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도
장 애 인 복 지 추 진 계 획
- 장애인이 체감하는 따뜻한 행복도시 -
장애인 인권 헌장
장애인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장애인은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책임 있는 삶을 살아가며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여 자립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국가와 사회는 헌법과 국제연합의 장애인권리선언의 정신에 따라 장애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이루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1. 장애인은 장애를 이유로 정치ㆍ경제ㆍ사회ㆍ교육 및 문화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2. 장애인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소득ㆍ주거ㆍ의료 및 사회복지서비스 등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진다.
3. 장애인은 다른 모든 사람과 동등한 시민권과 정치적 권리를 가진다.
4. 장애인은 자유로운 이동과 시설이용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받아야 하며, 의사 표현과 정보 이용에 필요한 통신ㆍ수화통역ㆍ자막ㆍ점자 및 음성도서 등 모든 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5. 장애인은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필요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6. 장애인은 능력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정당한 보수를 받을 권리를 가지며, 직업을 갖기 어려운 장애인은 국가의 특별한 지원을 받아 일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진다.
7. 장애인은 문화, 예술, 체육 및 여가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8. 장애인은 가족과 함께 생활할 권리를 가진다. 장애인이 전문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도 환경이나 생활조건은 같은 나이 사람의 생활과 가능한 한 같아야 한다.
9. 장애인은 사회로부터 분리, 학대 및 멸시받지 않을 권리를 가지며, 누구든지 장애인을 이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하여서는 안 된다.
10. 장애인은 자신의 인격과 재산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법률상의 도움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11. 여성 장애인은 임신, 출산, 육아 및 가사 등에 있어서 생활에 필요한 보호와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12. 혼자 힘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힘든 장애인과 그 가족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13. 장애인의 특수한 욕구는 국가정책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우선 고려되어야 하며, 장애인과 가족은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결정에 민주적 절차에 따라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목 차
Ⅰ. 일 반 현 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Ⅱ. 2016년 추진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Ⅲ. 2017년 정책여건 및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Ⅳ. 2017년 중점 추진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Ⅴ. 2017년 분야별 추진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복지일반 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교육 ․ 문화 ․ 체육 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경제활동 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사회참여 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Ⅵ. 2017년 달라지는 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Ⅶ. 기타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Ⅷ. 관련법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Ⅰ. 일 반 현 황
1 기 능
❍ 저소득 장애인의 안정적 생활환경 확보 ❍ 재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 장애인복지시설 확충 및 내실 있는 운영 추진 ❍ 장애인 권익보호 및 자립생활 기반 마련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및 사회활동 지원 ❍ 장애인의 교육문화 증진 및 경제활동 확대
2 조 직
장애인복지과
장 애 인 정 책 팀
장 애 인 권 익 지 원 팀
장 애 인 자 립 기 반 팀
장 애 인 서 비 스 팀
3 정 ․ 현원
구분 계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기능
정원 22 1 4 10 7 0 - -
현원 23 1 3 12 5 2 - -
※ 휴직 : 1명
4 예산현황
[ 단위 : 백만원 ]
분 야 별 '17 예산액 '16 본예산 증 감 증감비율(%)
일 반 회 계 153,676 143,578 10,098 7%
※ 예산액 : 국‧시비(군․구 부담비 미포함)
5 장애인등록현황
❍ 인천광역시 인구 : 2,943,069명
❍ 장애인등록 인구 : 135,623명(전체인구의 4.6%)
[2016.12.31. 현재] [ 단위 : 명 ]
총 계 지 체 뇌병변 시 각 청 각 언 어 지적장애 자폐성
135,623 71,149 12,824 13,768 13,995 1,193 9,487 1,230
정 신 신 장 심 장 호흡기 간 안면 장루․요루 뇌전증
4,570 4,692 223 637 576 137 769 373
6 장애인 복지시설 현황
[2016.12.31. 현재] [단위 : 개소]
총계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이용시설 직업재활시설
생산품 판 매 계 시 설
거주 (생활)
시설 개인 운영 시설
단기 거주 시설
공동 생활 가정
계
지역사회재활시설
의료 재활 시설
소 계
근 로
보 호 소
계 복지 관
재가 복지
주간 보호
기 타
162 72 20 4 5 43 60 58 10 10 34 4 2 29 4 25 1
Ⅱ. 2016년 추진성과
1 주요 추진성과
1 장애인 복지시설 확충
요한의 집(장애인 실비요양시설 ) ‘16. 11. 01. 개원 - 장애인들의 쾌적한 생활을 보장하고
시설의 재활서비스 기능 강화
• 위치 강화군 해란길 63-1(길상면)
•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 부지 1,263㎡(연면적 900.08㎡)
동구 한마음종합복지관 신축 ‘16. 11. 28. 개관 - 동구지역 지역사회재활시설 확충으로
지역 장애인들의 재활과 자립 도모
• 위치 동구 만석로 53(만석동)
• 규모 지하1층, 지상3층
• 부지 1,641㎡(연면적 2,072㎡)
인천 발달장애인지원센터 ‘16. 12. 6. 개소 - 발달장애인 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장애인 권익옹호 서비스 지원
• 수혜대상 장애인수 : 10,717명
(지적 9,487명, 자폐 1,230명)
2 장애인 사회통합 서비스 강화
두루미 사업 만족도 조사결과 98% “만족”
- 저소득 재가 장애인에게 밑반찬, 생필품 심리 정서적 지원 등 생활 전반을 두루
(나누어)美
(아름답게)되도록 지원하는 사업
• 민․관 합동 봉사사업단 구성
• 찾아가는 서비스 ( 연 33,332명 지원 )
• 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 지원
장애인 가족돌봄 휴식 지원 장애가족의 정서적 안정화 도모
- 가족 테마여행 프로그램 운영, 돌봄지원,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운영
• 한라산 등반 등 21개사업
• 참여 : 1,095명
시각 ․ 청각 장애인용 TV보급 보급률 15.7 %⇒ 53.4% 확대
- 방송소외계층인 시각 ․ 청각 장애인의 TV시청권 향상 기여
※ 시-방송통신위원회 간 업무협약(‘16. 5월)
• 소외계층인 시각 ․ 청각 장애인용 LED HD 28인치 TV 무료 보급
• 보급대수 : 1,944대
2 분야별 추진성과
복지일반 분야
❍ 장애인 재활보조기기 교부 및 보조기기센터 운영․자세유지기구 보급 - 장애인의 일상생활 편의증진 도모 및 사회참여 확대에 기여
- 장애인에 대한 One-Stop 맞춤형 보조기기 서비스 전달체계 확립 Ü 재활보조기기 교부 : 443명/97백만원
보조기기센터 운영 : 사례관리 771명, 정보제공 647건/200백만원 자세유지기구 보급 : 제작보급 338명, 사례관리 2,296명/326백만원
❍ 장애인 의료비 지원 및 의료재활시설 운영
- 전문적 치료를 희망하는 장애인에게 종합적인 의료재활서비스 제공 Ü 경인의료재활센터 : 54,385명 이용(병상이용률 : 67.8%)
인천재활의원 : 20,414명 이용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 및 재활치료 : 30명/64백만원 장애인 수중재활치료 : 4,663명/73백만원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운영 : 1,203건/ 70백만원
❍ 발달장애인 가족휴식, 부모상담 및 공공후견 지원
- 발달장애인 부모에게 정서적․심리적 지원을 통해 가족기능 향상 - 성년후견서비스 제공으로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에 기여
Ü 장애인 가족캠프 및 힐링캠프 : 446명 장애인 부모상담 및 공공후견지원 : 47명
❍ 장애아동 지원사업 추진
- 장애아동 가정의 돌봄 부담 경감 및 이를 통한 가족 안정성 강화 Ü 장애아동 가족양육 지원 : 211가정/ 25,845건
장애아동 발달재활치료 : 68개소/ 3,729명
장애아동 수중재활치료 : 1개소/ 4,615명
❍ 장애인복지관 운영
- 재가 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에 필요한 종합적인 재활서비스 제공 - 사회적 인식개선사업 수행으로 장애인의 재활자립과 복지증진 도모
Ü 장애인복지관 운영 : 10개소/ 11,586백만원
❍ 장애인 활동 지원사업
- 활동지원서비스 제공으로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 증진 Ü 활동지원서비스 제공 : 제공기관 44개소, 4,905명/48,002백만원
❍ 장애인 거주시설 등 운영
- 저소득장애인에게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료․훈련 등을 통해 사회복귀 지원 - 거주자에 대해 재활프로그램 제공으로 장애가족의 보호부담 경감 도모
Ü 장애인 거주(생활)시설 : 20개소/ 24,783백만원 장애인 개인운영시설 : 4개소/ 207백만원 장애인 단기거주시설 : 5개소/ 791백만원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 43개소/ 1,763백만원
❍ 장애등급 심사제도 운영
-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신규(재진단) 장애인에 대한 장애등록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으로 경제적 부담 경감
Ü 장애등급 진단비 822명, 검사비 164명
교육 ․문화 ․체육 분야
❍ 점자도서관 운영
- 점자도서관의 전문성 향상을 통해 시각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 Ü 도서관 이용실적 : 35,457건
❍ 송암박두성 기념관 운영
- 한글점자 창안자인 송암 박두성 선생의 업적 홍보에 기여
Ü 기념관 이용실적 : 2,987건
❍ 장애인체육관 운영
- 체육활동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신체기능 회복 촉진 Ü 체육관 이용실적 : 38,048명
경제활동 분야
❍ 장애인연금 지원 등 생활안정지원 사업
- 경제적 지원 및 소득보전을 통하여 장애인가구 생활안정 도모 Ü 장애인연금 : 17,396명/ 35,421백만원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 수당 : 19,031명/ 8,927백만원 중증장애인 생계보조수당 : 6,982명/ 2,584백만원 장애인 의료비 : 7,245명/ 2,149백만원 장애인 자녀교육비 : 7명/ 0.774백만원
❍ 장애인 활동지원 센터 운영
- 장애인의 수화통역, 이동 서비스, 재활 정보제공, 지적 장애인의 서비스 제공 등 장애인의 활동지원을 통한 사회참여 기여
Ü 장애인의 수화통역센터 운영 : 15,671건/ 17,273명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운영 : 1,014건/ 49,907명 지적장애인 자립지원센터 운영 : 907건/ 7,086명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운영 : 30,430건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 장애인이 직업생활을 통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직업재활서비스 제공 Ü 직업재활시설 운영 : 28개소/6,592백만원
- 장애인 정 현원 : 1,019명/ 855명 - 종 사 자 : 269명/ 161명
- 기능보강사업 : 시설개보수, 장비보강 등 6개소/ 1,070백만원
❍ 장애인 일자리사업
- 중증장애인 등에게 장애유형별 일자리 발굴․보급을 통해 직업생활 및 사회참여 기회 제공
Ü 장애인 일자리지원 사업 : 참여자 총 474명 - 복지일자리 : 201명
- 일반형·특화형 일자리 : 223명
(행정도우미 193명,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30명) - 시각장애인안마사파견사업 : 50명
❍ 해맑음 땀방울 농장 운영
- 장애인의 근교농업을 통하여 일정한 소득 보장 사회 참여 확대 Ü 해맑음 땀방울 농장 운영 : 연 매출 30~40백만원
* 수익금 : 지출 발생비용 제외하고 장애인 근로자에서 분배(개인월평균 3~10만원)
❍ 장애인 생활안전 도모를 위한 알선사업추진
-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주택 자립자금 자동차 구입 등의 자금을 장기 저리로 대여 알선하여 자립 유도
Ü 대여신청 : 33명 / 대여추천 : 14명 / 금융기관 대출 : 6명 공동주택 특별공급 안내 : LH 등(21곳), 민간업체(108곳)
사회참여 분야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체험홈 주택운영
-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최초체험과 훈련을 통한 독립적인 주거 공간 지원 Ü 자립생활 체험홈 : 6개소 운영
자립생활 주 택 : 5개소 운영
❍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 운영
- 장애인이 생산한 물품에 대한 판매활동으로 직업 재활 지원
Ü 판매실적 매출액 : 3,849백만원
❍ 여성장애인 지원사업
- 여성 장애인의 출산 비용 지원 및 교육서비스 제공으로 자긍심 제고 Ü 출산지원 : 70명 (산모1인기준 1백만원)
교육지원 : 537회/ 1,575명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인증 확대
- 장애인이 건축물 등에 접근하고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는 생활환경 조성 Ü BF 인증 획득 : 24개 획득 ⇒ 총 72개 ( ‘1 0 ~ ‘ 16년), 전국 1위 본인증획득
* 서울 36개, 부산 9개, 대구 16개, 대전 51개, 광주 16개, 전남 68개
❍ 장애인 이동수단 편의제공
- 장애인 등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용 촉진으로 사회활동 참여율 제고 Ü 장애인 특별운송차량 교체 구입 : 3대 ⇒ 셔틀운행 : 8개 기관, 총 10대
저상버스 보급 : 30대 ⇒ 총 348대구입, 34개 노선, 292대 운영 장애인콜택시 운행 ⇒ 140대
장애인바우처택시 운행 ⇒ 120대
❍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사업
- 장애인에게 정보화교육 및 정보기기 보급 등을 통해 정보격차해소에 기여 Ü 장애인 정보화 교육 : 2,822명
사랑의 그린 PC보급 : 425대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 206대
Ⅲ. 2017년 정책여건 및 목표
1 2017년 장애인 정책여건
❍ 장애인의 지속적 증가로 장애인 복지비용 부담 가중
❍ 장애인복지 욕구의 변화에 맞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정책 필요
❍ 취약한 소득수준 및 낮은 경제활동 극복을 위한 소득보장 및 고용지원 필요
❍ 장애인의 사회활동 장애요인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 필요
❍ 특수교육 대상자 증가에 따른 맞춤형 지원대책 마련
❑ 정책목표
장 애 인 이 체 감 하 는 따 뜻 한 행 복 도 시
❍ 저소득 장애인의 생활안정지원 강화 ❍ 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 장애인의 경제활동 촉진 환경조성 ❍ 장애인 교육 및 문화 환경 조성
❍ 장애인복지시설 확충 및 내실 운영 ❍ 장애물 없는 도시환경 구축
Ⅳ. 2017년 중점추진과제
- 2 0 1 7 년 중 점 추 진 과 제 -
과 제 명 규 모 세 부 내 용
장애유형별 맞춤형 자세유지기구 보급 사업 추진
보급인원 400명
- 자세유지대 12개 품목 43종 - 자세유지기구(눕기, 앉기, 서기)
이동기기(유모차형, 휠체어형) ð 인천형 복지 모델 선정으로 보급인원 확대 및 방법 개선
(센터방문 신청 → 찾아가는 방문 서비스)
장애인 가족 휴식 사업 강화
지원대상 2,000명
- 발달장애인 가족휴식지원
- 떠나자! 장애인가족 공감여행 추진 - 장애인 가족돌봄 휴식지원
ð 장애인과 가족의 휴양을 통한 정서적 안정 도모
두 루 美 사 업 확대 추진
추진기관 10개소
- 장애인복지관 10개 기관 추진
- 재가 중증장애인(32,000명) 지원 목표 - 밑반찬지원, 물품지원, 심리정서사업
환경개선, 건강증진사업(‘17년 신규) 추진 ð 자원봉사단을 통한 통합적인 방문서비스 지원
장애인 인권센터
설치․운영 1개소
- 인권센터 모집 공고 및 선정 : 2017. 2월 ~ 3월 - 인권센터 개소 : 2017. 4월 ð 장애인의 인권 증진에 기여
저소득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지원대상 52,853명
- 장애인연금, 장애(아동)수당, 생계보조수당지원 - 장애인의료비, 등록진단비 지원
- 재활보조기기교부 및 광역보조기기센터 운영 ð 소득 보장 및 복지증진 도모
과 제 명 규 모 세 부 내 용
점자도서관 건립 재 1개소
- 위치 : 남구 한나루로 357번길 105-19 - 규모 : 대지 351.75㎡, 연면적 766.55㎡, 지상 3층 - 사 업 기 간 : 2017. 3 ~ 9월
- 개관(예정) : 2017. 11월 ð 시각장애인 정보접근권 보장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환경 조성
체험홈 주택 11개소/
자립생활센터 7개소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지원
- 중증장애인 자립체험홈 설치 및 운영 지원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설치 지원 ð 탈 시설 자활·자립 도모
장애인 편의시설 지속 확충
인증목표 10개소1)
- 장애인 보조기구 A/S센터 운영 - 장애인 광역 편의시설 지원센터 운영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계도 및 홍보 관리 - BF(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 지속 확대 ð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사회적 이해 촉진
장애인 이동권 보장 강화
저상버스 37대 콜택시 140대 바우처 120대 셔 틀 운 행 및 이동지원 24대
- 저상버스 교체 및 증차 추진
- 장애인 콜택시 및 바우처 택시 운영 - 장애인 특별운송차량 운행
-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차량 운행 ð 이동편의 증진 및 사회참여 촉진
장애인 일자리 확충사업 강화
재 7개사업
- 장애인 복지일자리, 일반형·시간제일자리, 발달 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고용 추진 - 시각장애인 안마사파견사업 추진 - 공공기관 장애인 고용확대 추진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ð 소득 보장 및 사회 참여 확대
1) 2016년도까지 BF인증 획득 실적(186개소 : 본인증 – 72, 예비인증 - 114)
Ⅴ. 2017년 분야별 추진계획
4대분야 87과제 2,007억원
v 복지일반분야 : 장애인 자세유지기구 보급 사업 등 44개 과제 ☞ 1,078억원 v 교육·문화·체육분야 : 점자도서관 건립 등 4개 과제 ☞ 27억원 v 경제활동분야 : 장애인연금 지원 등 16개 과제 ☞ 716억원 v 사회참여분야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체험홈 운영 등 23개 과제 ☞ 186억원
복지일반 분야 ···20
교육 ․ 문화 ․ 체육 분야 ···45
경제활동 분야 ···48
사회참여 분야 ···56
복지일반 분야
장애인 자세유지기구 보급
v 시 자체 개발 특색사업으로 경량화된 자세유지기구 보급
v 2차 장애발생 예방과 저소득 장애인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
❍ 지원대상 : 인천시 거주 등록장애인 중 신체변형과 관련된 장애인
❍ 사업인원 : 400명
❍ 사업내용 : 체형에 맞는 경량형 자세유지기구 및 이동기기 제작 보급 - 자세유지대 12개 품목 43종(장애아동의 신체특성에 따라 개별 맞춤 제작) - 자세유지기구 (눕기, 앉기, 서기), 이동기기(유모차형, 휠체어형)
❍ 지원내용 : 자세유지기구 제작사업비, 관리운영비, 인건비
❍ 수행기관 : 노틀담복지관(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 수행인력 : 9명(물리치료사1, 보조공학사6, 패턴디자이너2)
❍ 사 업 비 : 561백만원(시비 100%)
합계(천원) 인건비 운영비 사업비 560,530 357,364 145,800 57,366
❍ 이용과정
❍ 추진방법 - 신규 이용자
(센터․방문) 상담 및 욕구 파악, 체형측정․신체평가 실시 → 시뮬레이션 평가 → 3차원 데이터 입력 → (센터) CNC가공, 조립 등 제작 →
(방문) 중간 자세 평가 → (센터) 커버 및 벨트 제작조립 → (방문) 자세평가, 사용설명, 납품
- 기존 이용자
(센터․방문) 기구 고장․파손․조절 등 사후관리 또는 성장, 신체변형, 환경 변화에 따른 추가 제작 시행, 기구가 맞지 않아 다시 제작할 경우 신규 이용자와 동일한 서비스 과정 시행
❍ 인천형 공감복지 “찾아가는 방문서비스” 특수차량 이미지
장애인인권센터 설치 및 운영
v 인천광역시 장애인인권센터 설립·운영을 통하여 장애인의 인권침해 및 차별 행위에 대한 상담·구제·예방활동을 적극적 추진함으로써 장애인의 권리가 존중되는 평등한 사회를 이루고자 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9제②(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설치 등) - 「인천광역시 장애인차별금지 및 인권보장에 관한 조례」제12조
❍ 장애인인권센터 주요업무
- 인권 사각지대로 찾아가는 상담서비스 등 침해사례 적극 발굴 - 인권침해 및 차별행위에 대한 철저한 조사 및 구제 활동 -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사례관리 등
❍ 사업대상 : 인천광역시 등록장애인
❍ 사업방식 : 공개모집을 통한 위탁사업자(법인 등) 선정
❍ 지원내용 : 인권센터 종사자 인건비, 사업운영비
❍ 사업기간 : 2017. 4월 ~ 3년간 위탁사업자가 운영
❍ 수행인력 : 5명(센터장 1, 상담 1, 조사․구제 2, 교육 1)
❍ 사 업 비 : 150백만원(국비 47.5, 시비 102.5)
장애인단체 활성화 지원사업
v 장애인복지단체에서 시행하는 공익사업 지원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복지증진과 사회참여 촉진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63조(단체의 보호․육성)
❍ 사업기간 : 2017. 1 ~ 2017. 12
❍ 사업대상 : 장애인 관련 비영리 법인 및 비영리 민간단체
❍ 사업규모 : 장애인단체 사업 지원(15개 단체, 29개 사업)
❍ 지원방침
- 국가 또는 인천광역시의 사업과 중복되지 아니한 사업 - 군 구 사업이 아닌 인천광역시 단위에서 추진되어야 할 사업
❍ 사 업 비 : 815백만원 (시비 100%)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
v 발달장애인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특성 및 복지욕구에 적합한 지원과 권리옹호 등 체계적이고 효과적․통합적 지원
❍ 법적근거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33조(발달장애인지원센터)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41조(위임 위탁)
❍ 사업개요
- 센 터 명 : 인천광역시 발달장애인지원센터 - 센터현황
◦ 개소일자 : 2016. 12. 6.
◦ 주 소 : 인천 남동구 백범로 357번길(한국교원공제회 7층)
◦ 시설규모 : 전용면적(50평)
◦ 시설인력 및 주요업무 : 총 8명 (3개 팀, 센터장 1인 포함)
◦ 사 업 비 : 450백만원(국비 225, 시비 225)
장애인 공동주택 특별공급 알선
v 공공기관 또는 민간업체에서 ‘국민주택’등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을 공급(분양·임대)할 때 무주택세대구성원인 장애인에 대한 특별공급을 알선함으로써 장애인의 주거안정 지원
❍ 법적근거 :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제19조제1항제7호
❍ 알선대상자 : 관내 거주 무주택세대구성원인 장애인
❍ (LH 등) 특별공급 알선 절차
- 읍․면․동 ⇒ 장애인의 주택공급신청서 접수 후 군․구에서 취합 - 시 ⇒ 장애주택공급대상 장애인 추천 및 공공기관으로 명단 통보 - 공공기관 ⇒ 접수일에 추천장애인이 현장 방문하여 계약체결 완료
❍ (민영주택) 특별공급 알선 절차
- 장애인 ⇒ 장애인증명서(기관추천서 대체)를 발급받아 특별공급 접수일에 본인이 현장 방문하여 바로 접수
❍ 사업비 : 비예산
장애인 재활보조기기 교부 지원
v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장애인에게 장애인보조기구를 교부함으로써 장애인들의 일상 생활능력 향상 및 복지증진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65조, 제66조
❍ 사업인원 : 520명
- 장애종별 :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심장장애인
- 소득수준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사 업 비 : 108백만원(국비 86, 시비 11, 군·구비 11)
❍ 교부우선순위
① 장애등급이 상위인 자
② 기초수급자
③ 1가구에 2인 이상의 장애인이 거주하는 자
④ 재가 장애인
⑤ 당해사업으로 교부받은지 오래된 자
❍ 품목별 지원기준(22개 품목)
품 목 단 가 품 목 단 가
휴대용 경사로 300천원 이동변기 600천원
욕창 예방용 방석 및 커버 350천원 와상용 욕창예방 보조기기 350천원
음성유도장치 20천원 보행차 200천원
음성시계 20천원 좌석형 보행차 200천원
시각신호표시기 150천원 탁자형 보행차 200천원
진동시계 30천원 기립훈련기 1,500천원
음식및음료섭취용보조기기 50천원 헤드폰 120천원
식사도구 등 50천원 영상확대 비디오 800천원
컵 50천원 인쇄물 음성변환 출력기 800천원
접시그릇 50천원 목욕의자 600천원
음식보호대 50천원 녹음 및 재생장치 500천원
장애인 보조기기센터 운영
v 보조기기 지원의 관리 부실 및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이용자의 만족도 높은 사용을 통한 삶의 질 제고
❍ 지원대상 : 인천시 거주 등록장애인
❍ 사업내용
- 장애유형과 장애특성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 - 보조기기 사례관리 서비스(사회복지사 배치)
- 보조기기 임대 서비스 및 보조기기 제작 개조 수리서비스 - 이동/방문 보조기기 지원서비스
-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보조기기 정보제공체계 구축
⇒ 콜센터 1670-5529 운영, 보조기기 홍보, 상설전시관 운영, 견학 프로그램 운영, 전문인력 교육, 지역사회 후원연계사업 등
❍ 지원내용 : 사업비 및 관리 운영비, 인건비 등
❍ 수행기관 : 노틀담복지관 (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 수행인력 : 5명(팀장1, 사례관리1, 보조공학사2, 개조제작사1)
❍ 사 업 비 : 204백만원(국비 102.4, 시비 102.4)
저소득장애인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v 기초생활수급자로 신규(재진단)장애인에 대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자 장애등록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 지원대상
- 진단비 : 기초생활보장대상자로 신규 및 재판정 시기도래 장애인 - 검사비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중 장애인연금, 활동보조 등
서비스 수급권 확정을 위해 재진단을 받아야 하는 등록장애인
❍ 사업내용 : 장애진단서 발급비용 및 검사비 지원
- 진단비 : 지적, 자폐성장애자 4만원 / 기타장애 1.5만원 - 검사비 : 소요비용에 따라 최대 10만원 지원
❍ 사업인원 : 1,675명
❍ 사 업 비 : 45백만원 (국비 23, 시비 11, 군·구비 11)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운영
v 장애인의 종합적인 상담·진단·서비스를 전담하는 재활전문병원의 기능을 최적화하여 고품질·맞춤형 의료재활서비스 제공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81조(비용보조)
❍ 위 치 : 연수구 원인재로 263(적십자 인천병원 앞)
❍ 규 모 : 부지 10,600㎡, 건축연면적 16,645㎡(지하1층, 지상 4층)
❍ 규 모 : 110병상
❍ 운영주체 : 대한적십자사
❍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운영
- 장애인들의 종합의료서비스 및 소아재활치료서비스 확대 - 어린이재활센터 낮병동 운영으로 재활치료 확대
- 로봇치료기 도입으로 전문적인 재활운동 프로그램 활성화
❍ 공공재활프로그램 운영
- 공공재활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장애발생 후 입원기간을 단축하고 성공적인 조기 사회복귀 도모
❍ 사 업 비 : 1,400백만원(시비 100%)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회계정산 용역
v 2016년도 회계정산용역을 실시하여 보조금 지급근거에 투명성을 기하고자 함
❍ 법적근거 :「인천광역시 재정운영 조례」제50조
❍ 용역기간 : 2017. 2월 ~ 3월(40일간)
❍ 사업내용
- 2016년도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적자 운영에 관한 회계감사 실시 - 경인의료재활센터 내 적십자병원 측 사용시설 및 장비의 임대료와
사용료 산정 적정여부 확인 등
❍ 사 업 비 : 10백만원(시비 100%)
권역재활병원 공공재활프로그램 운영지원
v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에 공공재활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하여 장애 발생 후 입원기간을 단축하고 성공적인 조기 사회복귀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81조
❍ 사업기간 : 2017.1 ~ 2017. 12
❍ 수행주체 :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 지원대상 : 인건비 및 프로그램 운영비
❍ 사업내용 : 사회복귀프로그램 등 공공재활프로그램 운영
- 사회복귀지원사업 : 퇴원 환자 사후관리 프로그램, 주거환경 개선 프로그램, 어린이 재활센터 사회복귀지원 기초 프로그램, 성인대상 사회복귀지원 기초프로그램 (공예미술치료프로그램)
- 권역재활관리협의회 구성 10명 구성
❍ 사 업 비 : 128백만원(국비 102, 시비 26)
인천재활의원 운영
v 장애인 의료재활시설로서 인천재활의원 재활의학과 신설(2014년)에 따른 장애인의 전문적인 재활치료 및 의료상담 서비스 제공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81조
❍ 운영주체 : 사회복지법인 모퉁이복지재단
❍ 시설규모 : 대지 577.30㎡, 건물 1,984.81㎡(지하1층, 지상5층)
❍ 병 상 수 : 60병상 가동
❍ 이용대상 : 신장장애인 및 일반장애인, 지역주민 등
❍ 사업내용
- 의료재활서비스 : 내과, 물리치료실, 인공신장실 운영 - 사회·심리적 재활서비스 등
❍ 사 업 비 : 599백만원(시비 100%)
장애인의료재활시설 기능보강
v 장애인의료재활시설에 필요한 장비보강을 실시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재활치료서비스 제공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79조, 제81조
❍ 사업대상 : 2개소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인천재활의원)
❍ 사업내용
-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 Neuro Tech, 보봐스테이블, 지하연결관 보수, UPS 설치
- 인천재활의원 : 공조기 교체
❍ 사 업 비 : 148백만원(국비 44.4, 시비 103.6)
장애인 무료치과진료 운영
v 저소득 중증장애인은 치료과정이 어려워 구강위생상태 열악 v 인천치과의사협회와 연계, 무상으로 양질의 치과진료 서비스 제공
❍ 장 소 :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광역시치과의사회 회관 내
❍ 진료일수 : 매주 2일(토․일, 각 3시간)
❍ 진료인력 : 의사12명, 치위생사1명, 가천의대 대학생30명
❍ 진료범위 : 간단한 구강질환 치료(신경치료, 치아홈메우기, 상담 등)
❍ 진료대상 : 중증장애인 우선(뇌병변․자폐성 장애인)
❍ 이 용 료 : 무 료
❍ 사 업 비 : 비예산
※ 2010년 지원예산 : 101,000천원(자치단체자본보조, 남동구) - 유니트 의자 2대 및 진료장비 : 66,000천원
- 진료실 내부설비 및 대기집기구입 : 35,000천원
※ 기공비, 재료비 등 운영비 : 의사회부담
❍ 운영기관 : 인천광역시 치과의사회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 지원
v 청각장애인에게 인공달팽이관 이식수술비와 재활(매핑)치료비를 지원하여 정상적인 언어생활 및 장애인 가정의 의료비 부담 경감
❍ 지원대상
- 전국 가구 월평균소득 150%이하 가정의 19세 미만 시설·재가 청각장애아동 - 기 수술아동 중 재활치료 대상자
❍ 사 업 량 : 39명(수술 10, 재활치료 29명)
❍ 지원내용 :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및 재활치료비 지원 - 이식수술비 : 1인당 4백만원 범위 내에서 수술비 지원
- 재활치료비 : 1인당 1.5∼3백만원 범위내에서 재활 치료비 지원
❍ 사 업 비 : 90백만원(시비 45, 군․구비 45)
장애인 수중재활치료사업
v 장애인복지관의 특화된 전문 재활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재활 치료 v 수중재활치료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과 자신감을 향상시켜 균형감각 발달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18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등록 장애인
- 뇌병변, 근이양증, 척수손상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 장애아동 - 지체장애인 및 관절질환 장애아동, 발달장애아동 등
❍ 사업규모 : 1개소
- 운영장소 : 남동장애인복지관 수중재활치료실(216.3㎡) - 지원내용 : 2명(물리치료사) 인건비 및 관리운영비
❍ 사업내용 : 물(水)을 이용한 재활치료(개별 및 母子그룹치료, 자유수영 등)
❍ 사 업 비 : 73백만원(시비 100%)
장애인복지관 운영
v 재가장애인이 안심하고 지역사회에서 더불어 생활할 수 있도록 의료재활, 교육재활, 정보제공 등을 지원함으로써 장애인의 재활자립 지원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57조, 제81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인복지관
❍ 사업규모 : 10개소
- 중구장애인복지관, 동구장애인복지관, 남구장애인복지관, 시각장애 인복지관, 인천장애인복지관, 남동장애인복지관, 부평장애인복지관, 노틀담복지관, 서구장애인복지관, 강화장애인복지관
❍ 사업내용 : 장애인복지관 운영
- 상담지도사업, 교육재활사업, 의료재활사업, 직업재활사업, 사회심리 재활사업, 정보제공사업, 지역사회자원개발사업 등
❍ 사 업 비 : 11,586백만원(시비 100%)
장애인 재가복지센터 운영
v 장애인복지관 운영의 활성화와 재가복지센터 운영으로 재가 장애인의 지역복지 증진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57조, 제81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인복지관 재가복지센터
❍ 사업규모 : 10개소
❍ 사업내용 : 저소득층 재가장애인 지역
- 재가장애인 상담 및 재가복지서비스(방문간호, 가사지원, 목욕지원 등) -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및 연계망 구축, 결연·후원, 밑반찬 지원 사업 등 추진
❍ 사 업 비 : 1,436백만원(시비 867, 군·구비 569)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운영
v 일상·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낮시간동안 재활프로그램 등의 기회 제공 및 장애인가족의 사회·경제활동 영위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57조, 제81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장애인주간보호센터
❍ 사업규모 : 34개소
❍ 사업내용
- 물리·작업치료 및 동작훈련 등을 통해 독립생활 능력 배양 - 새로운 환경과 정보 습득을 위한 여행 및 견학 등
- 취미생활 및 정서함양을 통한 자기발전 도모
❍ 사 업 비 : 4,911백만원(시비 2,612 군·구비 2,299)
장애인단기거주시설 운영
v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단기간(1개월 이내) 보호하여 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 경감 및 장애인 재활지원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57조, 제58조, 제59조, 제81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인단기거주시설
❍ 사업규모 : 5개소
(※ 개인운영시설 1개소 포함)- 이든단기보호(중구), 징검다리단기보호(남구), 기쁨의 집(남구) 허브단기보호(연수구), 해늘단기보호(부평구)
❍ 사업내용
- 자립생활 지원(식생활, 의생활, 개인위생관리 등)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지원, 사회적응훈련 등 사회적 인지기술 지원
- 정서안정 및 여가지원
- 이용시간 : 24시간 보호 (30일 이내)
- 이용인원 : 시설당 10명~20명 이내 (평균 15명)
❍ 사 업 비 : 827백만원(시비 413.5, 군·구비 413.5)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운영
v 장애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가정과 같은 주거환경에 거주하면서 독립적인 생활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와 지원을 받아 사회구성원으로서 존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
m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 제57조, 제58조, 제59조, 제81조 m 사업기간 : 연중
m 사업대상 : 재가장애인 중 고용·직업·근로에 참여하는 자 m 사업규모 : 공동생활가정 43개소
(※ 개인운영시설 등 6개소 포함)m 사업내용
- 사회구성원으로 자신의 책임 하에 공동생활가정에서 자립생활 도모 - 그룹홈 생활로 재활 및 자립성 제고
- 자립생활 지원, 정서안정 프로그램 운영
m 입소대상 : 만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으로 낮 시간동안 근로, 고용훈련 및 재활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자
m 입소정원 : 시설 당 4명
m 입주기간 : 시설과 입소자 당사자 간의 계약(연장 가능) m 이용방법 : 시설과 입소자 당사자 간의 계약에 의거 입소 m 사 업 비 : 1,905백만원(시비 952.5, 군·구비 952.5)
장애인 거주시설 운영
v 가족이 돌볼 수 없는 저소득 장애인으로서 장애인이 필요한 기간 동안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요양하는 시설에 운영비 지원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인생활시설 20개소 (중증12, 지체2, 지적3, 청각1, 시각1, 영유아1)
❍ 사업규모 : 장애인생활시설 20개소 - 생활인 1,152명(정원)/ 859명(현원) - 종사자 592명(정원)/ 547명(현원)
❍ 사업내용 : 종사자 인건비 및 관리운영비 지원
❍ 사 업 비 : 24,783백만원 (국비 17,349 시비 3,717 군·구비 3,717)
장애인 거주시설 기능보강
v 장애인 거주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보다 쾌적한 생활을 보장하고 시설의 재활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설 개보수 및 장비구입 지원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59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관내 장애인생활시설 중 시설 신축, 개보수, 장비 교체요구 시설 중 복지부가 선정하여 지원
❍ 사업규모 : 7개 시설 7개 사업
❍ 사업내용 : 증·개축 1, 개보수 5, 장비보강 1
❍ 사 업 비 : 906백만원(국비 453, 시비 453)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자 인권교육
v 장애인거주시설 인권교육 표준화 및 인권교육 지원을 통해 이용자의 인권의식 수준향상 및 시설별 교육수준 격차 해소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57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인거주시설 29개소(공동생활가정 제외)
구분 총계 생활시설 개인운영시설 단기거주시설 비고
개소수 29 20 4 5
❍ 사업수행기관 : 장애인복지시설협회
❍ 사업내용
-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자 인권교육 뉴컨텐츠 표준화 작업 - 뉴컨텐츠를 반영한 인권교육 교재 개발
- 표준화 뉴컨텐츠 교재를 통한 거주시설 이용자 인권교육 지원
❍ 사 업 비 : 10.9백만원(시비 100%)
장애인거주시설 인권 전문조사단 운영
v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침해 예방을 위해 전문조사요원의 상시적·전문적 조사를 실시하여 인권보호 예방체계 구축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57조
❍ 조사시기 : 2017. 7월 ~ 9월(3개월)
❍ 조사대상 : 장애인거주시설 9개소 - 이용인 358명/ 종사자 225명
❍ 조사방법 : 민․관 합동 조사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원이 1:1 면접조사
- 민간전문 조사원 양성교육 수료자(복지부)와 공무원 팀 구성
❍ 조사내용
- 거주시설 장애인 및 종사원 인권침해 사례 면담 조사 - 인권예방 사항 및 거주 환경 조사
- 인권침해 발생 시 사후 조치
❍ 사 업 비 : 6.8백만원(시비 100%)
장애인실비시설 입소이용료 지원
v 입소의 사각지대에 있는 저소득 중증장애인을 위한 실비 장애인 생활시설 입소희망자에 대한 입소이용료 지원으로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부담 감소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57조 및 제58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실비장애인생활시설 1개소(우리들의 집)
❍ 사업규모 : 1개소 / 29명
- 지원내역 : 월 286천원 / 1인(월 비용 수납한도액 626,000원)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이하인 자
❍ 사업내용 : 실비 장애인생활시설 입소이용료 지원
❍ 사 업 비 : 99백만원(국비 69, 시비 30)
장애인시설입소입원환자 간병비 지원
v 중증 및 영유아 시설 입소 장애인 중 병원 입원으로 간병인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 전문 간병인을 고용하여 입원생활인의 빠른 회복을 지원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57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중증요양시설 11개소
- 남구 1, 연수 2, 남동 1, 계양 1, 강화 3, 옹진 3
❍ 사업규모 : 50명
- 80,000원(1일/중증결핵 환자)×1명×250일=20,000천원 - 70,000원(1일/일반 병실)×49명×15일=51,450천원
❍ 사업내용 : 중증장애인거주시설(10개소) 및 영유아거주시설(1개소) 생활인 병원 입원 시 간병비 지원
❍ 사 업 비 : 71백만원(시비 35.5, 군·구비 35.5)
장애인거주시설 오폐수관리비 지원
v 환경보존지역(해양보호구역) 내 장애인 거주시설의 오폐수를 적정하게 처리하여 자연환경 보호 및 수질 오염 방지
❍ 법적근거 :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처리에 관한 법률」 제3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섬(장봉도 및 교동)에 위치한 장애인생활시설
❍ 사업규모 : 2개 시설
- 옹진군 장봉도 장봉혜림원 - 강화군 교동 샬롬원
❍ 사업내용 : 오폐수 처리 및 정화
❍ 사 업 비 : 35백만원(시비 17.5, 군·구비 17.5)
장애인 개인신고시설 운영
v 보건복지부 「미신고시설 양성화 정책」에 따라 완화된 신고요건을 갖추어 군·구에 신고를 완료한 시설에 대해 보조금 지원
❍ 법적근거 :「인천개인운영 사회복지시설 지원조례」제4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개인운영 장애인생활시설
❍ 사업규모 : 4개소(남구 1, 연수 1, 부평 1, 계양 1)
❍ 사업내용 : 1명 종사자 인건비 및 공공요금 등 운영비 지원
❍ 사 업 비 : 208백만원(시비 104, 군·구비 104)
장애인활동 지원사업
v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원활한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활동보조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 증진 도모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53조및제55조,「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제3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만6세 ~ 65세미만의 1급~3급 장애인(활동지원 1~4등급) - 기본시간 : 월 47시간~118시간 (435~1,091천원)
- 추가시간 : 월 10시간~273시간 ( 93~2,523천원)
❍ 사업규모 : 4,130명
❍ 사업내용 : 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 시간당 단가 : 활동보조 9,240원(22~6시 이전심야, 공휴일 13,860원) 방문목욕 65,410원~72,540원/방문간호(33,640원~50,770원)
❍ 지원방법 : 바우처 방식
❍ 지원절차 : 장애인 당사자가 제공기관(43개소)에 서비스지원 신청
❍ 사 업 비 : 45,715백만원(국비 32,001, 시비 6,857, 군·구비 6,857)
시 자체 1급 장애인 활동지원사업
v 국비로 지원하고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 사업이 장애인의 기본욕구를 충족하기에는 지원시간이 부족함에 따라 시 자체사업으로 특례시간을 인정하여 서비스 지원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 제53조(자립생활지원), 제55조(활동지원 급여의 지원) -「장애인 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제3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1급으로 활동지원제도 1등급자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자 중에서 선정(만 6세~64세 이하의 자)
* 선정기준 : 활동지원 인정점수가 높은 자, 취약가구 우선 배려
❍ 사업규모 : 700명(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 사업내용 : 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 지원시간 : 1인 최대 월 80시간 범위 내
❍ 지원단가 : 시간당 9,240원(서비스 수수료 포함/국고사업과 동일)
❍ 지원방법 : 바우처 방식
❍ 제공기관 : 43개소(국비사업과 동일)
❍ 사 업 비 : 4,186백만원(시비 2,093, 군·구비 2,093)
활동보조 가산급여
v 최중증장애인 등 활동보조인 연계가 어려운 수급자에게 활동 보조 급여 제공시 가산수당을 지급하여 활동보조인의 최중증장애인 기피 현상을 완화하고 활동보조인의 연계 활성화 위함
❍ 법적근거
-「장애인 활동지원에 관한 법률」제16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3조 및 15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최중증장애인 중 인정조사점수 440점 이상인 자 등 활동보조인 연계가 어려운 중증장애인
❍ 사업규모 : 175명
❍ 지원단가 : 시간당 680원(22시~6시 이전, 심야·공휴일 1,020원)
❍ 사 업 비 : 175백만원(국비 123, 시비 26, 군·구비 26)
중증장애인 상시보호 야간순회방문
v 중증장애로 심야시간대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에게 꼭 필요한 신체적 활동을 지원하여 주간시간에도 사회생활·자립생활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삶의 질제고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 제53조(자립생활지원), 제55조(활동지원 급여의 지원) -「장애인 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제3조
❍ 사업대상 :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 중 상시보호가 필요한 최중증장애인 - 척추손상, 루게릭병, 뇌병변 등 와상, 사지마비, 24시간 인공호흡기 착용자 등
❍ 사업규모 : 4명
❍ 서비스 제공시간 : 22시 ~ 익일 6시
❍ 서비스 제공방법 및 내용
- 전담인력이 일일순회 방문서비스 제공 - 대소변처리, 체위변경 등 신변처리
❍ 사 업 비 : 100백만원(국비 70, 시비 15, 군·구비 15)
시비지원 활동보조사업 바우처시스템 운영
v 시 추가 지원사업에 대해 전자바우처시스템을 적용하여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업운영 지원
❍ 법적근거
- 「사회복지사업법」제55조
-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제20조, 제34조
❍ 사업기간 : 연중
❍ 위탁기관 : 보건복지부 지정 사회보장정보원
❍ 사업규모 : 전자바우처시스템 관리 위탁비용
❍ 사업내용
- 사업관리, 서비스신청, 대상자 자격정보 관리, 대상자 바우처 생성, 서비스 급여비용 지급, 과오 또는 부정 지급비용 환수, 예탁금 관리 및 정산 등 - 사업비는 예산규모에 따라 산정(최소 10,000천원~최대 30,000천원)
❍ 사 업 비 : 30백만원(시비 100%)
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v 중증장애인에게 화재·가스 등 응급사고 발생시 응급안전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위험으로부터 안전 확보 및 지역사회기반의 상시 보호체계 마련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5개 구(남구, 연수구, 남동구, 계양구, 서구)
❍ 사업대상 :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로 독거, 취약가구, 가족의 직장․
학교 생활 등으로 상시보호가 필요한 중증장애인 410명
❍ 사업내용
- 중증장애인 세대에 응급알림이 시스템 설치·운영
▪ 화재·가스센서 설치 응급상황 정보감지 ➤ 지역센터 및 소방서 실시간 전송
- 응급알림이 시스템 전송정보 모니터링 및 대응조치 ➤ 지역센터 - 정기적 안전 확인 및 지역사회 자원 발굴·연계
❍ 사 업 비 : 233백만원(국비 117, 시비 58, 구비 58)
* 독거노인·중증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통합에 따라 노인(노인정책과) 예산 통합 편성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지원
v 의사결정능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발달장애인에게 공공후견서비스 제공으로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 도모
❍ 지원대상
- 등록기준 : 만 19세 이상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장애인)
※ 지적․자폐성 외 기타유형 장애인의 경우에도 가정법원이 판단하여 공공후견인 선임 요청시 지원 가능
- 가구상황 : 의사결정 지원이 필요한 자 또는 사실상 보호하는 가족이 없는 경우 - 소득기준 : 전국 가구 평균소득 150% 이하
❍ 지원내용
- 성년후견인 심판절차 비용 : 1회 30만원 27명 지원 - 성년후견인 서비스 : 월 10만원 34명 지원
❍ 사 업 비 : 69백만원(국비 55, 시비 7, 군․구비 7)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v 과중한 돌봄의 부담을 안고 있는 발달장애인 부모에게 정서적․
심리적 지원을 통하여 발달장애인 가족 기능 향상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9조
❍ 사업기간 : 연중
❍ 지원대상
- 발달장애인(지적, 자폐성) 자녀의 부모 중 심리상담이 필요한 경우 - 전국 가구 월평균 소득 150% 이하
❍ 지원금액 : 1인당 월 16만원 지원 (바우처사업)
※ 서비스단가 : 1인당 월 20만원 이하 (16만원 정부지원금 이상은 본인 부담)
❍ 지원내용 : 회당 50분, 월 4회 이상, 개별상담 지원(6개월)
❍ 서비스제공기관 : 10개소
(단위:개소)
계 중구 동구 남구 연수 남동 부평 계양 서구 강화 옹진10 1 1 1 2 2 1 1 1 - -
※ 강화, 옹진은 지침 기준에 맞는 제공기관이 없음. 인근 기관 이용 예정
❍ 사 업 비 : 53백만원(국비 37, 시비 8, 군․구비 8)
장애아가족양육지원
v 상시적인 돌봄이 요구되는 장애아 가정의 돌봄 부담 경감 및 이를 통한 가족안정성 강화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9조,「인천 장애인가족지원 조례」
❍ 사업기간 : 연중
❍ 수행기관 : 2개소 (인천장애인부모회, 전국장애인부모연대)
❍ 지원대상 : 만 18세 미만의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1~3급 장애아와 생계․주거를 같이하는 전국 가구평균소득 100%이하 가정
❍ 사업내용
- 장애아 돌봄 서비스 : 211가정 / 가정당 480시간 범위내 - 가족관계를 위해 가족상담, 가족캠프 등 휴식지원 프로그램
❍ 사 업 비 : 791백만원(국비 554, 시비 237)
발달장애인 가족휴식지원
v 발달장애인 가족의 양육부담 경감 및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한 휴식·교육·여가·상담서비스 제공으로 가족의 유대감 강화
❍ 법적근거 :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32조
❍ 사업기간 : 연 2회(상·하반기)
❍ 지원대상 : 발달장애인 및 그 가족
❍ 지원금액 :
구 분 당일 1박2일 2박3일 비고
1인당 캠프비용 62,000원 135,000원 227,000원 1인당 최대금액
❍ 지원내용 : 힐링캠프 및 테마여행운영, 돌보미 지원 - 힐링캠프 : 가족캠프, 인식개선캠프, 동료상담캠프
- 테마여행 : 가족의 휴양을 중심으로 체험여행, 역사탐방, 문화체험 등
❍ 사 업 비 : 82백만원(국비 57, 시비 25)
떠나자! 장애인가족 공감여행 추진
v 장애로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과 가족, 친구들과 자유여행 및 개별 공감(共感)여행으로 사회통합 및 사회참여 확대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 제9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 「장애인복지법」 제32조의3(복지서비스에 관한 장애인 지원 사업)
❍ 사업기간 : 2017. 2. ~ 2017. 12. 31
❍ 지원대상 : 인천시 거주 등록장애인
❍ 지원내용 : 개별여행 추진(무상 차량 제공) - 차량구입 : 총 5대(구입 3대, 기부 2대)
▪장애인용 특수차량 3대, 일반차량 2대
❍ 수행기관 : 인천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 업 비 : 100백만원(시비 100%)
장애인 가족돌봄 휴식지원
v 장애인 및 부모, 비 장애 형제․자매 등 양육으로 인한 부담 경감 및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통한 가족관계 역량강화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32조의3
❍ 사업기간 : 연중
❍ 지원대상 : 인천시 거주 등록장애인 및 그 가족
❍ 지원내용
1) 장애인 가족돌봄 휴식지원
- 지역문화체험 :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한 삶의 의욕 고취 및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통의 장 마련
- 가족힐링여행 : 장애인의 부모와 비 장애인 형제 자매 등 가족여행을 통한 심리적 정서적 안정 및 장애인가족의 역량강화 - 시책사업 참여 및 체험 : 가족테마여행 프로그램 및 돌봄지원 등 - 지원규모 : 200백만원 (시비)
2)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지원
- 장애인복지시설 이용자 및 재가장애인, 장애인가족 - 지원규모 : 100백만원(시비)
❍ 사 업 비 : 300백만원(시비 100%)
언어발달지원
v 시․청각, 언어장애부모의 비 장애아동에게 필요한 언어발달지원 서비스 제공으로 자녀의 건강한 성장지원 및 장애가족의 자체역량 강화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9조
❍ 사업기간 : 연중
❍ 지원대상 : 한쪽 부모가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등록장애인 - 연 령 : 만 10세 미만 비 장애아동
- 소득기준 : 전국가구 월평균소득 100% 이하(소득별 차등지원)
❍ 지원금액 : 1인당 월 160 ~ 220천원(바우처)
❍ 지원내용 : 언어·청능재활 등 언어재활서비스 및 독서지도, 수화지도
❍ 사 업 비 : 15백만원(국비 11, 시비 2, 군․구비 2)
발달재활서비스
v 성장기 장애아동의 기능 향상, 행동 발달을 위한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및 장애아동 가정의 경제적 부담 경감
❍ 법적근거 : 「장애아동복지지원법」제21조
❍ 사업기간 : 연중
❍ 지원대상
- 만 18세 미만 등록 장애아동으로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장애아동(전국 가구 월평균소득 150% 이하)
❍ 지원내용
- 언어․청능, 미술․음악, 행동․놀이․심리, 감각·운동 등 재활서비스 제공 - 장애 조기발견 및 발달진단서비스, 중재를 위한 부모 상담 서비스
❍ 서비스 제공기관 : 68개소
중구 동구 남구 연수 남동 부평 계양 서구 강화 옹진
5 1 8 6 15 10 9 14 - -
❍ 지원금액 : 1인당 월 140 ~ 220천원
- 서비스 대상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
❍ 사 업 비 : 5,142백만원 (국비 3,600, 시비 771, 군․구비 771)
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사업
v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농어촌 장애인 주택에 장애물 없는 공간을 마련 생활불편 최소화로 주거편의 제공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27조
❍ 사업기간 : 연중
❍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중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사업규모 : 4가구(강화2, 옹진2)
❍ 사업내용 : 화장실개조, 보조손잡이 설치, 문턱 낮추기, 싱크대 높이 조절 등
❍ 지원금액 : 1가구당 3,800천원
❍ 사 업 비 : 15.2백만원(국비 7.6, 시비 3.8, 군비 3.8)
장애인 복지시설 평가
v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사회복지시설 운영 효율화, 투명성과 서비스의 질을 제고함으로써 시설이용 생활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향상 도모
❍ 법적근거 : 「사회복지사업법」제43조의2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장애인복지관 8개소
- 중구, 남구, 시각, 인천, 남동, 부평, 노틀담, 서구 장애인복지관
* 2014년 1월 1일 이전 설치․신고된 시설(보조금 미지원 개인시설 제외)
❍ 사업내용 : 장애인 복지시설 평가지표에 따른 현장 평가
❍ 평가방법 : 현장평가팀(학계, 시설종사자, 공무원)이 방문 평가
❍ 사 업 비 : 4.8백만원(시비 100%)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운영
v 장애인에 대한 치과 의료서비스의 접근성 및 전문성을 향상하고 장애인 구강진료의 거점 역할 수행으로 장애인 구강건강증진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36조 및 「구강보건법」제15조의2
❍ 사업기간 : 2017. 1월 ~ 12월
❍ 센터현황
- 위 치 : 길 의료재단 길병원 치과센터 1, 6층(377,73㎡, 114.7평) - 운영인력 : 3명(치과의사 1, 치과위생사 2)
❍ 사업내용
- 장애인에 대한 전문적인 치과친료 서비스 제공
- 장애인 치과예방사업 :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검진 등
- 비급여 본인부담 진료비에 대해 장애등급에 따라 차등 지원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 비급여 본인부담진료비 총액의 50%지원
▪ 치과영역 중증장애인 : 비급여 본인부담진료비 총액의 30%지원
▪ 치과영역 경증장애인 : 비급여 본인부담진료비 총액의 10%지원
❍ 사 업 비 : 161백만원(국비 50%, 시비 50%)
교육․문화․체육 분야
점자도서관 건립
v 시각장애인의 알권리, 문화생활을 영위할 권리를 충족시켜주고 각종 도서 대출을 비롯한 문화정보와 여러 교양 서비스를 제공
❍ 사업기간
- 공사추진 : 2017. 3월~ 9월 - 개 관 : 2017. 11월
❍ 위 치 : 남구 한나루로 357번길 105-19
❍ 사업규모 : 대지 351.75㎡, 연면적 766.55㎡(지상3층) - 1층 (30.21㎡) : 주차장(7석)
- 2층(368.71㎡) : 열람실, 유아열람실, 서고, 점자도서제작실, 사무실 - 3층(367.63㎡) : 송암박두성기념관, 열람실, 녹음실
❍ 총사업비 : 2,170백만원(시비 100%)
조감도 배치도
점자도서관 운영
v 점자도서관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질 향상 도모
❍ 법적근거 : 「장애인복지법」제63조 및 제81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시각장애인 및 시력 약자
❍ 사업규모 : 점자도서관 및 송암박두성기념관
❍ 위 치 : 남구 한나루로 357번길 105-19(시각장애인복지관 內 1층)
❍ 사업내용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전자도서 제작 및 활성화 송암박두성 기념관 운영 활성화 사업
❍ 운영주체 : (사)인천광역시시각장애인복지연합회
❍ 사 업 비 : 158백만원(시비100%)
여성장애인 교육지원
v 여성 장애인에게 교육서비스 제공으로 여성장애인의 역량 강화 및 사회참여 기회 확대
❍ 법적근거 :「장애인복지법」제7조, 제9조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등록 여성장애인(저소득·저학력 여성장애인 우선 지원)
❍ 사업내용 : 상담 및 사례관리, 역량강화교육, 자조모임
❍ 수행기관 :
기 관 명 대표자 소재지 비 고
부평장애인종합복지관 이광영 부평구 일신로 25 舊 )어울림센터 (사)내일을여는멋진여성인천협회 신란아 연수구 용담로 115 〃 노틀담복지관 송선자 계양구 계양산로 35 舊)교육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