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해설사 양성교육과정
중요도 - 성취도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연구
남승민⋅허학영⋅심규원*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 Study on training course of Nature Environmental Interpreter in National Park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eung-min Nam, Hak-young Heo and Kyu-won Sim*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요약: 본 연구는 중요도-성취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통해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교육 커리큘럼을 진단,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여 제도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기본과정의 경우 생물자원의 이해,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보호지역의 이해 등 해설의 기본이 되는 과목이 ‘저순위’로 도출된 것으로 볼 때 기본수업은 온라인 수업 등의 방법을 통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겠다. 또한 간이 과정의 경우 해설기법과 시연, 자연환경해설사의 역할,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과목 등의 실무적인 과목의 지속적인 수요가 있으며, 전문과정의 경우 ‘저순위’ 영역의 과목들인 해설프로그램 평가, 지속가능한발전, 환경교육프로그램 인증 실습 등의 과목은 시대적 흐름에 따른 과목으로써 트랜드에 맞춰 수정될 수 있다. 즉, 다양한 교육과정을 나열하여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분리하여 개인의 성향, 전공분야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온라인 과목과 오프라인 과목의 분리, 실무적인 과목을 위주로 오프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주요어: 자연환경해설사, 교육과정, 중요도-성취도 분석
Abstrac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raining curriculum and analyze problems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system.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1:1 through in-house mail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asic subjects such as understanding biological resources, the terrain and geological environment, and protected areas were derived as ‘low priority’, so fundamental subjects need to be selected through online classes. In addition,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practical subjects such as interpreter techniques and demonstrations, role of interpreter, safety man- agement and first aid, and in specialized courses, subjects such as ‘low priority’ program evalu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ertification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ren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list various cur- riculum and introduce a method to select subject according to individual's tendency and major field, and it is better to conduct offline classes focusing on online and offline subjects.
Key words Nature Environmental Interpreter, Training cours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서론
환경부에서는 생태관광지역, 습지보호지역 등 생태적 으로 우수한 지역의 탐방객 대상 생태해설⋅교육 및 생 태탐방 안내서비스 제공을 위해 2012년부터 자연환경해 설사 제도 도입⋅운영이다. 제도 도입 초기, 자연환경해
설사 양성기관별로 평가를 진행함에 따라 난이도 및 수 준 차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편차를 해소하고 해설사 의 전문성 강화, 자질 확보를 위해 2014년부터 운영사무 국(사단법인 한국생태관광협회)을 통한 단일화 된 공통 평가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해설사 운영사무국에 2019년 자연환경해설사 해설 시연 평가
Received 30 March 2021; Revised 26 May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심규원(Kyu-won Sim) E-mail. [email protected]
운영⋅관리 등을 위탁하여, 제도의 원활한 관리 및 연속 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총 15 개소(2020.09.31.기준)이며, 서울 2개소, 경기 3개소, 충 남 1개소, 충북 1개소, 경북 1개소, 울산 1개소, 경남 1개 소, 부산 1개소, 전남 1개소, 전북 1개소, 제주 1개소, 강 원 1개소 운영중이다.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은 지정 된 이후 매년 환경부와 간담회를 통하여 1년간의 운영에 대한 성과보고회를 개최한다.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교육 은 기본양성과정, 간이양성과정 및 전문양성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기본양성과정의 경우 교육시간은 총 80 시간이며 해설안내 총 3과목 해설기법 및 시연, 스토리 텔링 기법, 자연놀이 실습, 자연환경해설사의 실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자연환경의 이해 5과목 생물자원의 이 해, 생태학 개론,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지형 및 지질 환 경의 이해, 보호지역의 이해로 구성되어있다. 인문사회 의 이해는 총 3과목 역사문화, 생태관광, 생태복지로 구 성되어있으며, 커뮤니케이션은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 의 이해,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과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간이양성과정의 총 교육시간은 4개 분야 35시간으로 구 성되어있다. 전문양성과정의 경우 20과목 총 100시간으 로 해설안내 분야 8과목 교수학습방법론, 모니터링 기획 및 실습, 해설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해설 프로그램 평 가, 해설 매체 개발 및 실습, 프로그램 홍보 마케팅, 전시 기획, 환경교육프로그램 인증 실습 등으로 구성되었으 며, 자연환경의 이해 분야는 총 5개 과목으로 보호지역 의 이해, 생물다양성의 이해, 기후변화와 자연환경, 동물 생태계의 이해, 식물상태계의 이해로 구성되었다. 인문 사회의 이해분야는 생태철학, 인간발달과 학습, 자연치
유, 문화유산의 이해로 구성되었으며, 커뮤니케이션 분 야는 감성커뮤니케이션, 지속가능발전, 환경심리학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에 대한 현황 파악 및 향후 발전 방안을 수립해 내고자 한다. 또한 자연환경해설사의 교육과정을 기본, 간이, 전문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유지, 집중, 저순위, 과잉 과목을 도출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편 시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 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 범위
연구과정 중 설문조사는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 약 한달 간 국립공원공단 재직 자연환경해설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방법은 국립공원공단 사내 메일과 외 부 메일을 통해 1:1 온라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표본 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방법 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인구통계학적특성 및 양 성과정 중요도-성취도분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IPA 분석
마케팅기법 중 IPA 기법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중요 속성들에 대하여 중요도-성취도가 소비자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동시에 비교⋅분석하 는 기법이다. IPA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4분면
높음 Ⅱ 사분면
집중(Concentrate Here) : 높은 중요도, 낮은 성취도
Ⅰ 사분면
유지(Keep up the Good Work) : 높은 중요도, 높은 성취도 중요도(I)
Ⅲ 사분면 저순위(Low Priority) : 낮은 중요도, 낮은 성취도
Ⅳ 사분면 과잉(Possible Overkill) : 낮은 중요도, 높은 성취도 낮음
낮음 성취도(P) 높음
Fig. 1. I-P Matrix(Oh, H., 2001)
에 대하여 각각 1사분면 ‘유지’, 2사분면 ‘집중’, 3사분면
‘저순위’, 4사분면 ‘과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4
분면을 통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IP Matrix 를 통해 2사분면 ‘집중’면에 속한 항목들이 중요하지만 아직 성취되지 못한 항목으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부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음(변우희⋅장병수, 2004).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위한 고유번호
중요도-만족도 IPA 분석을 통해 저순위 과목, 신규 과 목 도출을 위해 Table 1과 같이 각 항목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하였다.
분석 결과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자연환경해설사 성별은 남성이 30.1%, 여성이 67.5%
로 나타났다. 나이는 20~29세 이하가 10.3%, 30~39세 이하가 29.9%, 40~49세 이하가 23.5%, 50~59세 이하가
31.4%, 60세 이상이 4.9%로 도출되었다. 소속기관은 국
립공원공단직원이 93.8%, 지방환경청소속 해설사는 6.2%
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근무자는 5.7%, 대구 0.5%, 광주 5.3%, 대전 3.3%, 경기 1.9%, 강원 15.3%, 충남 7.2%, 충 북 11.5%, 전남 12.9%, 전북 12.0%, 경남 10.5%, 경북
13.9%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14.7%,
대학졸업 이상이 85.3%로 나타났다. 자연생물 관련 학
과 16.6%, 조경⋅생태⋅산림 관련 학과 13.0%, 역사⋅인
문⋅문화 관련 학과 52.7%, 휴양⋅관광 관련 학과 5.9%, 교육 등 관련 학과 17.8%로 나타났으며, 기타학과로는 가정, 경영, 경제, 디자인, 문예창작, 문화컨텐츠제작, 사 회복지, 신문방송, 아동학, 어학, 천문우주, 컴퓨터, 통계 학과 등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1년 미만 7.7%, 1~5년 60.9%, 6~10년 24.6%, 11~15년 5.3%, 16년 이상 1.4%
로 나타났다. 경력으로 1~5년이 가장 많으며 6~10년,
11~15년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은 500만원 미만
27.9%, 300~400만원 미만 23.4%, 400~500만원 미만
20.9%, 100~200만원 미만 14.4% 등으로 나타났다.
2. 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
IPA 분석 실시하기 전에 조사 전체 대상에 대해 T-검 정(Paired T-test)를 통해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가 있 는지를 확인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기본과정 간이과정 전문과정
1. 해설기법 및 시연 2. 자연환경해설사의 역할 3. 생물자원의 이해 4.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5.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6. 보호지역의 이해
7. 역사문화의 이해 8. 생태관광의 이해 9. 생태복지의 이해 10.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1.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12. 스토리텔링 기법 13. 자연놀이 실습 14. 생태학 개론 15. 고객 응대
1. 해설기법 및 시연 2. 자연환경해설사의 역할 3. 생물자원의 이해 4.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5.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6. 보호지역의 이해
7. 역사문화의 이해 8. 생태관광의 이해 9. 생태복지의 이해 10.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1.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1. 교수학습 방법론 2. 모니터링 기획 및 실습 3. 해설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4. 해설프로그램 평가 5. 해설매체 개발 및 실습 6. 프로그램 홍보 마케팅
7. 전시기획
8.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 실습 9. 보호지역의 이해
10. 생물다양서의 이해 11. 기후변화와 자연환경 12. 동물생태계의 이해 13. 식물생태계의 이해
14. 생태철학
15. 인간발달과 학습
16. 자연치유
17. 문화유산의 이해 18. 감성커뮤니케이션 19. 지속가능발전 20. 환경심리학 Table 1. The number of identification for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3. 기본과정 IPA분석 결과
기본과정 교과목의 경우 분석결과 ‘유지’ 영역인 1사 분면에 1. 해설기법 및 시연, 2. 자연환경해설사의 역할, 4.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10.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1.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12. 스토리텔링 기법, 13. 자연놀 이 실습, 15. 고객 응대 과목이 도출되었으며, ‘저순위’
영역인 3사분면에 3. 생물자원의 이해, 5.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6. 보호지역의 이해, 7. 역사문화의 이해, 8. 생태관광의 이해, 9. 생태복지의 이해, 14. 생태학 개 론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유지’ 영역에 도출된 과목 은 실무 중심의 과목들이며 이와 같은 결과는 해설사들 의 중심 수요는 실무 중심의 과목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생물자원의 이해,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보 호지역의 이해 등 해설의 기본이 되는 과목은 ‘저순위’
로 도출되었다(Fig. 2).
4. 간이과정 IPA분석 결과
간이과정은 기본과정의 축소판이므로 몇몇의 교과를 제외한 기본과정과 같은 결과가 도출 되었다.
분석결과 ‘유지’ 영역인 1사분면에 1. 해설기법 및 시 연, 2. 자연환경해설사의 역할, 4.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10.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1.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과 목이 도출되었다. ‘저순위’ 영역인 3사분면에 3. 생물자 원의 이해, 5.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6. 보호지역의 이해, 7. 역사문화의 이해, 8. 생태관광의 이해, 9. 생태복 지의 이해 과목이 도출되었다(Fig. 3).
5. 전문과정 IPA분석 결과
전문과정 교과목의 경우 분석결과 ‘유지’ 영역인 1사
분면에 2. 모니터링 기획 및 실습, 3. 해설프로그램 개발
대상 평균 표준편차 t-value
기본과정 중요도 4.2093 .19927
25.079
성취도 3.6320 .19666
간이과정 중요도 4.2036 .19694
25.951
성취도 3.5973 .17630
전문과정 중요도 4.2170 .28490
14.920
성취도 3.8250 .27485
Table 2. Results on difference test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actors
Fig. 2. Results on IPA analysis of Basic Course
및 시연, 5. 해설매체 개발 및 실습, 10. 생물다양성의 이 해, 11. 기후변화와 자연환경, 12. 동물생태계의 이해, 13.
식물생태계의 이해, 16. 자연치유, 18. 감성 커뮤니케이 션 과목이 도출되었다. ‘집중’ 영역인 2사분면에 1. 교수 학습 방법론, 14. 생태철학 과목이 도출되었다. ‘저순위’
영역인 3사분면에 4. 해설프로그램 평가, 6. 프로그램 홍 보 마케팅, 7. 전시기획, 8.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 실
습, 9. 보호지역의 이해, 15. 인간발달과 학습, 17. 문화 유산의 이해, 19. 지속가능발전, 20. 환경심리학 과목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유지’ 영역의 해설 프로그램, 자 연 치유, 감성 커뮤니케이션 등의 실무에 직접적으로 연 관이 되는 과목들의 선호도가 높으며, 교수학습 방법론 과 생태철학은 만족도는 낮지만 중요한 과목으로 인지 하고 있다(Fig. 4).
Fig. 3. Results on IPA analysis of Simple Course
Fig. 4. Results on IPA analysis of Professional Course
고찰 및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 째, 기본과정의 경우 처음 해설을 접하는 사람들을 대상 으로 자연환경해설사 자격을 수여하는 교육과정으로 기 본적이고 필수적인 교과 구성이 필요하다. 전체 교육분 야가 순서 및 흐름에 따라 자격 검증의 기준으로 적합하 고 명확한 교과내용으로 재구성하여야 한다. 특히 ‘자연 환경의 이해(생물자원의 이해, 생태학 개론,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지형 및 지질 환경의 이해, 보호지역의 이해)’
교육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과로 구성하고 있는 현 행 교과 범주의 구획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보호지역 과목은 ‘인간과 자연’ 이라는 명제로 교육할 수 있는 교 과 내용이므로 인문사회환경의 이해 분야로 이동하는 것이 옳다. 전체적인 범위 검토의 미비로 교육분야와 교 과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커뮤니케이션 교 과 중 고객응대 교과목의 내용에서 ‘고객응대’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전화응대’ 부분은 해설사 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교육과는 거리가 있는 교육 내용이다. 상 대적으로 인문사회환경 교과목의 비중이 낮고 그 내용 또한 생태관광과 생태복지의 내용에 국한하여 ‘사회와 문화에 대한 보편적 교육으로의 접근이 다소 미흡하다.
인문사회환경의 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은 인간이 므로 기본교육에서는 ‘인간과 사회의 이해’를 기본으로 교과 내용을 설계하여야 한다. 둘째, 간이양성과정의 운 영 취지는 다음과 같다. 기존 자연환경안내원 및 유사 해설 인력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과정으로 자연환경 해설분야 경력 2년 이상(연간 80시간 이상)인 사람 중 자연환경해설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 육과정이다. 즉, 일부 법이 개정되기 전의 「자연환경보 전법」에 따라 자연환경안내원으로 지정 받은 사람이나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따른 숲해설가 등 다른 법령에 따른 자연환경해설 관련 양성과정을 이 수한 사람,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80시간 이상 의 자연환경해설 관련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대상 으로 하는 양성교육과정이다. 따라서 간이과정의 교육 분야는 중첩과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계열과 범주 에 있 어서의 정교한 설계가 요구된다. 특히 ‘해설안내’와 ‘자
연환경의 이해’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는 기본양 성교육과 중복 되는 교과목이므로 수정 혹은 제외할 필 요가 있다. ‘역사문화의 이해’는 ‘문화의 이해’로 규정하 는 것이 기본양성교육 ‘인간과 사회의 이해’ 그리고 전 문양성교육과정의 ‘문화유산의 이해’ 와 맥락상 적합하 다. 셋째, 전문과정은 기본양성과정 또는 간이양성과정 을 이수한 자연환경해설사의 전문성 유지 및 향상을 위 해 실시하는 선택교육과정으로서 전문양성과정은 현장 해설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기회, 개발, 운 영, 평가하는 전반적인 능력을 갖춘 자연환경해설분야 전문인 을 양성하는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현행 전문양 성교육과정 분석 결과 자연환경해설분야 전문인 배양의 교과로 미흡하거나 결여된 부분이 발견된다. 우선 교과 과정 연속성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교수학습방법 론’, ‘모니터링 기획 및 실습’, ‘해설 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분야는 기본적 소양으로 습득해야 하므로 기본양 성교육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교수학습방법론, 모티터링 기획 및 실습의 범위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삭제 또는 자 연환경해설사에게 필요한 내용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간 발달과 학습’은 커뮤니케이션 교육 분 야로 이동⋅채택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발전’은 자연 환경의 이해, 공원에 대한 이해, 환경교육론 교육분야로 이동⋅채택하여야 한다. ‘감성커뮤니케이션’ 등은 기본 교육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내용에 포함된다. 따라서 전문과정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시연’ 등 실제 현장에서 의 사례를 구체화하여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현행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교육과정 맥락에 대한 강도 높은 개선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책 및 제도 개선에 중추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환경부 내 자연환경해설사 교육전담 부서의 설치가 요구되며 자연환경해설사 자격제도의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운영 을 위해 자연환경해설사를 초급(2급), 고급(1급)으로 직 무영역을 구분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사사
본 연구는 2019년~2020년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
한 환경부 수탁과제 자연환경해설사 제도 개선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강순희 외. 2002. 우리나라 자격제도 현황과 개선방안(Ⅰ).
한국노동연구원.
국립공원공단(https://www.knps.or.kr) 홈페이지 공지사항 국립공원공단. 2019. 자연환경해설사 교육체계 수립 결과보고.
국립공원관리공단 보도자료(2011.2.10.). 국립공원 자연해설 이제 디지털로 듣는다.
김윤영. 2010. 관광개발 전문자격제도 도입 타당성 연구. 한 국문화관광연구원.
김인호 외. 2009. 사회환경교육지도사 운영방안 연구. 환경부.
김인호 외. 2011. 도시숲관리사 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산림청.
김인호 외. 2012. 자연환경해설사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평가방법 개발 연구. 국립공원공단.
변우희⋅장병수. 2004. 관광상품 지각에 의한 관광목적지 평 가: 일본,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8(1), 83-107.
Oh H. 2001.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22(6): 617-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