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8장 자연실업률과 필립스 곡선(by sunkujang) - Daum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제8장 자연실업률과 필립스 곡선(by sunkujang) - Daum"

Copied!
8
0
0

Teks penuh

(1)

제8장

학습목표

필립스 곡선의 개념과 기대

도입

■ 필립스(A.W.Phillips)는 1958년 영국, 1861~1957년까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간의 음(-)의 관계 증거 발견

→ 이후 사무엘슨, 솔로우는 미국 data 통해 동일한 결과 도출

→ 거시 경제 정책의 논의 핵심(P-C상의 어느 점을 선택하는가의 관점)

■ BUT, 1970년대, 필립스 곡선의 관계가 붕괴

: 미국 등 0ECD 국가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의 병행

<그림 8-1> 미국(1900~1960년)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관계

(2)

1.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 실업

1. 총공급곡선 (→ 필립스 곡선 도출)

총공급 곡선: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필립스 곡선의 의미

(1) 기대 인플레이션율()의 상승 → 실제 인플레이션율()의 상승

:임금설정자가 더 높은 물가를 기대하면, 더 높은 명목임금의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물가상승으로 연결 (2)

이 일정시,

↑ ↑⇒↑

(3)

이 일정시,

↑⇒↓

: u의 상승은 명목임금의 하락으로, 다시 물가하락으로 연결

※모형의 진화(동태적 필립스 곡선)

 

      

2. 필립스 곡선의 진화

1. 초기 형태

(1) 0의 인플레이션 가정

⇨ 초기 연구 당시의 상당기간 동안 평균 인플레이션율은 0

: 과거에 평균 인플레이션율이 0였다면, 임금 설정자들이 예상하는 다음기의 인플레이션율도 0으로 기대하는 것이

“합리적”

∴ (

 

)

      

(2) 임금-물가순환(wage-price spiral)

:실업률의 하락은 금년의 물가가 지난해 물가보다 높도록 하여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게 함.

(3)

★ 실업률 하락은 명목임금을 상승시킴 → 기업의 가격 인상→ 물가 상승 → 임금 인상 요구→ 기업의 제품가격 추 가적 인상 → 근로자들은 또 다시 명목임금 인상 요구 →...→ 지속적인 임금과 물가의 인플레이션 발생

2. 변형된 형태

■ 1960년대 미국 거시재정정책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간의 음(-)의 관계인 필립스 곡선이 가이드 역할을 함.

<그림 8-2>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추이(1948~1969년) :1960년대 미국 실업률의 지속적 하락은 인플레이션의 지속적 상승과 관련

<그림 8-3> 1970년 이후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 1970년부터 미국에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는 사라짐.

(1) 1970년 이후 필립스 곡선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간의 뚜렷한 관계가 사라짐 그 이유는?

① 1970년대 2차례의 유가급등 충격

: 노동이외의 요소비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 인상(↑)은 실업률이 일정한 경우 인플레이션율의 상승으로 이어짐.

② 임금 설정자들의 기대 형성 방식의 변화

(4)

<그림 8-4> 1900년대 이래 미국 인플레이션 추이

■ 1960년대 이후 미국 인플레이션은 일관되게 양(+)의 값을 보임.

■ 인플레이션의 지속성 특징(올해의 높은 인플레이션율은 내년에도 그대로 이어짐)

→ 근로자와 기업의 기대 형성방식의 변화로 인플레이션이 매년 일관되게 양(+)의 값을 가질 때 금년의 물가가 작년 의 물가와 같을 것인가 기대하는것(0의 인플레이션을 기대)은 체계적으로 잘못된 것이고 바보같은 행동임.

(2)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 

  

    기의 인플레이션율이 기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 

→ ↑

수록 기 인플레이션 수정에

  기의 인플레이션이 큰 영향

① (  )

인플레이션율이 낮고, 지속성이 크지 않은 경우

과거 인플레이션을 잊고, t기 물가는 t-1기의 물가와 동일하다고 가정 (→ 사무엘슨과 솔로우 분석 당시)

② (  )

근로자와 기업은 작년 인플레이션율이 금년에도 높아질 것이라고 가정

→ t기 인플레이션율이 (t-1)기의 인플레이션율과 동일할 것을 기대

3. 기대를 고려한 필립스 곡선

(1) 수정된 (기대를 고려한)필립스 곡선 형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인 경우, 실업률은 인플레이션보다는 인플레이션율의 변화에 영향

  

에서 1로 증가하면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간의 단순한 관계는 점차 소명

(2) 실증분석

<그림 8-5> 1970년 이래 인플레이션율과 증감치와 실업률의 조합

 

  

   

∴ 수정된 (기대를 고려한) 필립스 곡선 :

 

  

      

4. 자연실업률 재론 (1) 자연실업률 개념 등장

■ 원래의 필립스 곡선(

      

→ 자연실업률이 존재 안함

(∵ 정책 담장자가 높은 인플레이션율만 희생(인내)하면 낮은 실업률을 영원히 유지 가능)

■ 자연 실업률 도입

: 프리드만과 펠프스(Phelps)는 실업과 인플레이션간의 상충관계에 의문시 (→ 임금설정자가 체계적으로 인플레이션율을 전망하지 못해야 상충관계 존재)

∴ 자연 실업률은

 

의 실업률 (실제문가가 기대물가와 같을 때)

       

  

  

: 마크업()가 상승하거나, 임금설정에 영향을 주는 z가 상승시

(자연실업률 증가)
(6)

(2) 자연실업률을 상정한 필립스 곡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정

 

  

  

 

<의미>

① 필립스 곡선을 실제 실업률, 자연실업률, 인플레이션율의 변화간의 관계

→ 인플레이션율 변화는



 

에 의존,



 

 → 

 

  

② 자연실업률은 인플레이션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실업률

→ 인플레이션을 가속시키지 않은 실업률(NAIRU: 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3. 추가적 논의

1. 국가별 자연실업률 차이

장기간 평균실업률을 통한 비교

: 일본과 미국의 자연실업률의 차이는 기업의 내부조직과 큰 차이에서 유래 (취직의 흐름이 미국보다 일본이 작고, 그 결과 더 낮은 자연실업률로 연결)

[참고] 사실을 앞섰던 이론 : 프리드먼과 펠프스

경제학의 통찰력의 대부분은 “사실”에 따라 유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필립스 곡선이 잘 작동되던 1960년대 말에 두 경제학자인 프리드먼과 펠프스는 인플레이션과 실업간의 상충관계는 환상일 수 있다고 지적함.

[참고] 일본의 실업률

1960년 이후 일본 평균 실업률은 미국의 6.1%와 대조적으로 21% 정도로 일본의 자연실업률은 미국 자연실업률의 1/3정 도의 수준임. <표> 연령별 남자가 보유한 직업의 누적치

<이유> 평생고용

: 24세의 근로자들은 미국에서 평균 4곳 이상의 직장 경험, 일본은 2곳 64세 미국 근로자는 평균 11곳 직장 경험, 일본의 5군데 미만 경험

→ 근로자들은 직장에 머물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 기업은 근속연수와 더불어 임금을 높여주고, 대규모의 일시불 퇴직금 지급

→ 노동시장의 흐름이 경직적

but, 경쟁의 치열성으로 평생고용은 과도한 비용을 희생해야 하므로

→ 일본의 자연실업율은 증가할 것 예상

(7)

2. 시간에 따른 자연실업률의 변동

■ 기업의 독점력 크기, 임금협상의 구조, 실업수당의 체계 변화

 

의 변화 → 자연실업률의 변화

■ 유로지역의 실증분석

: 높은 실업률이 높은 자연실업률을 반영하여 약 6%이상으로 증가

→ 지속적인 자연실업률(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실업률)증가

∵ 기술진보의 특성과 영향

<그림 8-6> 유럽지역의 인플레이션율 변화와 실업

3. 높은 인플레이션율과 필립스 곡선

■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인플레이션율의 변동성이 증가

⇨ 평균 5%인플레이션은 3%~7% 사이, 평균30% 인플레이션은 20%~40%사이로 불확실성이 증가)

→ 장기간 고정된 명목임금하의 노동계약에 합의 거부

(∵ 인플레이션이 기대치보다 높으면 → 실질임금 급락 → 생활수준 하락)

→ 임금협상 조건은 명목임금이 설정되는 기간이 보다 짧아질 것(연간에서 월간)

★ 물가연동임금제도(wage indexation)

:인플레이션에 따라 임금을 자동적으로 증가시키는 것

4. 디플레이션과 필립스 곡선

■ 현재 많은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율이 매우 낮음(일본은 음(-)의 인플레이션 경험)

■ 대공황기는 실업률이 높은데도 높은 인플레이션 경험

→ 디플레이션 경험할 때, 필립스 곡선 관계 붕괴

(∵ 근로자들은 명목임금이 인플레이션율 보다 천천히 증가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실질임금의 하락을 불가피하게 수용 but, 명목임금의 감소로 실질 임금이 감소하는 것은 거부)

[예] 인플레이션율 4%, 명목임금 2%상승

인플레이션율 2%, 명목임금 2%하락 (더 기피)

(8)

[꼭 풀어볼 문제]

2. a. No. In the 1970s, we experienced high inflation and high unemployment. The expectations-augmented Phillips curve is a relationship between inflation and unemployment conditional on the natural rate and inflation expectations. Given inflation expectations, increases in the natural rate (which result from adverse shocks to labor market institutions—increases in z—or from increases in the markup—which encompass oil shocks) lead to an increase in both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inflation rate. In addition, increases in inflation expectations imply higher inflation for any level of unemployment. (Increases in inflation expectations also tend to increase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short run from the supply side—think of an increase in the expected price level, given last period’s price, in the AD-AS framework. However, increases in inflation expectations may tend to increase short run output from the demand side, because of the real interest rate effect. The real interest rate is introduced in Chapter 14.) In the 1970s, both the natural rate and expected inflation increased, so both unemployment and inflation were relatively high.

b. No. The expectations-augmented Phillips curve implies that maintaining a rate of unemployment below the natural rate requires increasing (not simply high) inflation. This is because inflation expectations continue to adjust to actual inflation.

3. a. un=0.1/2 =5%

b. πt =0.1-2*.03 = 4% every year beginning with year t.

c. πet= 0 and πt=4% forever. Inflation expectations will be forever wrong. This is unlikely.

d. might increase because people’s inflation expectations adapt to persistently positive inflation. The increase in has no effect on un.

e. π5= π 4+.1-.06=4%+4%=8%

π6=12%; π7=16%

f. Inflation expectations will again be forever wrong. This is unlikely.

4. a. A higher cost of production means a higher markup of prices over wages. The markup reflects all nonwage components of the price of a good.

b. un=(0.08+0.1)/2; Thus,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increases from 5% to 6% as μ increases from 20% to 40%.

Referensi

Dokumen terkait

The level of employment at which inflation does not accelerate - the 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or NAIRU - is susceptible to government policies.. Vanishingly

 The assumption used is when the quality of working life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industrial relations will

(This cost can be adjusted upward if infl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e invest- ment in working capital over the life of the project.) The amount of terminal current assets, net

In effect, if the marginal entrepreneur is risk averse, an increase in assets increases the expected marginal utility of self employment relative to that from their current job

• Inflation is the increase in overall level of prices. • Inflation erodes

The negative expected inflation that occurred in Indonesia from 1990 to 2019 explained that even though there is a downward sloping between inflation rate and unemployment rate,

In particular, small increases in the price level seem able to wipe out relatively large growth effects of financial deepening when the annual rate of inflation lies between 4 and 19

THE IMPORTANCE OF INVESTMENT INFLATION THE INCREASE OF INFLATION RATE DECREASE THE VALUE OF MONEY AND THEN DECREASE THE CAPABILITY OF PEOPLE’S TO SPEND MONEY INCOME INCREASE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