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 공모요강
■ 공모전 개요
❍ 사업대상 : 기성작가를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만화 창작자
❍ 공모부문 : 단편만화 및 카툰, 스토리
❍ 공모내용 : 예술적 또는 산업적 측면에서 한국 만화의 새로운 발전과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내용
❍ 접수기간 : 2015년 7월 13일(월) ~ 7월 20일(월)
❍ 시상내역 : 전체 대상 1명(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포함 총 7명 선정
부 문 상 금 수상자
전 체 대 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800만원 1명
단편 부문
최우수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장상) 500만원 1명 우 수 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원장상) 300만원 1명
카툰 부문
최우수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장상) 500만원 1명 우 수 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원장상) 300만원 1명
스토리 부문
최우수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장상) 500만원 1명 우 수 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원장상) 300만원 1명
❍ 주 최 : 한국만화영상진흥원
❍ 협 찬 : KT(KT올레마켓웹툰)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 공모전 세부사항 ❍ 수상자 특전
- 수상자 수상작품집 제작 - 수상작품 게재
※ 세부사항은 협찬사와 협의 후 결정
-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 기간 중 수상작품 전시 -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수상작품 소개
❍ 공모 작품 규격
모집부문 규 격 원고분량 비고
단편만화 A4(210×297mm)
~ A3(297×420mm) 30p 내외 1. 기 발표 작품 제외 2. 모작 또는 패러디
제외
3. 기타 저작권 관련 법규 위반 작품 제외
카툰
(1컷 또는 4컷) A4(210×297mm) 5점 이상 스토리
(시놉시스, 콘티로 접수)
A4(210×297mm)
- 콘티: 30P 내외 - 시나리오: 10~15P
(택 1하여 진행)
❍ 제출물
- 공모전 신청서 1부
※ 2부문 작품 출품 시 각 부문 당 1부씩 별도 제출
- 작품원고(해상도 300dpi 이상)
- 제출형태 : 신청서와 작품원고를 하나의 압축파일로 제출
※ 파일명은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_이름_신청일.zip’의 형태로 함.
예) 대한민국창작만화공모전_홍길동_20150713.zip
❍ 작품접수
- 접수기간 : 2015년 7월 13일(월) 14:00 ~ 7월 20일(월) 18:00까지 - 접수방법 : 통합사업관리시스템(http://pms.komacon.kr/main/main.do)
을 통한 접수
※접수마감 시간에 시스템이 자동 종료되므로 마감 전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작품 접수 방법 안내
① 통합사업관리시스템(http://pms.komacon.kr/main/main.do) 접속
②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비회원은 회원가입 후 진행) 후 사업내용 확인 및 접수 진행
③ 사업공고화면에서 과제신청버튼을 선택하여 내용 작성, 신청서 및 첨부자료 업로드
※ 접수 기간 중에는 서류를 접수 후에도 수정이 가능함.
※ 공고 마감 기한까지 신청서 작성 및 파일업로드 미완료 시 접수 취소됨.
- 문 의 처 : Tel. 032-310-3052 / Fax. 032-661-3747
❍ 심사 및 심사결과 발표
- 심사방법 : 해당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 의한 심사 - 심사기준 및 배점(안)
심사기준 완결성 대중성 독창성 확대성
배점 25 25 25 25
※ 1. 심사기준 및 배점은 심사위원간 협의를 통하여 조정
2.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평균점수를 최종점수로 하여 최종점수가 최고 점인 작품을 수상작품으로 함.
3.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심사위원간 협의하여 순위를 결정함.
- 심사발표 : 2015년 7월 29일(수), (재)한국만화영상진흥원 홈페이지
❍ 시상
- 시상식 : 2015년 8월 16일(일) 17:00 ~ 20:30(예정)
- 장 소 : 한국만화박물관 1층 상영관(2015 부천국제만화축제 폐막식장)
❍ 기타
- 타 공모전 수상작품은 출품할 수 없으며, 참가 작품이 국내외 기존 작 품을 표절, 도용 및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한 것으 로 판명될 시 수상무효 처분을 받을 수 있으며, 시상금을 반환함.
- 모든 수상작품의 저작권은 작가에게 있으며, 진흥원은 수상작품에 한 하여 디지털 파일을 활용한 비상업적 전시 또는 출판을 할 수 있음.
위와 같이 공고함.
2015. 6. 18.
재단법인 한국만화영상진흥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