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장 멀티미디어 환경과 활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2장 멀티미디어 환경과 활용"

Copied!
36
0
0

Teks penuh

(1)

멀티미디어의 이해

(2)

u

멀티미디어 시스템

l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l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 제작이 목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계층 구조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계층 구조

(3)

u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구성

l 하드웨어

§ CPU, 미디어 처리장치, 입출력장치, 저장장치로 구성

l 시스템 소프트웨어

§ 멀티미디어 자원을 관리/운영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 장치들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해 주는 DBMS

l 소프트웨어 툴

§ 각종 미디어 정보를 생성, 편집하는 개별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

§ 미디어들을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저작도구 u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구성

l 하드웨어

§ CPU, 미디어 처리장치, 입출력장치, 저장장치로 구성

l 시스템 소프트웨어

§ 멀티미디어 자원을 관리/운영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 장치들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해 주는 DBMS

l 소프트웨어 툴

§ 각종 미디어 정보를 생성, 편집하는 개별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

§ 미디어들을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저작도구

(4)

u

목적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분류

l 저작 시스템(Authoring System)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기능과 환경을 제공

§ 하드웨어장치, 저장장치,편집 소프트웨어, 저작도구를 포함

l 재생 시스템(Presentation System)

§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u

멀티미디어 플랫폼 (Multimedia Platform)

l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재생하는 하드웨어 환경과 소프트 웨어 환경

u

목적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분류

l 저작 시스템(Authoring System)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기능과 환경을 제공

§ 하드웨어장치, 저장장치,편집 소프트웨어, 저작도구를 포함

l 재생 시스템(Presentation System)

§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u

멀티미디어 플랫폼 (Multimedia Platform)

l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재생하는 하드웨어 환경과 소프트 웨어 환경

(5)

u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u

멀티미디어 컴퓨터

u

미디어 처리 장치

u

입력 장치

u

출력 장치

u

저장 장치

u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u

멀티미디어 컴퓨터

u

미디어 처리 장치

u

입력 장치

u

출력 장치

u

저장 장치

(6)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u

하드웨어 구성

l 입출력장치

l 인터페이스 카드 (처리장치),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

l 저장장치

(7)

멀티미디어 컴퓨터 (?)

u

멀티미디어 PC(MPC: Multimedia PC)

l Microsoft 등 PC 관련 업체들이 멀티미디어 정보의 재생을 위해 요 구되는 PC의 성능에 대한 기준 제정

§ 1990 MPC level 1, 1996 MPC level 3

l MPC 하드웨어 표준은 더 이상 의미가 없음

u

그래픽 워크스테이션 (Graphic Workstation)

l 그래픽스 처리 전용 하드웨어 장착

§ 그래픽스 엔진

l 인터페이스 카드를 장착하여 멀티미디어 워크스테이션으로도 사용 가능

u

멀티미디어 PC(MPC: Multimedia PC)

l Microsoft 등 PC 관련 업체들이 멀티미디어 정보의 재생을 위해 요 구되는 PC의 성능에 대한 기준 제정

§ 1990 MPC level 1, 1996 MPC level 3

l MPC 하드웨어 표준은 더 이상 의미가 없음

u

그래픽 워크스테이션 (Graphic Workstation)

l 그래픽스 처리 전용 하드웨어 장착

§ 그래픽스 엔진

l 인터페이스 카드를 장착하여 멀티미디어 워크스테이션으로도 사용 가능

(8)

미디어 처리장치

미디어 처리 장치

l 입출력 장치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능 지원

l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압축/저장, 복원/재생 기능 지원

u

사운드 카드

l 사운드의 입출력, 소리 정보를 압축, 저장, 복원

l Creative사의 SoundBlaster 시리즈, Volcano 시리즈, Sound Opera 등이 대표적

미디어 처리 장치

l 입출력 장치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능 지원

l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압축/저장, 복원/재생 기능 지원

u

사운드 카드

l 사운드의 입출력, 소리 정보를 압축, 저장, 복원

l Creative사의 SoundBlaster 시리즈, Volcano 시리즈, Sound Opera 등이 대표적

(9)

u

그래픽 가속보드

l 고품질/고해상도의 그래픽을 얻거나 렌더링 속도를 향상

l nVidia의 Geforce, ATI의 Radeon, Matrox의 G시리즈 등

u

비디오 보드

l 비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압축/복원하여 모니터 상에 재생

l 프레임 그래버 보드(Frame Grabber Board) : 비디오 캡쳐 보드

§ 카메라로 촬영한 실세계의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

l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Video Overlay Board)

§ 컴퓨터 내에서 생성된 영상정보와 TV 등의 외부 영상정보를 중첩 u

그래픽 가속보드

l 고품질/고해상도의 그래픽을 얻거나 렌더링 속도를 향상

l nVidia의 Geforce, ATI의 Radeon, Matrox의 G시리즈 등

u

비디오 보드

l 비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압축/복원하여 모니터 상에 재생

l 프레임 그래버 보드(Frame Grabber Board) : 비디오 캡쳐 보드

§ 카메라로 촬영한 실세계의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

l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Video Overlay Board)

§ 컴퓨터 내에서 생성된 영상정보와 TV 등의 외부 영상정보를 중첩

(10)

입력장치 [4.2 절 참조 ]

u

스캐너 (Scanner)

l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읽어 비트맵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

l 해상도는 dpi(dot per inch)로 표현

§ 1인치를 표현하는 점의 개수

l 평판 스캐너

§ 가장 대충화 되어 있는 스캐너

§ 보통 600~2400dpi 정도의 스캐너 사용

l 드럼 스캐너

l 필름 스캐너

§ Negative Film을 스캐닝 u

스캐너 (Scanner)

l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읽어 비트맵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

l 해상도는 dpi(dot per inch)로 표현

§ 1인치를 표현하는 점의 개수

l 평판 스캐너

§ 가장 대충화 되어 있는 스캐너

§ 보통 600~2400dpi 정도의 스캐너 사용

l 드럼 스캐너

l 필름 스캐너

§ Negative Film을 스캐닝

(11)

u

디지털 카메라 (Digital Camera)

l 실세계의 장면을 촬영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

l 저장된 이미지는 컴퓨터에 전송

l 품질은 화상의 dpi 또는 화소(pixel)수로 표시

u

비디오 카메라 (Video Camera)

l 영상의 입력 또는 화상회의용으로 사용

l A/D(D/A) 변환용 비디오 캡쳐(Video Capture) 보드가 장착되어 있음

u

디지털 카메라 (Digital Camera)

l 실세계의 장면을 촬영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

l 저장된 이미지는 컴퓨터에 전송

l 품질은 화상의 dpi 또는 화소(pixel)수로 표시

u

비디오 카메라 (Video Camera)

l 영상의 입력 또는 화상회의용으로 사용

l A/D(D/A) 변환용 비디오 캡쳐(Video Capture) 보드가 장착되어 있음

(12)

u

그래픽 태블릿 (Graphic Tablet)

l 평판 태블릿과 마우스 및 스타일러스(Stylus)로 구성

l 대형 그래픽 도면, 손으로 쓴 글씨 등의 입력에 사용

l 스타일러스

§ 펜의 끝 부분에서 태블릿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 곡선을 자유롭게 그릴 수 있으며 섬세한 그림을 쉽게 제작 가능 u

그래픽 태블릿 (Graphic Tablet)

l 평판 태블릿과 마우스 및 스타일러스(Stylus)로 구성

l 대형 그래픽 도면, 손으로 쓴 글씨 등의 입력에 사용

l 스타일러스

§ 펜의 끝 부분에서 태블릿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 곡선을 자유롭게 그릴 수 있으며 섬세한 그림을 쉽게 제작 가능

(13)

출력장치

[4.3절 참조]

u

모니터 (Monitor)

l 문자, 이미지, 그래픽, 동영상 등의 정보를 화면상 출력하는 장치

l 그래픽 카드의 종류에 따라 640×480 ~ 1600×1200 화소 표시

§ 해상도는 그래픽 카드의 VRAM(Video RAM) 용량에 따라 제한됨

l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가격이 하락하고 해상도가 높아져 점차 LCD 모니터가 일반화

u

컬러 프린터 (Color Printer)

l 최근에는 잉크젯(Ink Jet) 및 레이저 방식의 프린터를 많이 사용

l 프린터의 품질은 dpi로 나타내고 성능은 분당 출력되는 종이의 매수(ppm)로 나타냄

u

모니터 (Monitor)

l 문자, 이미지, 그래픽, 동영상 등의 정보를 화면상 출력하는 장치

l 그래픽 카드의 종류에 따라 640×480 ~ 1600×1200 화소 표시

§ 해상도는 그래픽 카드의 VRAM(Video RAM) 용량에 따라 제한됨

l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가격이 하락하고 해상도가 높아져 점차 LCD 모니터가 일반화

u

컬러 프린터 (Color Printer)

l 최근에는 잉크젯(Ink Jet) 및 레이저 방식의 프린터를 많이 사용

l 프린터의 품질은 dpi로 나타내고 성능은 분당 출력되는 종이의 매수(ppm)로 나타냄

(14)

u

프로젝터 (Projector)

l 컴퓨터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출력을 대형 스 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비

l 많은 사람에게 동시에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u

HMD(Head Mounted Display)

l HMD는 일종의 안경으로 눈에 착용하면 양쪽 눈 각각에 화면이 나타남

l 양쪽 화면에 나타나는 약간의 위치 차이에 의 해 3차원 물체를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생성

u

프로젝터 (Projector)

l 컴퓨터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출력을 대형 스 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비

l 많은 사람에게 동시에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u

HMD(Head Mounted Display)

l HMD는 일종의 안경으로 눈에 착용하면 양쪽 눈 각각에 화면이 나타남

l 양쪽 화면에 나타나는 약간의 위치 차이에 의 해 3차원 물체를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생성

(15)

저장장치

u

CD(Compact Disk)

l 지름 12cm의 원반에 650MB 정도의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

§ 백업 목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유용

l 배속

§ CD-ROM이 처음 생산되어 상업화 되었을 때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기

준으로 한 비율 : 1배속은 150Kbps

§ 48배속 CD 드라이브는 150Kbps X 48 = 7200Kbps ( 7.2Mbps)

l CD의 종류

§ CD-DA(오디오 CD), CD-ROM : 제작 후 기록 불가능

§ CD-R(CD Recordable) : 한번만 기록 가능

§ CD-RW(CD Rewritable) : 반복적으로 기록 u

CD(Compact Disk)

l 지름 12cm의 원반에 650MB 정도의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

§ 백업 목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유용

l 배속

§ CD-ROM이 처음 생산되어 상업화 되었을 때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기

준으로 한 비율 : 1배속은 150Kbps

§ 48배속 CD 드라이브는 150Kbps X 48 = 7200Kbps ( 7.2Mbps)

l CD의 종류

§ CD-DA(오디오 CD), CD-ROM : 제작 후 기록 불가능

§ CD-R(CD Recordable) : 한번만 기록 가능

§ CD-RW(CD Rewritable) : 반복적으로 기록

(16)

l 특별히 CD-ROM이라는 저장매체를 이용

l 교육 및 학습용 타이틀, 정보전달용 타이틀

u

멀티미디어 타이틀 ( 멀티미디어 콘텐츠 )

l 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

l CD 타이틀을 포함하여 키오스크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나

l 특별히 CD-ROM이라는 저장매체를 이용

l 교육 및 학습용 타이틀, 정보전달용 타이틀

u

멀티미디어 타이틀 ( 멀티미디어 콘텐츠 )

l 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

l CD 타이틀을 포함하여 키오스크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나

(17)

u

DVD (Digital Video Disk)

l 차세대 저장장치로 개발

§ 1990년대 초 도시바, 타임워너, 소니, 필립스 등의 회사

§ CD와 동일 크기 디스크에 대용량 정보 저장 : 4.7GB (135분 영화)

§ 최근에는 17GB까지 저장 가능한 DVD-ROM도 개발

l DVD 종류

§ DVD-ROM, DVD Audio, DVD Video

§ DVD-R, DVD-RW, DVD-RAM

u

디스크 어레이 (Disk Array) 장치

§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업체와 같이 영화 등의 대용량의 멀티 미디어 정보를 보관, 저장하는 곳에서 사용

§ 디스크 어레이에 여러 장의 CD-ROM이나 DVD-ROM을 장착 u

DVD (Digital Video Disk)

l 차세대 저장장치로 개발

§ 1990년대 초 도시바, 타임워너, 소니, 필립스 등의 회사

§ CD와 동일 크기 디스크에 대용량 정보 저장 : 4.7GB (135분 영화)

§ 최근에는 17GB까지 저장 가능한 DVD-ROM도 개발

l DVD 종류

§ DVD-ROM, DVD Audio, DVD Video

§ DVD-R, DVD-RW, DVD-RAM

u

디스크 어레이 (Disk Array) 장치

§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업체와 같이 영화 등의 대용량의 멀티 미디어 정보를 보관, 저장하는 곳에서 사용

§ 디스크 어레이에 여러 장의 CD-ROM이나 DVD-ROM을 장착

(18)

u

운영체제 (OS)

u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

u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도구

u

멀티미디어 컨텐츠

u

운영체제 (OS)

u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

u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도구

u

멀티미디어 컨텐츠

(19)

멀티미디어를 위한 운영체제

u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어

l 멀티미디어 장치와 편집도구, 저작도구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l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손쉽게 설치, 관리할 수 있을 것

u

마이크로소프트사 Windows 의 경우

l MCI(Media Control Interface)라는 표준, 기본적 장치 관리자 제공

l 플러그앤플레이(PnP: Plug & Play)

§ Windows 95부터 등장, 멀티미디어 환경을 손쉽게 조성하는 것이 가능

l CD/DVD 기본적으로 지원

l “Windows Media Technology” 지원

§ 미디어의 재생, 편집, 배포, 어플리케이션 개발용 API 제공

l 멀티태스킹(Multitasking)

§ 여러 미디어 정보가 실시간에 동시 재생이 가능, 정보 전달효과 극대화 u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어

l 멀티미디어 장치와 편집도구, 저작도구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l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손쉽게 설치, 관리할 수 있을 것

u

마이크로소프트사 Windows 의 경우

l MCI(Media Control Interface)라는 표준, 기본적 장치 관리자 제공

l 플러그앤플레이(PnP: Plug & Play)

§ Windows 95부터 등장, 멀티미디어 환경을 손쉽게 조성하는 것이 가능

l CD/DVD 기본적으로 지원

l “Windows Media Technology” 지원

§ 미디어의 재생, 편집, 배포, 어플리케이션 개발용 API 제공

l 멀티태스킹(Multitasking)

§ 여러 미디어 정보가 실시간에 동시 재생이 가능, 정보 전달효과 극대화

(20)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

u

목적

l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수정,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u

목적

l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수정,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21)

멀티미디어 컨텐트 저작도구

u

CD 타이틀 저작도구 (Authoring Tool) [8 장 참조 ]

l 각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데이터를 통합

§ 다양한 GUI를 지원,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손쉽게 편집 가능

§ 상호작용성을 위해 구조화된 방법 또는 스크립트 등의 언어 제공

l CD 타이틀 저작도구의 유형

§ Icon-based 또는 Flow chart 방식

§ Time-based 또는 Score 방식

§ Card 또는 Book 방식

u

웹 페이지 저작도구

l 페이지기반 저작도구에서 발전 : FrontPage, 나모

l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 표준을 따르므로 저작도구도 이를 지원

§ 별도의 재생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웹 브라우저로 결과 출력 가능 u

CD 타이틀 저작도구 (Authoring Tool) [8 장 참조 ]

l 각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데이터를 통합

§ 다양한 GUI를 지원,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손쉽게 편집 가능

§ 상호작용성을 위해 구조화된 방법 또는 스크립트 등의 언어 제공

l CD 타이틀 저작도구의 유형

§ Icon-based 또는 Flow chart 방식

§ Time-based 또는 Score 방식

§ Card 또는 Book 방식

u

웹 페이지 저작도구

l 페이지기반 저작도구에서 발전 : FrontPage, 나모

l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 표준을 따르므로 저작도구도 이를 지원

§ 별도의 재생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웹 브라우저로 결과 출력 가능

(22)

u

표준의 필요성

u

표준화 기구

u

압축 및 저장에 관한 표준

u

문서관련 표준

u

VRML 표준

u

표준의 필요성

u

표준화 기구

u

압축 및 저장에 관한 표준

u

문서관련 표준

u

VRML 표준

(23)

표준의 필요성

u

필요성

l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현 형식은 소프트웨어 업체에 따라 차이

§ 다양한 형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유 및 호환성 유지 필요

l 플랫폼 독립적인 형식으로 국제 기구에서 표준화 작업 진행

u

대상

l 전자문서는 마크업 언어로 기술

§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작성, 표현함으로써 정보전달 효과를 증대

l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준

§ 데이터의 압축/복원 및 저장 방식을 규정

u

산업 경쟁력

l 표준화 작업에 참여하는 기업, 연구소 또는 국가가 제안하여 채택 된 국제 표준안을 따르는 기술은 지적 소유권이 인정

u

필요성

l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현 형식은 소프트웨어 업체에 따라 차이

§ 다양한 형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유 및 호환성 유지 필요

l 플랫폼 독립적인 형식으로 국제 기구에서 표준화 작업 진행

u

대상

l 전자문서는 마크업 언어로 기술

§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작성, 표현함으로써 정보전달 효과를 증대

l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준

§ 데이터의 압축/복원 및 저장 방식을 규정

u

산업 경쟁력

l 표준화 작업에 참여하는 기업, 연구소 또는 국가가 제안하여 채택 된 국제 표준안을 따르는 기술은 지적 소유권이 인정

(24)

표준화 기구

u

국제 표준화 기구

l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l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l CCITT (International Telegraph &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u

지역별 표준화 기구

l ANSI(미국), IEEE(미국), BSI(영국), JIS(일본), KS(한국)

u

컨소시엄

l IMA (Interactive Multimedia Association) : 멀티미디어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 웹

u

국제 표준화 기구

l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l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l CCITT (International Telegraph &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u

지역별 표준화 기구

l ANSI(미국), IEEE(미국), BSI(영국), JIS(일본), KS(한국)

u

컨소시엄

l IMA (Interactive Multimedia Association) : 멀티미디어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 웹

(25)

u

ISO/IEC JTC1(Joint Technical Committee)

l ISO와 IEC는 정보통신 및 멀티미디어 분야의 중요한 표준화 기구

l JTC1는 20여개의 분과위원회(SC: Subcommittee)로 구성

l 각 분과위원회의 워킹그룹(WG: Working Group)이 표준안 제정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

l JTC1의 멀티미디어 관련 분과위원회

u

ISO/IEC JTC1(Joint Technical Committee)

l ISO와 IEC는 정보통신 및 멀티미디어 분야의 중요한 표준화 기구

l JTC1는 20여개의 분과위원회(SC: Subcommittee)로 구성

l 각 분과위원회의 워킹그룹(WG: Working Group)이 표준안 제정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

l JTC1의 멀티미디어 관련 분과위원회

(26)

u

국제 표준화 절차

① 각 국가로부터 제안서 접수

② 워킹 그룹에서 워킹그룹안(WD: Working Draft) 작성

③ 위원회 초안(CD: Committee Draft)을 마련

④ 위원회 초안을 기반으로 발전시켜 국제 초안(DIS: Draft International Standard)을 작성

⑤ 국제 초안을 바탕으로 국제표준안(IS: International Standard)을 완성

⑥ JTC1 총회에서 국제표준안(IS)을 채택함으로써 확정됨

u

국제 표준화 절차

① 각 국가로부터 제안서 접수

② 워킹 그룹에서 워킹그룹안(WD: Working Draft) 작성

③ 위원회 초안(CD: Committee Draft)을 마련

④ 위원회 초안을 기반으로 발전시켜 국제 초안(DIS: Draft International Standard)을 작성

⑤ 국제 초안을 바탕으로 국제표준안(IS: International Standard)을 완성

⑥ JTC1 총회에서 국제표준안(IS)을 채택함으로써 확정됨

(27)

압축 및 저장에 관한 표준

u

그래픽

l 그래픽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CGM, GKS, PHIGS

l OpenGL : Silicon Graphics사가 만든 산업체 표준

u

정지화상

l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ISO 10918-1, 10918-2

l PNG, GIF, BMP, TIFF 등

u

동영상

l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SO 11172

l AVI, MOV, WMF 등

u

사운드

l MP3, WAV, AIFF, AU, MIDI

u

그래픽

l 그래픽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CGM, GKS, PHIGS

l OpenGL : Silicon Graphics사가 만든 산업체 표준

u

정지화상

l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ISO 10918-1, 10918-2

l PNG, GIF, BMP, TIFF 등

u

동영상

l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SO 11172

l AVI, MOV, WMF 등

u

사운드

l MP3, WAV, AIFF, AU, MIDI

(28)

문서 및 기타 표준

u

문서관련 표준

l ODA(Open Document Architecture) - ISO 8613

l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ISO 8879

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W3C

l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W3C

l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u

방송

l ATSC-DASE, DVB-MHP, DMB

u

가상현실

u

문서관련 표준

l ODA(Open Document Architecture) - ISO 8613

l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ISO 8879

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W3C

l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W3C

l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u

방송

l ATSC-DASE, DVB-MHP, DMB

u

가상현실

(29)

u

웹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

l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지원

l HTML로 작성된 웹 페이지 보기, 네비게이션, 편집 등

u

플러그인

l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생함으로써 브라우저의 기능을 확장 시켜 주는 프로그램

l 저장 포맷에 따라 상이한 플러그인을 사용

u

웹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

l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지원

l HTML로 작성된 웹 페이지 보기, 네비게이션, 편집 등

u

플러그인

l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생함으로써 브라우저의 기능을 확장 시켜 주는 프로그램

l 저장 포맷에 따라 상이한 플러그인을 사용

(30)

u

플러그인의 종류

l 애니메이션(Animation)

§ Macromedia사의 Flash

l 비디오(Video)

§ QuickTime Mov, RealOne Player, Windows Media Player

l 이미지/그래픽(Image/Graphics)

§ Adobe SVG viewer, CMX viewer, Quicktime 3D

l 사운드(Sound)

§ Winamp, RealAudio, Windows Media Player

l 문서(Document)

u

플러그인의 종류

l 애니메이션(Animation)

§ Macromedia사의 Flash

l 비디오(Video)

§ QuickTime Mov, RealOne Player, Windows Media Player

l 이미지/그래픽(Image/Graphics)

§ Adobe SVG viewer, CMX viewer, Quicktime 3D

l 사운드(Sound)

§ Winamp, RealAudio, Windows Media Player

l 문서(Document)

(31)

u

CD-ROM 타이틀

u

프리젠테이션

u

웹페이지

u

가상현실

u

멀티미디어 서비스

u

CD-ROM 타이틀

u

프리젠테이션

u

웹페이지

u

가상현실

u

멀티미디어 서비스

(32)

CD-ROM 타이틀

u

멀티미디어 타이틀과 유사어

l 650MB 용량의 CD-ROM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트

u

CD-ROM 타이틀의 장점

l 책에서 제공할 수 없는 애니메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정보를 제공

l CD 내의 정보를 하이퍼링크/키워드 검색으로 신속하게 검색 가능

l 수백 권의 책에 해당하는 정보를 CD-ROM에 저장 가능

l 일단 마스터 CD가 완성되면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제작 가능

u

광범위한 응용분야

u

멀티미디어 타이틀과 유사어

l 650MB 용량의 CD-ROM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트

u

CD-ROM 타이틀의 장점

l 책에서 제공할 수 없는 애니메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정보를 제공

l CD 내의 정보를 하이퍼링크/키워드 검색으로 신속하게 검색 가능

l 수백 권의 책에 해당하는 정보를 CD-ROM에 저장 가능

l 일단 마스터 CD가 완성되면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제작 가능

u

광범위한 응용분야

(33)

프리젠테이션

u

정보전달효과 증대

l 슬라이드에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전달, 홍보 및 전시 효과 증대

u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

l Microsoft사의 PowerPoint,

l Macromedia사의 Director, Flash 등

u

정보전달효과 증대

l 슬라이드에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전달, 홍보 및 전시 효과 증대

u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

l Microsoft사의 PowerPoint,

l Macromedia사의 Director, Flash 등

(34)

웹 환경 , 모바일 환경

u

웹 환경의 발전

l 웹의 기능이 확장되면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웹 상에서 구현

l 사운드, 미디(MIDI),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러그인으로 재생

l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에 송수신

u

모바일 환경

l 벨소리, 통화대기음

l VOD, 모바일TV, 화상전화

l 카메라폰, 캐릭터, 2D/3D 그래픽스

u

웹 환경의 발전

l 웹의 기능이 확장되면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웹 상에서 구현

l 사운드, 미디(MIDI),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러그인으로 재생

l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에 송수신

u

모바일 환경

l 벨소리, 통화대기음

l VOD, 모바일TV, 화상전화

l 카메라폰, 캐릭터, 2D/3D 그래픽스

(35)

가상현실

u

유형

l 몰입형 가상현실에서는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킴

l 데스크탑 가상현실에서는 마우스 등으로 사이버스페이스내의 물 체를 이동시킴

u

인터페이스

l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사람의 감각기관(눈, 손 등)으로부터 정보 를 감지하여 공간내에 이의 대응감각을 표현하기도 함

u

유형

l 몰입형 가상현실에서는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킴

l 데스크탑 가상현실에서는 마우스 등으로 사이버스페이스내의 물 체를 이동시킴

u

인터페이스

l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사람의 감각기관(눈, 손 등)으로부터 정보 를 감지하여 공간내에 이의 대응감각을 표현하기도 함

(36)

멀티미디어 서비스

u

서버형 서비스

l 클라이언트-서버 모델(Client-Server Model) 개념에 기반

§ 대용량의 고성능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관리, 제공

§ 방대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므로 초고속 정보통신망 필요

l VOD(Video on Demand), 전자도서관, 비디오 우편 등

u

그룹 통신형 서비스

l 회사나 기관 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호대화 형태로 송수신

§ 고속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은 필수

l 원격강의, 다자간 전화, 다자간 게임, 화상회의 등

u

서버형 서비스

l 클라이언트-서버 모델(Client-Server Model) 개념에 기반

§ 대용량의 고성능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관리, 제공

§ 방대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므로 초고속 정보통신망 필요

l VOD(Video on Demand), 전자도서관, 비디오 우편 등

u

그룹 통신형 서비스

l 회사나 기관 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호대화 형태로 송수신

§ 고속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은 필수

l 원격강의, 다자간 전화, 다자간 게임, 화상회의 등

Referensi

Dokumen terkait

The next step is to identify the risk agent. The risk agent is a factor that triggers the emergence of risk events so that by carrying out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