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 KMOU Reposito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 KMOU Repository"

Copied!
140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3)

- ii -

을 의 으로 함

本 論文 曺振滿 經濟學博士 學位論文 認准

인 ( )

委員長 羅 昊 洙

인 ( )

委 員 鄭 鴻 悅

인 ( )

委 員 趙 誠 烈

인 ( )

委 員 兪 昌 根

인 ( )

委 員 兪 日 善

2011年 6月

韓國海洋大學敎 大學院 貿 易 學 科

曺 振 滿

(4)

- iii -

< 目 次 >

제 Ⅰ 장 序 論 ··· 1

제 절1 硏究背景과 目的 ··· 1

제 Ⅱ 장 先行 文獻硏究 ··· 6

제 Ⅲ 장 釜山 經濟現況 과 産業構造 ··· 14

제 절1 釜山經濟의 發展過程 ··· 14

제 절2 釜山經濟 成長의 特徵 ··· 17

전국 비중의 추세적 하락 1) GRDP ··· 17

탈공업화 가속과 고용창출력 약화 2) ··· 20

부산경제의 탈공업화 현황 3) ··· 21

산업기술인력 부족 심화 4) ··· 25

서비스업 성장률 하락 5) ··· 27

총요소 생산성 6) ··· 29

제 절3 釜山의 貿易現況과 産業構造 ··· 33

제 절4 釜山港 現況과 發展戰略 ··· 39

부산항 개관 1) ··· 39

부산항 시설 현황 2) ··· 42

부산항의 항만 물동량 추이 3) ··· 45

(5)

- iv - 부산항의 미래 성장전략

4) ··· 49

제 절5 釜山地域 外國人 直接投資 現況 ··· 51

외국인 직접투자의 개념과 절차 1) ··· 51

외국인 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2) ··· 53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 3) ··· 56

제 Ⅳ 장 仁川 經濟現況 과 産業構造 ··· 61

제 절1 仁川經濟의 槪觀 ··· 61

제 절2 仁川의 産業構造 變化 ··· 62

인천 산업단지 현황 1) ··· 62

인천의 산업구조 2) ··· 65

인천지역 와 고용시장 흐름 3) GRDP ··· 67

산업기술인력 실태 4) ··· 67

제 절3 仁川의 輸出動向과 特徵 ··· 69

제 절4 仁川의 外國人 直接投資 動向 ··· 73

제 절5 仁川港 現況과 發展戰略 ··· 75

인천항 시설 개요 1) ··· 75

인천항의 항만 물동량 분석과 추이 2) ··· 78

인천항의 미래 성장전략 3) ··· 81

(6)

- v -

제 Ⅴ 장 推定模型 과 實證分析 ··· 83

제 절1 相關關係 分析 ··· 83

제 절2 模型의 適合度 檢定 ··· 86

단위근 검정

1) ··· 86 공적분 검정

2) ··· 91

오차수정모형 의 추정

3) (ECM) ··· 93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4) (Granger) ··· 94

제 절3 推定模型 ··· 96

제 절4 釜山地域 實證分析 結果 및 解釋 ··· 100

수출의 고용효과 추정 및 해석

) ··· 100 의 고용효과 추정 및 해석

2) FDI ··· 104

제 절5 仁川地域 推定模型과 實證分析 ··· 108

상관관계 분석

) ··· 108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2) ··· 111 인천지역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3) ··· 112 수출의 고용효과 추정 및 해석

4) ··· 112 의 고용효과 추정 및 해석

5) FDI ··· 114

제 절6 釜山과 仁川의 實證分析 比較 ··· 117

제 Ⅵ 장 結論 과 示唆點 ··· 119

(7)

- vi -

參考文獻 ··· 121

국내 문헌 .

Ⅰ ··· 121 보고서 웹사이트

. ,

Ⅱ ··· 124 외국 문헌

.

Ⅲ ··· 126

(8)

- vii -

< 表 目次 >

표 수출 와 고용 성장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 요약

< 2-1> , FDI , ··· 13

표 부산의 지역총생산 및 추이

< 3-1> (GRDP) GDP ··· 18

표 지역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추이

< 3-2> ··· 32

표 부산과 전국의 수출실적 추이

< 3-3> ··· 34

표 부산의 산업구조별 수출실적

< 3-4> ··· 36

표 부산지역 주요 품목 수출실적

< 3-5> ··· 37

표 한국의 대표 수출상품 변화 추이

< 3-6> ··· 38

표 부산 북항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현황

< 3-7> ··· 43

표 부산 신항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 현황

< 3-8> ··· 44

표 부산항 환적화물 국가별 처리실적

< 3-9> ··· 47

표 부산항 컨테이너 서비스 현황

< 3-10> ··· 48

표 부산항 컨테이너 총 물동량 추이

< 3-11> ··· 49

표 부산 신항 개발계획

< 3-12> ··· 50

표 외국인 직접투자 실적 추이

< 3-13> ··· 56

표 투자 형태별 외국인 직접투자 실적 한국

< 3-14> ( ) ··· 59

표 인천 국가산업단지 현황

< 4-1> ··· 63

표 인천 일반산업단지 현황

< 4-2> ··· 64

표 인천지역 산업구조 현황 기준

< 4-3> (GRDP ) ··· 65

표 인천지역 산업구조 현황 취업자 기준

< 4-4> ( ) ··· 66

표 인천의 주요 경제지표 종합

< 4-5> ··· 69

표 인천의 산업구조별 수출실적

< 4-6> ··· 71

표 인천의 주요 품목별 수출현황

< 4-7> ··· 72

표 인천 경제자유구역 개발 계획

< 4-8> ··· 74

표 인천항 항만시설 현황 북항

< 4-9> ( ) ··· 77

표 인천항 항만시설 현황 내항

< 4-10> ( ) ··· 77

표 인천항 항만시설 현황 남항

< 4-11> ( ) ··· 77

표 인천 신항 연차별 개발 계획

< 4-12> ··· 81

(9)

- viii -

표 부산지역 상관관계 분석결과 취업자 수출

< 5-1> ( - ) ··· 84

표 부산지역 상관관계 분석결과 취업자

< 5-2> ( - FDI) ··· 85

표 단위근 검정결과 부산

< 5-3> ( ) ··· 89

표 단위근 검정결과 인천

< 5-4> ( ) ··· 90

표 공적분 검정결과 부산

< 5-5> ( ) ··· 92

표 공적분 검정결과 인천

< 5-6> ( ) ··· 92

표 오차수정모형 추정결과 모형

< 5-7> (ECM) ( 2) ··· 93

표 오차수정모형 추정결과 모형

< 5-8> (ECM) ( 3) ··· 94

표 부산의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결과

< 5-9> ··· 96

표 부산지역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수출

< 5-10> - ··· 106

표 부산지역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 5-11> -FDI ··· 107

표 인천지역 상관관계 분석결과 취업자 수출

< 5-12> ( - ) ··· 109

표 인천지역 상관관계 분석결과 취업자

< 5-13> ( -FDI) ··· 109

표 인천의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결과

< 5-14> ··· 111

표 인천지역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수출

< 5-15> - ··· 115

표 인천지역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 5-16> -FDI ··· 116

(10)

- ix -

그림

< 目次 >

그림 부산과 전국의 실질 경제성장률 추이

< 3-1> ··· 16

그림 부산지역 산업별 취업자 비중

< 3-2> ··· 22

그림 인당 소득과 실질생산 비중

< 3-3> 1 ··· 24

그림 부산과 서울지역 산업기술인력 전국 비중 추이

< 3-4> ··· 25

그림 부산과 전국 실업률 추이

< 3-5> ··· 26

그림 부산지역 제조업 사업체수 추이

< 3-6> ··· 27

그림 부산지역 의 내수 및 수출비중 추이

< 3-7> GRDP ··· 29

그림 총요소 생산성의 개념

< 3-8> ··· 31

그림 부산지역 전국 대비 수출비중 추이

< 3-9> ··· 35

그림 부산항 환적화물 처리량 추이

< 3-10> ··· 45

그림 국내 항만별 컨테이너 화물 처리비율

< 3-11> ··· 46

그림 외국인 직접투자 흐름

< 3-12> ··· 53

그림 외국인 직접투자 효과

< 3-13> ··· 54

그림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개발 계획도

< 3-14> ··· 58

그림 인천과 서울 경기도 산업기술인력 전국 비중

< 4-1> , ··· 68

그림 인천지역 수출액 취업자 추이

< 4-2> , ··· 70

그림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 4-3> ··· 78

그림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 지역별 발생 분포

< 4-4> ··· 79

그림 지역총생산 수출 산포도 부산

< 5-1> - ( ) ··· 85

그림 수출 취업자 산포도 부산

< 5-2> - ( ) ··· 86

그림 취업자 산포도 부산

< 5-3> FDI- ( ) ··· 86

그림 지역총생산 수출 산포도 인천

< 5-4> - ( ) ··· 110

그림 수출 취업자 산포도 인천

< 5-5> - ( ) ··· 110

그림 취업자 산포도 인천

< 5-6> FDI- ( ) ··· 110

(11)

- x -

Abstract

The Effect of Expor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Employment Growth in Busan and Incheon

Jin Man Cho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Busan and Incheon are the second or the third largest city in the economic volume and population level basis in Korea. These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as export city and one of the biggest ports in the northeast Asia.

This paper aims at doing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expor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on employment growth and at explaining what happens to two areas by comparing the results.

When it comes to the empirical analysis, I apply three kinds of the metho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Granger casuality test and multi-regression model. The estimated equations for the multi-regression model is derived from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data over the period 1991-2009 is obtained from several sources including regional statistics yearbook.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paper come from the three parts-the empirical results from Busan, the empirical ones from Incheon and the comparison of two city's results.

The results of estimation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estimation show that employment growth in Busan has been influenced by domestic growth more than by export and also by FDI more than by export. S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job

(12)

- xi -

creation of FDI is superior to that of export.

In case of Busan, estimated export coefficient has surprisingly negative sign on employment. This result is due to the de-industrialization that become widespread fast in Busan economy since 1990 as is often the case in Korea economy as well as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Japan, etc.

It is recognized the fact that Busan economy is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toward service industry like Incheon economy. This changes in intra-economy seem to substantially influence the effect of export on employment.

The next result is the effect of FDI on employment.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FDI is positive sign of 0.0087. It indicates that when FDI rise 1%, employment is 0.0087% increasing in Busan. FDI has influenced on improving employment.

When it comes to the employment policy in Busan, It is judged that Busan city should focus on implementing the policies which enhance the investment for the domestic growth just like FDI rather than which encourages the export.

Afterwards, although Incheon economy is also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toward service industry, the estimated coefficient on the effect of export on employment turns out to be positive sign contrary to Busan case. Subsequently, it is shown that the export can be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 of employment growth and then of regional economy growth through increasing export in Inche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s noted above, even though Incheon economy entered into the stage of de-industrialization at employment level, the effect of real output. export volume on employment outgoes almost twice than that of Busan city.

As for FDI,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FDI records 0.0018. Another important factor, FDI has influenced employment growth more than export.

In other words, because the presence of FDI is affecting employment

(13)

- xii -

growth confirmatively, it is a good ways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Accordingly, Incheon city should concentrate on implementing the policies which help attract the FDI more than export.

To conclude, based upon the estimated results of two cities, I reach the conclusion in terms of the policy that Busan should focus on FDI more than export and Incheon should do on export and FDI at the same time to improve employment.

Providing that this paper has the objective of estimating how export and FDI have impact on employment in Busan and Incheon, there is a lot of limitation due to short of time series data in regional econom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hat available time series data in relation of regional economy should be collected and arranged by the city authorities. Then more and better researches which help improve the local governments will be done on analyzing the regional economies.

(14)

- 1 - 2)

(15)

- 2 - 3)

(16)

- 3 -

(17)

- 4 -

(18)

- 5 -

(19)

- 6 -

(20)

- 7 -

(21)

- 8 -

(22)

- 9 -

(23)

- 10 -

(24)

- 11 -

(25)

- 12 -

(26)

- 13 -

(27)

- 14 -

(28)

- 15 -

(29)

- 16 -

(30)

- 17 -

(31)

- 18 -

연도 GRDP(백만 원) 증감률(%) GDP(억 원) 부산 총생산의 전국 비중(%)

1990 26,550,779 10.3 1,913,828 13.87

1991 28,431,388 7.3 2,314,282 12.30

1992 29,565,533 3.8 2,639,932 11.19

1993 30,786,220 4.1 2,987,616 10.30

1994 33,441,203 8.6 3,499,726 9.55

1995 37,323,586 11.6 4,096,536 9.11

1996 39,225,431 5.1 4,609,526 8.50

1997 39,205,797 -0.01 5,063,136 7.74 1998 34,277,426 -12.6 5,010,272 6.84

1999 37,193,107 8.5 5,490,050 6.77

2000 39,276,954 5.6 6,032,360 6.51

2001 41,980,196 6.9 6,514,153 6.44

2002 44,716,153 6.5 7,205,390 6.20

2003 46,712,833 4.5 7,671,137 6.08

2004 46,719,868 0.6 8,268,927 5.65

2005 48,068,574 4.1 8,652,409 5.55

2006 49,726,044 5.1 9,087,438 5.47

2007 52,097,835 5.6 9,750,130 5.34

2008 52,739,397 1.2 10,264,518 5.13

2009 51,802,174 -1.8 10,630,591 4.87

(32)

- 19 -

        

(33)

- 20 -

실질

수출에 의한 실질 부가가치 유발액

× 

(34)

- 21 -

(35)

- 22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91 93 95 98 2000 2003 2005 2007 2009 연도

비중 (%) 서비스

광업 제조업

(36)

- 23 -

(37)

- 24 - 인당 소득 1

실질생산

가설

고용 제

조 업 비 중

(38)

- 25 -

(39)

- 26 -

(40)

- 27 -

(41)

- 28 -

(42)

- 29 -

(43)

- 30 -

  

(44)

- 31 - 총요소생산성은 

∙

 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



 



  



   



자본 (K)

0 

(45)

- 32 -

(46)

- 33 -

(47)

- 34 -

연도 부산 전국 부산의

전국비중 연도 부산 전국 부산의

전국비중

1970 220 835 21.8 1990 7805 65015 12.0

1971 309 1068 22.8 1991 7355 71870 10.2

1972 474 1624 26.3 1992 6679 76631 8.7

1973 791 3257 24.3 1993 6864 82235 8.3

1974 1052 4713 22.3 1994 6058 96013 6.3 1975 1223 5801 21.1 1995 6463 125057 5.2 1976 1803 7715 23.4 1996 6227 129715 4.8 1977 2172 10046 21.6 1997 5949 136164 4.4 1978 2645 12711 20.8 1998 5084 132313 3.8 1979 2914 15055 19.4 1999 5145 143685 3.6 1980 3183 17505 18.2 2000 4835 172268 2.8 1981 3506 21254 16.5 2001 4567 150439 3.0 1982 3477 21853 15.9 2002 4836 162470 3.0 1983 3765 24445 15.4 2003 4844 193817 2.5 1984 3981 29245 13.6 2004 6434 253844 2.5 1985 4087 30283 13.5 2005 6763 284418 2.4 1986 4717 34714 13.6 2006 8090 325464 2.5 1987 6338 47281 13.4 2007 10160 371489 2.7 1988 8575 60696 14.1 2008 12860 422007 3.0 1989 7524 62377 12.1 2009 9497 363533 2.6

(48)

- 35 -

(49)

- 36 -

(50)

- 37 -

(51)

- 38 -

(52)

- 39 -

부산항 개관

1)

(53)

- 40 -

(54)

- 41 -

(55)

- 42 -

(56)

- 43 -

표 부산 북항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현황

< 3-7>

(57)

- 44 -

표 부산 신항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

< 3-8>

(58)

- 45 -

부산항의 항만물동량 추이 3)

그림 부산항 환적화물 처리량 추이

< 3-10>

(59)

- 46 -

그림 국내 항만별 컨테이너 화물처리 비율

< 3-1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993 1997 1999 2000 2003 2005 2006 2007 2009

부산 광양 인천

(60)

- 47 -

표 부산항 환적화물 국가별 처리실적

< 3-9> 단위 천: TEU, 전년대비(%)

(61)

- 48 -

(62)

- 49 -

연도 총계 수입 수출 환적 총 물동량

증감률 1993 3,070,681 1,274,737 1,532,629 263,315

1994 3,878,208 1,537,130 1,694,427 594,008 24.5 1995 4,562,387 1,749,880 1,893,418 859,298 17.6 1996 4,843,981 1,838,164 1,980,991 941,351 6.2 1997 5,332,744 1,992,846 2,136,207 1,104,827 10.1 1998 5,892,168 2,153,775 2,385,316 1,213,864 10.5 1999 6,439,589 2,271,997 2,406,194 1,632,473 9.3 2000 7,540,387 2,483,753 2,551,162 2,389,956 17.1 2001 8,072,814 2,496,764 2,513,877 2,942,983 7.1 2002 9,453,356 2,729,332 2,792,399 3,887,457 17.1 2003 10,407,809 3,029,202 3,005,983 4,251,076 10.1 2004 11,491,968 3,391,972 3,367,534 4,792,462 10.4 2005 11,843,151 3,309,202 3,270,036 5,178,798 3.0 2006 12,038,786 3,429,141 3,374,042 5,207,731 1.6 2007 13,261,484 3,752,747 3,691,003 5,811,167 10.1 2008 13,452,786 3,853,127 3,784,946 5,807,848 1.4 2009 11,980,325 3,266,708 3,302,018 5,372,485 -10.9

(63)

- 50 -

(64)

- 51 -

(65)

- 52 -

(66)

- 53 -

외국인 투자신고

외국환은행 Invest KOREA(KOTRA),

투자자금 송금

외국환은행 세관휴대 반입

( , )

법인설립신고 및 사업자 등록

본점 소재지 관할 세무서

( )

법인설립 등기

법원 등기소

( )

납입자본금 법인계좌 이체

외국환 은행

( )

외국인 투자기업 등록

최초 신고기관

( )

(67)

- 54 -

● ●



(68)

- 55 -

(69)

- 56 -

연도 전 국 부 산

금액 천 달러( ) 증감률(%) 금액 천 달러( ) 증감률(%)

1991 1,395,996 15,116

1992 894,505 -36.0 5,098 -66.27

1993 1,044,274 16.7 3,228 -36.68

1994 1,316,505 26.0 10,790 234.26

1995 1,970,429 49.7 26,064 141.56

1996 3,205,479 62.7 65,641 151.85

1997 6,971,138 117.5 339,489 417.19

1998 8,857,995 27 97,382 -71.32

1999 15,544,618 75.4 100,829 3.54

2000 15,264,880 -2.1 485,000 381.01

2001 11,287,625 -26.0 411,000 -15.26

2002 9,095,332 -19.4 253,000 -38.44

2003 6,470,545 -28.9 77,680 -68.90

2004 12,795,594 97.7 128,320 63.09

2005 11,565,528 -9.6 300,500 134.18

2006 11,247,441 -2.8 343,000 14.14

2007 10,515,625 -6.5 403,000 17.49

2008 11,711,804 11.3 193,000 -52.11

2009 11,484,178 -1.9 155,000 -19.69

(70)

- 57 -

(71)

- 58 -

(72)

- 59 - 년

1999

투자 형태

Greenfield M&A

건수 1,835 건수 269

금액 10,394,793 금액 5,149,825

비중 66.9 비중 33.1

년 2002

건수 2,126 건수 285

금액 7,010,695 금액 2,084,637

비중 77.1 비중 22.9

년 2007

건수 3,216 건수 344

금액 8,032,623 금액 2,483,002

비중 76.4 비중 23.6

(73)

- 60 -

(74)

- 61 -

(75)

- 62 -

(76)

- 63 -

(77)

- 64 -

(78)

- 65 -

(79)

- 66 -

(80)

- 67 -

(81)

- 68 -

(82)

- 69 -

(83)

- 70 -

(84)

- 71 -

(85)

- 72 -

(86)

- 73 -

(87)

- 74 -

(88)

- 75 -

(89)

- 76 -

(90)

- 77 -

(91)

- 78 -

(92)

- 79 -

(93)

- 80 -

(94)

- 81 -

(95)

- 82 -

당해연도 컨테이너 처리량 전년도 말 컨테이너 화물 처리능력

× 

(96)

- 83 -

(97)

- 84 -

   

   

   ≤  ≤    

(98)

- 85 -

(99)

- 86 - 단위근 검정

1) (unit root test)

(100)

- 87 -

(101)

- 88 -

  

    

    

    

  

∼ 

(102)

- 89 -

(103)

- 90 - 통계량

ADF -3.4571 1% 임계값 -4.53484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67457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Q 10% 임계값 -3.2761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ADF -2.0782 1% 임계값 -3.8302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0293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N 10% 임계값 -2.65519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DF -2.5571 1% 임계값 -3.8302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0293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FDI 10% 임계값 -2.65519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DF -1.7722 1% 임계값 -4.53484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67457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W/C 10% 임계값 -3.2761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DF -2.6407 1% 임계값 -4.53484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67457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DQ 10% 임계값 -3.2761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DF -1.9543 1% 임계값 -4.53484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67457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X 10% 임계값 -3.2761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DF -2.44789 1% 임계값 -4.53484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67457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XS 10% 임계값 -3.2761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통계량

ADF -1.1284 1% 임계값 -4.53484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임계값

5% -3.67457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ln FS 10% 임계값 -3.27616 귀무가설 채택 (= 불안정적)

(104)

- 9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 92 -

  

  

(106)

- 93 -

변수 계수 p-values

C -0.0102 -2.1305 0.0528

DWC -0.0409 -2.0029 0.0665

DLNDQ 0.3954 6.8103 0.0000

DLNX 0.0610 1.9343 0.0751

1.2420 4.8189 0.0003

Adj  0.8128 D.W 1.9566

19.4615 SIC -5.4384

(107)

- 94 -

변수 계수 p-values

C -0.0109 -2.0653 0.0594

DWC -0.0421 -1.8209 0.0917

DLNQ 0.4775 5.9732 0.0000

DXS -0.1180 -0.8058 0.4348

1.1482 4.2189 0.0009

Adj  0.7696 D.W 2.0281

15.2038 SIC -5.2308

(108)

- 9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 96 - 귀무가설

수준변수

F-Statistic 시차 Prob. 인관관 계 고용 ⇒ 내수생산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1.73866 2 0.2172 없음

내수생산 ⇒ 고용

내수생산은 고용에 영향을 주지 않음 3.03582*** 2 0.0857 있음

고용 ⇒ 수출

고용은 수출에 영향을 주지 않음 1.73458 2 0.2179 없음

수출 ⇒ 고용

수출은 고용에 영향을 주지 않음 2.24155 2 0.1489 없음

FDI ⇒ 고용

는 고용에 영향을 주지 않음

FDI 1.16139 2 0.3459 없음

고용 ⇒ FDI

고용은 FDI에 영향을 주지 않음 1.20675 2 0.3330 없음

 

 

 

 

(110)

- 9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 9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 9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3)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 101 -

    

 

(115)

- 102 -

   

128)

(116)

- 103 -

(117)

- 104 -

(118)

- 105 -

(119)

- 106 -

종속변수(lnN) 변수명 (식 5-5)

차분변수

( 5-6) (식 5-8)

수준변수 ECM 수준변수 ECM

상수항 -0.0108 (0.0997)*

4.3323 (0.0120)**

-0.0056 (0.1528)

3.2095 (0.2212)

-0.0140 (0.0055)*

ln w/c -0.0357 (0.2285)**

-0.0543 (0.0174)**

-0.0435 (0.0501)*

-0.0458 (0.0704)*

-0.0421 (0.0917)*

ln Q 0.4524 (0.0006)***

0.3750 (0.0003)***

0.3986 (0.0002)***

ln DQ 0.3429

(0.0000)***

0.3251 (0.0000)***

ln XS -0.3421

(0.0504)*

-0.0840 (0.5083)

ln X -0.0016

(0.0907)*

0.0404 (0.0743)*

T -0.0038

(0.1525)

-0.0063 (0.2094) BXR

잔차항

( )

1.3176 (0.0002)***

1.3296 (0.0003)***

D.W 2.7594 2.6704 1.8221 2.6027 2.0918 Adj  0.5045 0.7515 0.8131 0.7576 0.8143 SIC -4.6427 -5.2698 -5.4399 -5.2944 -5.3387

F 9.6552 14.6156 19.4964 15.0662 20.4718

(120)

- 107 -

(121)

- 108 -

(122)

- 109 -

(123)

- 110 -

(124)

- 111 - 귀무가설

수준변수

F-Statistic 시차 Prob. 인과 관계

고용 ⇒ 내수생산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3.04388*** 2 0.0853 있음

내수생산 ⇒ 고용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3.56123*** 2 0.0611 있음

고용 ⇒ 수출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0.74608 2 0.7503 없음

수출 ⇒ 고용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0.29421 2 0.7503 없음

FDI ⇒ 고용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0.29068 2 0.7529 없음

고용 ⇒ FDI

고용은 내수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음

( ) 0.47835 2 0.6311 없음

(125)

- 112 -

(126)

- 113 -

(127)

- 114 -

(128)

- 115 -

(129)

- 116 -

(130)

- 117 -

(131)

- 118 -

(132)

- 119 -

(133)

- 120 -

(134)

- 121 -

(135)

- 122 -

(136)

- 123 -

(137)

- 124 -

(138)

- 125 -

(139)

- 126 -

(140)

- 127 -

Gambar

표 부산 신항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
그림 부산항 환적화물 처리량 추이
그림 국내 항만별 컨테이너 화물처리 비율
표 부산항 환적화물 국가별 처리실적

Referensi

Dokumen terkait

ID 3081127 Domeniul de măsură 0…300 °C Domeniul temperaturilor de funcţionare -4…158 °F Setare din fabrică -20…280 °C -4…536 °F Timp de răspuns 75 ms Tensiune de alimentare 12…30

Research purposes: Describe the most popular Indonesian language tactics employed in the online learning process in Indonesia, describe how the teacher has implemented Indones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