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계획서 - 목포해양대학교 - 제 1 장 소프트웨어 공학소개
Bebas
10
0
0
Teks penuh
(2)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목. 차. 1.. 개요 및 배경 ........................................................................................................................................................... 3. 2.. 기존 사례 .................................................................................................................................................................. 4. 3.. 주요 기능 .................................................................................................................................................................. 6. 4.. 핵심 구현 기술 ....................................................................................................................................................... 7. 5.. 시스템 구성도 ......................................................................................................................................................... 9. 6.. 개발 일정 ................................................................................................................................................................ 10. 7.. 업무 분담 ................................................................................................................................................................ 10.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2.
(3)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1. 개요 및 배경 현재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30만명 이상의 인구가 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매 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운전면허 소지자 현황에 따르면 청각장애인 운전자 수는 7200여 명(2008년 기준)에 이른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고령인구 증가와 비례해 고령자운전 자의 교통사고도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화로 인한 청각둔화로 운전에 불편을 겪는 인구도 증 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운전시 청각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주변 차량의 경적소리 인지가 어렵고, 네비 게이션 사용시 과속카메라 알림 등 유용한 기능들을 이용할 시 음성정보 대신 네비게이션 화면을 의식해야만 한다. 따라서 전방 주시에 집중할 수 없어 큰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청각장애인들이 운전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동차용 HUD(Head Up Display, 자동차 앞면 유리에 설치한 표시장치로 고개를 든 채 각종 정보를 볼 수 있게 한 구현방식)를 개발하고자 한 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3.
(4)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2. 기존 사례 1.. 청각장애인용 자동차 주변경보장치(2009년 특허등록 2009-0000822). -. 청각장애인이 운전하는 차량에 소리를 진동 및 빛으로 변환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주변경 보를 전달한다. 뒷 차량의 경음기 소리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석 시트를 통한 진동 및 LED램프를 통한 빛으로 청각장애인에게 경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이 주변경보를 인지하는 효과가 있다.. 우리가 개발하는 시스템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 경음기 소리를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해 정확히 분석해 뒷 차량이나 옆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의 경음기는 감지하지 않도록 하고, 전방유리에 HUD기술을 이용해 운전시 큰 영향 을 끼치지 않는 표면에 알림을 나타낸다. 또한 네비게이션에서 알려주는 과속카메라 등 의 알림의 음성을 인식해 HUD로 자동차 전면 앞창에 알림을 표시해준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4.
(5)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2.. 청각장애인을 위한 차량 주행 지원 시스템(2017년 현대자동차그룹 R&D 아이디어 작품). -. 청각장애인용 자동차 주변경보장치의 기능을 손목에 웨어러블 밴드로 경보신호를 전달 받고, 운전석의 센서 앞에서 수화를 하면 네비게이션이 수화를 인식해서 작동한다.. 우리가 개발하는 시스템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 경보신호, 음성신호를 모두 전방유리에 HUD로 나타내고, 청각장애인이 운전시 전방주시 만을 통해 네비게이션의 음성과 경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3..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전하는 ‘조용한 택시’(2018년 ‘청각장애인을 위한 차량 주행 지원 시 스템’ 기술 기반 제작). -. 승객이 차량에 탑승해 승객 좌석 쪽 음성인식 장치에 목적지, 상세한 하차 지점을 입력 하면 청각장애 택시기사에게 문자화 되어진 메시지로 전달이 되어 소통을 하는 택시이다. 또한 주변 차량 경음기 소리가 나면 핸들에 불빛으로 정보를 알려준다.. 우리가 개발하는 시스템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 네비게이션의 음성을 인식하여 경로, 제한속도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주변 차량의 경음기 소리를 주파수를 인식하여 표현할 수 있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5.
(6)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4.. 2020년 이후 개발 예정인 현대자동차 ‘AR 네비게이션’. -.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세대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으로 HUD를 통해 전면 유리에 차량 속 도에 맞춰 이동해야 할 방향을 정확히 표시해 줄 뿐만 아니라 건널목, 보행자, 도로 정보, 위험 경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우리가 개발하는 시스템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 ‘AR 네비게이션’은 차량의 옵션형식으로 부착되어 출시되므로 기존에 사용중인 차량에는 적용이 되지 않고 홀로그램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LED를 이용하여 개발함으로써 소비 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3. 주요 기능 . 기능 1 : 네비게이션 음성 인식. -. 네비게이션에서 음성 송출되는 교통정보를 IFD(Icon for Deaf)에서 인식. . 기능 2 : 외부 경적이나 사이렌 인식. . 기능 3 : 차량운행 안전정보 아이콘 출력. -. 기능1, 기능2의 정보를 LED를 이용해 앞 유리창에 2차원 아이콘으로 출력한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6.
(7)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4. 핵심 구현 기술 . HUD(Head Up Display). -. 개념 : HUD는 전방표시장치로서 최근 자동차 분야에서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 주기 위한 자동차 전자장비 기술이다.. -. 필요성 : 구현비용이 다른 구현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차량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기술이다... -. 활용방안 : 네비게이션의 위치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HUD를 이용해 전방 주시의 편 리함을 주고자 LED를 사용해서 정보를 표현한다.. .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 개념 : 라즈베리파이는 키보드, 모니터 등을 뺀 단일 보드만으로 구성된 초소형 컴퓨터이 며 동일한 이름을 가진 툴로 C, C++, JAVA등을 이용해 코딩을 할 수 있다.. –. 필요성 : 마이크를 통해 경음기 주파수 입력을 받아 처리하며 주변 소리 주파수들 중 뒷 차량과 옆 차량의 경음기 소리를 정확히 판별하고, 네비게이션에서 알려주는 알림 음성 을 인식해 HUD로 나타내주기 위해 사용한다.. –. 활용방안 : 라즈베리파이를 통한 코드를 작성하여 특정 단어와 소리를 구분한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7.
(8)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 Google Assistant. –. 개념 : Google Assistant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질문을 파악하는 인공지능(AI) 비서 시스 템이다.. –. 필요성 : 네비게이션에서 송출되는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와 연동하기 위하 여 사용한다.. –. 활용방안 :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해 음성인식을 구현을 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에 Google Assistant JDK를 설치하여 이용한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8.
(9)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5. 시스템 구성도. . IFD(Icon for Deaf). -. 차량 내부의 네비게이션과 차량 외부의 마이크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운전자가 전방주시에 집중하며 시야 방해없이 볼 수 있도록 차량의 앞 유리에 출력한다.. . 소형 마이크. -.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있으며 옆이나 뒤의 차량의 경음기 소리와 경찰차, 소방차 등의 사이렌 소리 정보를 IFD 로 전달한다.. . 외부 구현장치. -. HUD 필름 : HUD 필름에 IFD 로 출력한 아이콘을 비추어 가독성을 높인다.. -. 네비게이션 : 네비게이션에서 음성 송출되는 교통정보를 IFD 에 전달한다.. -. 외부 경음기, 사이렌소리 : 각기 다른 외부 경음기, 사이렌의 소리를 소형 마이크에 전달한다..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9.
(10) 해양컴퓨터공학과. 2019년 1학기. 6. 개발 일정 2월. 주차 항목. 1. 2. 3. 3월 4. 1. 2. 3. 4월 4. 1. 2. 3. 5월 4. 1. 2. 3. 6월 4. 1. 2. 자료 조사 요구사항 분석 개발 환경 구축 SW / HW 구현 테스트, 오류검출 및 수정. 구현 내용정리. 7. 업무 분담. 이름. 업무분담. 곽은표. - 외부 경음기 주파수분석 구현, 통합테스트. 공민채. - 네비게이션 음성인식 구현. 원영식. - HUD기기, 소형마이크 관리 및 테스트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연동관리. 오세천. - 네비게이션 음성인식 구현. 정승원. - HUD기기, 소형마이크 관리 및 테스트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연동관리. 캡스톤디자인. 페이지 10.
(11)
Dokumen terkait
내가 승차예약을 하면 버스 기사에게 해당정류장에 승객이 있음을 알려주고 승차에 대한 판단을 하게 해 줌으로서 무정차를 줄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