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14-30호 주요 단신 현안 분석 주간 포커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제14-30호 주요 단신 현안 분석 주간 포커스"

Copied!
64
0
0

Teks penuh

(1)

제14-30호 2014. 8. 29

주요 단신 현안 분석

주간 포커스

셰일 혁명 이후 미국 정유산업 변화와 권역별 전망

중동 산유국의 에너지산업 현황 및 전망

경제산업성, 원자력으로 생산된 전력에 일정 가격 설정 방침 South Stream Bulgaria社, South Stream 가스관 부설 전면 중단 멕시코-미국, 원유 교환 방식의 교역 추진 계획

쿠르드, 외국기업에 첫 원유 공식판매 및 미 지방법원으로부터 우호적인 판결 모잠비크 의회, 석유법 개정안 통과

(2)

현안 분석

주간 포커스

주요 단신

제14-30호

2014. 8. 29

셰일 혁명 이후 미국 정유산업 변화와 권역별 전망 p.3

중동 산유국의 에너지산업 현황 및 전망 p.19

중국

∙ 중국, 몽골과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중국, 중앙아시아 가스관 D라인 공동건설 등 우즈베키스탄과 에너지 협력 강화

CNPC, 이라크 Halfaya 유전 2단계 프로젝트 생산 개시

중국, 3세대 원자로 ‘화룽1호’ 심사통과

p.31

일본

도쿄전력, ’22년도부터 셰일가스전용 발전소 가동 계획

경제산업성, 원자력으로 생산된 전력에 일정 가격 설정 방침

일본, ’13년도 신규 발전사업자 전년대비 2.2배 증가

도쿄전력, 올 10월부터 최초로 기존 공급지역 외 전력 공급 시작

p.34

러시아 중앙아시아

Rosneft, 노르웨이 시추기업 NADL 지분 30% 매입 예정

Rosneft-Vitol, 선불제 원유공급 장기계약 중단

Gazprom, Rosneft에 사할린-II 가스관 접근 허가

∙ South Stream Bulgaria社, South Stream 가스관 부설 전면 중단

p.37

북미

ExxonMobil社, 미국 멕시코 만에서 에탄크래커 설비 건설 착수

미 환경청, 예산관리국에 바이오연료 의무첨가량 기준 최종안 제출

캐나다 Vancouver, Kinder Morgan社의 송유관 용량 증대에 반대

∙ Shell Canada社, ‘Quest CCS’ 프로젝트의 마지막 모듈 설치 완료

p.41

중남미

중남미 국가, 파이프라인을 통한 천연가스 수입 확대 전망

볼리비아, 외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한 원자력 개발 추진 발표

멕시코-미국, 원유 교환 방식의 교역 추진 계획

p.45

유럽

EU, 폴란드-리투아니아 가스 인터커넥터 건설비용 발트 3국이 분담 판결

독일 RWE社, 화력발전소 3개 폐쇄 계획 발표

영국, Aberthaw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여부 두고 EC와 대립

발칸국가, 겨울철 가스공급 부족 사태 우려

p.48

중동 아프리카

쿠르드, 외국기업에 첫 원유 공식판매 및 미 지방법원으로부터 우호적인 판결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해상 가스전 시설에 로켓 발사

모잠비크 의회, 석유법 개정안 통과

ExxonMobil, 남수단 석유개발 프로젝트에서 철수 발표

p.53

아시아 호주

인도네시아, 대통령-당선인 연료가격 인상 관련 합의도출 실패

인도, Punjab州에 2,000MW 규모의 태양에너지발전 프로젝트 계획 발표

베트남, NCS2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계획 가시화 예상

호주, 서부 연안에서 대형 유전 발견

p.57

(3)
(4)
(5)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3

3 셰일 혁명 이후 미국 정유산업 변화와 권역별 전망

해외정보분석실 이성규 연구위원([email protected]), 에너지국제협력본부 박아현([email protected]), 원형원([email protected])

미국 셰일 혁명으로 미국 정유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은 새로운 르네상스 시대를 맞고 있음.

국제유가보다 미국 내 유가가 낮은 관계로 정유기업들은 커다란 정제마진을 얻고 있음.

미국 5개 PADD 가운데 PADD-3(멕시코 만 지역), PADD-2(중서부지역), PADD-5(서부 연 안 지역), PADD-1(동부 연안 지역), PADD-4(로키산맥지역) 순으로 정제설비 용량이 큼.

셰일 자원이 많이 생산되는 PADD-3과 PADD-2의 원유가격이 국제유가보다 낮아서 이 들 지역 내 정제시설의 정제마진이 높게 나타났음.

미국 내 석유제품 소비의 감소세가 지속됨에 따라 셰일 자원 생산지역의 잉여 원유가 증대되었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PADD 간 이동이 활발히 이루어졌음. 그러나 수송시설 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경질원유를 처리할 수 있는 정제시설이 부족한 지역(PADD-1) 에서는 타 지역(PADD-3)으로부터의 석유제품 수입이 증가함.

향후 동부 연안 지역 주변의 셰일자원 지대(Marcellus)와 Bakken 지대에서 저렴한 셰 일 오일의 PADD-1로 공급이 증대되면, 동 지역의 정제마진은 증대될 것임. 그러나 철 도 수송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빨리 증가하게 되면 수익 실현은 불가능할 것임.

PADD-5(서부 연안 지역)에서는 캘리포니아와 워싱턴州에 충분한 정제용량을 갖추고 있음. 캘리포니아州의 정제시설은 캐나다산 중질원유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고도화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저탄소 연료기준 제도로 인해 캐나다산 원유의 유입이 제 한되고 있음.

그동안 PADD-3(멕시코 만 지역)은 PADD-2만큼 커다란 정제마진을 얻지 못했 지만, 신규 고도화 시설 및 파이프라인 건설로 경쟁력을 계속 향상시키고 있음.

석유제품의 해외수출 및 미국 내 타지역으로의 공급이 크게 증대되고 있음.

향후, 미국 전체적으로 정제용량은 크게 증대될 것이고, 정유기업과 석유화학기업들은 수출 증대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전망됨.

1. 셰일 혁명 이후 미국 정유산업 변화

ㅇ 2011년에 미국은 1949년 이후 62년 만에 석유 순수출국으로 되었으며, 셰일 혁명으로 미국 정유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은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고 있음.

- 셰일 자원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 원유·가스 가격에 비해 미국 내 가격 이 크게 낮아져서 정유기업들은 커다란 정제마진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정제제품의 수출 증대를 통해 막대한 외화수익도 얻고 있음.

- 또한 달러 약세 경향이 지속되어 수출 여건이 전반적으로 좋아졌으며, 원유 수출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어서 정유기업들은 잉여 원유를 석유제품 형태로 해외로 수출하고 있음.

- 미국 내에서는 자동차 연비 개선과 환경규제 강화로 휘발유 수요가 계속해서

“셰일오일 및 셰일가스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시장 대비 자국 내 원유·가스 가격이 낮아져 정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수출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

(6)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기업명 상압증류

시설용량(b/d) 정제 시설

위치 (PADD)

정제마진

2012년 2011년 2010년

1

Valero(global avg.)

1,863,300 13개 2,3,5

10.96 9.91 7.80

U.S. Gulf Coast 9.65 9.33 8.20

U.S.Mid-Continent 18.49 15.91 7.33

U.S. West Coast 8.84 9.11 7.73

2 ExxonMobil 1,855,600 6개 3,4,5 na na na

3

Phillips 66(global avg.)

1,594,000 9개 1,2,3,4, 5

13.42 9.70 7.38

U.S. Gulf Coast 9.02 8.01 7.24

U.S. Central Corridor 25.06 19.68 7.96

Western/Pacific 11.04 9.13 8.10

4

BP PLC(global avg.)

1,340,696 4개 2,3,5

15.00 11.60 10.00

U.S. West Coast 17.40 13.60 6.00

U.S. Gulf Coast 16.10 11.90 10.40

U.S. Midwest 10.30 9.00 8.80

5 Marathon 1,248,000 6개 2,3 10.45 7.75 2.81

< 미국 주요 정유기업의 정제마진 변화(2010~2012년) >

(단위: $/B)

감소하는 추세에 있음.

- 미국 내 경질원유의 생산 증가는 비슷한 성상의 서부아프리카 원유의 수입을 크게 감소시켰고, 또한 미국 내 석유 권역별(PADD) 경질원유 및 중질원유 의 이동에도 영향을 미쳤음.

・ 중서부지역에서 생산된 셰일 오일은 경질원유를 정제할 수 있는 중서부 지역 및 다른 대규모 소비지 내 정유공장으로 보내져야 하는데, 이때 수 송망이 잘 갖추어진 정유공장으로 공급될 것임.

・ 동부 연안 지역은 석유 수송망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기존 정제시 설들은 심하게 노후화되어 있음. 반면에 멕시코 만 지역은 수송망과 정 제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경질원유를 처리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 는 편임.

・ 결과적으로 셰일 오일 생산지와 정제시설까지 거리, 수송시설(파이프라 인, 철도, 선박 등) 발달 정도, 그리고 경질원유 처리 능력 등에 따라 석 유 권역별로 원유 가격이 차이를 보이고, 원유 공급과잉 현상도 나타나 고 있음.

ㅇ 미국 메이저 석유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중점 사업영역을 하류부문에서 상류부 문으로 옮겨 왔음. 일부 독립계기업은 메이저 기업으로부터 하류부문을 인수하 여 전문 정유기업 및 석유화학기업으로 성장한 성공 사례도 있음.

- Valero, Phillips 66, Marathon Petroleum 등이 메이저 모기업으로부터 분리 되어 하류부문에 특화해서 우량 정유 및 석유화학기업으로 성공한 기업들임.

ㅇ 2012년 현재 미국 정유산업 규모는 약 7,300억 달러로 추산됨.

“Valero, Phillips 66, Marathon Petroleum 등이 정유부문에 특화해서 성공한 기업들임”

(7)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5

5

6 Motiva 1,068,750 3개 3 na na na

7 Chevron 943,271 5개 3,4,5 520m* 300m 300m

8 PDV America 765,300 3개 2,3 na na na

9 Koch Industries 684,084 3개 2,3,5 na na na

10 Tesoro 673,800 7개 2,4,5 16.37 13.94 11.26

11 PBF Energy 502,200 3개 1,2 11.03 8.59 3.05

12 WRB Refining 479,000 2개 2,3 25.06 19.68 7.96

13 Holly Frontier 470,350 6개 2,3,4 24.89 20.64 8.79

14 Royal Dutch Shell 426,400 3개 3,5 na na na

15 Philadelphia Energy

Solutions 335,000 1개 1 na na na

16 Deer Park Refining 327,000 1개 3 na na na

17 Access Industries 258,616 1개 3 23.55 21.56 17.97

18

Alon Israel Oil Co.

231,500 3개 3,5

na na na

Big Spring, TX 23.50 20.89 7.64

Paramount, CA 2.36 -1.31 1.08

Krotz Springs, LA 8.30 3.05 2.24

19 Total SA 225,500 1개 3 na na na

20 Chalmette Refining 192,500 1개 3 na na na

*Chevron은 미국 내 석유제품 판매 관련 정제 마진 증가액(백만 달러) 자료 : 각사의 Annual Report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2. 미국 석유 권역별(PADD) 정유산업 현황

ㅇ 미국 에너지정보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은 에너지통계를 위한 목적으로 전체 지역을 5개의 PADD(Petroleum Administration for Defense Districts) 권역으로 구분함.

- 권역별로 상압증류 시설용량이 가장 큰 지역은 PADD 3(멕시코 만 지역, PADD 2(중서부 지역), PADD 5(서부 연안 지역), PADD 1(동부 연안 지역) 순임.

자료 : EIA

< 미국의 원유 지역 구분 >

“EIA는

에너지통계를 위한 목적으로 미국 전역을 PADD 1~5개 권역으로 구분”

(8)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PADD

정제시설 개수 상압증류 시설용량

합계 가동 중 정지

합계 가동중 정지중

1 11 10 1 1,362 1,330 32

2 27 26 1 4,063 3,776 287

3 56 56 0 9,664 9,274 390

4 17 17 0 672 672 0

5 32 30 2 3,210 2,811 399

전체 143 139 4 18,971 17,863 1,108

자료 : EIA

< 미국 PADD별 정제시설 수 및 상압증류시설 처리용량 >

(단위 : 천b/d(가동일 기준))

□ 중서부 지역(PADD-2)

ㅇ 미국 중서부지역에 위치한 정제시설들은 지난 10년간 자국 내에서 가장 높은 수익성을 보였음.

- 2004~2007년 동안 중서부 지역의 정제부문은 수요 급증으로 괄목할만한 발

전을 이루어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이득을 보았음.

- 이후 글로벌 경제위기 기간 동안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캐나다 및 노스다코 타州의 원유를 공급받는 지리적 특혜를 누림.

- Brent유와 WTI유 사이의 가격차이 현상은 2010년 말에 본격적으로 나타났음.

・ 캐나다 중질원유와 노스다코타州의 경질원유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 클라호마州 Cushing지역(Nymex WIT 선물가격이 결정되는 허브)에 재고 가 급증하게 되었음.

・ Brent유와 WCS(Western Canadian Select)유, 그리고 Brent유와 Bakken 유 사이의 가격 차이는 Brent-WTI 스프레드보다 더욱 불안정해져서 월간 가격 기준으로 각각 배럴당 55달러, 35달러만큼 높게 나타났음.

ㅇ 북미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 가격과 Brent유 간 가격 차이가 커질수록 중서부 지역 정제시설의 정제마진 역시 높게 나타났음.

- 미국 내 석유 소비가 2005년에 정점을 찍었음에도 불구하고 중서부지역 정 제시설들은 원유처리물량(crude run)과 증류용량(distillation capacity)을 증 대시킬 수 있었음.

- 반면, 미국 내 다른 지역, 특히 멕시코 만으로부터의 석유제품 유입은 감소하 였음. PADD-2 정제시설의 원유 처리물량은 2005~2013년 동안 338만b/d로 2% 증가한 반면, 정제 설비용량은 377만b/d로 5.6% 증가하였음.

“북미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 가격과 Brent유 간 가격 차이가 커질수록 중서부 지역 정제마진 역시 높게 나타남”

(9)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7

7

자료 : Energy Intelligence, EIA

< PADD-2의 정제시설, 정제량, 석유제품 유출입 현황 >

ㅇ 지난 10년간 오직 중서부 지역에서만 모든 정제시설이 문을 닫지 않고 그대로

운영되고 있음. 그러나 많은 정유기업들이 증류용량을 크게 증대시키지 않았음.

- 캐나다산 중질원유인 WCS유의 처리 물량이 현저히 늘어나게 되었음. BP는 인디애나州 Whiting 정제시설에서 406,600b/d, Phillips66-Cenovus는 일리 노이州 Wood River 시설에서 314,000b/d, 그리고 Marathon Petroleum은 미시간州 Detroit 시설에서 123,000b/d의 WCS유를 각각 정제하였음.

ㅇ 반면, 2005~2013년 동안 중서부 지역에서 석유(석유제품 포함) 소비는 7.7%

감소하여 488만b/d를 기록하였으며(이는 미국 전역에서의 석유 소비 감소치보 다 1.5%p 더 낮은 수치), 특히 석유제품 수요가 크게 감소하였음.

- 그러나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수송연료의 소비 증가폭은 그렇게 크지 않 았으며, 여기에는 노스다코타州에서의 시추 및 수압파쇄공법 사용 과정에서 경유가 널리 사용된다는 점 역시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였음.

- 미국 내 다른 지역에서 중서부지역으로의 석유제품 순이동(net transfer)은 2005년 125만b/d 유입에서 2013년 4,000b/d 유출로 전환되었음. 캐나다로의 석유제품 순수출은 15,000b/d에서 44,000b/d로 증가하였음.

ㅇ 향후에도 중서부 지역은 지리적으로 상대적으로 원유를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관계로 지역 정유산업은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겠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 지 요인들이 성장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 지역 내 석유제품 수요가 계속 정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의 석유제품 이동도 수송능력 제약으로 크게 증대되기 어려우 며, 내륙이라는 지리적 단점으로 해외수출도 높은 수송비용으로 인해 수월하 지 않음. 또한 경쟁관계에 있는 멕시코 만에 위치한 정제시설들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

“’05~’13년 기간 동안 중서부 지역에서 석유(석유제품 포함) 소비는 7.7%

감소”

“중서부 지역의 석유제품이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캐나다로 수출될 가능성은 낮을 전망”

(10)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 과거 2년 동안 다소 회복세를 보였음에도 중서부 지역에서의 향후 원유 수요 는 거의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이는 차량에 대하여 더욱 엄격한 연 비 기준이 적용되고 있으며, 천연가스 이용 차량과의 경쟁 또한 심화되고 있 기 때문임. 석유기업들도 셰일자원 개발 시 경유보다는 천연가스를 더 많이 사용할 것으로 전망됨

- 캐나다산 원유나 Bakken 원유를 더 먼 지역으로 수송하는 데에 추가 비용이 들지만, 저렴한 원유 가격으로 인한 중서부 지역의 이점은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될 것임. 또한 수송용량이 캐나다 및 노스다코타에서 생 산된 원유를 감당하지 못하고, 원유수출 금지가 지속될 경우에 중서부 지역 은 저렴한 원유 가격으로 인해 더 큰 혜택을 누리게 될 것임.

- 중서부 지역의 석유제품이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캐나다로 수출 될 가능성 역시 낮을 것으로 보임. 이는 중서부 인근 지역에서도 원유 가격 이 저렴하기 때문임. (중서부 지역과 연계된 파이프라인 인프라가 상대적으 로 부족한 동부 연안지역은 제외)

□ 동부 연안지역(PADD-1)

ㅇ 동부 연안지역의 정제시설 수익성은 2008~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석 유 소비 급감으로 크게 악화되었지만, 최근 들어 저렴한 캐나다 및 노스다코타 원유가 바지선이나 철도를 통해 지역 내 정제시설로 점차 유입되면서 개선되 고 있음. 또한 Marcellus 셰일지대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공급 역시 상황 개선에 기여했음.

- 역내 정제시설들은 타 지역에 비해 크게 노후화되어 있고 저렴한 원유 및 천 연가스에 대한 접근성도 크게 부족하여 이것이 수익성 악화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함..

- 역내 석유 소비는 2005~2013년 동안 20.1% 감소해 523만b/d를 기록하였으며 주요 석유제품 모두에서 수요 감소 현상이 나타났음. 특히 지역 내 가정 및 기 업들이 저렴한 천연가스로 연료를 전환함에 따라 난방유 소비가 가장 크게 줄 어들었음.

- 2005~2013년 기간 동안 역내 원유 처리물량과 가동 중인 정제용량은 더욱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되었음. 역내로 유입된 총 원유물량은 32.5% 급락하여 108만b/d, 정제용량 역시 24.6% 감소한 130만b/d를 각각 기록하였음.

ㅇ EIA는 2012년 동부 연안지역의 정제시설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공장 폐쇄 가

능성을 높게 분석하였음.

- 2010~2011년 동안 뉴저지州 Westville과 펜실베이니아州 Marcus Hook에 위치한 Sunoco의 정제시설(정제용량은 각각 14.5만b/d, 17.8만b/d임), 그리 고 버지니아州 Yorktown에 있는 Western Refining 정제시설(정제용량 66,300b/d)이 문을 닫았음.

“EIA는 동부 연안지역 내 정제시설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공장 폐쇄 가능성을 높게 분석”

(11)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9

9

- Valero Energy는 2009년 11월에 19만b/d 용량의 Delaware City 정제소를 폐쇄하였으나 PBF Energy가 2011년 10월 이를 인수하여 재가동하였음.

- 2011년 9월, ConocoPhillips는 펜실베이니아州 Trainer에 있는 18.5만b/d 규 모의 정제소의 가동을 중단하였으나 1년 후 Delta Air Lines가 이를 매입 후 재가동에 들어감. Philadelphia Energy Solutions(PES)는 Sunoco가 폐쇄하기 로 결정한 33만b/d 용량의 Philadelphia 정제소를 2012년 9월에 매입하였음.

ㅇ 동부 연안지역은 오랫동안 정제용량 부족에 시달려왔으며 이에 따라 해상을 통 한 해외 및 멕시코 만 지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석유제품에 크게 의존해왔음. 그

러나 2005년 이후 역내 석유소비 감소는 유입물량의 커다란 감소로 이어졌음.

- 해당 지역의 석유제품 순수입은 2005년 126만b/d에서 2013년 16.1만b/d로 급락하였음. 반면, 같은 기간 동안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석유 제품의 순이동 물량은 42.3만b/d에서 324만b/d로 증가하였음.

자료 : Energy Intelligence, EIA

< PADD-1의 정제시설, 정제량, 석유제품 유출입 현황 >

ㅇ 향후 동부 연안지역의 Marcellus지대에서 생산되는 셰일가스와 노스다코타州

Bakken 지대 및 캐나다 타이트 오일의 공급으로 PADD-1 지역의 정유산업은

약간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캐나다 및 노스다코타州에서 생산되는 원유를 철도로 수송하는 비용 (2013년 기준, 배럴당 17달러)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다른 지역(Rockies, 중서부, 멕시코 만 등) 정제시설의 수익성보다는 크지 않을 것임. 멕시코 만 원유를 선박을 통해 동부 연안으로 수송하는 비용도 마찬가지로 높은 편임.

・ Rockies 및 중서부 지역에 위치한 정제시설들은 매장지와의 거리가 가깝 고, 파이프라인에 대한 접근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동부 연안지역보다 캐나

다 및 Bakken 지대에서 생산되는 원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 멕시코 만 정제시설 역시 이와 비슷한 이유로 동부 연안지역보다 유리한

“향후 PADD-1 정유산업은 주변 셰일지대에서 저렴한 원유 공급으로 약간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것은 철도 수송비용이 높지 않아야 가능함.”

(12)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1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상황이며, 특히 근거리에 위치한 Eagle Ford 및 Permian Basin 매장지대 에서의 원유생산이 급증함에 따라 더욱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음.

- 또한, 동부 연안지역은 앞으로도 낮은 석유 소비 및 정제시설 가동률 등의 문제를 계속 안고 있을 것임. 난방부문에서 석유제품에서 천연가스로의 대체 가 계속됨에 따라 동부 연안지역에서의 석유소비 침체는 미국 전체 수준보다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 서부 연안지역(PADD-5)

ㅇ 동부 및 서부 연안지역 모두는 석유 소비의 급락과 저렴한 원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낮은 접근성 문제를 동일하게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서부 연안지 역 내 정제시설의 수익성은 동부 연안지역보다 양호한 편임.

- 서부 연안지역은 로키산맥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특성 때문 에 석유제품을 자급자족하고 있음.

- 서부 연안지역의 석유 소비는 2005~2013년 동안 11.7% 감소하여 279만b/d 를 기록하였음. 이는 미국 전체 소비 감소율보다 높은 것임. 같은 기간 동안 해당 지역 정제시설의 원유처리 물량은 12.6% 감소하여 253만b/d를 기록한 반면, 미국 전체 정제물량은 소폭 증가했음.

- 해당 지역의 석유제품 순수출은 2005~2013년 동안 18.9만b/d에서 26.5만b/d 로 증가한 반면, 미국 내 다른 지역에서의 순유입 물량은 17.8만b/d에서 32.2 만b/d로 증가하였음.

ㅇ PADD-5 내 워싱턴州, 오리건州, 캘리포니아州, 네바다州, 애리조나州, 알래 스카州, 하와이州 가운데 캘리포니아州와 워싱턴州만이 충분한 정제용량을 보 유하고 있음.

- 캘리포니아州의 정제시설이 임시 가동 중단한 경우는 있지만 최근 몇 년간 서부 연안 5개 州(알래스카州, 하와이 제외)에서 완전히 문을 닫은 정제시설 은 하나도 없었음.

・ 2012년 11월, Alon社는 원유 수입에 너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이유로 캘리포니아州 내 정제시설(설비용량 7만b/d)의 가동을 1년 간 중단하는 결 정을 내렸음. 현재 추진 중인 14만b/d를 수송할 수 있는 철도가 완공되면 동 시설이 재가동 될 수 있지만, 현재 인허가 문제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 고 있으며, 정제시설의 재가동 일정 역시 2015년 이후로 연기되고 있음.

- 한편, 알래스카州의 Flint Hills Resources는 Fairbanks 지역에 위치한 85,000b/d 규모의 North Pole 정제시설 운영을 6월 1일까지 중단했음.

- 하와이 Kapolei 지역에 있는 94,000b/d 규모의 정제시설은 2013년 하반기 Par Petroleum이 Tesoro로부터 해당 정제시설 매입을 추진하기 전까지 거의 폐쇄 상태에 있었음. 하와이에는 2개 정제시설이 있으며, Tesoro는 지리적으

“동부

연안지역에서의 석유소비 침체는 미국 전체 수준보다 더욱 심화될 전망”

“PADD-5 지역에서 캘리포니아州와 워싱턴州만이 충분한 정제용량을 보유하고 있음”

(13)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11

11

로 불리한 곳에 위치한 Kapolei 지역 정제시설을 폐쇄하고자 하였음.

자료 : Energy Intelligence

< PADD-5의 캘리포니아州 및 워싱턴州 내 정제시설 현황 >

ㅇ 향후 철도를 통해 저렴한 Bakken 및 캐나다산 원유에 대하여 접근이 용이해짐 에 따라 워싱턴州 내 정제시설은 다른 지역에 비해 비용 측면에서 이점을 얻 게 될 것임. 반면에 캘리포니아州 정제시설들은 철도 수송에 너무 많은 비용이 들고 환경규제 또한 엄격하기 때문에 다소 불리한 입장에 처해있음.

- 2013년에 태평양 연안 북서부 지역으로 Bakken 원유를 철도로 수송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10달러/배럴, 이에 반해 캘리포니아로 수송하는 경우에는 약

14달러/배럴, 동부 연안지역으로는 17달러/배럴이었음.

- 현재 워싱턴州는 캘리포니아州보다 철도를 통해 더 많은 물량의 원유를 공 급받고 있음. 양 지역 모두 철도 터미널 신규 건설을 위해 여러 계획들을 추 진하고 있지만, 향후에도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Alon이 Bakersfield지역에 계획 중인 철도 터미널 건설 사업이 지연되고 있으며, San Francisco지역의 Benecia 정제시설로의 원유 철도수송 계획 이 추가 환경영향평가 결정으로 2015년 1분기까지 연기되었음.

・ 2013년에 캘리포니아州의 원유 정제량 중에서 철도로 수송된 원유물량은

1%에 지나지 않은 반면, 워싱턴州의 경우에는 10%임.

- 또한 캘리포니아州의 정제시설은 캐나다산 중질원유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고도 화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州정부의 저탄소 연료기준(Low Carbon Fuel Standard, LCFS)이 상대적으로 탄소배출량이 많은 캐나다 중질원유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음.

- Kinder Morgan社는 기존 가스관을 송유관으로 전환하여 텍사스 서부지역에

서 생산된 경질원유를 캘리포니아로 수송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이는 캘리 포니아州 정제시설 중에서 경질원유를 처리할 수 있는 곳이 얼마 되지 않아

“캘리포니아州의 정제시설은 캐나다산

중질원유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고도화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저탄소연료기준 제도로 인해 상대적으로 탄소배출량이 많은 캐나다 중질원유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

(14)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서 실현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됨.

ㅇ 2005~2013년 동안 PADD-5지역에서의 정제시설 가동률은 8%p 하락한

83.6%를 기록하였음. 특히 수송부문 탄소배출에 대해 강하게 규제하는 캘리포

니아州의 석유 소비는 2020년까지 계속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자료 : EIA

< PADD-5의 정제량 및 석유제품 유출입 현황 >

□ 멕시코 만 지역(PADD-3)

ㅇ 미국 멕시코 만 지역의 정제시설은 최근 중서부 지역 내 시설만큼의 수익성을 보이지 못하였음. 그러나 멕시코 만 지역은 미국 내에서 가장 고도화된 정제시 설을 갖추고 있으며, 신규 파이프라인이 점차 가동에 들어가면서 경쟁력을 계 속 향상시키고 있음.

자료 : Energy Intelligence

< PADD-3의 멕시코 만 동부지역과 휴스턴 지역 내 정제시설 현황 >

- 멕시코 만 지역은 오랫동안 저렴한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왔고, 미국산 석유 제품의 주요한 해외수출지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음.

“그동안 멕시코 만 지역은 중서부 지역만큼 커다란 정제마진을 얻지 못했지만, 신규 고도화 시설 및 파이프라인 건설로 경쟁력을 계속 향상시키고 있음”

(15)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13

13

- 해당 지역 내 정제시설은 TransCanada社가 추진 중인 83만b/d 규모의 Keystone XL 송유관 건설사업의 승인여부와 상관없이 점차 더 많은 물량의 캐나다산 중 질원유를 처리할 것임. 또한 Eagle Ford와 Permian Basin 지대에서 생산되는 경 질원유와 콘덴세이트를 처리하기 위한 투자도 계속 이루어지고 있음.

ㅇ 2005~2013년 동안 PADD-3 지역의 석유 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석유제품 수출은 빠르게 증가하였음.

- 분석 기간 동안 멕시코 만 지역에서의 석유 소비는 2.2% 증가하여 528만b/d 을 기록하였음. 이는 미국 전체 석유 소비가 9.2% 감소한 것과 상반되는 것 임. 특히, 휘발유, 제트유, 경유 등 고부가가치 석유제품 수요가 증가하였음.

반면, 중유 수요는 감소하였음.

- 해당 지역에서의 석유제품 순수출은 경유, 나프타, 휘발유 등의 수출 증대에 힘입어 2005년 10.9만b/d에서 2013년 228만b/d로 크게 증가하였음.

- 그러나 미국 내 다른 지역으로의 석유제품 순이동은 2005년 이후 73.3만b/d 감소하여 2013년에 332만b/d를 기록하였음. 특히 저렴한 북미산 원유에 대 한 접근이 용이한 PADD-2 지역의 경우에 멕시코 만 지역에서 공급된 석유 제품 물량이 45.1만b/d 만큼 감소하였음.

자료 : EIA

< PADD-3의 정제량 및 석유제품 유출입 현황 >

ㅇ 2005~2013년 기간 동안 멕시코 만 지역의 정제량은 13.2% 증가하여 815만 b/d, 정제가능 용량은 11.5% 증가하여 909만b/d를 각각 기록하였음. 해당 지 역 내 정제용량 증대에 2개 투자프로젝트가 크게 기여하였음.

- Motiva Enterprises社(Shell 50%, Saudi Aramco 50% 지분)의 텍사스州 Port Arthur 정제시설의 용량 증대 프로젝트: 기존 용량을 2배 증대시켜 총 60만b/d로 확충, 중질원유 처리능력 향상

- Marathon Petroleum社의 루이지애나州 Garyville 정제시설의 용량 증대 프 로젝트: 기존 용량을 2배 증대시켜 총 52만b/d로 확충

“’05~’13년 기간 동안 PADD-3 지역의 석유 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석유제품 수출은 급증”

“’05~’13년 기간 동안 멕시코 만 지역의 정제량은 13.2% 증가하여 815만b/d를 기록”

(16)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ㅇ 향후 미국 전체적으로 원유 정제용량은 크게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대부분 의 신규 용량은 멕시코 만 지역에서 건설될 것임.

- Valero Energy가 멕시코 만 지역의 정제용량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임. 동사 는 텍사스州 Panhandle지역에 있는 Mckee 정유공장의 설비용량을 25,000b/d, 휴스턴 정유공장의 상압증류시설(topper unit)을 90,000b/d, Corpus Christy 정유공장의 상압증류시설을 70,000b/d 각각 추가로 증대시 킬 계획임.

- 멕시코 만 지역의 정제시설들은 제트유와 경유 생산을 늘리기 위하여 수소화 분해(hydrocracking) 시설을 확충해 왔음. 이는 국제시장에서 휘발유보다 경 유 수요가 훨씬 높게 나타나기 때문임.

- 또한 해당 지역 내 정유 및 석유화학기업들은 천연가스액화물(Natural Gas

Liquid, NGL)을 에탄, 프로판 등으로 분해하는 시설을 건설하여 많은 이득

을 얻었음. Chevron-Phillips 66은 텍사스州에 에탄크래커 플랜트 1개와 폴 리에틸랜 플랜트 2개의 건설 사업을 추진 중임.

ㅇ 한편, 정유 및 석유화학산업이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만 지역에서의 석유 소비는 2020년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 않음. 이 에 따라 Phillips 66이나 Valero Energy 등 정유기업들은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임.

- Phillips 66은 2013년 멕시코 만 지역에서 석유제품 40만b/d를 수출하였으나 2016년에 이를 55만b/d까지 증대시킬 계획이며, 이와 관련해 15만b/d 규모 의 LPG 수출용 터미널을 건설하려고 함.

- Valero는 멕시코 만 지역에서 경유 수출량을 32.5만b/d에서 45만b/d, 휘발유 수출량을 22.5만b/d에서 25만b/d로 각각 증대시킬 계획임.

3. 향후 전망

ㅇ 2040년까지 미국의 석유·가스 모두 생산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며, 이는 정유산

업 및 석유화학산업의 르네상스 시대가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를 계속 갖게 할 것임. 그러나 석유부문에서 몇 가지 위험요인도 존재함.

- 최근 들어 셰일오일 및 셰일가스 생산정에서의 생산감소 속도가 상당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그러나 기업들의 셰일 자원 생산 기술 및 경험이 갈수록 향상됨 에 따라 생산정 단위당 셰일 자원 생산량이 증가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음.

・ Bakken 및 Three Forks 지대에서는 일정 수준의 생산량을 유지하기 위 해 일정 기간마다 신규 생산정을 추가로 만들고 있음.

・ 현재 미국 시추 리그의 약 90%가 셰일자원 개발에 투입되는 수평시추용 임. 그러나 생산증대를 위해 계속해서 시추정 및 리그 개수를 늘릴 수는

“향후 미국의 전체적인 원유 정제용량은 크게 증대될 전망”

“주요 정유기업들은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증대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임”

(17)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15

15

없을 것임. 만약 원유가격이 크게 하락하게 된다면 조업 지속이 어렵게 될 가능성도 있음.

ㅇ 향후 전문가들 사이에서 WTI유와 Brent유 간 가격 차이는 점차 좁혀질 것이 라는 전망이 지배적임. 또한 미국 내 수송인프라 정비 작업도 가시적 성과를 보여 일부 권역/지역에서의 원유공급 과잉 상황도 점차 해소될 것임. 향후 2~3 년 후에 미국 LNG 수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 미국 내 원유 및 가스 가격 이 상승하게 될 수도 있음.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셰일 자원 생산이 계속 증가세를 유지한다면, 정유기 업들은 특히 해외 수출을 통해서 일정 수준의 정제마진을 획득할 수 있을 것임.

’13년 12월 ’14년 1월 ’14년 2월 ’14년 3월 ’14년 4월 ’14년 5월 석유제품 총수출 102,592 89,244 70,073 85,104 82,774 87,710

차량용 휘발유 17,843 16,402 11,181 11,972 11,241 15,109

항공용 휘발유 - - - - - -

제트유 6,262 4,268 4,058 4,322 3,414 4,878

등유 265 719 511 246 112 208

중질연료유 38,186 34,240 23,261 30,664 35,020 36,249

중유 10,623 11,193 12,488 12,753 9,908 10,104

나프타 0 0 816 551 438 634

특수나프타 7,743 5,947 3 1,017 1,746 2,236

윤활유 2,352 1,909 2,203 2,605 2,163 2,106

왁스 170 151 150 142 181 150

석유코크스 17,897 13,659 14,655 19,913 17,727 15,664

아스팔트/도로유 1,216 731 725 877 788 337

기타 제품 34 24 24 42 37 36

자료 : EIA

< 미국 석유제품별 수출 현황 >

(단위: 천 배럴)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OILPRICE, “The Future Still Looks Bright For Brazil’s Energy Giant, Petrobras”, 2014.5.1

Oil Daily, “US Midwest Refining Review: Let the Good Times Roll”, 2014.5.14 , “US East Coast Refining Review: Down But Not Out”, 2014.5.21 , “US West Coast Refining Review: A Tale of Four Subregions”, 2014.5.28 , “US Gulf Coast Refining Review: Show Me the Money”, 2014.6.4 Petrobras, 2030 Strategic Plan and 2014~2018 Business and Management Plan,

2014.2.26

石油エネルギー技術センター(JPEC), シェールオイル、シェールガス増産下 の米国石油精製産業, 2013.9.26

“향후 미국 석유 및 가스 가격이 국제시장 가격으로 상승할 수도 있을 것임. 그러나 셰일 자원 생산 증가세가 지속된다면,

기업들은 수출 증대를 통해 계속해서 정제마진을 획득하게 될 것임”

(18)
(19)
(20)
(21)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간 포커스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19 중동 산유국의 에너지산업 현황 및 전망

해외정보분석실 임산호([email protected])

북미 지역이 2020년 이후 에너지 순수출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됨에 따라, 중동 의 원유 수출국들에게는 새로운 시장을 찾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음.

중동의 주요 생산국들은 원유 수출을 통해 대부분의 재정수익을 충당해왔던 기존의 전 략에서 탈피해, 수익원을 다변화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사우디를 포함한 쿠웨이트, 이란, 이라크 등 중동 산유국들은 대규모 정제·석유화학 프 로젝트들을 계획하고 있음. 또한 카타르와 같은 전통적인 가스 수출국 외에 사우디, 이 라크, 이란도 천연가스 개발 및 회수증진을 위한 프로젝트들을 진행 중에 있음.

중동 국가들은 2014~2035년까지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해 총 1,690억 달러를 투자할 전망임. 대부분의 중동 정부들이 보조금 문제의 개혁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정치 적 입지가 흔들릴 것을 우려해 가격조정이나 보조금 감축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해결 대 신 에너지 절약 등의 수요관리 측면에서만 에너지효율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음.

중기 동안 OPEC 원유의 수요 감소 및 원유가격의 정체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됨.

따라서 사우디를 제외한 OPEC 회원국들은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석유부문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등 현재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전망임.

IEA는 2020년 이후 중동 상류부문의 투자 감소로 인해 향후 상류부문 생산 목표에 도 달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함.

또한 2020년 이후 중동의 역내 가스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함. 그러나 중동 지역의 천연가스 개발은 대규모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낮은 역내 가스가격으로 인한 가 스부문 투자 유인 부족으로 인해 지체될 수 있음.

1. OPEC의 석유생산 현황

□ OPEC 회원국의 석유생산 현황

ㅇ 지난 7월 19일 발표된 2014년 OPEC 통계 ‘Annual Statistical Bulletin’에 따 르면, 2013년 OPEC의 석유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8% 가량 감소했으며, 감 소한 수출 규모는 약 960억 달러에 이름.

OPEC의 2013년 석유 수출액은 1조1,120억8,500만 달러, 2012년 석유 수출액 은 1조2,079억900만 달러임(Annual Statistical Bulletin, OPEC).

- 이는 OPEC의 원유 생산량이 2012년 약 32.42백만b/d에서 2013년 약 31.60 백만b/d로 2.5%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짐. 이중 중동의 원유 생산량은 2012년 24.10백만b/d에서 2013년 23.83백만b/d로 1.1% 감소함.

- 2013년 전 세계 원유생산 중 OPEC의 점유율도 2012년 44.6%보다 다소 하 락한 43.4%였음.

“2013년 OPEC의 석유 수출수익은 전년 대비 약 8%

가량 하락했으며, 감소한 수출 규모는 약 960억 달러”

(22)

주간 포커스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2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 미 에너지정보청(EIA)는 2013년 OPEC 원유 생산량 감소가 사회적 지출비 용 증가, 상류부문 투자위축과 생산 비용증가 등에 기인했으며, 리비아와 나 이지리아 등 아프리카 국가들의 생산량 감소 영향이 크다고 밝힘.

- 한편, 2014년 상반기 OPEC의 석유 생산량은 29.49백만b/d로 전년 동기 대 비 70만b/d 감소함.

ㅇ 이와 관련 EIA는 2014년 7월 단기에너지전망 ‘Short Term Energy Outlook’에 기초해 이란을 제외한 OPEC 회원국의 2014년 원유 순 수출수익이 전년 대비 약 6% 감소한 7,740억 달러, 2015년 순 수출수익이 7,230억 달러로 점차 감소 할 것이라고 예상함.

2013년 OPEC의 원유 순 수출수익은 8,260억 달러였음.

- EIA는 OPEC 비회원국의 원유 생산이 2014~2015년 동안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되며 이에 따라 유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 OPEC의 수출액이 줄어들 것으로 분석함.

□ OPEC 회원국의 원유 수출량 변화 및 시장점유율 전망

ㅇ 북미 지역이 2020년 이후 에너지 순수출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됨에 따 라, 중동의 원유 수출국들에게는 새로운 시장을 찾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가중 되고 있음.

- 북미 지역에서 경질원유인 타이트 오일의 생산이 증가하면서 아프리카산 경 질원유의 수입이 감소했으며, 중동 지역으로부터 직접 수입되는 원유 물량 역시 감소할 전망임(인사이트 제14-27호(8.1일자) p.21참조).

- 북미 지역에 초점을 맞춰 수출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던 원유 생산국들은 점차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을 도모하게 됨.

ㅇ IEA의 ‘Medium Term Oil Market Report(2014)’에 따르면 2013~2019년 OPEC의 원유 생산능력은 약 2.08백만b/d가 증가해 37.06백만b/d에 이를 전망

임. 이는 2013~2019년 동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 세계 원유생산능력의

약 23%에 해당함.

- OPEC의 원유 생산능력 증가분의 약 60%가 이라크의 생산능력 확대에 기인

할 전망임.

- OPEC 비회원국의 원유 생산능력은 2013년 54.7백만b/d보다 약 6.2백만b/d 증가해 2019년 60.9백만b/d로 늘어날 전망임. 증가분의 절반 이상이 북미의 경질유, 캐나다의 오일샌드 생산 증가에 기인함.

- IEA는 ‘World Energy Outlook(2013)’에서 전 세계 원유생산 중 OPEC의 점유율이 2014년 약 43%에서 OPEC 비회원국의 원유 생산능력 증가에 따 라 2020년에는 약 41%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그러나 2020년 이후 점유 율이 다시 증가해 2035년에는 46%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함.

“북미 지역이 에너지 순수출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됨에 따라, 중동의 원유 수출국들에게는 새로운 시장을 찾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가중”

(23)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간 포커스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21

ㅇ 이에 따라 중동의 주요 생산국들은 원유 수출을 통해 대부분의 재정수입을 충 당해왔던 기존의 전략에서 탈피해, 수익원을 다변화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2. 중동 주요 산유국의 에너지산업 발전 전략

□ 정제·석유화학산업 경쟁력 확보 위한 프로젝트 추진

ㅇ OPEC은 2013년 기준 약 4.5백만b/d의 석유제품을 수출했으며 이중 68.5%인 약 3.1백만b/d가 아·태지역 국가들에 수출됨.

2013년 OPEC의 정제용량은 2012년과 비교해 4.9% 증가한 10.393백만b/d임.

- OPEC에서 생산된 석유제품 중 유럽으로 수출되는 물량은 0.6백만b/d로 14%, 북미로 수출되는 물량은 0.2백만b/d로 5.2%에 불과함.

- 업계 전문가들은 제9차 WTO 각료회의에서 체결된 Bali Package가 올해 7월 부터 발효됨에 따라 중동 국가들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함.

Bali Package는 통관절차 간소화를 통한 무역원활화, 농업 보조금 축소, 저개발 빈곤 국 지원 확대를 통해 무역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합의로 지난 2013년 말 WTO 각료 회의에서 체결됨.

ㅇ IEA의 ‘Medium Term Oil Market Report’는 사우디를 포함한 쿠웨이트, 이란, 이 라크 등 중동 산유국들이 대규모 정제부문 프로젝트들을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함.

- IEA는 중국을 포함한 OECD 비회원국들에서 정제부문 용량확대 전망치를 축

소했으나, 중동 지역의 정제부문은 계획대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이는 중동 지역의 석유제품 수요 증가 및 비-원유부문 수출을 통한 수익 증대 목표에 의한 것으로 분석함.

중동 지역의 석유제품 수요 증가는 2019년까지 약 1.8백만b/d가 증가할 전망으로 세계적으로도 가장 빠른 수준임.

- IEA는 전 세계의 정제용량 확대 전망을 지난 2013년 보고서의 9.5백만b/d보다 축소된 7.7백만b/d로 전망했으며, 2019년까지 중동 지역에서 2.2백만b/d가 확 대될 것이라고 전망함.

- 2019년까지 확대될 예정인 전 세계 정제용량의 약 30%가 중국에, 약 26%가 중동에 분포됨.

ㅇ 영국 FACTS Global Energy의 분석에 따르면 사우디의 Satorp, Yasref, Jazan 정제시설, UAE의 Ruwais 정제시설, 이라크의 신규 정제시설 건설이 완료되어 본격 가동되는 2020년 이후에는 중동이 주요 석유제품 수출지역으로 부상할 예정임.

- 중동의 대규모 정제·석유화학 단지들은 아·태지역으로 석유제품을 수출할 뿐

“사우디를 포함한 쿠웨이트, 이란, 이라크 등 중동 산유국들이 대규모 정제부문

프로젝트들을 추진”

(24)

주간 포커스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2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아니라, 유럽 시장을 타겟으로 EuroⅣ, EuroⅤ와 같은 고품질의 석유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아시아, 러시아, 미국의 정제시설들과 경쟁할 전망임.

정제시설 국가 용량 가동예정 비고

Satorp Saudi 40만b/d 2014년 말

Yasref Saudi 40만b/d 2014년 말

Jazan Saudi 40만b/d 2017년

Ruwais UAE 2014년 말

Persian Gulf

Star Iran 36만b/d 3개 시설이 각각

2017,2018,2019년 컨덴세이트 공정

Al-Zour Kuwait 61.5만b/d 2019~2020년

Ras Laffan Qatar 14.6만b/d 2016년 말 컨덴세이트 공정

Sohar Oman 19.7만b/d 2016년 11.6만b/d

용량에서 확대 4개의 신규

정제시설 건설 Iraq 74만b/d

4개 정제시설 건설 및 설비 현대화에 260억

달러 투자 자료 : MEES

< 중동 주요국의 정제시설 확충 프로젝트 >

ㅇ 또한 GCC 국가들은 대규모 석유화학 프로젝트들을 다양화함으로써 북미 셰일 가스 붐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가스공급 부족을 겪고 있는 GCC 국가들의 상황과 맞물려 북미의 셰일가스 혁명은 GCC 국가들이 원료 공급측면에서 가지고 있던 강점에 타격을 입힘.

- 특히 지난 10여년간 GCC 석유화학 부문에 수십 억 달러의 투자를 해왔던 Chevron Phillips, Dow, ExxonMobil과 같은 주요 석유화학기업들이 미국으 로의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음.

- 이에 따라 GCC의 석유화학기업들도 미국에서의 투자를 확대하는 전략을 채 택함. 카타르의 국영석유기업인 QP는 ExxonMoil과 미국 비전통자원 개발을 위한 공동투자협정 MOU를 체결함.

- 이외에도 외국 석유화학기업과 협력함으로써 새로운 기술 개발 및 효율성을 도모하는 한편, 이들의 제품을 사용하는 글로벌 제조업자들과의 연계를 추진 하기도 함. 사우디 국영석유화학기업 SABIC은 중국, 인도와 공동으로 기술 을 개발하기 위한 R&D센터를 각각 중국과 인도에 개설한 것으로 알려짐.

□ 가스부문 개발 촉진 및 관련 정책 추진

ㅇ 가스개발 및 가스가격과 관련한 정책수립은 중동 국가들이 에너지와 관련해 겪고 있는 난제 중 하나임. 카타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동 국가들이 가스공 급문제를 겪고 있음.

“가스개발 및 가스가격과 관련한 정책수립은 중동 국가들이 에너지와 관련해 겪고 있는 난제 중 하나 ”

(25)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간 포커스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23

- IEA의 통계에 따르면 중동 지역에는 전 세계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6,845.57Tcf의 약 41%에 해당하는 2,823.23Tcf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이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그러나 2012년 기준으로 중동 지역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전 세계 생산량의

약 16%인 19,292Bcf에 불과함. 천연가스 생산국도 카타르, 이란, 사우디, UAE, 오만 등 일부 국가에 편중되어 있음.

- 중동 국가들이 천연가스 탐사·개발문제를 겪고 있는 이유로는 개발에 소요되 는 비용 때문인 것으로 알려짐.

- 중동의 현지 기업들이 저렴한 원료 가격에 의존함에 따라, 가스 가격자유화 에 대해 강하게 반발함. 이에 따라 중동 정부들은 외국개발기업들과의 가스 가격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중동에서 가장 주요한 가스 생산국은 카타르와 이란으로, 양국은 중동의 천연 가스 확인매장량의 70% 이상을 보유하고 있음. 이외에 예멘, 오만, UAE 등에 서 LNG를 수출하고 있음.

- 카타르는 중동 최대의 가스 수출국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LNG 수출국으로, 2013년 카타르의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은 890Tcf에 이름(IEA). 한편, 이란 에는 카타르의 매장량을 훨씬 상회하는 1,187Tcf의 매장량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IEA), 미국과 EU의 경제제재로 인해 개발이 지체되고 있음.

- 2020년 이후에 카타르는 미국, 캐나다를 포함해 모잠비크와 탄자니아 같은 동아프리카 국가 등 신흥 LNG 수출국들과 경쟁할 전망임. 또한 러-중 가스 협정체결로 인해 아시아 시장으로 공급되는 러시아산 가스 규모 확대가 예상 됨에 따라, 아시아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임.

- 이란도 South Pars 해상 가스전 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자국 내 수요를 충당 하고 인접국인 오만과 쿠웨이트로 가스관을 통한 수출을 계획하고 있음. 이 를 위해 이란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핵협상을 진행 중이며, 석유·가스개발과 관련해 외국기업들과의 계약방식을 기존의 바이백(buy-back)방식에서 기업 들에 보다 우호적인 방향으로 수정 중임.

ㅇ 이외 이라크는 대부분의 가스가 유전에 수반되어 있는 수반가스로 부존되어 있으며, 현재 관련 인프라 부족 및 기술 부족으로 유전에서 생산되는 수반가스 대부분을 연소(flaring)하고 있음.

- EIA에 따르면 이라크에는 약 112Tcf의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으며, 이중 약 60%가 이라크 남부 지역에 부존되어 있음. 특히 이라크 천연가스 자원량 의 약 3/4이 수반가스의 형태로 존재함.

- 이라크 남부의 Rumaila, West Qurna-1, Zubair 등 대형 유전에는 대규모 수 반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노후화된 인프라 문제로 인 해 유전에서 대부분의 수반가스를 연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중동 국가들이 대규모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천연가스 탐사·개발문제를 겪고 있는 이유로는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 때문”

(26)

주간 포커스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2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 가스 연소량을 줄이고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이라크 정부는 Shell과의 합작 투자를 통해 Basrah Gas Company를 설립함. 이에 따라 수반가스 회수량을 2Bcf/d로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 이외에도 이라크 정부는 남부 유전들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투자를 통해 원 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모두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나, 최근 수니 파 극단주의자 단체 Islamic State(IS)와의 교전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등 정치적 불안정성은 여전히 남아있음.

ㅇ 세계적으로 발전용 연료를 석유에서 가스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임에도, 사우디 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동 국가들은 이에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자료 : Medium Term Oil Market Report(IEA)

< 2000~2019년 중동 지역 발전 믹스 >

자료 : Medium Term Oil Market Report(IEA)

< 2019년 각 지역별 발전 믹스 >

-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저렴한 석유 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국가들에 비해 중동 지역에서 발전용 연료를 석유에서 천연가스로 전환하고 자 하는 유인이 부족함.

- IEA의 ‘Medium Term Oil Market Report’에 따르면, 발전 연료로 원유를

“발전 원료로 원유를 사용하는 추세는 향후 5년 동안 중동

지역에서만 증가할 전망 ”

(27)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간 포커스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0호 2014.8.29

25

사용하는 추세는 향후 5년 동안 중동 지역에서만 증가할 전망임.

- 중동 국가들 대부분이 충분한 가스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많은 중동 국가들에서 발전부문에서의 석유 의존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전망됨.

ㅇ 한편, 사우디는 원유 수출량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국에서 생산되는 가스 대부분을 발전용으로 소비하고 있음.

사우디는 현재 자국에서 생산된 가스 전량을 내수용으로 사용하고 있음. BP통계(2014) 에 따르면, 사우디는 2013년 천연가스 약 103Bcm을 생산하여 전부 자국에서 소비함.

- 사우디 정부는 발전용 및 산업용 가스 비중을 확대함으로써, 자국 석유자원의 수출물량을 확보하고, 유가를 배럴당 100달러 선으로 유지하고자 함. 이에 따 라 가스자원 개발의 중요성이 커짐.

- 이에 따라 사우디 국영석유기업 Saudi Aramco는 페르시아 걸프만의 해상 가스 자원 개발에 중점을 두면서, 그동안 미탐사 지역으로 분류되었던 홍해, 북부 및 서부지역, Nafud 분지 등에 대한 탐사 작업을 추진함. 또한 자국의 비전통 가 스자원 탐사 및 개발도 추진 중에 있음(인사이트 제13-44호(2013.12.6일자) p.16 참조).

□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투자 확대

ㅇ IEA의 ‘Word Energy Investment Outlook(2014)’에 따르면 중동 국가들은 2014~2035년까지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해 총 1,690억 달러를 투자할 전망임. - 그러나 이 투자액은 2014~2035년 동안 에너지효율 증진을 위한 전 세계 투

자금의 약 2%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짐.

2014~2035년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전 세계 투자액 중 27%는 EU, 20%는 북미, 20%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음. 이들 지역은 최종에너지소비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지역이며,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이기도 함.

- IEA는 중동 국가들과 같은 신흥 경제에서 에너지효율에 대한 투자 증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