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사선 이사부호 TSG 자료 검증 및 활용 기반 구축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조사선 이사부호 TSG 자료 검증 및 활용 기반 구축 연구"

Copied!
99
0
0

Teks penuh

Survey Ship Isabuho TSG 데이터 검증 및 사용 기반. 조선선 이사부호의 TSG 데이터 검증 및 활용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plan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국외 현황

또한 AOML(Atlantic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Laboratory), PMEL(Pacific Marine Environmental Laboratory), JAMSTEC(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등의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TSG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그림 2.1).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TSG는 정기적으로 보정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됩니다.

그림  2.2.  NOAA의  표준  품질관리  순서도
그림 2.2. NOAA의 표준 품질관리 순서도

국내 현황

권장유량과 비슷한 용량의 소형펌프를 이용하여 TSG에 해수를 공급하도록 배관을 개조하였으나, 탈기장치의 용량이 너무 커서 TSG로 해수가 유입되었다. 탈기기 용량 초과로 TSG에 해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이전에 판단됐다.

그림  3.1.1.  Underway  pCO 2   시스템(상)과  장착된  Idronaut  센서(하)
그림 3.1.1. Underway pCO 2 시스템(상)과 장착된 Idronaut 센서(하)

염도의 경우, TSG로 측정한 염도의 질은 해수를 채취하여 염도계로 측정하거나, CTD로 구한 근표면 염도를 이용하여 TSG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부정확한 염도 측정은 일반적으로 전도성 셀의 오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항구 부근에 오염된 해수가 유입되어 오염이나 생물부착이 있는 경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한 전도도가 정확하지 않아 계산된 염도도 정확하지 않습니다.

전도성 셀에 심각한 오염이나 손상이 없는 경우 센서 드리프트가 크지 않으므로 염도 측정기로 측정한 염도 또는 CTD로 측정한 염도를 후속 보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  3.2.1.  각  항차별  지연모드  자료품질  판정기준
표 3.2.1. 각 항차별 지연모드 자료품질 판정기준

이벤트로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편차 패턴은 센서 오염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패턴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 센서가 오염되면 염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 절대값의 편차가 나타나지 않는다. 즉, 센서가 오염된 경우 시계열에서 명확하게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CTD 관찰과 같은 비교 데이터 없이는 데이터의 품질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오염되지 않도록 센서를 작동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림  3.2.2.  2018년  9월  조사  항해시  선박의  이동속도(적색:  정지,  청색:  10노트  이 상  이동)와  TSG  시스템으로  측정된  표층염분
그림 3.2.2. 2018년 9월 조사 항해시 선박의 이동속도(적색: 정지, 청색: 10노트 이 상 이동)와 TSG 시스템으로 측정된 표층염분

TSG에서 측정한 염도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비교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그림과 같이 사용할 수 없는 데이터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찰된 TSG 데이터는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재처리되지 않습니다.

이어도에 설치된 TSG 데이터를 재가공하여 사용 가능한지 조사하였다. 시스템 개선으로 인해 TSG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되었지만 계속됩니다. SBE21으로 구성되는 온누리 TSG 시스템의 주요 부분은 메인 데크에 설치되어 있어 어떤 면에서는 이사부호 TSG 시스템보다 관리가 용이합니다.

그림  3.2.6.  2018년  4월  관측된  TSG  원시자료(적색)와  1차  품질관리로  이상값을  제거한  자료(청색)
그림 3.2.6. 2018년 4월 관측된 TSG 원시자료(적색)와 1차 품질관리로 이상값을 제거한 자료(청색)

현재 연구선 상설관측장비에 관한 규정으로 '직무분장규정'과 '연구선관측단 운영 및 관측장비 관리지침'이 있다. 업무분장은 남해연구소-연구선운영실-연구선관측단의 업무를 '연구선 탑재 관측장비 운용'과 '연구선 탑재 관측장비 유지·보수'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연구선 옵저버 운영 및 관측장비 관리지침(연구선운영실)' 제4조(옵서버의 의무)에는 연구선 관측장비의 선내·외에서의 관리·유지·유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비교적 명확하게 규정된 장비의 정상적인 작동 및 제조에 대한 의무의 세부 사항.

이에 반해 생산된 데이터의 취급에 관한 거의 모든 규제는 분업규정에 해양대형데이터센터의 업무분담으로 '항구적 해양관측데이터시스템(KUMOS 등) 구축·운영'을 포함하고 있다.

나) 1차 실시간 정도관리 단계에서는 KUMOS 서버로 전송된 데이터를 자동화된 실시간 정도관리를 통해 시각화하여 DB에 저장한다. Raw Data를 활용하고 보다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1차적인 품질관리 로직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오류 데이터에 대한 자동 알람 기능을 추가해야 합니다.

다) 지연모드 품질관리 2단계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품질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업무 분담

지연 방식으로 책임 있는 2차 품질 관리자에게 위임하여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종합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여러 부서의 협력이 필요하므로, 연구소에서 정기적으로 입수한 관측자료의 품질관리를 연구기관의 공동임무에 할당하여 이를 전담기관으로 수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연구소 인프라 프로젝트. 즉, 해양연구기지의 장이 담당하고, 연구선 관측단의 참관인과 연구부서의 연구원이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프로젝트 수행 데이터의. .

수석 조사관은 장비의 정상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선상에 연구원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담당 옵저버는 관측선이 입항하기 전에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장비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사부호의 경우 관측 항해를 위해 옵저버가 승선하므로 담당 옵서버가 출항 후 장비를 작동하고 항구에 도착하기 전에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옵저버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 부득이하게 장비는 출발 직전에 작동되고 도착 직후에는 정지된다.

Isabuho TSG 시스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 시스템의 문제점을 식별합니다. 개선된 TSG 시스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가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합니다. 센서 오염으로 인한 데이터 품질 저하를 확인합니다.

우리원에서 생산하는 모든 정기관측자료를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림  3.6.1.  우리나라  근해역에서  운항된  이어도호와  온누리호,  이사부호의  항적도
그림 3.6.1. 우리나라 근해역에서 운항된 이어도호와 온누리호, 이사부호의 항적도

Gambar

그림  2.1.  2000-2010년  기간  동안  관측된  TSG  자료  분포(Smith  et  al.,  2019)
그림  2.2.  NOAA의  표준  품질관리  순서도
그림  3.1.1.  Underway  pCO 2   시스템(상)과  장착된  Idronaut  센서(하)
그림  3.1.2.  이사부호  pCO 2  계통도
+7

Referensi

Dokumen terkait

57 활발한 교양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터로서의 교수자... 59 활발한 교양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터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