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인증시행세칙 개정(안)
1. 개정 취지
□ 2024학년 졸업대상자(2020학번)부터 실시되는 졸업인증제의 제도 확립 2. 개정 요지
□ 졸업인증대상, 시행목표, 운영주관부서, 대상면제 조항 명문화
□ 인증구성, 기준, 인증 절차 항목의 정비 및 명확화 3. 추진일정
□ 졸업인증시행세칙 개정 계획(안) 내부결재
□ 사전예고를 통한 의견 수렴: 2022.12.01.(목) ~ 12.06.(화)
□ 규정심의위원회 심의: 2022.12. 중
□ 개정안 확정 보고 및 공포: 2022.12. 중) 4. 시 행 일
□ 2022.12. 중
졸업인증시행세칙 개정(안) 신구조문 대비표
현행 개정(안)
제2조(인증자격) 졸업인증은 다음 각 호의 인증을 모두 획득하여야 한다.
1. 전공 인증 2. 교양 인증 3. 비교과 인증 4. 봉사 인증
제2조 내용삭제(제4조로 이동)
<제2조 내용 신설>
제2조(대상) 본교 학부에 입학한 모든 학생을 대상 으로 한다. 단, 대상면제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한 다.
제3조(핵심역량) 우리대학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인 재상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4대 핵심역량’은 ‘창의융합역량’, ‘실무역량’,
‘대인관계역량’, ‘글로벌역량’을 의미한다.
제3조 내용삭제
<제3조 내용 신설>
제3조(시행목표) 졸업인증제는 본 대학교의 학생들 에게 필요한 인재상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 역량들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핵심역량은 ‘대학발전계획수립 및 운영 규정’에 의해 수립된 핵심역량으로 한다.
제4조(전공인증) 전공인증은 다음 각호의 요건을 모 두 충족하여야 한다.
1. 전공교과 최저 이수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2. 졸업시험, 외국어 자격조건, 전공 관련 자격증 등 학과 특성화 조건을 반영한 자체 인증 요건 을 충족하여야 한다.
제4조 내용삭제(제5조 1호로 이동)
<제4조 내용 변경>
제4조(인증구성) 졸업인증은 다음 각항의 인증을 모 두 획득하여야 한다
① 전공 인증
② 교양 인증
③ 비교과 인증
④ 봉사 인증
제5조(교양인증) 교양인증은 교육과정편성및운영세
칙[별표1]에 따른 교양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제5조 내용삭제(제5조 2항로 이동)
현행 개정(안)
<제5조 내용 변경>
제5조(인증기준)
① 전공인증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 다.
1. 전공교과 최저 이수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2. 졸업시험, 외국어 자격조건, 전공 관련 자격 증 등 학과 특성화 조건을 반영한 자체 인증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② 교양인증은 교육과정편성 및 운영세칙[별표1]
에 따른 교양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③ 비교과인증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4대 핵심역량별 일반비교과프로그램 중 역량 별 각 1개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 12마일리지 를 취득하여야 한다.
2. 학과(부)별 전공비교과프로그램(전공능력강화 프로그램) 중 3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 야 한다.
④ 봉사인증은 사회봉사 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제6조(비교과인증) 비교과인증은 다음 각 호의 요건 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4대 핵심역량(창의융합, 실무, 대인관계, 글로 벌) 별 일반비교과프로그램 중 역량별 각 1개 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 12마일리지를 취득하 여야 한다.
2. 학과(부)별 전공비교과프로그램(전공능력강화 프로그램) 중 3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 야 한다.
제6조 내용삭제(제5조 3항로 이동)
<제6조 내용 신설>
제6조(대상면제) 다음 각 항에 해당하는 자는 졸업 인증제의 적용을 면제한다.
① 외국인전형입학생
② 편입생
③ 총장이 인정하는 장애 학생 제7조(봉사인증) 봉사인증은 사회봉사 학점을 이수
하여야 한다. 제7조 내용삭제(제5조 4항로 이동)
<제7조 내용 신설>
제7조(운영 주관부서)
① 전공의 운영주관 부서는 교무과로 한다.
② 교양의 운영주관 부서는 미래교양대학으로 한 다.
③ 비교과의 운영관리부서는 인재교육혁신원으로 하며 일반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주관부서는 각 프로그램 운영 센터로 하며, 전공비교과프로그 램의 운영주관부서는 해당 학과로 한다.
④ 봉사의 운영주관 부서는 미래교양대학으로 한 다.
현행 개정(안)
제8조(인증절차) ①인증기준을 충족한 학생은 졸업 대상학기 소정기간에 인증을 신청하여야 한다.
②졸업인증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미충족 인증영 역 주관부서에서 지정하는 별도의 과정을 반드시 이수하여 졸업인증을 획득하여야 한다.
제8조(인증절차)
①졸업인증 심의는 졸업대상자의 7학기 말에 심의 시작을 원칙으로 한다
②극동인증위원회는 인증심의자료를 근거로 인증 을 심의하며 그 결과를 교무과로 이관한다. 단, 인증 후 변경된 사항이나 자료 중 전공, 교양, 봉 사의 재인증은 학칙시행세칙에 따른 졸업사정회의 심의로 대신할 수 있다.
③졸업인증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미충족 인증영 역 주관부서에서 지정하는 별도의 과정을 반드시 이수하여 졸업인증을 획득하여야 한다.
부칙
제2조(졸업인증시행에 대한 적용례) 졸업인증은 2020학년도 입학자 및 2022학년도 3학년 펀입생 부터 적용한다. 다만, 편입학자는 희망자 중 인증 요건을 획득한 자에 한하여 졸업인증을 부여한다.
부칙
제2조(졸업인증시행에 대한 적용례) 졸업인증은 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졸업인증시행세칙
<극동규정 제227호> <시행일 2022.12.00.>
제 정 : 2020.05.29.
제1차 개 정 : 2022.12.00.
제1조(목적) 이 시행세칙은 「학칙」 제31조 제1항에 따라 극동대학교 졸업인증 시행에 관한 필요한 세부 사 항 규정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대상) 본교 학부에 입학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단, 대상면제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한다.
제3조(시행목표) 졸업인증제는 본 대학교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인재상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들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핵심역량은 ‘대학발전계획수립 및 운영 규정에 의해 수립된 핵심역량으로 한다.
제4조(인증구성) 졸업인증은 다음 각항의 인증을 모두 획득하여야 한다.
① 전공 인증 ② 교양 인증 ③ 비교과 인증 ④ 봉사 인증 제5조(인증기준)
① 전공인증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중족하여야 한다.
1. 전공교과 최저 이수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2. 졸업시험, 외국어 자격조건, 전공 관련 자격증 등 학과 특성화 조건을 반영한 자체 인증 요건을 충족 하여야 한다.
② 교양인증은 교육과정편성 및 운영세칙[별표1]에 따른 교양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③ 비교과인증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4대 핵심역량별 일반비교과프로그램 중 역량별 각 1개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 12마일리지를 취득하여 야 한다.
2. 학과(부)별 전공비교과프로그램(전공능력강화프로그램) 중 3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야 한다.
④ 봉사인증은 사회봉사 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제6조(대상면제) 다음 각 항에 해당하는 자는 졸업인증제의 적용을 면제한다.
① 외국인전형입학생 ② 편입생
③ 총장이 인정하는 장애 학생 제7조(운영 주관부서)
① 전공의 운영주관 부서는 교무과로 한다.
② 교양의 운영주관 부서는 미래교양대학으로 한다.
③ 비교과의 관리부서는 인재교육혁신원으로 하며 일반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주관부서는 각 프로 그램 운영 센터로 하며, 전공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주관부서는 해당 학과로 한다.
④ 봉사의 운영주관 부서는 미래교양대학으로 한다.
제8조(인증절차)
① 졸업인증 심의는 졸업대상자의 7학기 말에 심사를 심의 시작을 원칙으로 한다.
② 극동인증위원회는 인증심의자료를 근거로 인증을 심의하며 그 결과를 교무과로 이관한다. 단, 인증 후 변경된 사항이나 자료 중 전공, 교양, 봉사의 재인증은 학칙시행세칙에 따른 졸업사정회의 심의로 대신 할 수 있다.
③ 졸업인증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미충족 인증 영역 주관부서에서 지정하는 별도의 과정을 반드시 이수하 여 졸업인증을 획득하여야 한다.
제9조(준용) 이 규정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본교 제 규정 및 교육과정편성및운영세칙을 준용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20년 05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졸업인증시행에 대한 적용례) 졸업인증은 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22년 12월 00일부터 시행한다.