(60점-80점), 미흡(60점 미만)
특히, 평균 점수가 ①‘18년 83.7점→②’19년 89.53점→③‘20년 95.14매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천시가 민선7기 이후 데이터기반 행정혁신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시 공공데이터 수준의 우수성이 대외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영역별 평가결과】 * 영역배점을 100점으로 환산
구분 평균
(총점) 관리체계 개방 활용 품질 기타
(가감점)
인천시 95.14점 100점 100점 88.67점 85.3점 1.98점 광역지자체평균 69.5점 73.9점 79.1점 57.2점 58.4점 1.2점
분야별로는 관리체계분야 및 개방분야에서 만점, 활용분야와 품질분야 에서 각각 88.67점, 85.3점을 받아 전 분야에서 고루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리체계분야’는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개선 및 역량강화를 위한 자체 교육과 범정부 공공데이터 교육 참여 등의 실적을 높이 평가 받았고,
‘개방분야’는 기관 데이터 보유현황 전수조사 및 민간의 데이터 수요조사에
따라 코로나19 관련 데이터, 교통사고 발생현황, 반려동물 보유현황,
범죄발생현황 등 시민생활과 밀접한 데이터 211종 신규 개방실적을
인정받아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 3 -
‘활용분야’와 ‘품질분야’에서는 공공데이터 활용지원 노력이 우수 하고 기관차원의 품질 관리 계획을 적정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와 아울러 인천시 각 군구 평가결과‘19년 평가대비 5개 군구의 등급이 향상됐고, 특히 ’19년 미흡이었던 3개 군구가 보통 또는 우수 등급으로 개선됐다.
【군구 평가개선】
( : 등급 향상 )
등급 ‘19년 결과 ‘20년 결과
우수 중구, 연수구, 계양구 중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보통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 강화군 동구, 미추홀구, 옹진군
미흡 부평구, 서구, 옹진군 -
여중협 인천시 기획조정실장은 “민선7기의 강력한 데이터 기반 행정 혁신 노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광역지자체 최고 수준에 이르렀고 데이터 전담인력이 부족한 군․구의 수준도 전체적으로 상향되어 의미가 깊다”면서“앞으로도 공공데이터 개방성과를 바탕으로 민간에 대한 활용지원을 강화하는 등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도록 공공데이터 정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사진자료)온라인 시민시장실 완료보고회 및 참고자료
- 4 -
<온라인 시민시장실 완료보고회, 2020.10.29.(목)>
박남춘 시장이 10월 29일 시청 접결실에서 열린 '온라인 시민시장실
완료보고회'에서 DID 멀티비전을 활용해 '온라인 시민시장실' 구축 시연을
하고 있다.
- 5 -
참고 1 2020년 기관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결과
【광역자치단체 】
등급 광역자치단체 (17개)
시(8개) 도(9개)
우수
(5개)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4개) 충청남도(1개) 보통
(7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서울특별시(3개)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4개)
미흡
(5개) 대전광역시(1개) 강원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4개)
【 기초자치단체 】
등급 기초자치단체 (226개)
구 군(82개) 시(75개)
우수 (63개)
인천 남동구, 인천 부평구, 인천 서구, 인천 연수구, 인천 중구, 인천 계양구, 광주 광산구, 대구 남구, 대구 동구, 대구 북구, 대구 수성구, 대전 대덕구,
부산 금정구, 부산 남구, 부산 동구, 부산 부산진구,
부산 북구, 부산 사상구, 부산 서구, 부산 수영구, 부산 연제구, 부산 영도구,
부산 중구, 서울 강남구, 서울 동작구, 서울 양천구,
울산 동구,(27개)
인천 강화군, 강원 인제군, 경기 양평군,경남 남해군, 경남 합천군,전남 무안군, 전남 영광군, 충남 부여군, 충북 단양군, 충북 음성군,
충북 증평군(11개)
경기 고양시, 경기 광명시, 경기 부천시, 경기 성남시, 경기 수원시, 경기 안산시, 경기 양주시, 경기 의왕시, 경기 의정부시, 경기 이천시,
경기 파주시, 경기 평택시, 경기 하남시, 경남 거제시, 경남 김해시, 경남 통영시, 경북 안동시, 경북 포항시, 전남 광양시, 전북 군산시, 전북 전주시, 충남 공주시, 충남 논산시, 충북 제천시,
충북 충주시(25개)
보통 (105개)
인천 동구,인천 미추홀구 광주 남구, 광주 동구, 광주 북구, 광주 서구, 대구 달서구, 대구 서구,
대구 중구, 대전 동구, 대전 서구, 대전 유성구, 대전 중구, 부산 강서구, 부산 동래구, 부산 사하구, 부산 해운대구, 서울 강동구,
서울 관악구, 서울 광진구, 서울 구로구, 서울 노원구, 서울 동대문구, 서울 마포구,
서울 서초구, 서울 성동구, 서울 성북구, 서울 영등포구,
서울 용산구, 서울 은평구, 서울 종로구, 서울 중랑구,
울산 남구, (33개)
인천 옹진군,강원 정선군, 강원 평창군,경남 거창군, 경남 산청군,경남 의령군,
경남 창녕군,경남 함양군, 경북 군위군,경북 성주군, 경북 영덕군,경북 예천군, 경북 울진군,대구 달성군, 부산 기장군,울산 울주군, 전남 고흥군, 전남 담양군, 전남 보성군, 전남 신안군, 전남 영암군, 전남 장성군, 전남 장흥군, 전남 함평군, 전남 해남군, 전남 화순군, 전북 무주군, 전북 부안군, 전북 완주군, 전북 임실군, 전북 장수군, 전북 진안군, 충남 금산군, 충남 서천군, 충남 예산군, 충남 태안군, 충남 홍성군, 충북 괴산군, 충북 옥천군, 충북 진천군
(40개)
강원 강릉시, 강원 동해시, 강원 삼척시, 강원 원주시, 경기 광주시, 경기 구리시, 경기 김포시, 경기 동두천시,
경기 안성시, 경기 안양시, 경기 오산시, 경기 포천시, 경기 화성시, 경남 밀양시, 경남 양산시, 경남 진주시, 경남 창원시, 경북 경산시, 경북 경주시, 경북 구미시, 경북 문경시, 경북 영주시, 경북 영천시, 전남 목포시, 전남 순천시, 전남 여수시, 전북 남원시, 전북 정읍시, 충남 보령시, 충남 서산시, 충남 천안시, 충북 청주시
(32개)
미흡 (58개)
서울 강북구, 서울 강서구, 서울 금천구, 서울 도봉구,
서울 서대문구, 서울 송파구, 서울 중구, 울산 북구,
울산 중구 (9개)
강원 고성군, 양구군,양양군,영월군,철원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경기가평군, 연천군, 경남 고성군, 하동군, 함안군, 경북 고령군,봉화군, 영양군,울릉군,
의성군,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전남 강진군,곡성군, 구례군,완도군,
진도군,전북 고창군, 순창군, 충남 청양군, 충북 보은군, 영동군
(31개)
- 6 -
첨부2 2020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 개요
□ 평가 개요
○ ( 목적 )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 전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 정책 개선에 환류하여 공공데이터 정책에 대한 국민 만족도 제고
※ 근거 :「공공데이터법」제9조(공공데이터의 제공 운영실태 평가)
○ ( 대상 ) 총 535 개 기관 ( 중앙 43, 광역 , 17, 기초 226, 공공기관 249*)
* ① 기재부 공공기관 경영평가 대상(공기업, 준정부기관)
② 행안부 2020년 지방공기업(광역) 경영평가 대상
③ 공공데이터 개방계획이 있는 기타공공기관
○ ( 평가기간 ) ‘20. 5 ∼ 12 월 * 실적기간 : ’19. 10월 ~ ‘20. 9월
○ ( 항목 ) 관리체계 , 개방 , 활용 , 품질 , 기타 등 5 개 영역 16 개 지표
영역 지표명 배점
관리체계(6) ○ 공공데이터 추진기반 조성 노력 4
○ 교육훈련 시행·참여 실적 2
개방(44)
○ 보유·개방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등록 및 관리 8
○ 개방계획 수립의 적극성 및 이행률 10
○ 신규 데이터 개방 및 발굴 노력 10
○ 대국민 소통 및 데이터 수요자 의견수렴 3
○ 공공데이터 제공 신청 등록률 및 적기처리율 3
○ 개방데이터 오픈 포맷 비중 5
○ 개방데이터 제공주기 준수율 5
활용(15)
○ 개방 데이터 활용도 제고 실적 및 노력 7
○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지원 실적 및 노력 5
○ 오류신고 적기처리율 3
품질(35)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체계, 표준화 준수 및 오류 등 평가
기타(가감점)
(가점+2) 공공데이터 활용 행정서비스 개선 등 우수사례
(감점-1) 민간 중복유사서비스 대상기관 정비 미수행
(감점-1) 분쟁조정위원회 조정 불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